로그인

검색

밥은 짓는건데 밥을 어떻게 만든다고 해? 밥을 막 만드나??




그래도 어쨌든 볶음밥용 밥을 만들기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1. 밥하기 2. 식혀서 냉장보관하기 인데 길게 늘여 써봤다. (말 많음 주의)

+밥이 너무 차갑지 않도록 재료 준비 하기 전에 밥부터 가장 먼저 실온에 꺼내두기



볶음밥용 밥은 찰기없는 바스마티나 자스민쌀 등 장립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사용하기에도 물론 좋다. 이 쌀은 볶음밥에 좋기는 한데 특유의 향이 있어서 모든 볶음밥에 좋은 것은 아니다.

맨밥이건 볶음밥이건 모두 장립종을 사용하는 지역의 음식인 나시고랭이나 카오팟, 비르야니 등은 이 쌀이 어울린다.

빠에야나 리조또, 잠발라야 등은 또 그에 맞게 어울리는 쌀이 따로 있다.

한국식 볶음밥에는 한국에서 흔히 쓰는 쌀이 어울리는 것이 당연하다.

한국에서 선호하는 찰기가 있는 쌀(찹쌀이나 현미등 제외)은 불리는 시간이나 물조절, 조리도구 등에 따라 밥의 찰기나 무르기가 달라진다.

이 쌀은 질게 지으면 밥상에 올리는 맨밥으로 먹기 좋고 고슬고슬하게 지으면 볶음밥에 좋기도 하다. (그냥 제 취향)


어쨌든 김치볶음밥에는 한국쌀로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잘 식힌 밥을 사용하는 게 저는 좋아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래서 미리 지어두는 볶음밥용 밥.

여러모로 고민하며 볶음밥을 하다보니 나는 이렇게 하는 것이 편해서 이러고 있다.


미리 밥을 이렇게 지어두면 볶음밥을 할 때 편하니까 넉넉하게 밥을 해서 보관해뒀다가 사용한다.

시간이 없어서 못 만들어 둘 때는 어쩔 수 없는데 그래도 최대한 만들어두려고 하는 편이다.


볶음밥을 할 때 무조건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미리 밥을 지어 두면 볶음밥을 할 때 시간도 덜 걸리고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그냥 쌀 이야기.


(백미 기준)
쌀을 도정하면 현미에서 백미로 쌀을 깎은 가루인 미강이 쌀에 묻어있다.

미강은 항산화물질과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는데 밥의 질감을 조금 떡지게하고 밥의 향을 구수하고 풍부하게 만들며 쌀벌레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미강이 적은 쌀은 오랫동안 씻을 필요가 없고 쌀을 씻을 때 맑은 물이 금방 나온다. 그리고 쌀을 씻을 때에 쌀은 쌀씻는 첫물을 가장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첫물은 수돗물보다는 정수기물로 씻는 것이 더 좋기는 하다.


식품에는 식품안전관리인증인 HACCP 인증이 있듯이 농산물에도 우수관리인증농산물의 표시인 GAP가 있다.

GAP인증을 받은 곳에서 갖추고 있는 시설로 도정을 하면 백미에 쌀눈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고, 순간세척을 해서 미세한 미강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직접 보지는 못했고 그렇다고 들었다.)

이 과정을 거쳐 미강이 제거되면 쌀에 광택이 돌고 쌀벌레가 덜하다.

물론 이 시설을 갖추고도 도정을 대충 할 수도 있지만, 갖추고 있는 기계를 다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GAP인증을 받은 쌀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나는 평소에는 GAP인증을 받은 고시히카리를 고르는 편이다. 쌀씻기가 귀찮을 때는 품질이 높은 쌀은 아니지만 씻어나온 쌀을 사용한다.

쌀은 많이 사두지 않고 최대 10키로정도 사서 도정 후 2달 내에 모두 소비하는 것이 좋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제 진짜 본론.


1. 쌀은 가능한 한 좋은 쌀을 사용.


2. 쌀은 불리지 말고 씻어서 바로 사용함.

너무 오래 씻으면 부니까 천천히 씻지 말고 빠르게 씻는 것이 좋다. GAP인증 쌀은 오래 씻을 필요가 없다.

(쌀을 사용하지 않는 문화권에서 제품으로 나오는 쌀은 사용자가 밀로 취급하고 아예 씻지를 않았다. 유기농이면 생쌀도 먹을 사람들..)


3. 밥물은 질지 않고 약간 되직하게 지음.

