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8년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20/72218




 

 2013/10/17

 버터치킨, 무르그마크니, 치킨마크니, 인도 커리 만들기, Murgh Makhani , 난 만들기

 

 

 

 0.JPG

 

 

 

오랜만에 버터치킨을 만들었다.

Murgh 는 닭, Makhani는 버터를 뜻하고 보통 인도식 치킨커리라 불리는 것이 이것이다.

커리 이야기는 업데이트가 좀 필요하긴 하지만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category=232&document_srl=3529 이 링크에 열심해 써뒀다.

 

북서부인도와 파키스탄에서는 난을 주식으로 여러가지 커리나 음식에 곁들여 먹고 북부는 짜파티, 남부는 쌀(밥)을 주식으로 먹는다.

그 외에도 파라타, 로티 등도 있는데 밥을 제외하면 다 일종의 플랫브레드로 오븐이나 팬에 구워서 먹는다.

커리를 만들면서 난까지 만들면 정신없고 귀찮아서 그냥 밥이나 식빵에 먹고 싶은데 확실히 식빵보다는 플랫브레드에 더 잘어울린다.

이런 종류의 플랫브레드들은 향신료로 시즈닝하고 구운 고기, 여러가지 채소와 소스 등을 올린 다음 말아서 일종의 부리또를 해서 먹기도 좋으니까

시간날 때 반죽상태나(생지), 구운 것으로 냉동했다가 데워서 먹는 것이 더 편하고 좋다.

 

이번에 난과 커리를 함께 만들면서 한 과정은

전체 재료 준비, 난 반죽 후 휴지시키면서 닭고기 굽기, 커리 만들기 시작,

커리에 물 붓고 나서부터 난을 밀대로 밀어서 오븐에 넣기, 커리 완성하면서 난 꺼내기(상황에 따라 뒤집어서 더 굽기)의 과정을 거쳐서 둘 다 따끈따끈하게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버터치킨으로 2인분 정도 분량, 계량스푼(테이블스푼) 기준..

닭고기 마리네이드로 닭다리살 약 400그램, 다진마늘+생강약간 1, 칠리파우더1, 코리앤더파우더1, 가람맛살라파우더 0.3, 소금 후추 약간씩.

적당량의 기름, 큐민씨드0.5, 양파 1개 , 토마토1개, 마늘생강1, 코리앤더파우더1, 칠리파우더1, 카다몸 약간(생략가능), 정향파우더 0.2, 캐슈넛 몇 개,

토마토페이스트 약간, 버터1, 물은 농도 봐가며 붓고, 생크림 100미리, 호로파잎, 고수잎, 간봐서 소금. (소금이 중요하다.)

 

 

 

플레인 난 2개 분량으로 200미리 계량컵에 계량스푼사용..

밀가루 1.5c, 이스트 0.5t, 소금0.3t, 설탕0.5t, 오일 1.5t, 우유 0.5c, 물 1~2스푼, 덧밀가루 약간

갈릭난으로 만들소 싶으면 버터에 다진 마늘을 섞고, 큐민파우더나 가람맛살라 파우더를 약간만 넣은 다음 난에 바르면 된다.

갈릭난을 만들고 싶긴 했는데 바빠서 플레인으로 만들었다.

 

 

 

난은 커리 만드는 것과 병행해서 커리가 완성된 것과 거의 비슷하게 완성 되었지만 이것 나왔다 저것 나왔다 하면 정신없으니까 미리 올려본다.

 

 

볼에 밀가루를 넣고 이스트, 소금, 설탕, 오일을 넣은 다음 우유와 물을 넣고 반죽했다.

오일은 반죽할 재료의 날가루가 보이지 않으면 넣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것저것 하면서 하니까 그냥 대충 다 넣었다.

반죽을 만들고 덧밀가루를 뿌려 2덩어리로 분할한 다음 20~30분 정도 휴지시켰다.

 

 

 크기변환_DSC00732.JPG     크기변환_DSC00734.JPG


크기변환_DSC00735.JPG     크기변환_DSC00740.JPG


 

반죽을 휴지시킨 다음 덧밀가루를 뿌리고 밀대로 밀어서 오븐 철망에 올린 다음 노릇노릇하게 봐가면서 구웠다.

