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6087.JPG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고기, 채소, 두부의 밸런스가 좋아서 밥상의 메인음식으로도 만들기 좋다.


고기는 목살이나 앞다리살을 사용해도 좋은데 이번에는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내취향)
미트박스에서 등심덧살을 사서 매번 구워먹다가 찌개에도 사용했다. 육향이 적고 쫄깃쫄깃한 등심덧살이 찌개에 아주 잘 어울린다. 삼겹살이나 목살로 찌개를 끓여서 먹다보면 아 지금 먹은 부위가 기름도 많지 않고 쫄깃쫄깃 딱 좋다 싶은 느낌이 들 때가 있는데 그 부위를 골라서 찌개를 끓인 느낌이다.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을 사용해도 맛있다.


기분 탓인지 진짜 그런지 무쇠솥에 찌개나 국을 끓이면 물이 덜 줄어드는 것 같다. 그리고 등심덧살은 오래 끓일 필요가 없이 익기만 하면 쫄깃쫄깃 맛있어서 채소를 넣기 전에 끓이는 시간을 줄였다. 그래서 전에는 육수를 600미리 넣었는데 이번에는 530미리만 사용했다.


전에는 친수피시소스말고 새우젓국물을 사용했었는데 그것도 냉동실 깊이 들어있는 새우젓을 꺼내기 귀찮아서 자주 쓰는 친수피쉬소스를 사용했다. 결론은 둘 다 맛있다. 액젓을 사용해도 괜찮다.




재료

돼지고기 등심덧살 500그램
고운고춧가루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멸치황태육수 500~600미리
미림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양파 1개
대파 1대
청양고추 3개
애호박 1개
두부 1모





1. 애호박은 약간 도톰하게 채썬다.
양파와 대파는 반으로 갈라 채썰고 고추는 어슷하게 썬다.
두부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


2. 한 입 크기로 썬 돼지고기를 냄비에 넣고 달달 볶는다.


3. 고기가 익어서 냄비 바닥에 돼지기름이 약간 있는 상태에서 고춧가루를 넣고 타지 않게 달달 볶는다.
사용하는 고기의 부위에 따라 바닥에 깔리는 기름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때는 식용유를 0.5스푼 정도 넣는다.


4. 육수를 붓고 중불에 10분정도, 고기가 먹기 좋게 익도록 끓인다. 끓이는 동안 다진마늘, 국간장, 피시소스, 미림을 넣는다.
*처음부터 끝까지 중불을 유지하는데 국물이 부족하도록 졸아드는 것 같으면  뚜껑을 덮고 약불로 줄인다.
*고기는 불의 세기나 돼지고기의 부위에 따라 먹기 좋도록 익는 시간이 다르다. 채소를 넣기 전에 고기를 하나 먹어보고 고기가 단단하다 싶으면 5~10분정도 더 끓이는데 육수가 졸아들면 육수를 반컵정도 추가한다.


5. 돼지고기가 부드럽게 먹기 좋으면서도 국물이 어느정도 자작한 상태로 익으면 간을 봐서 한 번 간을 보고 짜면 물을 약간 넣고, 약간 싱거우면 부족한 간은 국간장으로 간을 채운다.
*채소와 애호박을 넣기 직전에 아주 약간 짭짤하다 싶도록 간을 맞추면 채소와 두부를 전부 넣어서 완성한 찌개의 간이 약간 심심한 정도로 먹기 좋게 완성된다.


6. 여기에 양파, 대파, 고추를 넣고 끓으면 2~3분정도 끓인다.


7. 두부와 애호박을 넣고 애호박과 두부가 자박자박 잠기도록 국물을 끼얹고 국자로 살짝 눌러줘서 익힌다.
애호박이 너무 흐물흐물하지 않도록 4~5분정도 끓이면 완성.
80~90%정도 익힌다는 느낌으로 살짝 사각사각하게 익혀서 밥상에 놓고 2~3분정도 식사준비를 하다보면 남은 열로 딱 먹기 좋게 잘 익는다.



1.

