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4181-.jpg



여태 국산 깐녹두를 사서 빈대떡을 만들었는데 국산 깐녹두는 완전히 껍질을 깐 것이 아니라서 불리고 껍질까기를 반복해줘야한다.

이 과정이 지쳐서 좋아하는 빈대떡을 자주 해먹지 않았는데 마음을 고쳐먹고 중국산으로 사봤다.


깐녹두가 다 깐녹두지 뭘 어떻게 하냐 싶은데 껍질을 까긴 깠지만 반정도 까진 것이 소깐녹두, 완전히 탈피한 것이 대깐녹두이다.


국산 대깐녹두를 판매한 적이 있다는 사장님을 찾아서 여쭤보니까 녹두는 기계로 껍질을 까는데

녹두의 크기가 작거나 건조상태가 덜하면 대깐녹두를 생산할 수가 없다고 하셨다.

소깐것과 대깐것은 들어오는 들어오는 원료부터 다르기 때문에 녹두가 있다고 해서 다 대깔 수 없으며 앞으로 대깐녹두를 생산할 예정도 없다고 하셨다.

깔끔하게 포기하고 중국산 깐녹두를 5kg구매했다.

5키로 봉투에 든거라 그램계량은 하지 않고 계량컵으로 떠서 사용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태 녹두전에 찹쌀가루를 조금 넣었었는데 이게 너무 관성이 아닌가 싶어서

한 번은 날 잡고 불린 찹쌀, 찹쌀가루, 감자전분, 부침가루 등을 넣어가며 양조절도 해보고 테스트해봤더니

의외로 아무 가루를 안넣은 것이 가장 좋았다.


그래서 이번부터 레시피를 전과 달리 아무 가루 없이 녹두만 사용하는 것으로 바꿨다.

고사리나 숙주는 취향에 따라 추가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깐녹두 2컵

돼지고기 다짐육 200그램

소금 후추 약간

다진 마늘 1티스푼

김치 약간 3~4잎

대파 1대

청양고추 4개


반죽 자체에 소금간을 꼭 해야한다.

소금 1티스푼 or 친수피시소스 1스푼

(녹두 2컵을 불린 다음의 무게는 다 다르지만 600그램으로 잡고, 0.5프로 소금간을 하면 소금 3그램 = 1티스푼)

(소금 대신 피시소스를 사용하면 친수피시소스는 염도가 20%라서 5배니까 15그램 = 피시소스 1~1.2스푼)


양념간장으로

간장, 식초, 청양고추, 물 약간


양파장아찌를 미리 만들어두었다가 곁들이면 아주 잘 어울린다.

https://homecuisine.co.kr/hc10/87818




1. 깐녹두는 서너번 물에 씻고 물을 뺀 다음 3배정도 되는 물을 붓고 6시간 이상 불린다. (여름에는 냉장)

대깐녹두는 크기가 크고 단단하니까 국산녹두보다 불리는 시간을 늘인다.


2. 대파 청양고추는 잘게 썰고, 김치는 속을 털고 잘게 썬다. 돼지고기 다짐육에 소금, 후추, 마늘을 넣고 한 번 주물러서 밑간한다.


3. 불린 녹두는 물을 빼고 처음에 물을 5스푼 정도 넣고 블렌더로 갈다가 뻑뻑하게 아주 안갈리면 물을  주듯이 조금씩 더 넣어서 최소한의 물로 최대한 곱게 갈 수 있도록 한다.

블렌더를 사용할 때는 골고루 잘 갈리도록 중간중간 저어가면서 갈고, 마지막에는 나선형으로 가장자리를 훑어가면서 간다.

(녹두 불린 물 1컵은 따로 그릇에 담아서 녹두를 갈 때 사용한다.)


4. 곱게 간 녹두에 준비한 재료를 넣고 소금이나 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간녹두와 고기가 뭉친 부분이 없도록 잘 젓는다.


5. 팬에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붓고 열이 꽤 오르도록 예열한 다음 불을 약간 줄여서 살짝 식힌 다음 반죽을 넣고 얇게 편다.