각 가정의 오븐에서 할 수 있는 가장 강한 온도로 굽는데 온도에 따라 굽는 시간이 다르지만 우리집 오븐으로는 바로 10분, 뒤집어서 5분정도로 구웠다.

오븐 온도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을 때는 들여다보며 색깔을 확인하며 굽는 것이 최선이다.

석쇠에 올려 직화로 구워도 괜찮다.

 

 

 

 

 

 

버터치킨으로 돌아와서..

 

 

크기변환_DSC00728.JPG     크기변환_DSC00730.JPG

 

 

커리는 일단 재료를 체크해서 싹 꺼내놓고 양파와 토마토는 다지고 향신료들은 접시에 덜어서 담았다.

카다몸은 껍질을 벗기고 씨만 사용하고 캐슈넛은 좀 더 잘게 부수는 것이 낫다.

이 접시 위에 있는 것은 코리앤더파우더, 칠리파우더, 정향(클로브)파우더, 카다몸, 캐슈넛

 

 

닭고기는 껍질과 기름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서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다음

마리네이드 재료인 마늘, 생강, 소금, 후추 코리앤더파우더, 칠리파우더, 가람맛살라를 넣고 잘 섞이도록 무쳤다.

난 반죽을 하면서 팬에 불을 올리고 오일을 두르고 마리네이드한 닭다리살을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웠다.

 

 

크기변환_DSC00718.JPG     크기변환_DSC00719.JPG


크기변환_DSC00720.JPG     크기변환_DSC00722.JPG


크기변환_DSC00724.JPG     크기변환_DSC00725.JPG

 

 

 

 

 

 

닭다리살을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운 다음 그릇에 담아두고

 

 

 

 

 

그 팬에 그대로 큐민씨드를 넣어서 볶다가 오일을 약간 더 넣고 다진양파, 다진마늘을 넣고 노릇노릇하게 볶은 다음

조합해둔 향신료 (코리앤더파우더, 칠리파우더, 카다몸, 정향, 캐슈넛)과 다진토마토를 넣고 볶았다.

 

보통 무르그마크니는 토마토 잘 볶은 다음 식혀서 믹서나 블렌더에 간 다음 팬에 부어서 물을 넣는데

믹서에 갈 때는 식히지 않으면 뻥 터질 위험도 있고 갈면 번거로우니까 캐슈넛도 좀 부숴서 넣고 양파나 토마토도 가늘게 찹했다.

찹했다는 말이 좀 마음에 안들긴 한데.. 어쨌든 토마토는 미리 갈아서 넣어도 된다.

 

 

 

크기변환_DSC00726.JPG     크기변환_DSC00727.JPG



크기변환_DSC00731.JPG     크기변환_DSC00733.JPG


 

토마토를 볶다 보니 양이 조금 적은데다가 냉장실에 토마토페이스트 남은 것이 있어서 페이스트를 넣어서 토마토의 맛을 조절했다.

페이스트가 없다면 케찹으로 대체해도 잘 어울린다.

 

 

 

 

 

여기까지 넣어서 되직하게 계속 볶다가 수분이 거의 없어지면

버터와 물을 넣고 뭉근하게 15~20분정도 끓였다.

약불로 오래 끓여주면 깊은맛이 난다.

(인도 버터인 기를 사용했다)

 

 

물로 농도를 조절하면 되니까 일단 끓여가며 농도를 보다가

미리 구워 둔 닭다리살을 넣고 생크림을 부은 다음 여기에 호로파잎과 가람맛살라를 약간 넣고 소금으로 간을 했다.

소스의 농도는 되직하다 싶을 정도로 하고 향신료는 이미 충분히 들어갔기 때문에 소금으로 간을 하는 것이 관건이다.

소금을 너무 많이 넣으면 당연히 짜서 안되지만 맛이 좀 애매할 때 소금을 조금씩만 넣다보면 간이 딱 맞으면서 향신료의 향도 더 풍부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온다.

 

  

 

크기변환_DSC00736.JPG     크기변환_DSC00737.JPG


크기변환_DSC00738.JPG     크기변환_DSC00739.JPG


 

 

원래 향신료에는 간이 없기 때문에 커리에 향신료를 잘 배합해서 잘 만들었다 하더라도 향만 강하고 맛이 밋밋할 때가 있는데

농도가 적당하다는 전제하에 소금으로 적당히 간을 하면 그때 맛이 살아나며 완성됐다는 느낌이 온다.

