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2529.JPG



아주 오랜만에 올리는 찜닭.

보통 닭도리탕용 닭을 사용하지만 우리집에서는 손질하기 편한 닭다리를 주로 사용한다.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데치거나 구워서 넣어도 좋고, 바로 넣어도 괜찮다.

닭다리를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절단부위에서 핏물이 배어나온다는 것인데 닭다리라는 게 다 그러니까 보일 때 두어번 닦아주면 그렇게 단점까지는 아니다.


감자를 넣을 때도 있고 고구마를 넣을 때도 있다. 당근은 안넣지만 취향에 따라 넣는 것도 좋다.

사리는 감자전분으로 만든 납작당면 (고구마전분x) 이 가장 잘 어울린다.

양파를 듬뿍 넣으면 달달하다.


육수는 있으면 좋지만 없으면 생략해도 괜찮고, 노두유는 색깔을 내기 위해서 넣는 것인데 비싸지 않으니까 하나 구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재료 (2~4인분)


닭다리 1키로


황태육수나 물 600미리
간장 100미리
청주 30미리
미림 30미리
조청 40그램
설탕 30그램
다진마늘 60그램
고운고춧가루 24그램 (3스푼)
노두유 15그램
다진생강 0.5티스푼 (생략가능)
후추 약간


감자 약간 큰 것 2개 (크기에 따라 가감)
통마늘 1줌 (생략가능)
양파 큰 것 1개
대파 흰부분 2대
양배추 2줌


베트남고추 10개 (선택)
청양고추 2개 (선택)


감자당면 150그램 불린 것


참기름 약간
쪽파 약간 (선택)




1. 감자당면은 천천히 불기 때문에 3시간 이상 불리거나 전날 찬물에 불려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육수도 분량대로 준비한다.


2. 감자, 양파, 마늘, 대파, 양배추는 적당히 썰어서 준비한다.


3.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닦는다. (전처리로 한 번 데쳐도 좋고 팬에 구워도 좋다.)


4. 육수에 양념을 분량대로 넣고 끓인다.


5. 끓기 시작하면 닭다리를 넣고 감자, 통마늘, 양파, 대파를 차례대로 넣는다.

* 닭다리를 넣고 감자가 30~40%정도 익으면 양파와 대파도 넣어서 저어가며 5~10분정도 끓인다.


6.  다음으로 양배추도 겹겹을 풀고 썰어서 넣는다.


닭고기가 익는 정도를 봐가면서 불을 줄이거나 물을 조금씩 추가하거나 뚜껑을 덮거나 해서 익힘/졸아듦/수분감을 조절한다.


감자가 덜 익어서 살캉하거나 더 익어서 완전 부스러지지 않는 수준으로 부드럽게 익고, 닭다리의 힘줄이 말랑하게 익어서 닭다리 발목의 뼈가 드러나도록 고기가 익으면서 국물이 약간 자작한 상태가 되면 적당하다.


예상보다 국물이 적을 때는 뚜껑을 닫아 중불로, 혹은 뚜껑을 비스듬히 닫아서 익히고

예상보다 국물이 많을 때에는 뚜껑을 열어 센불로 조절해가며 자박자박하게 익힌다.

애초에 육수를 딱 맞게 잡아서 중불로 처음부터 끝까지 35분정도 끓이면 닭고기도 잘 익고 당면도 잘 익고 국물도 적당하게 딱 맞다.



7. 마지막으로 불린 당면을 넣고 당면이 푹 잠기도록 밀어 넣고 당면이 부들부들하게 잘 익을 정도로 5~7분정도 더 익히고 불을 끈 다음 참기름을 약간 넣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물을 잡은 양이나 불을 조절한 것에 따라 마지막으로 간을 봐서 맵고 짜고 단 맛이 부족한 부분이 있나 확인하는 것이 좋다.


1. 맵고 짠 간은 당면을 넣기 전에 간을 맞춘다. 

