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아스파라거스 사용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search_target=content&is_keyword=%EC%95%84%EC%8A%A4%ED%8C%8C%EB%9D%BC%EA%B1%B0%EC%8A%A4&where=document&page=1





3년 전에 쓴 아스파라거스 보관 글에서 조금 더 보완했다.


아스파라거스는 경험적으로 국산이 가장 맛있었다. 국산 아스파라거스는 제철에만 맛 볼 수 있기 때문에 4월에 제철이 시작되면 열심히 소비해야 뿌듯하다.

올해는 어쩌다 한꺼번에 4키로를 사게 되어서 열심히 소비하고 있다.

작년에는 배송받은 아스파라거스의 상태가 좋지 않아서 더 받는 바람에 그때도 4키로를 써야할 일이 생겼었는데 올해는 작년의 실책을 많이 거울삼았다.




1. 아스파라거스 고르기


아스파라거스는 마트나 일반 시장보다는 산지 직송으로 구매하거나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구매하는 것이 가장 신선하다.


아스파라거스의 크기는 국산일 경우는 새끼손가락 미만의 얇은 것보다는 그 이상의 굵기가 되는 것이 더 맛있다. 더 맛있다는 의미는 아스파라거스의 질감이 단단하지 않고 내부가 아삭아삭해서 채즙이나 식감면에서 더 낫다는 이야기이다.


국내산 기준으로 엄지손가락보다 굵은 것은 시중에 거의 없다. 수입산의 경우는 너무 굵은 것 보다는 중지 정도 굵기를 고르는 것이 더 나았다.


산지직송으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이나 마트 등에서 직접 보고 구매할 때는


아스파라거스를 들어서 밑동을 봤을 때 밑동에 작은 타공과 같은 구멍이 전혀 없고 / 밑동 쭈글쭈글하지 않으면서 / 푸른 색깔이 짙고 / 너무 두껍거나 가늘지 않고 / 겉면에 얼룩나 주름이 없고 매끈하면서 / 아스파라거스 끝이 꼿꼿하게 서서 무르지 않은 것으로 / 조금 만져 볼 수 있다면 단단한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다.


밑동의 보라색 부분이 크면 잘라내 버리는 부분이 많아서 비경제적이니까 밑둥의 보라색은 적은 것으로 구매하면 조금 더 알뜰하게 먹을 수 있다.




2. 아스파라거스 보관하기


아스파라거스는 수분이 촉촉한 채소이기 때문에 보관하면서 수분을 잃을수록 겉면이 누래지고 얼룩덜룩하게 패인 자국이 생기고, 밑동 부분에 수분이 비어 생기는 타공이 보이게 된다. 이렇게 아스파라거스에의 밑동에는 수분이 필요한데 이와 반대로 아스파라거스의 겉면 수분은 최대한 없어야 한다. 표면에 수분이 많은 채로 비닐 등으로 밀봉하게 되면 겉면의 수분때문에 아스파라거스가 금방 무른다.


a. 자른 페트병에 적신 키친타올을 깔아서 아스파라거스를 세워서 넣어 밑동 부분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함

b. 아스파라거스의 겉면은 수분이 뿜어져 나와도 축축하지 않도록 키친타올로 감쌈

c. 겉면의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비닐이나 랩으로 감싸서 냉장보관 이다.


아스파라거스를 씻은 다음 냉장보관할 경우에는 겉면의 물기를 톡톡 닦아서 위와 같이 보관한다.


이렇게 보관하면 2주정도는 거뜬한데, 3~4일 두고 먹을 것이면 굳이 이렇게 하지 않고 대충 키친타올로 감싸서 밀봉보관한다.


(보관 중에 키친타올을 갈아주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IMG_3508.JPG




3. 아스파라거스 손질하기


아스파라거스는 밑동의 단단한 부분을 잘라내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밑동의 끄트머리를 잡고 똑 부러뜨리는 것이다. 두 세 개 부러뜨리다보면 아 이건 어디서 똑 하고 부러지는구나 감이 온다.