IMG_6035.JPG

((내취향) 애호박을 좋아하지 않아서 씨를 빼고 먹을 때가 많은데 그럴때는 애호박 양이 줄어서 단맛이 줄어드니까 애호박을 1.5~2개 사용한다.)




IMG_6028.JPG



IMG_6032.JPG



IMG_6031.JPG



IMG_6037.JPG



2.

IMG_6040.JPG



IMG_6042.JPG



3.

IMG_6045.JPG



IMG_6048.JPG



4. 5.

IMG_6055.JPG



6.

IMG_6058.JPG



IMG_6063.JPG



7.

IMG_6066.JPG



불을 끄기 전에 고기가 부드럽게 잘 익었는지, 애호박은 먹기 좋게 익었는지, 국물 간은 어떤지 한 번 먹어보고 불을 껐다.

IMG_6069.JPG




완성.

IMG_6087.JPG




IMG_6087-.jpg




IMG_6102.JPG




IMG_6104.JPG


국물 간을 두세번 봤으니까 당연히 짜지 않고 얼큰하니 입맛에 딱 맞다.

고기와 채소, 두부의 적절한 밸런스가 아주 좋다. 돼지고기와 고춧가루를 볶으며 나온 고추기름이 자글자글 고소하게 맛있고 애호박과 양파에서 우러난 단맛이 은은하게 뒷맛을 받쳐준다.





  • 레드지아 2021.01.06 14:40

    앗!!뭐라굽쇼??? 기름이 그닥 많지 않고 쫄깃쫄깃하다고요!!!!! +_+ 등심덧살 바로 구매하러갑니다!!!!

    고진교라서 매끼니 고기를 먹어 그런지 찌개엔 기름기가 많은건 별로더라구요. 그렇다고 기름기가 없는것도 좀 그렇긴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요즘 돈카츠 잘하는 집 도장깨기에 심취하고 있는데요

    메뉴중 상로스가(상로스 내지 프리미엄 어쩌구 하면서 등심돈까스보담 비싸게 팔음) 뭔가 했더니 등심덧살 있는 부분을 튀긴거래요!!

    그래서 '뭐라고!!! 윤정님이 사신 그 등심덧살이란 말인가!!! '라고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찌개에 넣으면 쫄깃하다는 말이 구매하기에 몹시 호소력 있게 들립니다 ㅋㅋㅋ

    제가 원체 귀가 얇기도 한데 윤정님이 좋다고 한건 다 좋더라구요!!!!!

     

    이런 찌개엔 고추장 넣어야만 하는줄 알았는데 안넣고 고추가루만 넣으면 더 깔끔하니 텁텁하지 않겠어요! 아쉽게도 집에 호박이 없네요 ㅜ 세일할때 호박을 꼭 사리라 다짐해봅니다 ㅋㅋ

    제철이 아닌때라 호박사서 냉장고에 무심코 두면 금상 상해서 ㅠㅠㅠ 자주 버렸거든요 ㅠㅠㅠㅠ

  • 이윤정 2021.01.08 03:04

    요즘 돼지고기 최저가보다는 약간 올랐지만 그래도 가격이 한 해 중에 가장 싸서 잘 사먹고 있어요ㅎㅎ 그러다보니까 구워먹는 부위를 찌개도 하고 수육도 하고 넘 맛있더라고요ㅎㅎ 돼지고기나 소고기나 구워먹는 부위로는 어떤 음식을 해도 다 좋은 것 같아요.

    등심에 붙은 등심덧살을 분리하지 않고 정형한 부위로 만드는 돈까스 말씀이시죠ㅎㅎ 이렇게 정형해서 파는 경우가 잘 없다보니까 이 돈까스가 더 비싼 것 같아요. 등심보다 등심덧살이 2.5배정도 비싸니까요.

    제가 좋아하는 부위라서 넘 칭찬만 한 것 같은데 고진교 레드지아님 입맛에는 당연히 좋을 것으로 예상하니까 시의적절한 칭찬이었다 이렇게 자평합니다ㅎㅎㅎㅎ

    돼지고기고추장찌개랑 돼지고기애호박찌개랑 맛이 또 달라요. 닭도리탕같이 찐 한 게 땡길 때도 있고 매운탕같이 칼칼한게 땡길 때도 있는데 그정도 차이는 아니라도 그런 식의 차이가 있으니까 맘에 드는 걸로 골라서 만들어요.