짜거나 매우면 물을 추가, 싱겁거나 덜 매우면 고운 고춧가루나 간장을 약간 더 넣어서 간을 맞추면 고춧가루나 간장의 맛이 겉돌지 않는다.
2. 달달한 간은 당면을 넣고 거의 다 완성한 다음 마지막으로 물엿으로 조절한다.

국물이 당면에 흡수되고 졸아드는 동안 사용한 재료의 단맛이 최대한 응축되기 때문에 국물이 있는 상태에서 단맛을 맞추면 마지막에 너무 달아진다.

다 완성하고도 덜 달다면 물엿을 약간 넣어서 부족한 단맛을 채우는 것이 적덩하다.


간이 다 맞는데 국물이 부족하면 뜨거운 물을 약간 부으면 되지만 최초에 물을 많이 잡아서 마지막까지 농도가 잡히지 않는다면 추가로 당장 넣을 수 있는 라면사리를 넣으면 국물을 꽤 흡수해서 적당히 자박자박하게 완성된다. 이 때도 같은 방법으로 간을 맞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2.3


4.

IMG_7977.JPG



5.

IMG_7980.JPG




IMG_7986.JPG



IMG_7992.JPG



IMG_7996.JPG




6. 당면이 푹 불리면 양배추를 적당히 익히고 당면을 넣는데 오늘은 시간이 부족한 바람에 당면이 조금 덜 불어서 양배추와 납작당면을 거의 같은 시간에 넣었다.

IMG_7998.JPG



이렇게 감자당면과 양배추를 넣고 뚜껑을 닫아서 찌듯이 익히고

IMG_8006.JPG




전체적으로 저어서 당면도 5분 정도 더 익고 국물의 양이나 간도 맞게 맞췄다.


IMG_8010.JPG




또 잠담인데 음식을 하다보면 자주 그렇듯이 언제나 예상대로 완벽하게 굴러가지지 않는다.


이번에 찜닭을 만들때 감자당면 불릴 시간이 부족해서 찜닭을 하면서도 아 저 당면이 좀 덜 불어서 어쩌지 싶다. (감자당면이 보통 당면에 비해 두꺼워서 느리게 부는데다가 식구가 야근당첨인지 아닌지 통보가 안 온 상태라 당면 불리는 타이밍이 안맞았다.)


그래서 보통은 마지막에 당면을 넣지만 당면이 덜익어서 질깃질깃한 건 싫으니까 양배추와 같이 당면을 넣을 일이 생겼다.

그러다보면 양배추 밑에 당면을 넣고 뚜껑을 닫아서 먼저 찌듯이 익히고 다음으로 당면을 국물에 밀어 넣어서 익혀야 하기도 하고

그러다보면 불조절을 더 약하게 해서 바닥이 달라붙지 않도록 저어주면서 신경써야 하기도 하고

그러다보면 생각보다 감자가 많이 익어서 부서지기도 하고 고기익힘정도도 한 번 더 확인해야 하고

그러다보면 조리시간이 좀 달라지니까 얼마나 졸아들었나 국물 간도 한 번 더 봐야하고 그렇다.


풀어서 써서 길어보이지만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일이고 음식을 만든다는 건 이런 작은 판단의 연속이다.


이런 의미에서 레시피는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이라고 볼 수 있다.

같은 레시피를 가지고도 맛이 달라질 여지는 정말 많다.


잡담끝.



IMG_8011.JPG



IMG_8014.JPG



IMG_8016.JPG



똑같아보이지만 조금 더 졸아들었고 당면의 익힘도 마음에 들게 완성됐다.


IMG_8023.JPG


약간 자박해보여도 고기와 채소가 적당히 익고 간도 딱 맞는 상태이다. 접시에 담았을 때 국물의 양이 적당한 걸 알 수 있게 된다.

참기름은 취향에 따라 접시에 담기 직전에 약간 뿌린다.



35센치이상 큰 접시에 담으면 아래와 같다.


