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3274.JPG



어제 올린 수제비반죽에 이어서 김치수제비.


멸치육수와 김치로 끓인 칼칼한 국물에 감자, 애호박, 수제비를 넣어서 수제비를 끓였다. 


김칫국물을 끓일 때 다짐육이나 찌개용 고기를 넣는 것도 좋은데,

내 생각에는 김치수제비라하면 국물은 칼칼하고 깔끔한 것이 본질이라 생각해서 고기를 넣지 말아야 하나 싶다가 고기도 잃을 수 없어서 고기는 함께 끓이지 않고 대패삼겹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고명으로 올렸다.


저녁식사 등 어느 정도 헤비함이 필요한 시간에 김치수제비가 너무 가볍다면 대패삼겹살로 균형ㅋㅋ을 맞춰주면 좋다.


수제비 반죽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6853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수제비 2인분 반죽 


멸치황태육수 1.2리터

김치 1줌 (200그램)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2티스푼

액젓 1티스푼 (친수피시소스사용)

감자 중간 것 1개

애호박 3분1개 


대파 흰부분 1대

청양고추 1개

소금, 후추 약간


대패삼겹살 200~300그램



취향에 따라 팽이버섯이나 당근을 추가하면 좋고 감자나 애호박, 청양고추는 적당히 생략가능하다.

대패삼겹살은 1인분에 100그램정도 구워서 올리면 적당한데 그보다 많으면 더 좋다.


평소에 육수를 열심히 내는 편이지만 이번 수제비는 육수를 따로 내지 않고 시판 육수를 사용했다.
여름에 더워서 육수 내기도 힘들 때 사 둔 청우만능멸치육수(멸치진국)을 육수 대신 사용했는데, 겉면에 있는 비율인 1리터에 50그램보다 줄여서 1.2리터에 30그램을 사용했다. 멸치진국에 간이 있으니까 국간장이나 피시소스는 간을 보고 1티스푼만 넣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김치는 적당히 가위로 자르고, 애호박과 감자, 대파, 청양고추를 준비했다. 국물에 양념할 재료도 미리 꺼내서 준비해두었다.
대패삼겹살은 마지막에 구울거라 바로 굽기 편하도록 재료를 준비하는 동안 미리 해동했다.



육수에 김치를 넣고 끓으면 불을 줄였다. 

크기변환_IMG_3241.JPG



최소 10~15분정도 중약불로 김치가 최소한 무르게 익도록 끓이면서 그동안 국물에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으로 간을 했다. (시간이 많으면 더 약불로 끓이는 시간을 늘인다.)
크기변환_IMG_3242.JPG


김치가 익는 동안 국물에 넣을 감자와 애호박도 나박하게 썰고 대파와 청양고추도 어슷하게 썰고 수제비 반죽도 냉장고에서 꺼내왔다.

(애호박은 씨를 빼고 썰었다.)




김치가 적당히 익으면 감자와 애호박을 넣고 감자가 살캉하게 익도록 끓였다. 후추도 톡톡.

크기변환_IMG_3247.JPG



감자가 익는 동안 수제비반죽은 얄팍하게 썰고 달라붙지 않게 대충 널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3250.JPG



크기변환_IMG_3251.JPG


감자가 반정도 살캉하게 익으면 간을 보고 물을 조절 (김치가 익는 동안 국물이 졸아드니까 짜지 않은지 확인)한 다음 수제비를 빠르게 떼어서 넣었다.

크기변환_IMG_3211.JPG


수제비를 떼어 넣는 동안에도 중간중간 저어서 위치 바꿔서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했다.




수제비를 넣고 어슷 썬 대파를 듬뿍 넣고 수제비를 3~4분정도 끓여서 수제비가 잘 익도록 저어가며 끓였다.

수제비는 가장 두꺼운 걸 골라서 반으로 잘라봐서 가운데에 심처럼 흰 부분이 있으면 덜 익은 것이고 그런 것 없이 전부 반투명하면 잘 익은 것이다.
크기변환_IMG_3252.JPG



크기변환_IMG_3255.JPG


수제비가 익는 동안 옆에서 미리 해동해 둔 대패삼겹살을 노릇노릇하게 구웠다. 바짝 굽지 않고 살짝만 노릇노릇하면 수제비와 먹기에 적당한 식감이 된다.



수제비가 다 익으면 간을 한 번 더 봤다. 최종적인 간은 소금으로 맞춘다.




그릇에 김치수제비를 담고 

크기변환_IMG_3264.JPG



노릇노릇하게 구운 대패삼겹살을 얹어서 완성.

