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IMG_9849.JPG



닭도리탕.


대충 만들어도 밥상의 메인이 되니까 밑반찬 신경 쓸 필요가 없어서 편하다. 재료를 준비한 다음 냄비재료를 차곡차곡 시간에 맞춰 넣고 끓이고 졸이는 음식이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 1키로


황태육수 3컵
고운고춧가루 30그램
고추장 30그램
간장 30그램
다진마늘 60그램
조청 50그램
피시소스 10그램
미림 30그램
후추약간
고추기름 약간(생략가능)


감자 중간 것 4개
양파 중간 것 2개
통마늘 1줌
양배추 2줌
대파 흰부분 1~2대
청양고추 2~3개
당면 100그램 불린 것



피시소스는 친수피시소스나 삼게피시소스를 사용하고, 까나리액젓을 사용할 경우에는 양을 80%정도로 줄인다.
당면은 보통 당면도 좋지만 감자당면이나 납작당면 등 좋아하는 당면을 사용하면 더 좋다.
연한 황태육수를 사용했는데 물을 사용해도 괜찮다.




1. 최소한 1시간 전에 찬물에 당면을 불린다. 당면이 두꺼우면 3시간 이상 불리는 것이 좋고,  전날 불려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사용해도 좋다.

IMG_9814.JPG




2.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닦아서 겉면을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무쇠팬에 굽는데 자꾸 달라붙어서 고생 좀 했다..  닭을 토막낸 것은 물에 한 번 데치거나, 오븐에 구워서 준비해도 좋다. 데치거나 구운 다음 닭고기 겉의 핏물을 잘 닦는다.

IMG_9792.JPG




IMG_9795.JPG




IMG_9799.JPG



3. 냄비에 육수와 양념을 분량대로 넣고 굽거나 데친 닭고기를 넣는다.

IMG_9804.JPG




4. 감자와 양파는 2~3센치정도 크기로 썬 다음 차례대로 냄비에 넣는다. 마늘도 한 줌 넣는다.

IMG_9807.JPG




5. 닭고기와 감자가 80%정도 익으면 큼직하게 썬 대파와 양배추를 넣는다. 차례대로 넣으면서 저어가면서 끓이다보면 25~30분정도 지나가 있다.

IMG_9810.JPG




IMG_9820.JPG




팬에 맞는 뚜껑이 없어서 튀김용 뚜껑을 덮었다. 각 재료들이 잘 익도록 잘 저어주거나, 바닥이 붙지 않도록 가끔 저으면서도 뚜껑을 닫거나 등등 여러 방법으로 익힌다.

IMG_9823.JPG




6. 닭고기와 감자가 거의 다 익으면 불린 당면을 넣고 5~7분정도 당면이 투명하게 익도록 익힌다. 매콤한 것을 좋아하면 당면을 넣기 전에 청양고추를 어슷하게 썰어서 넣는다.

IMG_9829.JPG




7. 닭다리 발목을 보아서 닭다리뼈가 드러나면 다 익은 것이다. 그 동안 국물은 원하는 만큼으로 졸여지고 닭고기와 감자, 당면을 잘 익히고 간이 맞게 되면 완성.


IMG_9837.JPG




레시피대로 하면 거의 간이 딱 맞긴 하지만 그래도 중간중간 간을 봐서 확인한다. 물을 잡은 양이나 불을 조절한 것에 따라 간이 다르니까 마지막으로 간을 봐서 맵고 짜고 단 맛이 부족한 부분이 있나 확인해야 입맛에 맞게 완성된다.


매콤하고 짭짤한 간은 당면을 넣기 전에 맛을 본다. 완성 되었을 때 매콤 짭짤이 부족할 것 같다면 고운고춧가루나 간장을 약간 더 넣어서 간을 맞추는 편이 고춧가루나 간장의 맛이 겉돌지 않는다. 반면에 덜 단 것은 당면이 다 익고 난 다음 불을 끄기 거의 직전에 간을 봐서 단맛이 부족하면 물엿 추가하면 입맛에 맞게 단맛을 맞출 수 있다.


닭고기도 잘 익고 거의 완성되었을 때 국물이 부족하면 뜨거운 물을 부으면 되지만 최초에 물을 많이 잡아서 농도가 잡히지 않는다면 불리지 않고도 당장 넣을 수 있는 라면사리 반 개 ~ 한 개 넣는다. 라면사리가 국물을 많이 흡수하며 금방 졸아들어서 편하게 농도를 잡을 수 있다.