아스파라거스는 필러로 껍질을 얇게 벗기면 더 부드럽게 먹기 좋지만 이 부분은 개인 취향이다. 이렇게 얇은 채소의 얇은 껍질을 필러로 벗기려면 아주 얇게 벗겨지는 필러가 필요하다.

어지간한 필러로는 껍질 벗기는 손실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 두 개 해보고 손실이 너무 크면 껍질을 벗기지 않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우리집 필러는 내가 정말 싫어하는 톱니필러이다. https://www.amazon.com/dp/B00FF75XG4/ 양쪽 날인데 줄리엔 필러쪽은 부서져서 버렸고  한쪽으로만 사용중. 이걸 구매한 이후로 해외구매로 필러를 4번 더 샀는데 이보다 얇게 벗겨지는 것이 없어서 아스파라거스에는 이걸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있다.)


밑동의 보라색이 거의 없는 국산 아스파라거스의 경우 밑동을 부러뜨리고 아랫부분의 껍질을 얇게 벗겨서 손질하면 손질 전에 비해 무게로 20~25%정도의 손실이 생긴다.




4. 조리하기


할 말은 많은데 사람마다 좋아하는 기준이 다르니까 이견의 여지가 있다.


아스파라거스를 조리할 때 내가 선호하지 않는 것만 골라보자면 데치기, 굽지 않고 양념에 졸이기, 데치거나 생으로 얼리기, 굽지 않고 음식에 바로 사용하기 등을 들 수 있다. (왜 좋아하지 않냐하면 해보니까 좋지 않아서..) 좋아하는 조리법으로는 팬이나 오븐, 직화로 굽기, 볶기, 튀기기가 있다.


아스파라거스는 기름을 살짝 두른 팬에 중불로 굽는데 굵기에 따라 불조절을 달리해야 한다. 속이 설익지 않도록 중불로 조리하는 것과 겉면이 약간 까뭇까뭇할 정도로 노릇노릇하게 익도록 약간 센 불로 조리하는 것을 오가며 익히는 것이 좋다. 잘 구운 아스파라거스는 먼저 향이 좋고, 먹었을 때 채즙이 팍 하고 나온다. 적절하게 익힌 아스파라거스는 간만 맞으면 맛과 향이 최적으로 올라가는 채소이다.


그런데 굵은 생 아스파라거스를 고기나 베이컨에 말아서 구웠을 때 겉의 베이컨이 익었고 속의 아스파라거스는 덜 익는 경우가 많다. 아스파라거스의 아삭한 맛은 느낄 수 있지만 고소한 맛이나 채즙, 그리고 향긋한 제 맛은 못 느낄 확률이 높다. 그래도 아주 얇은 고기나 베이컨, 튀김옷이나 춘권피같은 얇은 것을 입혀 조리하는 것은 또 잘 익는 편이다. 아스파라거스의 굵기나 상태에 따라, 어떤 음식에 사용할지에 따라 고민하고 조리법을 달리하면 가장 좋지만,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그저 굽는 것이다.




5. 사용하기


플래이버 바이블에 의하면 아스파라거스는

소스로는 크림소스, 모르네이소스, 홀랜다이즈소스, 베사멜, 머스타드, 간장, 식초, 요거트, 버터, 소금, 후추 / 채소로는 양파, 대파, 마늘, 생강, 대파, 샬롯, 파슬리,  토마토 / 식재료로는 프로슈토나 판체타 등 햄, 육류, 연어, 새우, 게, 관자, 굴, 계란, 버섯, 치즈, 콩, 감자, 견과류, 앤초비, 케이퍼, 생크림, 사워크림 / 치즈 중에서는 파르마산, 페코리노, 폰티나, 뮌스터, 고트, 리코타, 마스카포네 / 요리로는 파스타나, 리조또, 그 외 쌀요리 등에 두루 어울린다고 한다.


