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찌개

된장찌개

by 이윤정 posted Jun 13,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IMG_9121.JPG


어제 올렸던 찌개맛된장으로 만드는 여러 된장찌개.



어제 올린 찌개맛된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평소 된장찌개 하면서 준비하는 재료를 좀 넉넉하게 준비하고, 조미료 좀 넣고 된장찌개를 만들면서 다음에 만들 재료를 미리 배합해 둔 다음 편하게 꺼내 쓰는 것과 똑같다. 편하게 만들고 여기저기 편하게 사용하면 좋다.


재료 (2인 된장찌개 10회분)
시판된장 200그램
집된장 200그램
피시소스 36그램

조개다시다 36그램
다진마늘 100그램
대파흰부분 100그램
청양고추 75그램 (12개)

IMG_9603.JPG



이렇게 만들어 둔 찌개맛된장은 1인분으로 조금씩 만들어 먹기도 편하고, 된장찌개를 다 만든 다음 간을 봐서 약간 싱거울 때 조금 더 넣어서 간 맞추기가 아주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찌개맛된장을 만든 다음에는 주재료만 바꿔서 여러 된장찌개를 만들 수 있다.

찌개맛된장 게시글에도 한 이야기지만 된장찌개나 된장국의 경우는 만들어서 바로 먹는 것보다는 여유 있을 때 미리 끓여두고 불끄고 식을 때까지 두었다가 두부나 채소에 간이 배면 한 번 더 끓여서 먹는 것이 더 맛있다.



재료는 2인분으로

물이나 육수 400미리
찌개용 맛된장 1회분 (75그램)
애호박 3분의1개 (100그램)
양파 3분의1개 (100그램)
대파 약간, 고춧가루 약간 (생략가능)
두부 200그램

바지락살이나 홍합살 등 조갯살/ 차돌박이 등 주재료 100그램


알배추나 무, 감자를 넣으려면 50그램정도, 애호박 넣기 전에 넣어서 끓인다. 무는 천천히 익으니까 끓이는 시간을 조금 추가한다.
팽이버섯을 1센치 정도로 썰어서 마지막에 넣어도 좋다. 냉이나 방아잎을 넣어서 향을 추가하기도 한다.


레시피에 써 둔 재료 외에도 꽃게나, 미더덕, 조개관자, 소고기다짐육을 넣어도 당연히 좋다.

꽃게나 미더덕, 소고기 다짐육을 넣을 때는 채소를 넣기 전에 넣어서 한 번 끓여서 만든다.


대파는 찌개맛된장에도 들어있으니까 있으면 넣고 없으면 말고, 고춧가루는 취향에 따라 약간만 넣거나 안넣어도 좋다.



간을 볼 때는

간이 세어지는 경우 : 간이 있는 해산물을 사용한 경우, 무나 감자등 천천히 익는 재료를 사용해서 끓이는 시간이 늘어서 졸아드는 경우, 불을 처음부터 끝까지 세게 한 경우.

간이 약해지는 경우 : 채소나 두부를 넉넉하게 넣어서 간이 희석되는 경우.


간이 세어지는 경우에는 불을 끄기 전에 간을 보고 필요하면 물을 추가해서 간을 조절하고, 약해지는 경우는 이미 넣는 양만 봐도 알기 때문에 미리 된장을 좀 넉넉하게 넣어도 좋고 중간에 간을 봐서 필요하면 된장을 추가해서 간을 맞춘다.

두부나 채소의 양을 레시피대로 사용하고, 간의 변화를 주지 않는 차돌박이 등을 사용할 때는 간보지 않고 해도 거의 간이 맞게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조갯살 된장찌개.

조갯살은 뭘 사용해도 다 좋은데 이번에는 가리비살을 사용했다.

미리 미더덕을 냉동해뒀다가 조갯살을 넣은 된장찌개에도 미더덕을 몇 개 미리 넣으면 더 맛있다.


애호박은 나박하게 썰고 양파와 두부도 애호박과 비슷한 크기로 썬다.

애호박은 씨를 뺄 때도 있고 그냥 할 때도 있는데 내취향에는 씨를 빼는 것이 더 좋다.


IMG_8779.JPG



물에 찌개맛된장을 풀어서 불을 올리고

IMG_8783.JPG



준비한 애호박과 양파, 두부도 와르르 넣었다.

IMG_8784.JPG



대파는 있으니까 조금만 넣었다.

IMG_8788.JPG



된장찌개가 팔팔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이고 3~4분정도 익힌 다음

IMG_8790.JPG




조갯살을 넣고

IMG_8789.JPG



한 번 더 팔팔 끓어오르면 완성.

IMG_8790.JPG




IMG_8792.JPG


짜지 않고 간간하니 시원하고 맛있다. 식은 다음에 데워서 먹으면 더 맛있다.





다음으로 차돌 된장찌개.

과정은 똑같다.


애호박, 양파, 두부 썰고

IMG_8779.JPG



가끔은 감자나 무를 넣기도 한다. 감자나 무를 넣을 때는 애호박, 양파를 넣기 전에 먼저 넣고 한 번 끓여서 반 정도 익힌다.

IMG_8779-.JPG




물에 찌개맛된장 풀고 감자를 넣고 반쯤 익힌 다음

IMG_8783.JPG




애호박, 양파, 두부를 넣었다, 씨를 뺀 대신에 애호박을 3분의 1개가 아닌 반개를 사용했다.

IMG_9066.JPG




팔팔 끓어오르면

IMG_9067.JPG



잠깐 불을 끄고 감자나 애호박이 잘 익었는지 간은 딱 적당한지 맛을 봤다.

IMG_9080.JPG




다시 불을 켜고 차돌박이를 넣고 한 번 더 끓이면 완성. 대파도 마침 있어서 조금 넣었다.

IMG_9081.JPG




시원한 조갯살과는 달리 차돌박이의 소고기기름이 구수하고 고소한 맛을 더해준다.

IMG_9114.JPG





IMG_9121.JPG





IMG_9131.JPG


애호박에 씨가 없으니까 내 입맛에 먹기는 확실히 더 편하다. 감자도, 두부도 다 맛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바쁜 상황에서 된장찌개가 한 그릇만 딱 있으면 좋을 때. 레시피 분량에서 반만 준비해서 작은 냄비에 재료를 전부 넣고 된장만 푼 다음에  냉동실에 있던 차돌박이 몇 점 넣어서 다 같이 후루룩 끓였다. 완전 편하다. 뜨거울 때보단 적당히 식어야 먹기도 좋고 간도 더 맞게 느껴진다.


IMG_9160.JPG








Articles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