IMG_9849.JPG




IMG_9849-.jpg


잘 익은 닭고기와 매콤달콤한 양념에 포슬한 감자도 맛있지만, 무엇보다 가장 맛있는 건 처음 딱 한 젓가락 드는 당면이라고 생각한다ㅎㅎ

다 먹고 난 다음에 남은 양념에 밥을 볶아 먹으면 더 완벽해진다.






  • 포르투나 2020.06.29 09:51
    윤정님 레시피 카페서 윤정님 떡볶이 레시피 접하고
    너무 맛있어서 팬이 됐어요.
    그래서 홈퀴진까지 오게 됐네요.^^

    닭도리탕 맛있어보입니다~
    여름이라 칼칼한걸 해먹을까 하던차에 좋은 메뉴에요

    궁금한게 있는데 사용하신 팬은 운틴 전골팬인가요?
    자작한 국물 있는 메뉴 자주 해먹는지라 팬이 고민이었는데 메인 재료 넣고 국물이 아슬아슬할까봐 고민하던 팬이었거든요.
    국물이 육수 3컵에 양념 넣고도 닭이랑 같이 다 들어가네요. 냄비말고 저렇게 팬에 놓고 보면서 떠 먹음 더 맛있겠어요.
  • 이윤정 2020.06.30 04:11
    반갑습니다^^
    떡볶이를 좋아해서 레시피를 만들고 또 카페에 글 올린 것인데 이렇게 만나뵙는 계기가 되었네요^^

    사용한 팬은 운틴가마 통합후라이팬 대 입니다. 이 팬이 널찍한 편이라 사진으로 보기에는 시원하지만 닭도리탕에 사용하기는 좀 불편했어요.
    이 분량이 다 들어가긴 하는데 아주 겨우 들어간 수준이라 골고루 익도록 뒤적뒤적하면 좀 넘칠 것 같았어요. 편하게 뒤적거리기에 좀 좁아서 고구마솥 쓸걸.. 하는 마음이 들더라고요.
  • 레드지아 2020.06.29 14:09

    막줄 캬!! 명언이십니다!!! 저랑 생각이 똑같!!! 역시 6.25때 헤어진...ㅋㅋㅋ

     

    이 멋진 뚜껑은 무엇인가!! 신문물이로고다~~~싶어서 두눈이 +_+ 이렇게 되었답니다 ㅋ

    윤정님이 갖고 계신건 다 좋아보여요 ㅋㅋ

     

     

    제가 육류 요리를 맨날 하는 이유도 그런이유에서인듯 해요!

    메인 하나면 밑반찬이 없어도 뭔가 당당해서요 ㅋㅋㅋ

    당면 호로록 먹고 파근한 감자도 쪼개서 먹고 닭다리도 하나 집어서 먹고..퍽퍽한 가슴살이 없으니 서로 눈치보며 싸울일이 없겠어요 ㅋ

    저는 닭도리용닭을 사서 아예 가슴살은 떼어내고 조리해요

    닭가슴살은 치킨까스를 주로 만들죠

    남들은 저지방 단백질을 섭취한다 난리지만 오늘도 전 고지방단백질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피티샘이 전 식단은 아예 포기하셔서 (하도 말을 안들어서 ㅠ) 별말씀 안하고 대신 어둡고 그늘진 얼굴빛을 자주 보여주시긴 합니다...;;;;;;

  • 이윤정 2020.06.30 04:17
    6.25때 헤어지지만 않았어도 이렇게 레드지아님 어디 계신가 찾지 않았을텐데 말입니다ㅎㅎㅎ
    이 뚜껑은 튀김망이 필요해서 사왔는데 덥다고 튀김을 요즘 안하다보니까 이럴때 쓰게 되어요. 신문물이라는 말을 듣기에는 너무 과분한 뚜껑입니다ㅎㅎ