IMG_2529.JPG


중간중간 상태를 봐가면서 고기와 채소의 익힘정도도 확인하고 간이나 양념의 양도 확인하고 당면도 부들부들하게 잘 익혔으니까 흠잡을 데 없는 맛이다.

남은 채소와 양념에 밥을 적당히 넣고 비벼 먹으면 남기는 것 없이 끝까지 맛있다.




  • 레드지아 2021.03.22 12:07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일이고 음식을 만든다는 건 이런 작은 판단의 연속이다.]  -----> 캬아!!! 명언이십니다!!!!

     

    그러게요. 요리하면서 그 짧은 시간동안 여러판단들이 연속으로 닥쳐오죠. ㅋㅋ

    초보요리일때엔 성공 혹은 실패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는 상황이라 성공하면 이게 웬일인가!! 싶어 기쁘고 실패하면  x 됐구나...싶어서 내내 우울한 ㅋㅋㅋ

     

     

    납작당면이라고 검색해서 걍 샀었는데 감자전분으로 된걸 사야 하는군요!!! 오늘도 이런 고오~~급 정보 감사드려요 ^^

    당면은 삶의 기쁨 같아요 ^^

  • 이윤정 2021.03.23 02:38
    복사해서 말씀하시니 괜히 부끄럽잖아요ㅎㅎㅎ

    정말 음식을 할 때는 그런 것 같아요.
    작은 판단의 결과가 어떻게 모이냐에 따라 완성한 음식의 맛이 달라지는데
    그 작은 판단으로 인해 일어나는 작은 실패와 작은 성공 중에 성공만 수집해가다 보면
    언젠가는 다음 판단이 닥쳤을 때 작은 성공으로만 가득 채울 수 있게 되는 그런 거요ㅎㅎㅎ

    납작당면은 감자전분이 조금 더 큰 기쁨입니다ㅎㅎㅎ
  • 멈뭄 2021.03.25 00:22
    오왕 이거다 이거 ㅋㅋㅋ 저 엄마가 닭다리살을 사오셨는데 닭갈비 양념이 똑 떨어져서 고민하던 차에 딱 맞는 메뉴가 있네요 ㅋㅋ 내일 찜닭 해 먹어야겠어요. 노두유도 윤정 님 레시피 보고 사놓은 거 있는데 매일 쓰지는 않아도 색 낼 때 유용하더라고요.
    요새 바빠서 요리도 자주 못 하고 사진들 보면서 군침만 흘리다가 요리할 틈이 나니 댓글도 달게 되네요~ 항상 좋은 레시피 감사해요 ㅎㅎ

  1. 찜닭

    아주 오랜만에 올리는 찜닭. 보통 닭도리탕용 닭을 사용하지만 우리집에서는 손질하기 편한 닭다리를 주로 사용한다.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데치거나 구워서 넣어도 좋고, 바로 넣어도 괜찮다. 닭다리를 사용하는 것의 단점은 절단부위에서 핏물이 배어나온다는 것인데 닭다리라는 게 다 그러니...
    Date2021.03.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6581
    Read More
  2.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보기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우리 집은 제사가 많은 집이었고 어릴 때부터 전 부치는 건 내 몫이었다. 제수용 두부...
    Date2021.03.2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776
    Read More
  3. 채소무침 기본, 양배추무침

    상추무침, 파절이, 알배추무침, 양배추무침, 부추무침이 다 비슷한 애들인데 삼겹살, 항정살, 등심덧살 등 구이용 고기를 굽거나 찔 때 곁들이는 반찬으로 주로 만든다. 이런 무침을 김치보다 더 좋아해서 아주 자주 만들지만 주로 고기요리에 사이드로 준비하게 되는 무침이라 따로 올릴 것은 없어서 ...
    Date2021.03.10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5501
    Read More
  4.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찍된장, 경상도식 순대막장 서론이 너무 기니까 레시피 먼저 범일콩된장 150그램 물엿 60그램 물 20그램 고춧가루 1티스푼 (있으면 양파분 마늘분을 톡톡 넣고 미원 1꼬집 추가) (다진마늘 약간이나 콩가루 약간 넣어도 ㅇㅋ) 다진마늘 청양고추 쪽파 초장 와사비 간장약간 참기름 넣고 회 찍장으로도 ...
    Date2021.03.05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559
    Read More
  5. 길거리토스트, 옛날토스트, 햄치즈토스트