반죽은 작게 여러게 부치면 바삭바삭한 부분이 많아진다. 녹두반죽은 어차피 아주 얇게는 잘 안되니까 가능한 한 얇게 부치는 것이 좋다.


6 . 바닥이 바삭바삭해지면 이쪽저쪽으로 돌려가며 굽다가 뒤집어서 양면을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중간 중간에 식용유를 보충해서 가장자리가 살짝 튀겨지는 느낌이 나도록 굽는다.


7. 반죽이 다 익은 다음에 마지막에 뒤지개로 칼집을 내어가며 굽는다.

뒤지개로 낸 칼집사이사이에 기름이 들어가서 더 바삭바삭해지고 떼어먹기 더 좋다.




1. 녹두를 씻어서 불린다.

IMG_4111.JPG




IMG_4117.JPG



IMG_4120.JPG



2. 녹두 외에 나머지 재료 준비.

IMG_4132.JPG




IMG_4134.JPG




3. 불린 녹두 갈기.

작은 볼에 하니까 많이 튄다. 좀 넉넉한 볼에서 가는 것이 좋겠다..

녹두 갈기에 수분이 부족하면 조금씩 물을 주듯이 해서 녹두가 곱게 갈리도록 한다.

처음부터 물을 많이 너무 잡는 것 보다는 조금 모자란듯이 시작해서 부족하면 물을 조금씩 조금씩 추가하는 것이 적당하다.

IMG_4122.JPG




나선형으로 돌려가면서 가장자리를 훑어가면서 곱게 간다. 간 녹두가 튀지 않도록 하려면 블렌더를 너무 얕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IMG_4125.JPG



물을 아주 최소한으로 하면 블렌더를 사용해도 이정도 느낌으로 갈린다. 조금은 더 묽어도 괜찮다.

IMG_4131-.jpg




4. 곱게 간 녹두에 준비한 재료를 넣고 소금이나 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간녹두와 고기가 뭉친 부분이 없도록 잘 젓는다.

IMG_4135.JPG




IMG_4139.JPG





5. 팬에 기름을 약간 넉넉하게 붓고 열이 꽤 오르도록 예열한 다음 불을 약간 줄여서 살짝 식힌 다음

IMG_4142.JPG



반죽을 넣고 얇게 편다.

반죽은 작게 여러게 부치면 바삭바삭한 부분이 많아진다. 녹두반죽은 어차피 아주 얇게는 잘 안되니까 가능한 한 얇게 부치는 것이 좋다.

IMG_4146.JPG




6 . 바닥이 바삭바삭해지면 이쪽저쪽으로 돌려가며 굽다가 뒤집어서 양면을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중간 중간에 식용유를 보충해서 가장자리가 살짝 튀겨지는 느낌이 나도록 굽는다.

IMG_4161.JPG



IMG_4165.JPG





7. 반죽이 다 익은 다음에 마지막에 뒤지개로 칼집을 내어가며 굽는다.

뒤지개로 낸 칼집사이사이에 기름이 들어가서 더 바삭바삭해지고 떼어먹기 더 좋다.

다음번부터는 이것보다 더 작게 한 입 크기로 칼집을 냈다.

IMG_4160.JPG



아래가 2장인데 반죽을 다 구우면 6~7장 정도 되는 것 같다.

굽고 바로 먹느라 몇 장인지 확실하진 않는데 어쨌든 가능한 한 얇게 부쳐서 바로바로 먹으면 가장 맛있다.


IMG_4181-.jpg




IMG_4182.jpg




IMG_4183.JPG



고소하고 바삭한 와중에 고기의 느낌도, 김치의 느낌도, 청양고추의 매콤한 끝맛도 골고루 느껴진다.


그냥 먹어도 맛있고 초간장을 살짝 찍어도 맛있고, 양파장아찌를 곁들이면 더 맛있다.




