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물떡 만들기, 시판 소스를 사용한 간단버전

by 이윤정 posted Apr 08,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아주 별 것 아니지만 말 많음 주의)

(만드느니 사 먹는 게 나음 주의)




어릴 때부터 좋아한 물떡.

오뎅탕 끓여서 떡 넣으면 물떡이겠지만 그래도 물떡에 각별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말랑말랑 쫜득쫜득한 떡의 별 맛 아닌 것 같으면서도 맛있는 맛을 좋아한다.


오뎅은 그냥저냥 적당히 좋아하고 물떡이나 떡볶이를 아주 좋아해서 지금까지도 집 근처 분식집에 들러서 물떡 한 두 개 먹고 집에 오기도 한다.
그런데 나가기도 싫고 집에서 물떡 딱 한 두 개만 먹고 싶은 그럴 때 만드는 간단 레시피이다. 레시피 라고 할 것도 없는..


간단버전이니까 시판 제품을 사용했다. 요즘은 어묵티 같은 간단한 제품이 있으니까 오뎅국물 먹기도, 물떡 만들기도 편하다.

레시피라고 할 것도 없고, 시판 어묵티 1~2개에 물 넣고 친수피시소스나 국간장 약간으로 간을 맞추고 떡이랑 오뎅이 충분히 불도록 하면 끝.


물떡이란 게 원래 이것 하나만으로 끼니로 먹으려고 먹는 게 아니라서 많이 만들 생각은 안해봤는데 집에 몽떡도 많이 있겠다 끼니로 먹을 각오를 하고 다음에는 어묵티 없이 육수 내는 버전으로 해봐야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물떡은 떡에 간이 배어야 제맛인데  분식집에서 물떡을 만들 때는 사실 그렇게까지 오래 끓이거나 불리지는 않는다.

동네 분식집에서 오뎅에 물떡 있는 곳을 보면 오뎅은 잔뜩이지만 물떡은 많아야 10개 미만으로 있는 경우가 많다.


말랑말랑한 몽떡을 70~80도 정도 되는 오뎅국물에 넣고 10~15분정도 불도록 익혀서 먹는 것이 최선이지만

집에서 물떡 한 두 개 먹고 싶어서 만들 때는 말랑말랑한 떡도 없고 그정도 온도로 계속 유지할 방법도 없고 떡이 푹 잠길 오뎅국물도 없다.

게다가 약불이라도 10분이상 계속 끓이면 물떡처럼 겉이 매끈매끈하지 않고 겉이 과하게 퉁퉁 불게 된다.

이럴 때는 해동한 떡을 최대한 불리고, 떡을 넣은 오뎅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켰다 끄는 것을 반복해서 떡이 충분히 푹 익고 불도록 맞추면 적당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물떡과 오뎅을 한 두 개 먹으려면 당연히 평소에는 재료를 냉동했다가 사용하는데 미리 실온에 해동하거나 물에 담가서 완전히 해동해야 한다.

오뎅은 아주 예전부터 삼진어묵 미도어묵 환공어묵을 시장에서 사서 사용했고 집에서 가까운 삼진어묵에서 가장 많이 사먹었다. 최근에는 엄마께서 범표어묵을 한박스 사서 반박스 주시는 바람에 요즘은 계속 그걸로 쓰고 있다.


어묵티는 언니가 조스어묵티를 좋아해서 먹어보니 맛있어서 별 생각없이 그걸로 사용했다.


떡은 분식집에서 물떡에 사용하는 떡인 몽떡을 구매해서 냉동해둔 것을 사용했다. 떡 구매한 링크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30/90701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사용한 재료는
물 300미리 

몽떡 2개
오뎅 2장
대파 반대 (생략가능)
조스 어묵티 1~2개
피시소스나 국간장약간 (간보고 아주 약간만 넣음)


양념간장으로 대파, 간장, 물, 고춧가루 약간, 참기름 아주약간




어묵티는 1개만 넣어도 되긴 한데 2개를 넣으면 더 좋다. 2개를 사용하면 물은 400까지.

어묵티는 1개건 2개건 간이 약하니까 간을 봐서 피시소스나 국간장을 약간 넣고 간을 맞추면 적당하다.

진짜 아주 약간씩 넣어야 짜지 않다.


물에 떡을 넣고 떡이 불도록 끓이면 떡에서 쌀전분이 배어나와 국물에 농도를 준다. 떡볶이를 만들 때는 이것이 잇점이지만 물떡에는 단점이다.

