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4214.JPG



이번에 수박무를 5키로 사면서 수박무를 말린 무말랭이를 1키로 같이 샀다. 양념을 적당히 해도 색깔이 이뻐서 먹기 좋다. 



무말랭이는 맵달짠 간 / 오독오독한 질감 / 보기 좋게 붉은 색깔 로 먹는 반찬이다.

그런데 원래부터 색이 붉은 수박무를 사용하면 간도 망하고 질감도 망해도 보기에는 좋으니까 사기를 칠 수 있다ㅋㅋㅋㅋ

하지만 사기치지 않고 맛있게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기 당하는 사람이 나니까ㅠㅠ



평소 만드는 보쌈용 무김치와 거의 똑같은 양념인데 양념의 양을 무말랭이에 맞게 조절하고 찹쌀풀을 생략해서 수분감을 맞췄다.

보쌈용 무김치 - https://homecuisine.co.kr/hc10/54582

보쌈김치 - https://homecuisine.co.kr/hc10/42887



무말랭이 250그램으로 만든 레시피인데 이번에 사용한 무말랭이가 좀 두툼한거라 양념이 약간 남았다.




사용한 재료는 

무말랭이 250그램

고춧가루 80그램

액젓 80그램

다진마늘 80그램

다진생강 10그램

조청 140그램

쪽파 2줌 100그램



당연한 이야기지만 무말랭이무침에는 고추잎이 잘 어울리는데 고추잎 사기가 번거로워서 쪽파를 넣었다.

무말랭이를 불릴 때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더 맛있다.


삼게피시소스가 깔끔해서 김치에 잘 어울리는데 까나리액젓으로 대체해도 무방하다.

생강은 편으로 썰어서 냉동해 둔 것을 잘게 썰어서 사용했다. 무말랭이에는 생강이 꼭 들어가는 것이 좋다.

달달한 정도는 입맛에 맞추는데 조청 120그램에서 시작해서 간보고 넣되 좀 덜 달아도 140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160까지 넣어봤는데 160은 좀 달았다.


내 경험상 김치를 만들며 간을 볼 때는 조금 짭짤하다 싶어도 밥반찬으로 먹어보면 안짜고, 별로 안달다 싶어도 밥반찬으로 먹어보면 간을 봤을 때보다 더 달다. 맨 김치만 간을 봤을 때, 원하는 것보다 조금 짭짤하고 조금 덜 달면 밥반찬으로 간이 맞다. 무말랭이도 마찬가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무말랭이를 깨끗하게 헹군 다음 힘줘서 더 씻고 물기를 바짝 털었다. 사용한 무말랭이가 좀 굵은 것이기도 해서 그런지 씻은 것만으로 이정도 불었다.

크기변환_IMG_4117.JPG




무말랭이를 불릴 때 물은 무말랭이가 겨우 잠길정도로만 잡아서, 물을 너무 많이 잡지 않고 3~4시간정도 불렸다. 불리는 물을 물 대신 육수로 사용하면 더 좋다.

접시를 뒤집어서 눌러서 무거운 것을 올려둬서 무말랭이가 불어도 물이 잠기도록 하는데 누름용 용기나 비닐팩을 하나 사용하면 편하다.

불린 무말랭이는 두번 정도 헹궈서 물기를 아주 꽉 짰다.


크기변환_IMG_4121.JPG

(과정사진이 별로 없는데 만들 때 다른 일과 동시에 하느라 바빠서 그렇습니다..)




여기에 양념을 분량대로 넣고 한 번 무치고 

크기변환_IMG_4143.JPG




쪽파를 무말랭이와 비슷한 길이로 썰어서 넣고 한 번 더 무쳤다. 쪽파의 흰 대가 굵으면 반으로 갈라서 넣는다.

크기변환_IMG_4155.JPG



당장 먹을 것은 반찬통에 담고 그보다 더 두고 먹을 것은 아까 불릴 때 사용했던 비닐팩을 사용했다. 비닐팩 쓰는 것이 괜히 찔려서 하는 이야기..크기변환_IMG_4214.JPG




무말랭이도 일종의 김치이기 때문에 공기가 차폐되어야 맛있게 익는다. 이렇게 담아서 다시 반찬통에 넣고 냉장고에 넣었다.