    양배추를 계란에 넣고 두툼하게 부치는 양배추 계란부침은 이 것만으로는 완제품 반찬으로 쳐주지도 않고, 양배추 계란부침이 대체 왜 존재하는지 어디가 맛있는지 모르겠는데, 이게 구운 식빵에 사이에 양배추 계란부침을 넣고 소스로 케찹 머스타드 설탕을 뿌리고 + 햄 치즈(옵션)을 넣으면 갑자기 추...
    Date2021.02.28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676
    Read More
  6. 고기순대볶음밥

    몇 달 전에 올렸던 고기순대볶음밥은 여전히 자주 해먹고 있다. 전에도 이야기 했듯이 순대구이 + 후식볶음밥 구성에서 볶음밥을 메인으로 올린 것이다.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인 고기순대를 사용해서 볶음밥을 만드는 거라 만들기는 편하면서도 맛은 넉넉하다. (평소에 고기순대를 사 둔 상태에서) 밥...
    Date2021.02.22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3159
    Read More
  7.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

    (잡담주의)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을 부쳤다. 육전은 육즙논쟁에서 거리가 있는 음식이지만 육즙논쟁의 솔루션이기도 하다. 고기가 익으면서 고기 밖으로 빠져나간 육즙이 계란옷을 적셔가면서 고기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고기 옆에 딱 붙어 있으니 육전은 맛있을 수 밖에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Date2021.02.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515
    Read More
  8.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무국, 소고기국

    아주 오랜만에 국에 사용할 국거리 소고기를 많이 샀다. 요즘은 채소도 그렇고 소고기가 많이 비싸서 선뜻 소고기 사기가 편하지가 않다. 그래서 또 미트박스에서 구매했다. 소고기양지는 1등급이나 3등급이나 맛이 비슷한데 3등급이 훨씬 저렴하면서 오히려 손질하기도 조금은 손이 덜 가서 3등급으로 ...
    Date2021.02.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462
    Read More
  9. 김밥, 떡볶이, 남은 김밥으로 김밥튀김, 김밥전

    너무 일상적이라서 너무 대충 해먹고 그래서 오히려 오랜만에 올리게 되는 김밥. 김밥을 한 번 싸면 10줄이 기본인데 둘이 먹기에는 2.5번정도 먹을 분량이라서 김밥전도 만들고 김밥튀김도 하고 그런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냉동했던 우엉을 해동해서 우엉조림을 한 김에 김밥을 만들었...
    Date2021.02.15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958
    Read More
  10. 매콤 허니간장치킨

    이전에 올린 허니간장치킨과 내용이 거의 똑같다. https://homecuisine.co.kr/hc10/98532 아랫날개 대신 윗날개를 사용했고 소스 배합을 조금 바꿨다. 전에 교촌치킨을 만들면서 전체적인 과정을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주로 염지를 안함 2. 튀김반죽은 묽은 반죽으로 얇게 입힘 (우유사용x, 전분, ...
    Date2021.02.0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4903
    Read More
  11.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김치찜, 두부김치

    돼지고기와 김치를 푹 끓이고 졸인 김치찜에 뜨끈한 손두부를 곁들였다. 1. 두부 두부김치니까 두부를 잘 고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1모에 300그램정도 되는 시판 두부보다는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손두부가 가장 좋고, 차선책으로는 홈플러스에서 판매하는 초당두부가 ...
    Date2021.02.06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061
    Read More
  12. 액젓수육, 피시소스로 항정살수육