    저는 피티를 받아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지만 피티샘이 식단을 포기하셨다니 얼마나 맛있는 것 드시는거에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984 한접시, 일품 찜닭 아주 오랜만에 올리는 찜닭. 보통 닭도리탕용 닭을 사용하지만 우리집에서는 손질하기 편한 닭다리를 주로 사용한다.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데치거나 구워... 3 file 이윤정 2021.03.22 8419
983 반찬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 4 file 이윤정 2021.03.20 6980
982 김치, 장아찌, 무침 채소무침 기본, 양배추무침 상추무침, 파절이, 알배추무침, 양배추무침, 부추무침이 다 비슷한 애들인데 삼겹살, 항정살, 등심덧살 등 구이용 고기를 굽거나 찔 때 곁들이는 반찬으로 주로 ... 6 file 이윤정 2021.03.10 7121
981 반찬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서론이 너무 기니까 레시피 먼저 범일콩된장 150그램 물엿 60그램 물 20그램 고춧가루 1티스푼 (있으면 양파분 마늘분을 톡톡 넣고 미... 4 file 이윤정 2021.03.05 7087
980 일상 길거리토스트, 옛날토스트, 햄치즈토스트 양배추를 계란에 넣고 두툼하게 부치는 양배추 계란부침은 이 것만으로는 완제품 반찬으로 쳐주지도 않고, 양배추 계란부침이 대체 왜 존재하는지 어디가 맛있는... 4 file 이윤정 2021.02.28 5654
979 일상 고기순대볶음밥 몇 달 전에 올렸던 고기순대볶음밥은 여전히 자주 해먹고 있다. 전에도 이야기 했듯이 순대구이 + 후식볶음밥 구성에서 볶음밥을 메인으로 올린 것이다. 대표적인... 2 file 이윤정 2021.02.22 4779
978 고기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 (잡담주의)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을 부쳤다. 육전은 육즙논쟁에서 거리가 있는 음식이지만 육즙논쟁의 솔루션이기도 하다. 고기가 익으면서 고기 밖으로 빠져나간... 2 file 이윤정 2021.02.19 7657
977 국 찌개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국 아주 오랜만에 국에 사용할 국거리 소고기를 많이 샀다. 요즘은 채소도 그렇고 소고기가 많이 비싸서 선뜻 소고기 사기가 편하지가 않다. 그래서 또 미트박스에서... 4 file 이윤정 2021.02.17 7907
976 일상 김밥, 떡볶이, 남은 김밥으로 김밥튀김, 김밥전 너무 일상적이라서 너무 대충 해먹고 그래서 오히려 오랜만에 올리게 되는 김밥. 김밥을 한 번 싸면 10줄이 기본인데 둘이 먹기에는 2.5번정도 먹을 분량이라서 ... 4 file 이윤정 2021.02.15 5965
975 한접시, 일품 매콤 허니간장치킨 이전에 올린 허니간장치킨과 내용이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98532 아랫날개 대신 윗날개를 사용했고 소스 배합을 조금 바꿨다. 전에 교촌... 6 file 이윤정 2021.02.08 5936
974 고기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김치찜, 두부김치 돼지고기와 김치를 푹 끓이고 졸인 김치찜에 뜨끈한 손두부를 곁들였다. 1. 두부 두부김치니까 두부를 잘 고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 2 file 이윤정 2021.02.06 6646
973 고기 액젓수육, 피시소스로 항정살수육 수육을 삶을 때 여러 재료 넣지 않고 신선한 고기를 사용해서 피시소스와 후추 정도만 넣어서 수육을 삶는 방법이다. 수육을 삶는 동안 피시소스의 액젓향은 휘발... 8 file 이윤정 2021.02.02 9621
972 전골 탕 소고기 된장전골 찌개맛된장을 사용한 소고기 된장전골.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 2 file 이윤정 2021.02.01 7057
971 반찬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알배추무침 보쌈이나 족발 등에 곁들이는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3~4인분) 새우젓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고춧가루 1티스푼 다진마늘 1티스푼 (냉동 후 해동한 것... 2 file 이윤정 2021.01.30 5295
970 전골 탕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 6 file 이윤정 2021.01.27 9163
969 일상 퐁듀치즈를 올린 햄야채볶음밥 오랜만에 라자냐를 하려고 리코타치즈를 사는데 마트에 매일 리코타치즈가 너무 비싸서 인터넷으로 구매했다. 배송비 들이는 김에 코다노 슈레드치즈와 매일 퐁듀... 6 file 이윤정 2021.01.24 4290
968 국 찌개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갈매기살로 고추장찌개를 많이 해먹었는데 이번에는 집에 등심덧살이 많아서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항정살과 등심덧살을 각각 5키로씩 사둬서 열심히 쓸 수 밖에... 2 file 이윤정 2021.01.22 6306
967 전골 탕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 6 file 이윤정 2021.01.10 6686
966 국 찌개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 4 file 이윤정 2021.01.06 46249
965 고기 간단 육수불고기 불고기전골, 뚝배기불고기라고도 부르는데 이번에는 육수불고기로 제목을 정해봤다. 완전 간단 초간단이니까 아래 내용 넘어가고 재료와 과정만 보면 굿이다. 불... 6 file 이윤정 2020.12.29 7803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