크기변환_IMG_4312.JPG


1주일쯤 익으면 반찬통의 것은 위는 살짝 마르고 아래는 익어서 조금 투명하니 색이 다른데 비닐팩에 든 것은 색이 똑같다.

반찬통에 담은 것은 아래위로 한 번 위치를 바꿔줬다.





만든 당일.

크기변환_IMG_4189.JPG



1주일 후.

크기변환_IMG_4287.JPG




크기변환_IMG_4287-.jpg


바로 밥반찬으로 먹었는 것도 맛있지만 며칠 익혀서 먹으니 더 먹기 좋다. 

오독오독한 무말랭이가 맵고 짠 간이 입맛에 잘 맞고 살짝 달달하면서 맛있다.




  • 땅못 2019.12.26 23:46

    홈퀴진에서 배운 비닐팩 쓰는 법 정말정말 생각하면 할 수록 대박꿀팁이에요!!! 처음 알게 되었을때 진짜 와 똑똑하다 하면서 무릎을 탁 쳤어요 ㅎㅎ 수박무는 원래 색깔이 참 예쁘네요. 무말랭이는 당최 만들어먹을 정도로 소비하지 않아서 평소 하지도 않는데 저는 꼭 홈퀴진에만 올라오면 평소 안먹어도 하고파병에 걸려서 큰일이에요 ㅋㅋㅋ이렇게 무말랭이를 목적으로 내일 돼지 수육할 고기를 사러 가게 되고... (투비컨티뉴

    크리스마스는 행복하게 보내셨나요! 연말도 요새는 많이 떠들썩하지 않네요 ㅎㅎ 한 해 잘 마무리하시고 언제나 건강하셨으면 합니다. <333

  • 이윤정 2019.12.27 02:28
    비닐팩 사용은 최대한 줄이는 것이 맞지만 이렇게 공기가 차폐되어야 하는데에는 필요하기도 하더라고요. 특별하게 말씀드린 것도 없는데 참고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수박무는 여러모로 먹어보니 구입한 농장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무보다 식감이 좀 촘촘해서 씹히는 질감이 가볍고 시원한 쌈무나 치킨무보다는 피클이나 무말랭이에 더 좋은 것 같아요. 색깔이 좋아서 더 그런 것 같고요ㅎㅎㅎ 저는 무말랭이 좋아해서 넉넉하게 만들었는데 좋아하지 않으시면 반만 만드셔도 충분하실 듯 합니다ㅎㅎ 무말랭이에 수육 저는 귀찮아서 못먹는 것 뿐, 진짜 좋아하는 조합이에요. 오랜만에 무말랭이무침 만들었으니 저도 내일은 수육각입니다ㅎㅎ
    땅못님 왜 이렇게 연말까지 안 뵐 것 같이 인사하셔요ㅎㅎㅎ 12월 초에 망년회 하자는 친구들 같잖아요ㅎㅎㅎㅎ 주말 잘 보내시고 해 넘기 전에 또 뵈어요^^
  • 멈뭄 2019.12.27 12:24

    오늘 글은 수다가 재미있어요 ㅋㅋ 사기 당하는 사람은 나...ㅋㅋㅋㅋ

     

    저는 무말랭이 마트에서 사서 해봤는데... 무가 정말 맛없더라고요.

    요새는 인터넷 레시피가 잘 나와있어서 따라만 하면 보통 실패는 안 하는데, 무말랭이는 완전 대실패였어요.

    무를 직접 말려볼까...하다 또 저를 고문하는 거 같아서...ㅋㅋㅋ

    괜찮은 무말랭이를 사서 다시 시도해봐야겠어요!

  • 이윤정 2019.12.29 02:51
    제 생각에도 무말랭이무침이 무맛을 좀 타는 것 같은데 저는 무 자체의 맛보다는 특유의 향때문에 아 이 판매처는 다음부터 걸러야겠다 한 적이 있거든요.
    무 말리는 일이 다른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힘들다고 생각해서 건조기 지르고 싶은 적이 많았어요.
    하지만 주방가전 둘 데가 없어서 늘 그냥 참고 있는데 이럴 때 꼭 아쉽더라고요^^;
  • 레드지아 2019.12.27 16:19

    어머어머! 수박무 말랭이도 있군요

    윤정님 덕분에 항상 새로운 식재료들 많이 알게 되어 신나요!!