  • 레드지아 2020.11.05 13:27

    대깐녹두와 소깐녹두...이나이에 또 첨들어 봅니다 ㅋㅋㅋㅋ

    윤정님 블로그만 들락날락하다보면 저도 막 박식해지는거 같아요 ㅋㅋ

    이젠 어디가서 대깐녹두 소깐녹두 이야기 하며 우쭐!! 댈수 있어요!!(사람들은 아마 이런게 있다는것도 모를거 같기에 저혼자 지식을 막 뽐낼수 있겠네요 ㅋㅋ)

     

     

    제가 큰애 어릴때까지만해도 요리에 관심이 없었거든요. 시댁이나 친정가서 여자들이 모여서 수다떨면  자연스레 요리 이야기가 나오잖아요. 그때마다 본의아니게 꿀먹은 벙어리였거든요 ㅋㅋㅋ

    그러다가 요리에 슬슬 관심을 갖게 되자 그뒤론 저도 우쭐대며 말보태는데 자연스레 합류하게 되었어요 ㅋ

    그때 깨달았죠. 역시 많은 정보는 힘이구나!! +_+ 라고요 

     

    대깐녹두 소깐녹두 이야기 꼭 할 일이 생겨야 할텐데요!!! ㅋㅋ

     

    어릴때 설날이나 추석에 시골할머니댁 가면 꼭 녹두전을 제사상 위에 올리시던데 그때의 녹두전은 녹두만 갈아서 그위에 쪽파인지 김치인지를 길게 올려서 부치는 거였어요. 어린 제가 먹기엔 너무나 험난한 맛이어서 녹두전을 싫어했었어요

     

    그러다가 윤정님처럼 만드는 녹두전을 먹게 되었는데 어찌나 맛있던지요

    제가 만두킬러거든요. 속에 만두속 비슷하게 들어가니 더더더 맛있고 (고기도 들어가니 더 흡족하고 김치도 들어가니 아삭하고 상큼하고) 좋더라구요

     

    저희집 식구들은 전을 별로 안좋아해서 저혼자 먹자고 하게 되지는 않더라구요 ㅠ 

    그래도 혹시나..하는 맘으로 레시피를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네요 ㅋㅋ

     

    윤정님 빈대떡은 참으로 정갈하고 맛있어보여요

    십자로 잘라 놓으니 더더더더 맛있어보이는거 있죠 ^^

  • 율씨 2020.11.05 16:26

    ㅋㅋ 녹두에 김치 쪽파 올려먹는 빈대떡.. 하니 생각나는 일화가 있어서..

    저희도 제사때 꼭 요런 모양으로 전 부쳐서 올렸거든요.
    밀가루 반죽에 김치, 쪽파, 다시마 길게 올려서 부쳐 먹었어요 ㅎㅎ
    부침가루도 아니고.. 밀가루 한포대에 물, 소금만 섞어서 ㅋㅋ 완전 쫀득쫀득 밀가루 떡으로 ㅋㅋㅋ

    어느 해에 저희 엄마가 맛있게 해보시겠다며 녹두 열심히 불리고 껍질까고.. 갈고.. 해서 전 부쳐갔더니 할아버지 왈..
    밀가루가 쫄깃하니 맛있지! 넘 김빠지지 않나요 ㅋㅋㅋ 그담부터 다시 밀가루 떡으로 복귀했어요..

  • 레드지아 2020.11.06 09:51
    다시마!! 맞아요 다시마도 있었던거 같아요!!!!
    그런데 밀가루로 부치면 쫀득하니 맛있을거 같긴하네요 ^^

    정성 한가득 들여서 만들었는데 식구들이 정성 덜들어간 음식 찾으면 머리위로 비내리는 기분이 들더라구요 ㅋㅋㅋ
  • 이윤정 2020.11.07 04:21
    저도 박식해지고 싶어서 이것저것 알아보는 건 재밌는데 어디가서 이야기 나눌 사람이 없는 아싸인게 문제인것 같아요ㅎㅎㅎ