크기변환_IMG_3274.JPG




크기변환_IMG_3274--.jpg


전날에 수제비 반죽 할 때를 제외하면 시간도 별로 들이지 않고 금방 만들었는데도 이정도 맛있으면 효율이 아주 좋다.

시판 육수조미료를 사용한 것과 수제비 반죽을 썰어서 넣은 것이 아주 편했다.


얼큰한 김칫국물에 잘익은 김치와 감자, 애호박도 맛있고 쫀닥쫀닥한 수제비도 맛있다. 무엇보다 대패삼겹살이 아주 잘 어울린다.

국물은 깔끔하고 칼칼한데 대패삼겹살을 넣었다는 이유로 넉넉한 느낌이 있어서 잘 먹은 것 같은 기분이 더해진다.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19.12.03 11:16

    오오오옷!!!!! 이 수제비 진짜 맘에 드네요!!!! ㅋㅋㅋ(고기가 위에 있어서??? ㅋㅋㅋ)

     

    얼마전 대패삼겹살을 한팩 샀는데 날이 추워서 먹을 엄두가 또 안났거든요 ㅋㅋ

    저희집 식구들은 꼭 불판위에 즉석에서 구워 먹는거 좋아하는데 날이 추우니 환기도 무섭고 해서 어떻게 하면 좋은고...라고 고민하고 있었어요

    수제비도 먹는데 위에 대패삼겹살을 구워 얹어 주면 다들 입이 귀까지 찢어질거 같습니다!!!

    이 수제비는 진짜진짜로 꼬옥 해먹을래요!!!

  • 이윤정 2019.12.04 03:00
    제가 이거 만들면서 벌써 레드지아님 생각을 했다니까요ㅎㅎㅎ
    아 이거 좀 좋아하시겠지? 하면서요ㅎㅎㅎㅎㅎ

    역시 고기는 불판에서 즉석으로 구워먹어야 제맛이니 역시 맛잘알 패밀리이시고요ㅎㅎ
    즉석으로 굽는 것만은 못해도 김치수제비에도 찰떡같이 잘 어울리니 기족분들과 맛있게 드시면 좋겠어요.
    꼭 해드시기로 약속해요ㅎㅎㅎ
  • 만두장수 2019.12.03 23:31
    아 뭐예용? 수제비 토핑이 삼겹살이래....
    이거 신고하면 잡혀가실 각....ㅋㅋㅋ
    '살캉'? 표현히 넘 어여쁘십니다^^;;
  • 이윤정 2019.12.04 03:01
    살캉살캉한 게 저는 그냥 아 좀 덜 익었네 느낌인데 말입니다ㅎㅎㅎㅎ
    수제비에 대패삼겹살 올린 것이 죄라면 그 벌 달게 받겠습니다ㅋㅋㅋ
  • 땅못 2019.12.04 00:42

    말이 이상하긴 한데 여전히 수제비 반죽부터가 '예뻐요' 이래도 되시는 걸까...! 저는 애호박과 버섯, 감자. 양파도쪼금 당근도 채썰어 아주 쪼금. 멸치육수 팔팔 끓여서 건지고 심심하면 함정카드(?)로 수제비인척 떡국떡사리 몇개 같이 넣어준 그런 희여멀건한 수제비를 제일 자주 해요. (배리에이션으로 들깨버섯수제비도!) 그런데 연속으로 빨간 수제비 보니 너무 하고싶어져서!!! 익은 김치 공수했지 뭐예요.농담이 아니라 저번 수제비글 보고요. 언제 한 번 칼국수 VS 수제비 한 적이 있었는데 저는 늘 수제비의 편이었어요. 내일 되면 반죽 쓰면 되니까 빨리 해먹어야겠어요. 저는 흐흐 두꺼운 목살 그냥 같이 구워서 먹을랍니다...윗지방엔 눈이 왔다는데 부산은 역시 조용하네요. 그래도 날은 춥습니다. 감기 조심하시고 따숩게 입고 다니셔요.저는 농담아니고 홈퀴진 와서 윤정님 요리 사진 보고 글 읽고 하면 체온이 1,2도는 오르는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힙니당 언제나 감사해요.<333333

  • 이윤정 2019.12.04 03:09
    이쁘다는 칭찬에 이상한 말은 없습니다요ㅎㅎㅎ 무조건 감사감사하고요ㅎㅎㅎㅎ
    감자수제비에 함정카드로 떡국떡 몇 개라니 넘 귀여워요. 그 함정카드 제가 한 번 써보고 싶은걸요^^
    멸치육수에 애호박에 버섯 감자 양파 당근 들어간 수제비라니 말가니 생각만 해도 맛있겠어요.