    [질감도 망해도 보기에는 좋으니까 사기를 칠 수 있다ㅋㅋㅋㅋ] <--- 이부분 읽으면서 몹시 흡족했지 말입니다!!! ㅋㅋㅋㅋ 앗싸!! 개이득!! 하면서요!!!

     

    [하지만 사기치지 않고 맛있게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기 당하는 사람이 나니까ㅠㅠ] <---아!!!!! 그렇지 말입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이렇게 한치앞도 못보는 인생이란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윤정님이 이 뒷글귀 안써주셨으면 전 계속 혼자 사기치고 몹시 흡족해하며 하하하 웃고 있었겠죠 ㅠㅠㅠㅠ

     

    무말랭이 만드는법도 은근 어렵고 까다로와서 못만들고 있었어요. 그래서 무말랭이만 사다놓고 1년넘게 방치해서 몇달전에 걍 버렸거든요 ㅠㅠ

    전 무말랭이 좋아하는데 윤정님이 레시피를 올려주셨으니 보험든것처럼 든든~~ 합니다 ㅎㅎㅎ

     

  • 이윤정 2019.12.29 02:54
    아마도 그 흡족은 사기치고 흡족한 것이 아니라 사기를 당하고도 흡족한거라ㅎㅎㅎㅎㅎ 일종의 무한긍정이려나요ㅎㅎㅎㅎㅎㅎㅎ

    수박무가 질감이 조금 무거운 감이 있어서 많이 산 걸 쪼끔 후회했는데 무말랭이는 맛있어서 잘 먹고 있어요.
    근데 조금 가늘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으니 다음에는 정말 집에서 말려서 해야 취향에 맞으려나 싶어요ㅠ

    저도 어디 가서 밥 먹을 때 무말랭이 있으면 잘 먹는 편이거든요. 오랜만에 하니 재미도 있더라고요.
    재밌으니까 남은 무말랭이도 방치하지 말고 살뜰하게 해먹어야겠어요^^
  • 날날 2019.12.30 02:25
    오랜만입니다! 무말랭이는 뭔가 만드는 수고에 비해 결과물이 시판제품과 크게 차이나지 않아(또는 크게 내가 만든게 더 별로여)서 매번 사먹었는데 수박무로 만드니 너무 색도 이쁘고 맛있게 생겼네요
    진짜 구매만 가능하다면 테잌마머니네요 수육이랑 같이 먹고싶어요 엉엉ㅠㅠ
  • 이윤정 2019.12.31 03:53
    안녕하세요^^
    저는 무말랭이를 사먹지는 않았지만 엄마께서 주시는 무말랭이만 먹다가 만들면 이거 만들어서 뭐하나 싶고 그렇더라고요.
    그래도 해보고 싶어서 몇 번 만들어보니 제가 만드는 부분의 편차가 크지 않은데도 무말랭이무침 맛이 이랬다 저랬다 하길래 억울한 마음까지 들었어요ㅠㅠ
    매번 간이 다른 절임배추로 김치 담을 때와 같은 마음 가짐을 가지고 무말랭이를 만들면 그나마 좀 낫더라고요.
    이리 만들고 나면 열심히 먹어줘야 하는데 열흘넘게 너무 바빠서 집밥을 못먹다보니 저는 텍마무말랭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ㅎㅎ

  1. 미역줄기볶음

    저렴한 재료로 편하게 만들어 먹는 반찬인 미역줄기볶음. 밥반찬으로도 좋고 비빔밥에 넣어도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염장미역줄기 1팩 (약 300그램) 식용유 약간 다진마늘 반스푼 설탕 0.3티스푼 피쉬소스 0.5스푼 (간보고 조절) 후추 약간 참기름 약간 깨 약간 액젓보다 조금 덜 쿰쿰하고 깔끔한 맛인 피쉬소스로 맛을 냈다. 볶으면서 피쉬소스의 향이 날아가고 깔끔하게 간이 잘 된다. 피쉬소스가 없으면 대신에 까나리액젓이나 국간장을 사용해도 좋고 맛소금을 약간 넣는 것도 괜찮다. 미역줄기는 체에 밭쳐 소금을 씻어낸 다음 주물러가며 씻어...
    Date2017.03.0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24568 file
    Read More
  2. 미니오이로 오이피클 만들기, 만드는법