    저도 애호박 된장찌개 아무때나 해먹으려고 계획없이 샀다가 상한 적이 좀 있어요ㅠㅠ 계획없이 사놓은 식재료도 남김없이 알뜰하게 잘 쓰는 걸 올해 목표로 삼아야겠어요ㅎㅎ 그럴려면 부지런해하는데 벌써부터 귀찮네요ㅋㅋㅋㅋ

  • 땅못 2021.01.07 02:24

    저는 애호박을 너무 좋아해요...부드럽고 달달하고...그래서 윤정님이 레시피글마다 옛날엔 애호박 별로 안좋아하셨다는 거 볼 때마다 신기하면서 재미있어요 ㅎㅎ오늘 올리신 건 고춧가루 팍팍 넣은 얼큰한 찌개인데 저는 맛된장 다시 만들어둔 게 쓸 때가 되어서 내일 애호박 된찌 할 것 같아요 (❁´◡`❁)

    날씨가 춥다고 문자도 막 오더라고요. 하지만 역시 부산은 눈은 피해가는 그런 남쪽나라임을 느끼며...

    무쇠뚝배기(?가 단정하니 참 예뻐요. 애호박을 두껍게 채썰었다고 하지만 나머지 재료손질 손때 매운게 흐린눈으로 봐도 딱 윤정님 요리예요 ㅋㅋㅋ

    제가 막 엄청 튀는 취향이 아니거든요...그러니까 나름 장담하는데 윤정님 음식사진이 너무너무 좋은 사람들 오조오억명일 거예요.

    겨울은 찌개를 많이 먹게 되어서 요 버전도 꼭 참고하게 될 것 같아요. 늘 좋은 레시피 올려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번주도 슬슬 마무리 잘 하시길 바라요<333

     

  • 이윤정 2021.01.08 03:14

    제가 저도 모르게 애호박 사용할 때마다 이건 안좋아하는데.. 하면서 투덜투덜 했나봐요ㅎㅎㅎㅎ 남편은 애호박 안 좋아하면서 왜 애호박 들어가는 걸 만드냐고 좋아하는거 먹으라고 하는데 그래도 애호박찌개에 국물 맛은 애호박에서 나는 거라고.. 하면 씨 있는 부분은 자기가 다 먹어요ㅎㅎㅎㅎ
    저도 찌개맛된장이 있어서 주말에 애호박 들어간 된장전골을 할까 싶어요. 약간 찌찌뽕인가요ㅎㅎ

    무쇠전골냄비가 요즘 말을 잘들어서 기분 좋은데 이쁘다 해주시니 뿌듯하고 막 그래요ㅎㅎㅎㅎ
    제가 보기 좋게 밥상 잘 차리는 재주가 없어서 음식사진을 맨날 증명사진 찍듯이 찍는데 그래도 저 나름은 최선이라 뭐 어떻게 더 잘 할 수가 없거든요. 은근 좋게 봐주시는 분이 있을 거라 장담해주시니 가상의 인물이라도 괜히 기분 좋네요. 감사합니다ㅎㅎ

    오늘 추울거라고 예보는 계속 들었는데 지금 밖에 영하12도래요. 부산에 영하12도라니 있을 수 없는 일 아입니까ㅎㅎ 눈이라도 살짝 날리면 단톡방이 난리가 나는데 추운건 다들 싫나봐요ㅎㅎㅎ 춥지만 그래도 금요일은 늘 기분 좋죠. 따뜻하게 챙겨입으시고 즐거운 금요일 되세요^^


  1. 찜닭

    아주 오랜만에 올리는 찜닭. 보통 닭도리탕용 닭을 사용하지만 우리집에서는 손질하기 편한 닭다리를 주로 사용한다.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데치거나 구워서 넣어도 좋고, 바로 넣어도 괜찮다. 닭다리를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절단부위에서 핏물이 배어나온다는 것인데 닭다리라는 게 다 그러니...
    Date2021.03.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581
    Read More
  2.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보기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우리 집은 제사가 많은 집이었고 어릴 때부터 전 부치는 건 내 몫이었다. 제수용 두부...
    Date2021.03.2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776
    Read More
  3. 채소무침 기본, 양배추무침