    칼국수 vs 수제비라면 집에서 해먹으면 수제비를 선택하고 사먹으면 칼국수 먹을거에요. 칼국수 만들기가 더 신경 쓸일이 많아서요. 집에서 하기 싫으면 다 사먹겠다 그러는거 같죠ㅎㅎ

    윗 지방에는 눈이라니 눈 소식이 들리면 좀 신기해요. 부산에는 눈이 오면 일단 다들 좋아서 난리고, 금방금방 녹으면 괜찮은데 많이 와서 쌓이면 교통대란이 일어나는 게 순서죠ㅎㅎ
    체온이 오르는 것 같으시다니 말씀만으로도 따뜻해져요. 저는 아직 전기요도 켜지 않았고 코트로도 괜찮은데 내일은 좀 따뜻하게 입어야 하려나요. 땅못님도 따뜻하게 입고 다니셔요^^
  • 다밍 2019.12.04 16:57
    써는 수제비가 너무 신박한거같아요.
    저는 밀어서 써는것만 생각했거든요.
    근데 그럴거면 칼국수를하지 하고 떼서 넣는데
    나중에보면 수제비 한조각 한조각이 애기주먹만해서
    이제 한번 썰어서 해봐야겠어요.
    저희집에 육류를 안즐기는 1%님이 계셔서 항상 그분에게
    맞추니 99%는 불만이있었는데ㅎㅎ따로 구워 올리는거 생각도 못했어요. 많이 배워갑니당~!
  • 이윤정 2019.12.06 03:01