    미니오이피클. 작년 미니오이가 끝물일 때 담아서 지금까지 잘 먹고 있는데 올해 다시 미니오이가 나오는 계절이 되어서 지금 올린다. 보통 오이에 비해 수분이 적고 크기가 작으면서 오이향이 강한 미니오이는 통으로 담으면 보존성도 좋고 사용하기 편하다. 미니오이피클이 나오는 계절 내내 열심히 사먹는데 미니오이가 끝물일 때는 아쉬워서 이렇게 피클이나 오이지를 담게 된다. 다시 미니오이가 나오는 계절이라서 좋다. 미니오이는 그냥 먹어도 아삭아삭한 질감에 오이맛이 진하고 상큼해서 맛있는 오이니까 오이지나 피클을 만들어도 당연히 ...
    Date2020.04.17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2 Views8387 file
    Read More
  3. 미니오이로 오이소박이

    미니오이의 제철은 5~10월인데 그동안 미니오이를 수도 없이 샀었다. 그러는 동안 오이소박이도 했었는데 제철이 끝나고 이제야 정리해서 올린다. 올해는 미니오이가 끝났지만 내년에 미니오이가 나면 만들어먹기 좋겠다. (라고 할 거면 왜 지금 올리는거..) 오이는 요즘은 따로 제철이 없으니까 1년 내내 오이소박이를 가볍게 만들기 괜찮다. 일반 오이로 환산할 때는 8개정도 사용하면 적당하다. (너무 굵지 않은 오이로 1~1.2키로) 미니오이가 원래 일반오이보다 더 아삭한 질감이고 오이의 향이 강해서 맛이 옅은 오이보다 상큼한데 이 오이로 오...
    Date2020.11.1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2 Views2664 file
    Read More
  4. 미니오이 오이지, 물없이 오이지 만들기, 오이지무침, 레시피

    모르는 사람이 없듯이 오이지는 소금물에 삭혀서 먹는 음식이다. 오이지는 여름김장이라고도 하는데 오이지를 좋아하긴 하지만 엄마께 받아먹기만 했지 직접 담아본 적은 없었다. (엄마가 안하시고 못 받을 때는 마트에서 사먹곤 했다.) 오이에 소금물과 소주만 넣어서 노랗게 익히는 것이라 일견 간단해 보이지만 중간중간 끓여서 부어야 하고 보관에 따라 골마지가 끼기 쉬운 등 관리가 까다롭다. 여태 오이지를 해주시던 엄마께서 작년에 티비를 보시고 오이지는 티비에 나온 것처럼 만들면 편하겠다 하셨다. 알토란이라는 티비 프로그램에 나온 ...
    Date2019.07.01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8 Views14570 file
    Read More
  5. 물없이 만드는 양파장아찌

    ㅡㅡㅡㅡㅡㅡㅡ잡담 패스 재료로 ㄱㄱ ㅡㅡㅡㅡㅡㅡㅡ 햇양파가 제철이라 양파장아찌 만들기 아주 좋다. 수도 없이 만들어 먹는 양파장아찌라 이전에 올린 양파장아찌와 내용이 거의 같다. 참고자료는 없고 여러 장아찌 많이 만들다가 양파장아찌는 시간이 지나면 간장물이 너무 많아지는 걸 보고 이런 방식 어떨까 하다가 비율도 바꿔보다가 친수소스를 무쌈에 넣으니 맛있어서 여기도 넣다가 요즘은 계속 이렇게만 만든다. 1년 중에 가장 기다리는 채소가 햇양파일 정도로 햇양파에 대한 좋은 기억이 많은데 올해도 햇양파의 계절이 돌아왔다. 햇양...
    Date2021.04.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4 Views16971 file
    Read More
  6. 물떡 만들기, 시판 소스를 사용한 간단버전

    (아주 별 것 아니지만 말 많음 주의) (만드느니 사 먹는 게 나음 주의) 어릴 때부터 좋아한 물떡. 오뎅탕 끓여서 떡 넣으면 물떡이겠지만 그래도 물떡에 각별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말랑말랑 쫜득쫜득한 떡의 별 맛 아닌 것 같으면서도 맛있는 맛을 좋아한다. 오뎅은 그냥저냥 적당히 좋아하고 물떡이나 떡볶이를 아주 좋아해서 지금까지도 집 근처 분식집에 들러서 물떡 한 두 개 먹고 집에 오기도 한다. 그런데 나가기도 싫고 집에서 물떡 딱 한 두 개만 먹고 싶은 그럴 때 만드는 간단 레시피이다. 레시피 라고 할 것도 없는.. 간단버전이니까 시...
    Date2020.04.08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10 Views6701 file
    Read More
  7. 문어숙회, 문어삶기