    수육을 삶을 때 여러 재료 넣지 않고 신선한 고기를 사용해서 피시소스와 후추 정도만 넣어서 수육을 삶는 방법이다. 수육을 삶는 동안 피시소스의 액젓향은 휘발되고 감칠맛과 연한 짠맛이 남아 고기에 간이 살짝 들고 맛이 좋아진다. 구이용으로도 먹는 신선한 고기를 삶을 때는 대파, 후추도 필수는 ...
    Date2021.02.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159
    Read More
  13. 소고기 된장전골

    찌개맛된장을 사용한 소고기 된장전골.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었다. 된장찌개 하려고 청양고추 한 봉투 사오면 버리는 일이 생기는데 이렇게 만들어두면 편하다. 소고기 된장찌개와 비슷하지만 ...
    Date2021.02.0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5185
    Read More
  14.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알배추무침

    보쌈이나 족발 등에 곁들이는 양념새우젓. 와사비양념새우젓 (3~4인분) 새우젓 1스푼 친수피시소스 1스푼 고춧가루 1티스푼 다진마늘 1티스푼 (냉동 후 해동한 것) 생와사비 1스푼 (삼광999) 생강즙 약간 (생략가능) 얼마 전에 올린 삼광999와사비 https://homecuisine.co.kr/hc20/100185 를 사용했다. ...
    Date2021.01.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351
    Read More
  15.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전골다대기는 1달 넘게 보관할 것이면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
    Date2021.01.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176
    Read More
  16. 퐁듀치즈를 올린 햄야채볶음밥

    오랜만에 라자냐를 하려고 리코타치즈를 사는데 마트에 매일 리코타치즈가 너무 비싸서 인터넷으로 구매했다. 배송비 들이는 김에 코다노 슈레드치즈와 매일 퐁듀치즈도 함께 구매했다. 퐁듀치즈라고 해서 별 건 아니고 네 가지 치즈를 사용해서 실온에서도 말랑말랑하게 가공한 치즈이다. (퐁듀에 가짜...
    Date2021.01.24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2863
    Read More
  17. 등심덧살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갈매기살로 고추장찌개를 많이 해먹었는데 이번에는 집에 등심덧살이 많아서 등심덧살을 사용했다. (항정살과 등심덧살을 각각 5키로씩 사둬서 열심히 쓸 수 밖에 없다..) 삼겹살이나 목살로 찌개를 끓여서 먹다보면 아 지금 먹은 부위가 기름도 많지 않고 쫄깃쫄깃 딱 좋다 싶은 느낌이 들 때가 있는데...
    Date2021.01.2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5157
    Read More
  18.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양념장 넣고 볶다가 사골육수는 약간 모자란듯이 부어 짜글짜글하게 완성해서 적당히 먹다가 사리도 듬뿍 넣...
    Date2021.0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5075
    Read More
  19. 애호박 돼지찌개, 애호박찌개

    양파, 대파, 고추, 애호박, 두부 같은 기본 재료는 늘 집에 구비해두는 편이라면 편하게 만들기 좋은 애호박 돼지찌개. 평범한 재료로 만드는 평범한 찌개이지만 고기, 채소, 두부의 밸런스가 좋아서 밥상의 메인음식으로도 만들기 좋다. 고기는 목살이나 앞다리살을 사용해도 좋은데 이번에는 등심덧살...
    Date2021.01.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4906
    Read More
  20. 간단 육수불고기

    불고기전골, 뚝배기불고기라고도 부르는데 이번에는 육수불고기로 제목을 정해봤다. 완전 간단 초간단이니까 아래 내용 넘어가고 재료와 과정만 보면 굿이다. 불고기나 돼지갈비 등을 만들 때는 대량으로 미리 만드는 양념장을 만들다가 요즘에는 간단한 것도 하려고 한다는 이야길 한 적이 있다. 9월에...
    Date2020.12.29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63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