가장 흔하게는 파스타나 스테이크, 그 외 고기요리의 가니쉬로도 좋고, 연어구이나 훈제연어등 연어에도 잘 어울린다. 그릴 베지 샐러드 도 좋고, 커리나 카레에도 좋았다. 베이컨이나 소세지 등의 가공육과도 잘 어울린다. (베이컨말이보다는 베이컨 볶음이 나음)


아스파라거스는 주로 양식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한식에도 잘 어울리는 훌륭한 재료이다.


소고기구이나 삼겹살구이 등의 고기파티에도 좋고 제육볶음, 순대볶음, 닭갈비, 오리구이, 불고기 등 고기요리에 곁들이는 채소로도 당연히 아주 잘 어울린다. (시행착오를 거쳐 만든) 아스파라거스 장아찌도 고기요리에 잘 어울렸다. 볶음요리나 조림, 튀김이나 전으로도 괜찮았고 가지와 아스파라거스, 양파, 대파 등을 볶은야채볶음도 맛있었다. 는 앞으로 하나씩 올릴 예정이다.


일식에도 잘 어울린다는데 일식에는 사용을 못해봤고 아스파라거스를 넣은 소고기굴소스볶음 등 볶음요리나 고추잡채, 난자완스 등에 잘 어울린다. 창잉터우, 양장피, 산니백육 등에도 사용해봐야겠다.


홈페이지에서 아스파라거스로 검색하면 많지는 않지만 이것저것 조금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새끼손가락보다 얇은 굵기의 아스파라거스. 씻은 상태인데 길이가  거의 똑같다.


IMG_8147.JPG



끝을 잡고 똑 똑 부러뜨리면 이렇게 제각각 부러지는 자리에서 부러진다.

IMG_8151.JPG



부러뜨리고 난 다음에는 이렇게 길이가 제각각이다.

IMG_8152.JPG



필러로 얇게 껍질을 벗겼다. 벗긴 다음에는 키친타올로 가볍게 겉을 한 번 닦아서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하다.

IMG_8153.JPG




손질 후300그램, 새끼손가락- 굵기의 아스파라거스.

IMG_8155.JPG



손질 후 300그램, 약지+ 굵기의 아스파라거스.

IMG_8404.JPG



둘 다 맛있지만 둘 중에는 아래가 더 맛있었다.



  • 레드지아 2020.04.21 11:41

    손질법이 은근 귀찮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똑똑 부러뜨리는것까지는 하겠는데 필러로 깍기까지 ㅠ

    아스파라거스가 손이 많이 가는거였군요 ㅠ

    4키로나 사신거 보면 정말 아스파라거스를 좋아하시나봐요 ^^

     

    윤정님이 아스파라거스 좋아하셔서 저도 농라기웃대고 있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막 살것처럼 게시글 꼼꼼히 읽어보고 난리..ㅋㅋ

     