 

 

마지막으로 고수잎은 없고 건조고수잎(실란트로)이 있으니까 뿌려서 마무리.

보기에 그나마 좋게 뿌린다고 마지막에 넣기는 했지만 건조잎은 불어서 향이 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마무리 단계에서 넣는 것이 조금 더 낫다.

 

 

 

크기변환_DSC00741.JPG


 

 

 

 

 

크기변환_DSC00743.JPG

 

 

 

 


 

크기변환_DSC00744.JPG

 

 

 

 


 

크기변환_DSC00745.JPG

 

 

 

 


 

크기변환_DSC00747.JPG


 

 

 

 

 

크기변환_DSC00748.JPG


 

 

향긋한 향신료가 푹 배인 닭고기도 맛있고

커리를 그냥 떠먹어도 맛있고

난에 올려서 함께 먹어도 맛있고

중간중간 느껴지는 향신료의 진한 향이 눈, 코, 입을 가득 채웠다.

 

 

 

  • ExcellentChoice 2020.06.03 20:13
    네팔에서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커리 좀 해먹어야 이 나라에 대한 예의가 이닌가 싶어^^ 레시피 찾아 왔습니다.
    향신료,요리 열심히 공부하시면서 레시피 올리시는 모습
    존경스럽습니다!
    코로나19로 록다운,통금이지만 즐겁게 지내려고 애쓰는 데 윤정님 애쓰신 레시피 좀 빌려가겠습니다!^^
    마살라 소스도 만들어 놓고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데.... 두 달 넘게 집밥만 했더니 팔이 아파서 좀 나아지면 대량 생산 해보려고요~ 현지 재료로 열심히 해보고 말씀드릴게요.
    ‘파니르’도 ‘기’도 있는 네팔에서 인사드립니다!^^
    감사해요~
  • 이윤정 2020.06.04 04:40
    파니르도 기도 있는 네팔에서 인사 건네주시니 더 반가운 마음입니다^^
    네팔에 계시면 커리를 사드시기만 해도 한참은 걸릴 것 같아요ㅎㅎ
    제 레시피가 현지에 계시는 ExcellentChoice님 입맛에도 맞으면 좋겠어요.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하게 어려운 시기인데 팔까지 아프셔서 걱정입니다. 안아프실 때까지는 충분히 쉬시고 낫는 것에만 집중하셔요^^

  1. 느억맘소스, 늑짬, 느억짬, 느억쩜 만들기, 베트남 음식 이야기

    베트남 음식이라 하면 피시소스를 기반으로 한 여러 음식과 소스, 그리고 풍부하고 다양한 채소로 채워진 테이블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내 생각) 베트남 음식의 가장 큰 아이덴티티는 피시소스와 풍부한 채소이고 그 다음으로는 각종 쌀종이, 쌀국수, 샐러드, 빵, 스튜, 전골, 디저트 등을 들 수 있다. 베트남 피시소스인 늑맘 이야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30/90270 늑맘(nước mắm 느억맘) = 피시소스 늑짬(nước chấm느억쩜) = 피시소스로 만든 양념장 이다. (nước chấm은 정확한 표기는 느억쩜에 가까운데 익숙한게 늑짬이라 늑...
    Date2021.01.03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4 Views11822 file
    Read More
  2. 대패삼겹 대파 된장구이

    대패삼겹 대파 된장구이 아라시의 숙제군이라는 일본 예능에 나오는 간단 전골요리 동영상을 모 게시판에서 알게 되어서 따라했다. 미소가 일본된장이라 미소된장이라는 말은 맞지 않지만 아래에는 미소된장으로 쓰는 걸로.. 전골냄비에 미소된장을 얇게 펴바르고 여기에 대파와 얇은 삼겹살을 올린 다음 청주를 살짝 붓고 뚜껑을 닫아 끓여내는 간단한 음식이다. 재료는 간단하게 대패삼겹살, 대파, 미소된장, 청주. 대파는 굵고 긴 것의 흰부분으로 3~4대 정도 준비하고 대패삼겹살을 두어줌, 미소된장은 약간 넉넉하게 1스푼, 청주는 약 2스푼을 ...
    Date2015.07.23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11 Views11850 file
    Read More
  3. 마라황과, 麻辣黄瓜