    저도 갑자기 썰면 되겠다 싶으니까 그 다음부터는 수제비 떼넣기가 일사천리더라고요ㅎㅎㅎ
    수제비가 넣기 편하자고 두꺼워지면 익히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얇게 넣자고 공들이면 처음 넣은 거랑 익는 정도가 다르고 늘 좀 신경쓰인다 싶었거든요.
    여태 1%에 맞춰주셨다니 99% 화이팅입니다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4 일상 영도 골목분식 비빔라면 만들기 2013년에 송도 근처로 이사 온 이후 인터넷으로 골목분식이라는 곳이 있고 여기의 비빔라면이 맛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송도 토박이인 남편에게 여기 아냐고 했... 9 file 이윤정 2020.02.24 14546
843 전골 탕 맛된장으로 낙곱새식 대패전골, 맛된장 대패짜글이 며칠 전 곱창두부두루치기에도 한 이야기인데 이렇게 전골과 조림의 중간적인 느낌인 낙곱새식으로 짜글짜글하게 먹고 사리넣고, 마지막에 밥 넣는 형식으로 만든... 2 file 이윤정 2020.02.21 4237
842 반찬 블랙빈소스 새송이버섯볶음 창잉터우 https://homecuisine.co.kr/hc20/78462 를 만들고 남은 중화검은콩소스 (블랙빈소스). 이 블랙빈소스로 만드는 것 중에 유명한 것이 블랙빈소스 조개볶... 2 file 이윤정 2020.02.18 5774
841 전골 탕 곱창 두부두루치기, 레시피 예전에 두부두루치기를 올린 적이 있는데 좀 밋밋해서 재료나 조리법을 바꿨었다. 여러번 해보니 대창이 들어가면 제일 맛있고, 차돌박이가 그 다음, 그도 없으면... 4 file 이윤정 2020.02.16 3938
840 전골 탕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 등촌 얼큰 샤브 칼국수 레시피 올 겨울은 별로 춥지 않아서 부산의 낮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를 겨울 내내 기다렸다. 이유는 냉동고기를 주문하기 위해서이다. 날씨를 계속 모니터링 하다가 얼... 9 file 이윤정 2020.02.13 12549
839 한그릇, 면 떡국 새해나 설날에 먹는 떡국. 전국적으로 다 같이 떡국을 먹는 날은 설날이지만 떡국의 본격 시즌은 설날 이후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2001년 자취시절부터 지금까지... 6 file 이윤정 2020.02.11 3627
838 반찬 맛된장으로 된장참치볶음, 참치쌈된장 고추참치도 야채참치도 맛있는데 된장참치? 당연히 맛있다.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을 여기저기 사용하는 중인데 맛된장참치를 만들면 만들기도 아주 간단하고 간... 4 file 이윤정 2020.02.10 7304
837 일상 XO소스 볶음밥, xo볶음밥 레시피 제목은 XO소스 볶음밥인데, 내용은 평소 자주 해먹는 XO계란볶음밥들. XO볶음밥을 자주 만들고 있어서 계속 중복인 느낌이 있긴하다. 평소에 밥을 하면 남은 밥은... 2 file 이윤정 2020.02.06 9223
836 반찬 미역줄기볶음, 레시피 냉장고에 넣었다가 먹는 밥반찬을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닌데 미역줄기는 좋아해서 가끔 만든다. 염장 미역은 한 번 살 때 1키로정도 좀 넉넉하게 사서 1키로 전... 2 file 이윤정 2020.02.03 3869
835 한접시, 일품 지코바 숯불양념치킨, 양념치킨 레시피 지코바 숯불양념치킨 스타일의 양념치킨. 요즘 지코바는 오븐구이라서 숯불 글자를 뺐다는데 닭고기는 오븐에 구워도 좋고, 후라이팬에 구워도 좋다. 시행착오를 ... 12 file 이윤정 2020.02.02 46476
834 고기 통마늘구이를 곁들인 제육볶음 이번에는 제육볶음에 통마늘구이를 듬뿍 올렸다. 자꾸 음식에 통마늘구이를 올리는 것 같은데.. 통마늘구이를 여기저기 곁들이려고 일부러 농산물시장까지 가서 ... 4 file 이윤정 2020.01.31 5053
833 한접시, 일품 백순대볶음 레시피, 양념, 사리 순대볶음을 더 자주 해먹는데도 백순대글을 더 자주 올리는 것 같다. 어쨌든 여태 많이 올렸던 백순대. 내용은 평소와 거의 같다. 이전에 올린 백순대는 여기 - h... 4 file 이윤정 2020.01.28 6326
832 밥류 바특하고 고슬고슬한 김치참치볶음밥, 참치김치볶음밥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이다. 지금 보니 제목에 김치참치볶음밥을 쓴 것이 5년만이다. 아주 일상적인 볶음밥이라 일상적인 게시글 여기저기 껴서는 올렸어도 일... 4 file 이윤정 2020.01.26 7187
831 고기 촉촉한 제육볶음 + 옥수수국수사리 제육볶음을 하는 방법은 먼저 고기를 굽고 채소를 볶아서 수분을 날린 다음 양념을 넣고 무쳐서 한 번 더 볶아내는 것을 가장 자주 하는데 또 가끔 내킬 때는 고... 2 file 이윤정 2020.01.23 7420
830 한그릇, 면 얼큰 소고기 버섯 수제비 평소 만들던 얼큰한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에 수제비 사리를 넣은 것과 똑같이 만들었다. 멸치육수에 얼큰하게 양념하고 소고기와 배추, 버섯 등 채소를 넣고 수제... 6 file 이윤정 2020.01.20 7610
829 밥류 맛된장 곱창 볶음밥 맛된장으로 볶음밥을 만들었다. 된장볶음밥이라고 생각하면 낯설지만 먹어보면 익숙한 맛이 나서 언젠가 먹어봤던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맛된장과 소기름이 잘 어... 8 file 이윤정 2020.01.13 5257
828 전골 탕 맛된장 낙곱새 (잡담주의) 낙지볶음을 마지막으로 올린 것이 벌써 만으로 3년 전이다. 어릴 때부터 조방낙지나 개미집 등 낙지볶음은 좋아했고 만들어 먹기도 많이 만들어먹어왔... 9 file 이윤정 2020.01.10 4129
827 소스 닭갈비 양념 레시피, 닭야채볶음밥 닭갈비 양념이야 늘 만드는거지만 최근에 레시피를 조금 더 정량화했다. 아래 내용은 기록용으로 작성한 글이라서 가독성이 별로인데 전체 내용은 다 무시하고 볼... 7 file 이윤정 2020.01.07 31560
826 밥류 통마늘을 곁들인 베이컨 대파 볶음밥 베이컨과 대파로 만든 볶음밥에 통마늘구이와 계란후라이를 곁들였다. 평소에 마늘은 썰어서 구운 것 보다 통으로 구운 것을 더 좋아한다. 통마늘은 절단면이 적... 6 file 이윤정 2020.01.05 27759
825 전골 탕 통사태 갈비탕, 만들기, 레시피 갈비 대신에 사골과 사태살이 같이 있는 통사태로 갈비탕을 끓였다. (4키로에 6만원 구매) 전에 한우 갈비로 갈비탕을 끓였었는데 맛이 있긴 했지만 같은 비용을 ... 11 file 이윤정 2020.01.01 1164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