    강다니엘도 아스파라거스 좋아한다고 하더라구요 ㅎㅎ

  • 이윤정 2020.04.22 04:14
    제가 말이 넘 많아서 암만 쉬운 일도 구구절절 이야기 하는 경향이 있죠ㅎㅎ 사실 사서 해보면 진짜 별 것 아닌데 말입니다.
    저는 농라에서도 샀고 올해는 농라 외에서도 샀는데 최근에는 강원도 아스파라거스도 있다고 하니 아스파라거스 먹기 좋은 시기인 것 같아요.
    그래서 그런지 아스파라거스 평소에도 좋아하는데 올해는 더 맛있어요ㅎㅎ
    강다니엘 아이돌인 건 저 알아요ㅎㅎㅎㅎ 아스파라거스 맛있으니 다들 좋아할 만 해요^^
  • 푸른나비 2020.05.11 01:11
    강원도 아스파라거스 사는 데 성공했는데 어떻게 먹지 하고 보니 역시 손질글이 있네요^ㅁ^ 어떻게 먹을지 몰라 그냥 씻어서 자르기만 하고 볶아 먹었는데(연해서 그런지 괜찮았어요!) 원래는 밑둥도 자르고 껍질도 벗겨야 하는 거였군요 ㅋㅋㅋㅋㅋㅋ 다음에는 그렇게 해서 먹어야겠어요... 일단 입에 넣고 보는 무식쟁이^^; 늘 홈퀴진 보고 요리에 참고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ㅁ^
  • 이윤정 2020.05.13 03:29
    연한 아스파라거스는 굳이 자르거나 껍질을 벗길 필요가 없는데 아스파라거스 따라 식감이 다른 경우가 많아서 약간 방어적으로 이렇게 손질하면 늘 맛있더라고요^^
    늘 참고해주셔서 감사해요^^ 저도 강원도 아스파라거스 성공하고 싶어요!

  1. 토란대 삶는법, 손질

    '토란대 독성'으로 구글링해보면 알 수 있듯이 토란대는 옥살산칼슘과 호모젠티신산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혀와 목 등 소화기를 비롯해 신장에 통증을 일으키키도 하고 결석을 유발하기도 한다. 결석이야 당장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토란대를 사용한 음식을 먹었을 때 아리거나 찌르는 느낌부터 시작해 ...
    Date2021.10.04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6517
    Read More
  2. 바이타믹스와 소프트믹스를 사용한 밀크쉐이크, 기본아이스크림

    딸기아이스크림을 엄청 좋아해서 봄에 딸기를 냉동했다가 여름에 생크림, 우유, 설탕을 넣고 갈아서 딸기아이스크림을 해먹고 있다. 생크림은 냉동했던 것을 사용하면 더 좋다. 1리터짜리 생크림을 사서 음식에 사용하고 난 다음 반 정도 남았을 때 통째로 눕혀서 냉동하고 필요할 때 칼로 썰어서 사용...
    Date2021.07.23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8811
    Read More
  3. 우엉 냉동하기

    채소를 냉동할 때는 기본적으로 마늘 생강 샬롯 대파 카라멜라이즈양파 등이 당연히 냉동하기 좋다. 그 외에 냉동하면 편한 채소로는 목이버섯, 토란대, 표고버섯, 우거지, 고사리, 우엉, 그 외에 각종 건나물 말린 것 불려서 손질한 것 등이 있다. 제철과 상관없이 한 번에 넉넉하게 사고 손질해서 냉...
    Date2021.05.11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5511
    Read More
  4. 생강 냉동하기

    (90프로 잡담) 생강은 마늘처럼 자주 사용하는 재료도 아니고 마늘만큼 한국인의 보편적인 소울푸드도 아니지만 마늘을 사용하는 양념장에 생강을 마늘의 10~20%정도 넣으면 언제나 더 맛있어진다. 김치나 무침을 비롯해서 볶음까지 전부 다 그렇다. 마늘과 생강 둘 다 제철이 있지만 둘 다 언제나 구매...
    Date2021.04.3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3313
    Read More
  5. 와사비구매, 와사비 소분 냉동보관, 삼광 999

    와사비뿌리나 와사비 가루, 마트에 파는 와사비 여러 종류를 비롯해 여태 와사비를 이것저것 사용해봤는데 사 본 것 중에 가격대비해서 가장 나았던 와사비는 삼광 999 였다. 와사비 함량이 가격대비해서 가장 높다. 가장 좋은 건 와사비뿌리지만 너무 비싸니까 그 가격만큼 가치를 못하는 것 같다. (이...
    Date2021.01.1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3720
    Read More
  6. 아스파라거스 고르기, 보관하기, 손질하기, 조리하기, 사용/활용하기

