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2013/05/28

발사믹비네그레트, 카프레제, 발사믹드레싱

 

 

 

 

0.JPG

 

 

 

 

 

 

가장 흔하고 만들기 쉬운 유화소스인 비네그레트는 기름-식초 샐러드드레싱으로, 비네그레트는 프랑스어로 식초라는 뜻이다.

기름과 식초 3:1의 비율로 만드는 것이 가장 표준적인 비네그레드인데 여기에 보통 소금, 후추, 허브와 같은 재료를 넣어서 흔든 다음 드레싱으로 쓴다.

비네그레트는 샐러드드레싱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지만 그릴 구울 재료를 마리네이드 할 때나 딥소스, 파스타소스, 샌드위치 소스로 다양하게 쓰기도 한다.

 

비네그레트에 있어서 당연하게도 가장 중요한 것은 기름과 식초인데 좋은 품질의 기름과 식초를 어떤 비율로 쓰느냐에 따라 맛이 크게 좌우된다.

기본적인 3:1의 비율로 만들되 기름이나 식초의 향이나 산도에 따라 재량껏 가감하는 것이 좋다. 물론 맛을 보고..

 

비네그레트는 화이트와인비네그레트, 레드와인비네그레트, 셰리비네그레트, 레몬비네그레트 등 식초나 산이 강한 과일의 즙으로 만드는데 

잘 분리가 되기 때문에 유화제로써 계란노른자나 겨자, 퓌레 등을 넣어서 만들 수도 있다.

 

비네그레트 중에서도 가장 흔한 발사믹 비네그레트를 만들어서 집에 사 둔 토마토와 생모짜렐라에 곁들이면서

드레싱을 넉넉하게 뿌려서 빵에도 찍어 먹으니 허브와 발사믹식초의 풍부한 향에 좋은 올리브오일이 잘 어울렸다.

 

 

 

 

 

발사믹 비네그레트는 2~3번정도 샐러드 드레싱으로 먹을만한 분량으로

레드와인비네거 1T, 발사믹식초 2T, 올리브오일 6T,

디종머스타드 약간, 잘게 썬 마늘, 쪽파, 오레가노, 파슬리, 소금, 후추, 설탕

 

디종머스타드는 생략가능하고 레드와인 비네거 대신에 발사믹식초를 3T넣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인 비네그레트의 3:1비율에서 발사믹식초의 양을 늘여서 2:1로 만들었다.

오레가노나 파슬리는 생것이 없어서 마른 것을 넣었지만 당연히 생 허브를 넣으면 훨씬 좋고

소금과 후추는 살짝 톡톡 넣어주고 설탕은 그것보다 약간 더 넣었다.

 

허브나 마늘, 쪽파에 식초의 맛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서 오일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섞은 다음 오일을 가장 마지막에 넣었다.

유화를 위해 겨자를 넣기는 했지만 미리 만들어 둔 것이라 잘 휘저어도 금방 분리됐다.

드레싱으로 먹을 때에 한번 더 휘저어 식초가 작은 방울로 흩어지도록 만든 다음에 드레싱으로 뿌리면 골고루 맛이 퍼져서 먹기에 더 좋다.

이렇게 만든 비네그레트는 너무 오랫동안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고 며칠 정도 안에 다 사용하는 것이 좋다.

 

비네그레트를 만들어 맛을 볼 때에 신경 쓸 점은 너무 시거나 기름져서는 안되고 적당한 균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 정도..

 

 

집에 있는 재료를 사용해서 카프레제에 곁들여 먹었지만

레터스, 양파, 버섯, 베이컨, 크루통 등을 넣은 샐러드나

아보카도, 자몽, 베이비 채소를 넣은 샐러드 등도 책에 나와 있었다.

이 때에 채소에 물기가 남아있으면 비네그레트의 오일이 채소에 배이지 않기 때문에 물기는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5179.JPG     크기변환_DSC05181.JPG


크기변환_DSC05182.JPG     크기변환_DSC05183.JPG


크기변환_DSC05187.JPG     크기변환_DSC05190.JPG


크기변환_DSC05345.JPG     크기변환_DSC05351.JPG

 

 

 


 

0.JPG


 

 

 

 

크기변환_DSC05355.JPG


 

방울토마토에 치즈를 넣고 비네그레트를 곁들이고 토스터에 구워 크게 썬 식빵을 쿠루통으로 올렸다.

식재료의 상큼하고 고소한 맛에 비네그레트가 잘 어울렸다. 