    문어나 오징어등의 두족류는 치밀하고 섬세한 근섬유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볍게 익혔을 때 아삭하고 촉촉하면서 쫄깃쫄깃하고 57도를 넘으면 질겨지기 시작한다. 전체 온도가 100도가 되면 문어의 촉촉한 맛이 줄어들면서 그때 부터 계속 더 질겨지기다가 문어를 40분~1시간이상 장시간 조리하면 (소갈비의 근막부분이 부드럽게 익듯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용해되어 부드러워진다. 그래서 남부유럽의 문어요리에는 문어를 한 시간 이상 익혀서 만드는 뽈뽀가 있다. - https://homecuisine.co.kr/hc25/47959 문어는 사이즈가 아주 다양하...
    Date2020.10.1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2 Views7397 file
    Read More
  8. 문어숙회

    저녁에 동네마트에서 싱싱한 돌문어를 사와서 문어숙회. 문어나 오징어등의 두족류는 치밀하고 섬세한 근섬유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볍게 익혔을 때 아삭하고 촉촉하면서 쫄깃쫄깃하고 57도를 넘으면 질겨지기 시작한다. 전체 온도가 100도가 되면 문어의 촉촉한 맛이 줄어들면서 계속 질겨지기 시작한다. 문어를 장시간 조리하면 (소갈비의 질겨진 조직이 부드럽게 익듯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용해되어 부드러워진다. 그래서 남부유럽의 조리법에는 문어를 1시간이상 익혀서 부드럽게 하는 경우가 있다. 스페인식 문어요리 뽈뽀 - https...
    Date2016.07.16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37933 file
    Read More
  9. 문어볶음

    2012/09/24 문어볶음 데친 문어를 채소와 함께 볶은 문어볶음. 고추장 고운고춧가루 간장 물엿 다진파 다진마늘 깨 후추 참기름을 넣어서 만든다. 비율은 대충 다 1로 넣고 마지막에 간을 보면 속 편한데... 고기에는 고추장이나 물엿의 비율을 조금만 더 높히고 물기가 있는 해산물에는 고춧가루의 비율을 조금 더 높힌다. 고춧가루를 추가한 것이 더 뻑뻑하고 칼칼하다. 이미 익은 문어를 넣는 것이기 때문에 양념장의 맛이 재료에 배게끔만 얼른 볶으면 된다. 매콤달콤해서 그냥 밥반찬이고 밥에 비벼 먹어도 잘 어울린다. 마지막에 아예 밥을 넣...
    Date2012.09.2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7305 file
    Read More
  10. 묵은지감자탕, 감자탕끓이는법

    2014/07/20 묵은지감자탕, 감자탕끓이는법 얼마전에 만든 등갈비찜을 거울 삼아 이번에는 좀 더 잘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등뼈를 다시 사왔다. 마트에서 냉동등뼈를 사다가 이번에는 인터넷에서 냉장등뼈를 주문해봤는데 확실히 냉동보다 다루기가 더 편한 느낌이 있었다. 암퇘지로 굳이 찾아서 사서 맛이 조금 더 깔끔했던 것 같다. 그런데 3만원 이상 무료배송이라서 등뼈 4키로에 불고깃감, 돈까스용, 다진고기까지 샀더니 줄줄이 일만 남았다. 등뼈 2키로는 냉동하고 나머지 2키로로 각각 등뼈찜과 묵은지감자탕을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
    Date2014.07.2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17612 file
    Read More
  11. 무채김치

    무채김치 무생채와 비슷하지만 생채는 아니고 무채김치. 김치에 관한 이야기는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108&mid=hc10 막김치 하단에 있는데 찹쌀풀과 액젓은 이 이야기에 나오는 적당량의 최대치까지 사용했다. 사용한 재료는 무 굵고 큰 것 1개 (작은 것이면 1.5~2개) 소금 1스푼 황태육수 1컵 찹쌀가루 2스푼 고춧가루 1컵 멸치액젓 2스푼 새우젓 2스푼 다진마늘 2스푼 육수는 황태 양파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을 넣어서 물을 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약불로 낮춰서 1시간정도 푹 끓여서 진하게 우리고 그대로 식혔다. ...
    Date2016.02.1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8 Views6544 file
    Read More
  12. 무채 쌈무, 무채 초절임