너무 되직하면 꼬들꼬들해서 딱딱하니까 약간만 되직하게. 전기압력밥솥을 사용하는 경우 정량보다 적게 95%정도 물 잡기.


4. 취사 후 바로 밥을 일구고 큰접시+종이호일로 밥을 옮기고 밥을 잘펴서 식히고 완전히 식은 후부터 30분정도 수분이 날아가도록 말리기. (여름에는 50분정도)

종이호일 없이 일반 큰 접시에 펴서 식혀도 되는데 종이호일을 깔면 일도 적고 편하다. 중간에 한 번 마른 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뒤집어줬다.


5. 종이호일에 싸서 비닐포장. 보통 밥 보관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하면 밥을 잘게 으깰 수 없으니까 비닐포장 필수.

(햇반 정도 기준 1인분에 210그램, 볶음밥으로 조금 넉넉하게하면 230~250그램 소분)


6. 48시간 이상 냉장보관. 

경험 상 밥알이 서로 완전히 떨어지려면 하루로는 부족했고 3일정도가 적당했다.


7. 한톨씩 날리도록 부숴주기 (이후 냉동 가능)


이렇게 부순 밥은 냉동보관했다가 해동해서 사용해도 좋다.

냉동보관 후 해동할 때도 밥이 일단 낱알로 분리되어 있으니까 금방 녹고, 볶음밥에 금방 사용할 수 있다.



(냉장보관해둔 밥)

크기변환_IMG_9853.JPG 




(바닥에 놓고 힘껏 누르기)

크기변환_IMG_9857.JPG




(작게 뭉친 밥알을 다 풀고)

크기변환_IMG_9862.JPG 



(그릇에 담아보면 이렇게.)

크기변환_IMG_9864.JPG




그래서 이렇게 해두면 제일 만만한 게 계란볶음밥이다.

https://homecuisine.co.kr/hc10/67564


크기변환_IMG_7476.JPG    크기변환_IMG_7477.JPG




크기변환_IMG_7492.JPG 



다른날


5bd88ea4f8c24724dd63a8b78aa514a3.JPG 




오리소금구이 + 볶음밥

https://homecuisine.co.kr/hc10/70861


크기변환_IMG_8559.JPG 



크기변환_IMG_8560.JPG 



크기변환_IMG_8563.JPG 



크기변환_IMG_8565.JPG



크기변환_IMG_8572.JPG 



크기변환_IMG_8576.JPG





밥알이 잘 보이는 사진은 없지만 이렇게 만든 소고기볶음밥

https://homecuisine.co.kr/hc10/66747



44e772c9d8f18e72e8220ff362c586a2.JPG 



스팸마늘볶음밥


90ac95356060c9e9e44c813284fdb610.JPG  



전복밥을 똑같이 식혀서 냉장보관했다가 전복볶음밥 - https://homecuisine.co.kr/hc10/72088
크기변환_IMG_0338.JPG 


XO소스 햄계란볶음밥 - https://homecuisine.co.kr/hc10/73615
크기변환_IMG_1605-.jpg
  • 레드지아 2018.10.01 15:39

    아아아아아~~~~~그렇군요 이런 비법이!!!!!!

     

     

    저 어릴때 엄마가 이모랑 통화하시면서 이러시더라구요 "나이가 어릴땐 된밥이 좋고 엄마가(저에겐 할머니) 진밥 좋다고 할때 뭐가 좋아! 난 된밥이 좋구만. 이랬는데 나이먹으니 진밥이 좋아. 된밥은 못먹겠어"라고요

     

    저는 저 통화를 들으며 저도 같은생각을 했..........;;;;;;;;;;;;;;;;;

    지금 저역시 된밥보담 진밥이 좋............................ㅜㅜㅜㅜㅜㅜㅜ

     

    맞아요 볶음밥할땐 진밥은 꽝이죠 ㅠ

    근데 전 찬밥이 많이 남으면 무조건 볶음밥을 하는지라 볶음밥이 볶음밥이 아닌;;; 떡도 아닌;;;;;;; 그런 사태가 자주 발생했었는데!!!!!

     

     

    그렇군요!!! 역시...