쉽고 간단하게 먹는 아침으로 딱 좋았다.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410 이탈리아 살라미 버섯 리조또 2012/10/08 살라미 버섯 리조또 최근에 리조또나 파스타가 맘에 들어서 1주일에 두번은 하는 것 같다. 살라미 하나 뜯었다가 리조또에 계속 넣게 되서 얼른 쓰고 ... file 이윤정 2012.10.08 5726
409 이탈리아 상하이파스타, 상하이스파게티 2012/10/12 상하이파스타, 상하이스파게티 새우 등 해물에 굴소스, 간장, 두반장으로 맛을 내는 상하이파스타이다. 필요한 재료는 먼저 스파게티면, 올리브오일, ... file 이윤정 2012.10.12 7638
408 이탈리아 바질페스토 2012/11/01 바질페스토 마트에서 바질 몇 잎에 1500원씩 주고 사자니 화가 나서 우리집에서 키우고 싶은데 빛이 잘 들지 않아 도저히 각이 안나오고 인터넷에서 2... file 이윤정 2012.11.01 3651
407 이탈리아 바질페스토 파스타 , 스파게티니 2012/11/03 바질페스토 파스타 , 스파게티니 바질페스토 파스타 , 스파게티니 바질 페스토를 만들고 바로 이어서 바질페스토 파스타를 만들었다. 만들었다기보다 ... file 이윤정 2012.11.03 6670
406 이탈리아 새우 크림소스 파스타, 알프레도소스 링귀니 2012/11/04 새우 크림소스 파스타, 알프레도소스 링귀니 버터, 크림, 치즈로 만든 알프레도소스인데 뭐 어쨌든 크림파스타를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링귀니 250... file 이윤정 2012.11.04 7323
405 이탈리아 볼로네즈 파스타, 라구소스 딸리아뗄레, 리가토니 2012/12/03 볼로네즈 파스타, 라구소스 딸리아뗄레, 리가토니 위키에 따르면 Pellegrino Artusi가 1891년에 쓴 Science in the Kitchen and the Art of Eating We... file 이윤정 2012.12.03 9815
404 이탈리아 베이컨 크림소스 파스타, 알프레도 바베떼 2013/01/14 베이컨 크림소스 파스타, 알프레도 바베떼 알프레도 하면 페투치네인데 조금 더 가벼운 식감의 바베떼로 해먹었다. 바베떼는 링귀네, 트레네테와 거의... 2 file 이윤정 2013.01.14 10892
403 양식 일반 감자그라탱, 감자그라탕 2013/03/09 감자그라탱, 감자그라탕 오븐이 집에 돌아온데다가 냉동실에 넣어둔 베사멜소스를 데워서 간단하게 만들기 좋겠다 싶어서 아침에 만들었다. 먼저 베사... file 이윤정 2013.03.09 5240
402 유럽 크로크무슈 2013/03/11 크로크무슈 만들기 빵과 햄에 치즈를 얹어서 간단하게 구워내는 크로크무슈. 꼭 베사멜소스가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화이트소스와 잘 어울리는... file 이윤정 2013.03.11 4911
401 이탈리아 샐러드 파스타, 파스타 샐러드 2013/03/14 샐러드 파스타, 파스타 샐러드 푸실리로 파스타 샐러드를 만들었다. 딱히 푸실리를 선택한 이유는 파스타 중 푸실리의 재고가 가장 많아서 이기도 하... 3 file 이윤정 2013.03.14 7153
400 이탈리아 포르치니 버섯으로 버섯 리조또, 리소토 2013/03/24 포르치니 버섯으로 버섯 리조또, 리소토 아이허브에서 구매한 포르치니버섯. 말은 많이 들었지만 국내에서 파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던 차에 아이허브... 2 file 이윤정 2013.03.24 8359
399 이탈리아 볼로네제 파파르델레, 볼로네즈 소스, 라구소스 2013/04/10 볼로네제 파파르델레, 볼로네즈 소스 위키에 따르면 Pellegrino Artusi가 1891년에 쓴 Science in the Kitchen and the Art of Eating Well 주방의 과... 4 file 이윤정 2013.04.10 4793
398 이탈리아 쪽파 프로슈토 크림소스 링귀네 2013/04/12 쪽파 프로슈토 크림소스 링귀네 프로슈토는 돼지고기 뒷다리를 소금과 향신료에 절여 말린, 발효시켜 만드는 이탈리아 햄의 일종으로 쿰쿰하면서 톡쏘... file 이윤정 2013.04.12 3295
397 이탈리아 파스타 수플레, pasta souffle 2013/04/21 파스타 수플레, pasta souffle 파스타의 기하학을 대충 후르륵 보다가 딱 눈에 띈 파스타 수플레. 집에 안그래도 피자를 만들고 남은 베사멜 베이스의... file 이윤정 2013.04.21 3216
396 이탈리아 푸타네스카 스파게티 Spaghetti alla Puttanesca 2013/04/22 푸타네스카 스파게티 Spaghetti alla Puttanesca 가장 최근에 올린 푸타네스카는 여기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25&category=1466&d... file 이윤정 2013.04.22 8694
395 양식 일반 부드러운 매쉬드포테이토 2013/04/24 부드러운 매쉬드포테이토 매쉬드 포테이토를 곁들인 안심스테이크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8152&mid=hc25 매쉬드포테... file 이윤정 2013.04.24 6496
394 이탈리아 고르곤졸라 크림소스 펜네, 고르곤졸라 파스타 2013/05/07 고르곤졸라 크림소스 펜네, 고르곤졸라 파스타 요즘 주중에는 파스타 먹기가 애매해서 잘 먹지 않고 주말에는 적어도 1끼는 파스타로 먹고 있다. 고르... file 이윤정 2013.05.07 5179
393 이탈리아 고르곤졸라 소스 뇨끼, Gnocchi con gorgonzola 2013/05/27 고르곤졸라 소스 뇨끼, Gnocchi con gorgonzola 전부터 해먹어보려고 했는데 냉동실에서 발견한 베이크드감자를 딱 보고 더는 미루지 말자 하고 뇨끼... file 이윤정 2013.05.27 5988
» 양식 일반 발사믹비네그레트, 카프레제, 발사믹드레싱 2013/05/28 발사믹비네그레트, 카프레제, 발사믹드레싱 가장 흔하고 만들기 쉬운 유화소스인 비네그레트는 기름-식초 샐러드드레싱으로, 비네그레트는 프랑스어로... file 이윤정 2013.05.28 6181
391 양식 일반 스테이크, 스테이크 만들기 스테이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는 건 부담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는데 그 이유 중에 하나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로,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음식이면... 2 file 이윤정 2013.06.28 254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