    아스파라거스 사용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search_target=content&is_keyword=%EC%95%84%EC%8A%A4%ED%8C%8C%EB%9D%BC%EA%B1%B0%EC%8A%A4&where=document&page=1 3년 전에 쓴 아스파라거스 보관 글에서 조금 더 보완했다. 아스파라거스는 경험적으로 국산이 가장 맛있었다...
    Date2020.04.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4385
    Read More
  7. 계란지단 만들기, 잘부치는법

    계란지단 부치는 음식을 할 때마다 계란지단 때문에 스크롤이 길어져서 링크로 대체하려고 따로 올린다. 보통 계란지단을 잘 만드는 방법으로 1. 체에 거르기 2. 물전분 넣기 가 있는데 3. 미리 소금 넣기 4. 불조절 을 더 들 수 있다. 1 2 3 4를 다 하면 좋지만 1.2에 비해서 3.4는 설거지 할 것도 없...
    Date2020.02.2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5247
    Read More
  8. 바지락 등 조개 손질하기, 해감하기

    이전에 올린 백합손질법과 거의 비슷한데 끓여서 국물과 함께 먹는 조개류 전반으로 새로 쓴다. 이유는 다음에 이렇게 사용할 때마다 해감이야기를 일일이 하면 스크롤이 너무 길어져서이고 다음부터 스크롤 대신에 이 글을 링크해야겠다. 이전에 올린 글 백합 https://homecuisine.co.kr/hc10/80116 모...
    Date2020.01.03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0929
    Read More
  9. 고추기름 만들기, 활용

    사용한 재료는 식용유 1리터 대파 4대 양파 2개 마늘 2줌 생강 1톨 청양고추 6개 (생략가능) 고춧가루 150그램 →면보에 꽉꽉짜서 고추기름 900그램 나옴 위에 사진의 병으로 2병 반 조금 넘음 반만 만들어도 적당한데 한 병 선물하려고 좀 넉넉하게 만들었다. 집에 청양고추나 깻잎이 있을 때는 추가하...
    Date2019.09.21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1682
    Read More
  10. 샬롯 보관법

    요약 : 샬롯은 서늘하고 그늘지며 통풍이 되는 곳에 양파와 같은 방법으로 보관하되 3개월이상 써도 남을 것 같으면 썰어서 냉동했다가 사용한다. 두루 쓰는 채소가 아니라서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냉동샬롯을 쓰면 좋다. 2021년 7월 업데이트 채썰지 않고 그대로 바로 냉동해도 냉동실에서 꺼내자마...
    Date2019.09.1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7107
    Read More
  11. 엔초비 앤초비 보관법

    내용 요약. 엔초비를 샀다. 필요한 데에 사용했다. 남은 엔초비는? 무조건 냉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엔초비는 멸치를 절이고 숙성하고 손질해서 올리브유에 절인 것으로 보통 통조림이나 병조림으로 판매한다. 엔초비를 뜯으면 빠른 속도로 산패하기 때문에 일단 뜯으면 무조건 냉동보관해야...
    Date2019.08.3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9747
    Read More
  12. 오이 채썰기, 당근 채썰기, 애호박 채썰기

    평소에 채썰기를 자주 하는데 오이나 당근을 얇게 채썰어서 냉채소스나 비빔장 등에 무쳐 간단하게 반찬으로 한다. 맛살정도 같이 해서 술안주로 먹는 날도 많고(어제) 그래서 생각난 김에 오이채 써는 것을 사진찍어봤다. (다 아는 이야기 주의) 오이는 채썰어서 볶지 않으니까 가늘게 써는데 보통은 ...
    Date2019.07.0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47559
    Read More
  13. 카라멜라이즈 양파, 카레라이스