     

     

    근데 이렇게 귀한 요리팁들을 다 알려주셔도 되나요? 저같음 며느리도 안알려주고 싶을거 같아요 캬캬캬캬캬캬 ㅋㅋㅋㅋ

  • 이윤정 2018.10.02 04:00

    비법이랄것도 있나요ㅎㅎㅎ 제가 말이 너무 많다보니 따로 빼서 이야기 한건데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 것보다 행복한 것 같아요^^
    아마 며느리한테 이렇게 구구절절 이야기 했다면 없는 며느리가 으~ 하지 않을까요ㅎㅎㅎ

    어릴 때 어머님과 이모님 통화하신 걸 기억하시다니 기억력 대단하셔요ㅎㅎㅎㅎㅎ
    그런데 레드지아님 어머님도 그렇고 레드지아님도 그렇고 저도 그런걸요ㅎㅎㅎ
    저도 어릴 땐 약간 고슬고슬한게 좋았는데 의식의 흐름이 똑같은 걸 보니 너무 재밌어요^^

  • Balnim 2019.01.07 22:14
    밥을 잘 안 해먹어서 전기밥솥이 없는데 냄비로 고들고들밥 짓는 법이 있을까요
  • 이윤정 2019.01.08 05:10
    냄비밥으로 고슬고슬하게 지으려면 상당한 경험이 필요할텐데 저는 평소에 전기압력밥솥으로 밥을 하다보니 냄비밥 경험이 부족해서 냄비밥 잘 짓는 비법을 잘 모르겠어요.
  • 만두장수 2019.02.27 22:49
    와~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짝짝짝~
  • 이윤정 2019.03.03 05:34
    아이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ㅎㅎ
  • 만두장수 2019.06.02 23:49
    이 글 읽으며 무릎을 쳤는데 댓글보니 제 댓글이 있어요....기억력 붕어야 뭐얌 ㅠㅠ

    토렴에 대해서도 포스팅 부탁드려 봅니다.
    인스턴트 갈비탕 같은걸 가끔 먹는데 물에 한번 빤 밥이 전분기가 없어서 국밥에 말때 참 좋더라고요.

    암튼 항상 도둑질하듯 얻기만 해서...
    기분 째져요ㅋㅋㅋ
  • 이윤정 2019.06.04 03:04
    넘 대충 읽으셔서 그런거 아니에요ㅠㅠ
    토렴은 집에서 할 일이 없으니까 포스팅 해 볼 생각도 못해봤어요ㅎㅎㅎ
    저도 기분 째지고 싶은데 힝ㅠㅠ
  • 만두장수 2019.06.06 23:42
    대충읽다뇨...감휘~
    저의 착각일지 모르겠지만 국밥 말때, 확실히 토렴 혹은 맹물에 빨아서라도 말아먹으면 더 좋더라고요.
    암튼 밥짓기 배워가서 넘넘 감자합니다^^;; 감자?
  • 이윤정 2019.06.08 02:06
    맹물에 빨면 밥 겉면의 전분이 줄어들어서 더 맛있나봐요.
    저는 그정도로 섬세하지는 못하기도 하고 귀찮아서라도 그냥 먹는데 말입니다ㅎㅎㅎ
    감자하시다니 앞으로 저도 감자하는걸로ㅎㅎㅎ

  1. 볶음밥용 밥 만들기

    밥은 짓는건데 밥을 어떻게 만든다고 해? 밥을 막 만드나?? 그래도 어쨌든 볶음밥용 밥을 만들기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1. 밥하기 2. 식혀서 냉장보관하기 인데 길게 늘여 써봤다. (말 많음 주의) +밥이 너무 차갑지 않도록 재료 준비 하기 전에 밥부터 가장 먼저 실온에 꺼내두기 볶음밥용 밥은 찰기없...
    Date2018.09.29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29109
    Read More
  2. No Image

    음식에 간보는 방법 (초보용. 고수용 아님, 주관적임 주의)

    음식에 간보는 방법 (초보용, 고수용 아님, 주관적임 주의) 네이버 카페에 쓴 글입니다. 그래서 평소에 홈페이지에 사용하지 않는 해요 말투로 작성했습니다. 평소 말투대로 전부 수정하자니 번거로워서 그냥 올리는데 나중에 수정할 수도 있어요. 그냥 잡담이나 해볼까 하다가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홈...
    Date2018.09.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5445
    Read More
  3. 백앙금 만들기, 팥앙금

    안만들면 더 좋았겠지만 어쨌든 만든 백앙금. 팥은 거피팥을 사서 사용해야 하는데 거피팥이 거의 중국산이라 일반 팥을 사서 팥껍질을 다 벗겼다. 팥앙금 만들자고 꼬박 8시간 (쉬는시간 제외)을 팥껍질을 벗기는데 할 짓이 못된다. 아마 다시 하라고 하면 그냥 백앙금은 안먹고 말겠다고 해야 정상인...
    Date2018.07.17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20180
    Read More
  4. 마늘 구입, 보관