    저는 저 나름대로는 열심히 수다떠는데 제가 별로 음식에 관심없어보이는 외모나 성격인지 주변 어른들이 밥이나 해먹을 줄 아냐고 하시는 때가 많아요ㅎㅎㅎㅎ
    시댁 친정에서 밥 먹으면 어른들이 해주시는거라 그런지 무조건 맛있어서 잘 먹는 포지션이거든요ㅎㅎ

    녹두에 쪽파 김치 그리고, 아래 댓글 뵈니 다시마까지 길게 부친 전이라니 저는 정말 처음 들어봐요.
    와 넘 신기하고 담백하니 넘 맛있을 것 같아요.
    율씨님 말씀대로 쫄깃한 밀가루떡 스타일의 전도 넘 맛있을 것 같은데
    먹어본 경험이 없으니 재현 해 볼 수도 없고 아쉬워요ㅠ
  • 율씨 2020.11.11 16:49
    저도 어디가서 본적이 없어서 그동네만 먹는 방법인가 했는데,
    강릉 놀러가서 시장 구경하다보니 거긴 메밀반죽에 얇게 김치 다시마 올려서 부쳐먹더라고요! 내심 반가웠다능.. ㅎㅎ
    사실 밀가루만 넣고 아무맛도 아니지만 추억보정인지 전 나름 좋아해요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4 일상 육전, 생선전, 두부계란부침, 계란말이들 만만하게 자주 만드는 반찬 중에 결이 비슷한 육전, 생선전, 두부 계란 부침, 계란말이들. 주재로 하나만 준비하고 계란만 몇 개 깨뜨리면 되니까 재료준비하는데... 6 file 이윤정 2020.12.25 5388
963 한접시, 일품 야채호빵으로 만드는 호빵고로케 집에서 고로케빵을 만들려면 고로케필링 만들고 빵반죽하고 1차발효하고 분할하고 휴지하고 빚고 계란물 입혀서 빵가루 묻히고 2차발효까지 한 다음 튀겨야 하는... 6 file 이윤정 2020.12.22 9226
962 고기 등심덧살구이, 파절이 양념, 소스 한동안 비쌌던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하락세이다가 요즘 저점을 찍어서 항정살, 등심덧살(가브리살), 갈매기살 등 특수부위를 사기에도 좋은 시기가 됐다. 요즘처... 2 file 이윤정 2020.12.19 6185
961 일상 2020. 12 일상 (스압) 오랜만의 일상인데 제목은 일상이고 그냥 단독으로 올릴 것 없는 자투리 사진들이다. 밥상 사진 잘 찍으려면 감각도 좋고 부지런하기도 해야하는데 부지런은 글렀... 8 file 이윤정 2020.12.14 6182
960 전골 탕 라면전골 편하게 자주 해먹는 라면전골. 해먹는 횟수에 비해 많이 자제하면서 가끔 올리고 있다. 라면은 어떻게 해도 라면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재료를 준비한 딱 그만큼... 4 file 이윤정 2020.12.12 12508
959 일상 고구마칩 옆지기 최애 간식인 고구마. 고구마로 만든 건 다 좋아해서 매년 고구마를 박스로 몇 번 사지만 고구마를 튀기는 것은 귀찮아서 자주 안했었다. 그런데 요즘 튀김... 6 file 이윤정 2020.12.10 4382
958 전골 탕 낙곱새양념으로 관자 곱창 소고기 낙곱새의 신기한 점은 낙곱새 양념과 소기름이 적당히 들어가기만 하면 낙지, 곱창, 새우가 전부 다 안들어가도 낙곱새맛이 나는 것이다. 이번에는 구이용 소고기... 2 file 이윤정 2020.12.09 5414
957 반찬 참치쌈장 양배추쪄서 쌈 싸먹으려고 양배추를 찌면서 양념장을 뭘할까 하다가 참치쌈장을 만들었다. 맛된장으로 만든 참치쌈된장을 https://homecuisine.co.kr/hc10/89092 ... 2 file 이윤정 2020.12.07 5762
956 국 찌개 갈매기살로 돼지고기 김치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는 제목대로 돼지고기와 김치가 다 하는 거니까 잘 익은 묵은지와 맛있는 돼지고기만 있으면 무조건 맛있는 김치찌개가 된다. 김치찌개에 돼지... 2 file 이윤정 2020.12.04 7371