    쌈무를 먹기 편하게 채썰어서 만들고 고운고춧가루를 넣어서 약간 매콤하면서도 새콤달콤하게 만들었다. 쌈무와 맛은 거의 똑같지만 하나하나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집어먹기 좋았다. 냉면김치를 만들까하다가 무채쌈무를 만들었는데 냉면김치에도 식초를 넣어 만드는 경우가 있으니까 대용으로 사용해도 무리는 없을 것 같다. 골뱅이무침을 할 때 꼭 짜서 넣었더니 그것도 잘 어울렸다. 채썰지 않고 하얀 쌈무는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42258&document_srl=42436 사용한 재료는 무 반개 소금 0.5스푼 생수 0....
    Date2016.07.23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6 Views9634 file
    Read More
  13. 무조림

    무 반개를 사용했는데 무는 제각각 크기도 아주 다르고 하니 만들면서 양념의 양은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밥반찬으로 좀 바특하게 졸였는데 국물이 좀 더 자작하도록 해도 좋다. (우리집 식으로는 무조림이라기보다는 무 찌진거..) 무 이야기를 약간 하자면.. 나는 무조림을 할 때 시간이 넉넉한 경우라면 먹기 직전에 바로 만들어서 먹기보다는 미리 만들어서 식은 다음 데워 먹는 편이다. 모든 식재료가 그렇듯이 무도 불을 끄고 난 다음에도 여열로 계속 익는다. 무는 보통 색깔이 투명한 느낌이 들면 다 익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무를 익...
    Date2019.02.0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9 Views5965 file
    Read More
  14. 무쌈말이, 냉채소스 겨자소스 만들기

    먼저 겨자소스, 냉채소스 겨자소스는 레시피도 만들기도 아주 간단한데 겨자를 덩어리없이 잘 풀고 입맛에 맞게 간조절만 하면 끝이다. 냉채소스로 쓸 때는 모자란 것보다는 넉넉한게 나으니까 좀 넉넉하게 만드는 편이다. 간장2 식초2 설탕2 다진마늘1 연겨자1 을 기본으로 취향에 따라 조절한다. 여기에 추가로 친수피시소스 0.5 넣으면 감칠맛이 추가되어서 더 맛있다. 분량은 별로 중요하진 않다. 설탕은 빠르게 녹이기 위해 자일로스설탕을 사용했고, 설탕 양은 취향에 따라 조금 덜 써도 괜찮다. 겨자는 연겨자 강겨자 포함해서 겨자분 함량이 ...
    Date2022.05.30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4095 file
    Read More
  15.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86320 인덕션으로 사용하다보니 가운데만 더 많이 시즈닝되고 있다. 무쇠팬에서 굽거나 부치는 것의 기본은 (여태 해 본 바로는) 아래와 같다. 0. 잘 완성된 시즈닝이 우선적이고 다음으로는 1. 재료를 실온에 두기 - 팬과 식재료의 온도차이를 좁히기 2. 팬에 기름을 두르고 팬을 기울여서 전체에 기름이 퍼지도록, 팬에 기름이 흐르는 느낌이 들도록 예열...
    Date2019.12.10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5573 file
    Read More
  16. 무생채

    무생채 글에 그냥 뜬금없이 추억팔이ㅎㅎ 우리 아버지는 무뚝뚝하고 점잖은 성격에 키가 아주 크시고 젊으실 적에는 농사를 지으셨다. 태어나서부터 여태까지 아버지께서 아무리 화나셔도 욕설과 같이 험한 말씀을 하시는 모습이나 아무리 바쁘셔도 헐레벌떡 뛰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 언제나 무뚝뚝한 옛날 분 그대로셔서 친구같은 정을 나눈 적은 없지만 요즘 뵈면 손자를 그렇게 좋아하시는 것이 꼭 무뚝뚝하신 것도 아닌 것 같다. 나는 3남매의 막내라 아마도 생존방법을 애교로 터득했던 것 같은데 나이를 먹은 지금은 나도 무뚝뚝 편이...
    Date2016.04.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14 Views8485 file
    Read More
  17. 무봤나 촌닭 스타일 고추장 바베큐 치킨