    6월, 7월 한창 마늘이 제철이다. 덜 마른 마늘은 까기가 좋고, 잘 말린 마늘은 보관하기 좋기 때문에 전부 다 까서 냉동보관할 것은 덜 말린 것으로 6월초에 구입하고, 양파망에 담아 베란다에 매달아 두고 그때그때 까서 사용할 것은 7월에 구입한다. 아래 사진의 왼쪽이 한지형 육쪽마늘이고 오른쪽이...
    Date2018.06.26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8353
    Read More
  5. 양송이버섯 냉동보관하기, 버섯은 씻을까 말까에 대한 답.

    양송이버섯은 꼭 필요한 음식에는 빠지면 너무 아쉬운데 사두면 빨리 상하니까 꼭 제시간에 장을 봐야한다. 냉장보관할 때에는 키친타올로 감싼 다음 공기가 들어가도록 비닐포장을 해서 수분을 흡수할 공간을 주고, 외상을 줄이는 것이 좋다. 냉동보관 할 때. 양송이 버섯은 흐르는 물에 가볍게 씻은 ...
    Date2018.05.0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42227
    Read More
  6. 3월부터 4월초 대파 갈무리하기

    2019년 3월 업데이트 올해는 날이 따뜻해서 대파 속(꽃대)이 빨리 올라온다. 평년보다 1달정도 빨리 대파를 사서 손질, 보관해야 적당하다. 주말마다 대파를 사봤는데 1주일 사이에도 대파속 올라오는 속도가 아주 빠르다. 벌써 4월 6일이다. 작년에 올린 3월 대파 갈무리하기와 내용이 거의 같다. 늦어...
    Date2018.04.06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6146
    Read More
  7. 사워크림 만들기

    사워크림은 말 그대로 생크림에 신 재료를 넣어 발효시킨 크림인데 원래는 생크림, 우유, 레몬즙으로만 만든다. 그런데 생각보다 발효가 느리고 꾸덕꾸덕한 질감이 마음에 들게 나오지 않아서 요거트를 넣어서 조금 더 편하고 꾸덕한 질감으로 만들었다. 네이버에 검색하면 죄다 요거트를 넣었고 구글링...
    Date2018.03.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8091
    Read More
  8. 파프리카 피클

    단단하고 신선한 파프리카로 피클을 만들었다. 할라피뇨도 한줌 넣었는데 이렇게 만든 할라피뇨 피클은 새콤달콤하게 그대로 먹는 피클이고, 병으로 나와서 다른 음식에 넣는 할라피뇨 피클은 https://homecuisine.co.kr/hc20/42494 이렇게 만든다. 마침 메가마트에 할라피뇨가 있어서 새콤달콤하게도 ...
    Date2018.03.17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4653
    Read More
  9. 고추기름 만들기

    (식용유 4컵으로 만든 것) 2019년 업데이트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83629 식용유 1000그램 대파 4대 양파 2개 마늘 2줌 생강 1톨 청양고추 6개 고춧가루 150그램 →면보에 꽉꽉짜서 고추기름 900그램 나옴 위에 병으로 2병 반 조금 넘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Date2018.01.15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2976
    Read More
  10. 식혜 만들기, 만드는 법

    단술이라고도 부르는 식혜. 아주 오랜만에 만들었다. 어릴 때는 엄마께서 늘 해주셨는데 스무살쯤 자취를 하면서 만들었던 것이 처음이니까 벌써 17년전이다. 내나이... 이후로도 자취할 때는 자주 만들었는데 이 땐 단술이 먹고 싶으면 당연히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결혼 후에는 시...
    Date2017.08.29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7980
    Read More
  11. 블루베리잼 만들기

    적당한 과일에 설탕을 넣고 가열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잼이라 '블루베리에 설탕을 넣어서 끓였다' 한줄로 요약할 수 있는 내용인데 말이 조금 많다.. 잼이 겔화되는 조건은 설탕, 가열, 산도인데 잼이 되기 위한 적당한 설탕, 가열로 인한 수분증발, 겔화 되기 좋은 산도 (pH 2.8~3.5)의 조건이 충족되...
    Date2017.08.1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3905
    Read More
  12. 사우전드 아일랜드 드레싱