    잡담주의 ★★★★★★가 나오면 거기부터 본론입니다. 1년 중에 제철 채소를 가장 기다리는 시기는 3월말인데 이유는 조생종 햇양파가 나오기때문이다. 만생종 저장양파는 6월부터 출하된다. 우리집은 단골 가게에서 햇양파 때 20키로, 만생종 양파 때 40키로 구매해서 베란다에 두고 1년내도록 사용하고 있...
    Date2019.05.07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5863
    Read More
  14. 표고버섯 냉동보관

    표고버섯은 연중 생산되니까 따로 제철은 없지만 3~9월을 제철이라고 하며 3월 중순이나 9월 중순 쯤 날씨가 좋을 때 나는 표고가 좋다고 한다. 제철이라서 산 건 아니고 냉동했던 것을 다 먹고 오랜만에 살까 하니 마침 요즘 표고가 좋다 그래서 으흠? 그래? 하고 좀 좋음ㅋㅋㅋ 표고버섯은 그때그때 ...
    Date2019.04.11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3825
    Read More
  15. 바이타믹스 e320 구매

    (의식의 흐름에 따른 글 주의, 100프로 정확하지 않음 주의) (바이타믹스 성능에 관한 글이 아니라 일단 사기로 마음먹은 다음에 모델선택에 대한 글 주의)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최근에 바이타믹스를 구매했는데 구매하며 알아본 내용이다. 바이타믹스 자체가 그렇게 살만한 가격은 아니...
    Date2019.04.04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9715
    Read More
  16. No Image

    게 고르는 법

    게는 어떻게 사야할까? 정답 : 활게를 취급하는 게집에서 먹고 옴 (저는 가깝게는 기장대게로 고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보통은 금어기를 제외하는 제철이나 사기당하지 않는 방법이나 대게 홍게 꽃게 킹크랩등 과 같은 게의 종류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여기서는 조금 다른 이야기. -레퍼런스북인 음...
    Date2019.03.26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7215
    Read More
  17. 다짐육 다지기. 다짐육 만들기

    미트 그라인더를 사고 2~3키로씩 고기를 갈다가 매번 하기도 번거롭고 냉동실의 힘을 믿는 차원..에서 8키로를 갈았다. 사서 고생하는 이야기. ------------------------------------------ 다짐육은 마트에서 사와서 사용하면 그만인 편한 식재료인데 어쩌다보니 언젠가부터 칼로 다지고 있었다. 유체...
    Date2019.02.19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13292
    Read More
  18. 스지 삶는법, 삶는 방법, 손질하기, 소힘줄

    제가 사용한 스지는 한우 알스지이기때문에 다른 부위의 스지나 수입산 스지를 사용한 경우를 사용한 경우에는 아래 내용이 참고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MI 주의) (개인의견 주의) 스지는 소 사태부위의 힘줄인데 筋(힘줄 근)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이다. 소힘줄로 순화해서 말해야 하는데 스지라는...
    Date2018.11.1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83621
    Read More
  19. 고추장 고르기

    ■■■■■■■■■■부터 읽으면 본론입니다. 앞에 이야기가 구구절절 길지만 고추장 성분 비교해서 저장하고 편집해서 가져왔으니까 봐주세요. 우리집 냉장고의 20%는 된장, 고추장이다. 엄마, 고모, 이모, 시할머니께서 담아주신(주셨던) 소중하고 귀한 고추장. 너무너무 맛있지만 홈페이지에 올리는 경우는 거...
    Date2018.11.05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6846
    Read More
  20. 대파 손질하기, 보관하기

    (((잔소리 주의))) (((그냥 제가 이러는거라 필요없는 이야기 주의))) ■■■■■■■■■■■■■부터 읽으시면 됩니당.. 대파는 마늘과 더불어 한식에 가장 자주 쓰는 양념으로, 국 찌개 전골 볶음 조림 양념장부터 볶음밥 일식 중식 등, 고추기름이나 대파기름 등등.. 안들어 가는 경우가 더 드물 정도로 필수적인...
    Date2018.10.25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Views439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