    오븐에 구운 닭다리살 + 고추장양념 + 떡사리로 만든 고추장 바베큐 치킨. 무봤나 촌닭 스타일이다. 닭고기는 240도로 예열한 오븐에 익히고 고추장 양념은 따로 끓이고 고추장 양념에 떡을 넣어서 익힌 다음 닭고기와 함께 볶아냈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살 600~700그램 (손질 후) 떡볶이 떡 400그램 (취향에 따라 가감) 양념으로 고추기름 1스푼 곱게 다진 양파 4분의1개 다진대파 흰부분 1대 다진마늘 2스푼 생강채 5그램 고추장 1스푼 고운고춧가루 3스푼 간장 3스푼 미림 2스푼 설탕 2스푼 물엿 3스푼 (75그램) 굴소스 1티스푼 후추 약간 물 5...
    Date2019.02.1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6 Views6189 file
    Read More
  18. 무말랭이무침, 양념 레시피

    이번에 수박무를 5키로 사면서 수박무를 말린 무말랭이를 1키로 같이 샀다. 양념을 적당히 해도 색깔이 이뻐서 먹기 좋다. 무말랭이는 맵달짠 간 / 오독오독한 질감 / 보기 좋게 붉은 색깔 로 먹는 반찬이다. 그런데 원래부터 색이 붉은 수박무를 사용하면 간도 망하고 질감도 망해도 보기에는 좋으니까 사기를 칠 수 있다ㅋㅋㅋㅋ 하지만 사기치지 않고 맛있게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사기 당하는 사람이 나니까ㅠㅠ 평소 만드는 보쌈용 무김치와 거의 똑같은 양념인데 양념의 양을 무말랭이에 맞게 조절하고 찹쌀풀을 생략해서 수분감을 맞췄다. ...
    Date2019.12.26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8 Views4934 file
    Read More
  19. 무나물, 시금치나물, 배추나물, 애호박볶음, 당근볶음, 비빔밥

    무나물, 시금치나물, 배추나물, 애호박볶음, 당근볶음, 비빔밥 평소에 비빔밥을 할 때는 콩나물을 늘 하는 편인데 이번에는 콩나물은 하지 않고 배추나물과 애호박볶음을 추가했다. 아래 사용한 재료는 무나물과 시금치나물은 좀 넉넉한 정도였고 나머지는 그보다는 적은 정도라 딱 1끼 분량은 아니다. 사용한 재료는 무나물 무 큰 것 반개 멸치황태육수 국간장 약 2스푼(가감) 다진마늘 1.5스푼 다진대파 1.5스푼 깨 -------------------- 시금치나물 시금치 1단 국간장 약간 다진마늘 0.5스푼 참기름, 깨 -------------------- 배추나물 배추 약 8...
    Date2016.01.01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9412 file
    Read More
  20. 무나물, 소고기 볶음 고추장

    2014/09/19 무나물, 무나물 만드는 법 평소에 그렇게 무나물 생각이 나는 편은 아닌데 지난 추석에 얇게 채 썬 무나물을 맛있게 먹은 생각이 자꾸 나서 오랜만에 만들었다. 무가 달큰하긴 하지만 육수 없이는 별 맛이 안나는데 취향에 따라 그 심심한 맛으로 먹기도 하지만 나는 그래도 감칠맛이 조금 있는 것을 좋아해서 멸치육수를 넣어서 만들었다. 바특하게 볶아내거나 하얗게 국물이 살짝 깔린 정갈한 무나물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고 푹 익혀서 부드러운 무나물을 만들었다. 집집마다 다르고 제사용인지 식사용인지에 따라 또 다른게 무나물이...
    Date2014.09.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5604 file
    Read More
  21. 무나물, 비빔밥

    어제 올린 가지나물에 이은 무나물이다. 가지나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105593 1. 먼저 채썰기 일단 채썰기의 기본은 오른손잡이 기준 얇게 썰고 오른쪽으로 넘어뜨려서 계단식으로 놓은 다음 채써는 것이다. 무나물에 무채를 써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1. 동그란 부분이 위로 보이도록 해서 네모로 썰고 이렇게 썬 것을 방향을 90도 돌려서 세로결이 살아있도록 얇게 채썰었다. 이렇게 채썰 때는 조금 굵게 썰어져도 무나물이 부서지지 않는다 2. 두번째는 동그랗게 썰어서 채쓰는 것이다. (동그란 무는 잘 고정이 되지 않으...
    Date2021.11.0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170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