    샐러드에 흔하게 먹는 사우전드 아일랜드 드레싱. 돈까스나 치킨에 곁들여 먹는 반찬느낌이다. 사용한 재료는 (양배추 반통에 맞는 분량으로) 마요네즈 100그램 케찹 100그램 미니오이피클 2개 타바스코소스 0.5티스푼 설탕 0.5티스푼 소금, 후추 약간씩 미니오이피클은 만들어 둔 것을 사용했다. https...
    Date2017.02.2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4464
    Read More
  13. 찐빵, 단팥 호빵 만들기

    어제 올린 팥앙금에 이어 찐빵. 팥앙금은 덜 달게 만들어서 사용했다. - https://homecuisine.co.kr/hc20/50205 레시피는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제과·제빵 완벽실무 를 참고했다. 책에 나오는 계량단위로 중력분 800그램 강력분 200그램 베이킹파우더 10그램 소금 10그램 드라이이스트 25그램 설탕 ...
    Date2017.02.03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27188
    Read More
  14. 팥앙금 만들기

    팥앙금을 만들 때 가장 힘든 부분이 설탕을 넣고 저어가며 졸이는 부분인데 설탕을 넣어 졸이는 과정을 아예 하지 않고 만들었다. 애초에 팥을 삶을 때부터 물이 하나도 남지않도록 신경써서 익히면 뜨거울 때 설탕 넣고 블렌더로 갈면 끝이다. 식으면서 완전히 되직해지고, 식고 난 다음에는 팥앙금을 ...
    Date2017.02.02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22343
    Read More
  15. 토란대 손질, 손질법

    잘 손질하면 맛있고 잘 못 손질하면 음식도 버리고 몸도 버리는 토란대. 육개장에 토란대는 꼭 넣어서 만들고 (고사리는 좋아하지 않아서 늘 생략한다), 나가서도 토란대가 들어간 소고기국이나 육개장을 좋아해서 사먹기도 하는데 한 번 토란대를 잘 못 먹고 입이나 목이 아프고 부으면 다시는 먹기 싫...
    Date2016.12.21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31253
    Read More
  16. 치즈스틱 만들기, 튀기기

    블럭으로 된 모짜렐라치즈를 잘라서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입혀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아주아주 간단한 재료에 튀김도 금방 되어서 어렵지 않은데 치즈가 녹는 시간에 비해 기름에 튀기는 시간이 조금만 넘거나 기름온도가 조금만 낮아도 속이 다 터진다. 그래도 몇가지만 조심하면 속도 거의 터지...
    Date2016.10.1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31646
    Read More
  17. 떡볶이떡 보관

    (당연한 이야기 주의) 떡볶이떡은 냉장보관된 것 보다는 시장의 떡집이나 마트의 떡코너에서 판매하는, 그 날 뽑은 떡볶이떡을 사용하면 가장 좋다. 보통 그렇게 사는 떡은 붙혀서 자르니까 한덩이로 붙어있는데 바로 사용할 것은 그냥 사용하면 되고 남은 떡은 최대한 빨리 냉동보관해야 한다. 여름에...
    Date2016.10.05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0813
    Read More
  18. 콜라비 피클

    단단하고 아삭아삭한 콜라비로 새콤달콤한 피클. 사용한 재료는 콜라비 1개 마늘 2개 베트남고추 몇 개 물 1.2컵 식초 1컵 설탕 1컵 소금 1티스푼 피클링 스파이스 1스푼 물, 식초, 설탕의 양은 1.2:1:1로 맞췄다. 콜라비 크기에 따라 필요한 피클주스의 양이 다른데 조금 큰 걸 사용하니 이정도가 들어...
    Date2016.07.05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0254
    Read More
  19. 할라피뇨 피클, 꽈리고추 피클

    가끔 보이는 할라피뇨 고추나 시중에 파는 퍼펙토고추나 대체제로 매운모닝고추가 보이면 사와서 피클을 담아둔다. 시장에서도 가끔 보이는데 지금은 메가마트몰에서 할라페뇨로 검색하면 구매할 수 있다. 피클링스파이스 만드는 것과 작년 할라피뇨는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
    Date2016.07.03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1638
    Read More
  20. 케이준 시즈닝 만들기

    케이준 시즈닝은 만들 필요 없이 하나 사면 되는거지만 집에 여러 향신료가 많기 때문에 따로 살 것 없이 집에 있는 향신료를 조합해서 케이준시즈닝을 만들었다. 향신료를 1파운드 큰 백으로 사두어서 두루두루 쓰고 있는데 병으로 산 것을 사용하면 씀씀이가 너무 크니까 병으로 산 것을 쓰는 것 보다...
    Date2016.06.22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313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