물 300에 떡 2개면 오뎅국물에 비해 떡이 많아서 맑고 깔끔한 오뎅국물이 되지는 않는다.

쪼끔만 만드는 거니까.. 하고 감안해서 먹을 정도이다.


물을 적게 잡았는데 오뎅과 떡이 물에 잠겨야 하니까 냄비는 딱 맞는 작은 걸로 사용했다.
사먹으면 떡이나 오뎅이 전부 오뎅국물이 잠기지만 이렇게 소량으로 할 때는 떡과 오뎅은 미리 꼬치에 꽂지 않고 다 익은 다음에 젓가락에 꽂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오뎅이나 물떡이 오뎅 국물에 잠기지도 않는데 꼬치에 꽂는 것을 싫어하는 타입.)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말랑말랑한 떡은 당연히 해동하거나 불릴 필요가 없는데 집에서 물떡 한 두 개 먹고 싶을 때 말랑말랑한 떡으로 할 확률은 0퍼센트니까 냉동했다가 해동한 떡을 기준이다.

떡은 미리 완전히 해동했다. 냉동떡 사용 불가능.



물에 어묵티를 넣고 거기에 그대로 떡과 오뎅을 넣어두었다. 다른 일 할 때 미리 떡부터 불리기 시작했다. 찍어먹을 간장을 만들고 밥상도 차리는 동안 냄비에 불을 껐다 켰다 반복하기 시작했다.


떡이 말랑말랑하면 아주아주 약한 불로 떡이 불도록 끓이면 되지만 해동한 떡은 말랑말랑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물떡보다 속까지 푹 불도록 보온하는 기간이 길어야 한다.

끓으면 불을 끄고 속까지 불도록 두는 것을 세 번 정도 반복하면 그동안 떡이 불어서 말랑말랑한 물떡이 된다.


IMG_6693.JPG




1회 끓이고 불을 껐을 때 국물 간을 봐서 피시소스를 약간 넣고 간을 맞춘다.


IMG_6696.JPG




IMG_6702.JPG



끓으면 불을 끄고 식히면서 떡이 불도록 두는 것을 세 번 정도 반복했다. 떡의 상태에 따라 불을 끄고 기다리는 시간이나 끓이고 끄기를 반복하는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IMG_6701.JPG




마지막으로 불을 끄고 불린 다음 충분하다는 느낌이 들 때 떡을 조금 먹어봐서 간이 배고 충분히 마음에 들게 불었으면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끓여서 뜨끈하게 먹기 좋도록 전체적인 온도를 올리면 완성.




푹 불은 물떡과 오뎅은 스뎅젓가락으로 대충 꿰었다.


IMG_6706.JPG




IMG_6708.JPG





사진은 이렇게 찍었지만 실제로는 오뎅과 떡 둘 다 먹기 직전까지 오뎅국물에 잠겨있어야 하고 먹을 때 하나씩 꿰어서 먹어야 보온이 된다.


IMG_6710.JPG




IMG_6716.JPG



집 앞 분식집에 나가서 사먹으면 물떡 2개에 오뎅 2개 먹고 2천원이면 되는데 그래도 집에서 꼭 먹고 싶으면 해 볼 만 하다. 효율은 좋지 않지만..


오뎅도 맛있지만 물떡을 더 좋아해왔다. 쫜득쫜득한 물떡을 간장에 살짝 찍어서 쫀득하게 베어먹는 맛이 좋다.






다른날.


아 위에서 이야기 했어야 했는데,


오뎅이나 떡이 큰데 냄비가 작으면 끓을 때 확 금방 넘친다.

그래서 만들기 편하도록 오뎅과 떡은 반으로 자르고 불조절을 해가 며 떡이 불도록 익혔다.

IMG_7298.JPG



양념간장 만들기도 귀찮아서 간장에 오뎅국물 넣어서 찍어먹기 좋도록 간만 조금 희석했다. 이렇게만 해도 오뎅이나 물떡 찍기에는 먹을 만 하다.

IMG_7300.JPG



떡의 전분 때문에 오뎅국물은 보통 오뎅국물에 비해 깔끔한 맛이 덜하지만 표적인 물떡만은 간이 배어서 쫜득쫜득하고 맛있었다. 정말 별 것 없는데 이게 왜 이렇게 좋고 맛있는지 모르겠다.






Articles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