    상추무침, 파절이, 알배추무침, 양배추무침, 부추무침이 다 비슷한 애들인데 삼겹살, 항정살, 등심덧살 등 구이용 고기를 굽거나 찔 때 곁들이는 반찬으로 주로 만든다. 이런 무침을 김치보다 더 좋아해서 아주 자주 만들지만 주로 고기요리에 사이드로 준비하게 되는 무침이라 따로 올릴 것은 없어서 ...
    Date2021.03.10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5501
    Read More
  4.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서론이 너무 기니까 레시피 먼저 범일콩된장 150그램 물엿 60그램 물 20그램 고춧가루 1티스푼 (있으면 양파분 마늘분을 톡톡 넣고 미원 1꼬집 추가) (다진마늘 약간이나 콩가루 약간 넣어도 ㅇㅋ) 다진마늘 청양고추 쪽파 초장 와사비 간장약간 참기름 넣고 회 찍장으로도 ...
    Date2021.03.05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559
    Read More
  5. 길거리토스트, 옛날토스트, 햄치즈토스트

    양배추를 계란에 넣고 두툼하게 부치는 양배추 계란부침은 이 것만으로는 완제품 반찬으로 쳐주지도 않고, 양배추 계란부침이 대체 왜 존재하는지 어디가 맛있는지 모르겠는데, 이게 구운 식빵에 사이에 양배추 계란부침을 넣고 소스로 케찹 머스타드 설탕을 뿌리고 + 햄 치즈(옵션)을 넣으면 갑자기 추...
    Date2021.02.28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676
    Read More
  6. 고기순대볶음밥

    몇 달 전에 올렸던 고기순대볶음밥은 여전히 자주 해먹고 있다. 전에도 이야기 했듯이 순대구이 + 후식볶음밥 구성에서 볶음밥을 메인으로 올린 것이다.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인 고기순대를 사용해서 볶음밥을 만드는 거라 만들기는 편하면서도 맛은 넉넉하다. (평소에 고기순대를 사 둔 상태에서) 밥...
    Date2021.02.22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3159
    Read More
  7.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

    (잡담주의)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을 부쳤다. 육전은 육즙논쟁에서 거리가 있는 음식이지만 육즙논쟁의 솔루션이기도 하다. 고기가 익으면서 고기 밖으로 빠져나간 육즙이 계란옷을 적셔가면서 고기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고기 옆에 딱 붙어 있으니 육전은 맛있을 수 밖에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Date2021.02.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515
    Read More
  8.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국

    아주 오랜만에 국에 사용할 국거리 소고기를 많이 샀다. 요즘은 채소도 그렇고 소고기가 많이 비싸서 선뜻 소고기 사기가 편하지가 않다. 그래서 또 미트박스에서 구매했다. 소고기양지는 1등급이나 3등급이나 맛이 비슷한데 3등급이 훨씬 저렴하면서 오히려 손질하기도 조금은 손이 덜 가서 3등급으로 ...
    Date2021.02.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462
    Read More
  9. 김밥, 떡볶이, 남은 김밥으로 김밥튀김, 김밥전

    너무 일상적이라서 너무 대충 해먹고 그래서 오히려 오랜만에 올리게 되는 김밥. 김밥을 한 번 싸면 10줄이 기본인데 둘이 먹기에는 2.5번정도 먹을 분량이라서 김밥전도 만들고 김밥튀김도 하고 그런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냉동했던 우엉을 해동해서 우엉조림을 한 김에 김밥을 만들었...
    Date2021.02.15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958
    Read More
  10. 매콤 허니간장치킨

    이전에 올린 허니간장치킨과 내용이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98532 아랫날개 대신 윗날개를 사용했고 소스 배합을 조금 바꿨다. 전에 교촌치킨을 만들면서 전체적인 과정을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주로 염지를 안함 2. 튀김반죽은 묽은 반죽으로 얇게 입힘 (우유사용x, 전분, ...
    Date2021.02.0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903
    Read More
  11.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김치찜, 두부김치