955 고기 간단 돼지갈비 제목은 간단인데 내용은 구구절절 주의 간단 돼지갈비. 지난 몇 년 간 대량 레시피에 신경을 많이 썼었는데 대량으로 만드는 것에 익숙해질수록 간단하게 만드는 ... 4 file 이윤정 2020.11.30 8187
954 전골 탕 닭한마리 만들기, 레시피 닭한마리. 유명한 음식이라 말할 것도 없지만 굳이 이야기하자면 닭고기 한마리를 삶고, 육수에 감자, 대파, 떡 등의 채소를 넣고 닭고기를 적당히 분리해서 함께... 6 file 이윤정 2020.11.28 17500
953 한접시, 일품 숯불양념치킨, 지코바 양념 레시피 직화로 구운 닭고기와 매콤달콤찐득한 소스를 한 번 더 굽는 숯불양념치킨. 숯불 대신 토치를 사용했다. 불맛을 입은 바베큐양념치킨의 맛이 맛있다. 남은 양념에... 9 file 이윤정 2020.11.26 31403
952 전골 탕 곱창전골 레시피 작년에 곱창전골을 올린 이후로 유명하다는 곱창전골집을 몇 군데 더 다녀봤는데 좋은 곳도 있었고 기대보다 덜 좋은 곳도 있었다. 평소에 만들던 대정양곱창 스... 4 file 이윤정 2020.11.24 10302
951 한접시, 일품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 만들기, 레시피 짭조름 달달한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스타일로 만들었다. 교촌치킨 스타일의 간장치킨을 만들어보면서 교촌치킨의 특징적인 부분은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 4 file 이윤정 2020.11.21 23419
950 국 찌개 고등어조림 칼칼하면서 단맛이 슬쩍 도는 고등어조림. 고등어 기름이 국물에 스며 고소하고 뽀얀 고등어까지 다 맛있다. 고등어조림이라기보다는 '고등어 찌진거'가 더 익숙... 2 file 이윤정 2020.11.20 7818
949 고기 당면사리를 넣은 촉촉한 제육볶음 제육볶음을 바특하게 할 때는 고기와 채소를 먼저 따로 굽고 양념을 넣어서 수분이 없도록 하는데 어떨 땐 촉촉한 제육볶음이 땡길 때도 있다. 돼지고기에 제육볶... 2 file 이윤정 2020.11.17 8903
948 한접시, 일품 잡채 맨입에 먹기 적당한 간으로 만드는 잡채. 매번 올리는 레시피와 대동소이한데 이번에는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사용했다. 소고기는 얇은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따로 ... 2 file 이윤정 2020.11.15 6419
947 김치, 장아찌, 무침 미니오이로 오이소박이 미니오이의 제철은 5~10월인데 그동안 미니오이를 수도 없이 샀었다. 그러는 동안 오이소박이도 했었는데 제철이 끝나고 이제야 정리해서 올린다. 올해는 미니오... 2 file 이윤정 2020.11.12 6646
946 일상 고구마튀김 튀김은 오징어튀김을 가장 좋아하지만 가족 취향을 반영해서 가장 자주 만드는 튀김이 고구마튀김인데 그냥 뭐 고구마에 튀김가루가 끝이라 하도 쓸 말이 없어서 ... 4 file 이윤정 2020.11.12 4549
945 한접시, 일품 오리주물럭, 오리불고기, 양념, 레시피 생오리슬라이스를 닭갈비양념장에 무쳐서 기름이 빠지는 불판에 매콤하게 구워서 먹는 오리주물럭. 미리 만들어 둔 닭갈비양념장을 사용한다. https://homecuisin... 2 file 이윤정 2020.11.11 9429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