    돼지고기와 김치를 푹 끓이고 졸인 김치찜에 뜨끈한 손두부를 곁들였다. 1. 두부 두부김치니까 두부를 잘 고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1모에 300그램정도 되는 시판 두부보다는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손두부가 가장 좋고, 차선책으로는 홈플러스에서 판매하는 초당두부가 ...
    Date2021.02.06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061
    Read More
  12. 액젓수육, 피시소스로 항정살수육

    수육을 삶을 때 여러 재료 넣지 않고 신선한 고기를 사용해서 피시소스와 후추 정도만 넣어서 수육을 삶는 방법이다. 수육을 삶는 동안 피시소스의 액젓향은 휘발되고 감칠맛과 연한 짠맛이 남아 고기에 간이 살짝 들고 맛이 좋아진다. 구이용으로도 먹는 신선한 고기를 삶을 때는 대파, 후추도 필수는 ...
    Date2021.02.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159
    Read More
  13. 소고기 된장전골

    찌개맛된장을 사용한 소고기 된장전골.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었다. 된장찌개 하려고 청양고추 한 봉투 사오면 버리는 일이 생기는데 이렇게 만들어두면 편하다. 소고기 된장찌개와 비슷하지만 ...
    Date2021.02.0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5185
    Read More
  14.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알배추무침

    보쌈이나 족발 등에 곁들이는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3~4인분) 새우젓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고춧가루 1티스푼 다진마늘 1티스푼 (냉동 후 해동한 것) 생와사비 1스푼 (삼광999) 생강즙 약간 (생략가능) 얼마 전에 올린 삼광999와사비 https://homecuisine.co.kr/hc20/100185 를 사용했다. ...
    Date2021.01.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351
    Read More
  15.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전골다대기는 1달 넘게 보관할 것이면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
    Date2021.01.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176
    Read More
  16. 퐁듀치즈를 올린 햄야채볶음밥

    오랜만에 라자냐를 하려고 리코타치즈를 사는데 마트에 매일 리코타치즈가 너무 비싸서 인터넷으로 구매했다. 배송비 들이는 김에 코다노 슈레드치즈와 매일 퐁듀치즈도 함께 구매했다. 퐁듀치즈라고 해서 별 건 아니고 네 가지 치즈를 사용해서 실온에서도 말랑말랑하게 가공한 치즈이다. (퐁듀에 가짜...
    Date2021.01.24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2863
    Read More
  17.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갈매기살로 고추장찌개를 많이 해먹었는데 이번에는 집에 등심덧살이 많아서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항정살과 등심덧살을 각각 5키로씩 사둬서 열심히 쓸 수 밖에 없다..) 삼겹살이나 목살로 찌개를 끓여서 먹다보면 아 지금 먹은 부위가 기름도 많지 않고 쫄깃쫄깃 딱 좋다 싶은 느낌이 들 때가 있는데...
    Date2021.01.2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5157
    Read More
  18.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양념장 넣고 볶다가 사골육수는 약간 모자란듯이 부어 짜글짜글하게 완성해서 적당히 먹다가 사리도 듬뿍 넣...
    Date2021.0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5075
    Read More
  19.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고기, 채소, 두부의 밸런스가 좋아서 밥상의 메인음식으로도 만들기 좋다. 고기는 목살이나 앞다리살을 사용해도 좋은데 이번에는 등심덧살...
    Date2021.01.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4906
    Read More
  20. 간단 육수불고기

    불고기전골, 뚝배기불고기라고도 부르는데 이번에는 육수불고기로 제목을 정해봤다. 완전 간단 초간단이니까 아래 내용 넘어가고 재료와 과정만 보면 굿이다. 불고기나 돼지갈비 등을 만들 때는 대량으로 미리 만드는 양념장을 만들다가 요즘에는 간단한 것도 하려고 한다는 이야길 한 적이 있다. 9월에...
    Date2020.12.2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63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