    마라황과, 麻辣黄瓜 중국식 오이초절임인 마라황과. 마라소스에 절인 황과(오이)인데 黃이 아닌 黄자를 사용한다. 중국의 닭고기가 鷄가 아닌 鸡를 사용하는 것처럼 식재료의 한자도 조금씩 다르다. 어쨌든 새콤달콤하면서 매운향이 약간 도는 마라황과. 사용한 재료는 오이 3개 소금 1.5스푼 양념으로 식초+설탕 6스푼 고추기름 1스푼 두반장 1스푼 홍고추 2개 마늘 3개 통마늘이 없어서 다진마늘 1스푼으로 대체했다. 통으로 사용할 때는 칼 옆면으로 탕탕 내리쳐서 살짝 으깨서 사용한다. 식초+설탕은 식초와 설탕을 미리 1컵씩 양념통에 넣어 흔...
    Date2016.07.11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11854 file
    Read More
  4. 붓카케우동, 문어초밥, 쯔유만들기

    붓카케우동, 문어초밥, 쯔유 만들기, 붓카케 우동 만들기 차가운 면요리를 평소에 좋아하고 우동 중에서는 붓카케를 가장 좋아하는데 여름이라 먹을 때도 시원하니 좋아서 최근에 쯔유도 두 번 만들고 우동도 세 번 만들었다. 시판쯔유를 사두고 카레우동이나 볶음우동소스에 사용하긴 했지만 국물이 주가 되는 소바나 우동에는 시판쯔유를 사용하면 깊은 맛이 덜해서 꼭 만들어 쓰고 있다. 귀찮긴 하지만... 쯔유에 사용한 재료는 물 약 2.5리터 다시마, 황태, 표고버섯, 대파 1대, 무1도막 가쓰오부시 크게 두세줌 듬뿍 간장 6스푼 미림 6스푼 청주...
    Date2015.07.08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2 Views11916 file
    Read More
  5. 텃만꿍, 텃만꿍 만들기

    텃만꿍 태국음식인 텃(튀김) 만(패티) 꿍(새우)은 말 그대로 새우를 다져서 빚은 튀김이다. 다진 돼지고기나 커리페이스트, 다진마늘, 다진샬롯, 다진고수를 넣거나 전분을 넣어서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딱 새우만 갈아서 소금, 후추, 설탕, 피쉬소스를 아주 약간만 넣고 간을 하면 다른 재료가 들어가는 것보다 더 맛있다. 심플한 것 같아도 먹어 본 텃만꿍 중에 가장 좋았다. 텃만꿍만으로 식사가 되지는 않으니까 미리 텃만꿍을 튀길 준비를 끝내고 타이커리나 볶음밥을 만들고 한 쪽에는 텃만꿍을 튀겨서 한 밥상에 올리는 것이 좋았다. 한 번은 ...
    Date2015.08.24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14 Views11924 file
    Read More
  6. 스키야키

    스키야키(すき焼き)는 간장, 설탕으로 만든 다레(タレ)에 얇게 썬 고기(주로 쇠고기)와 대파, 두부, 배추, 실곤약 등의 재료를 넣고 자작하게 졸인 일본의 나베 요리이다. 스키야키는 크게 관동과 관서지방의 스키야키(すき焼き) 조리법에 따라 간토우후(関東風, 관동풍)와 간사이후(関西風, 관서풍)로 나뉜다. 간토우후(関東風, 관동풍) 스키야키는 다레에 모든 재료를 함께 넣고 끓이는 니코미(煮込み) 방식으로 조리하는 반면, 간사이후(関西風, 관서풍)는 고기를 먼저 구워 익힌 다음 다레로 간을 하고 대파나 두부 등의 다른 재료를 넣어 익히는...
    Date2018.09.14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6 Views12004 file
    Read More
  7. 고구마 빠스, 고구마맛탕

    제목에 맛탕을 쓰기는 했는데 튀긴 고구마를 물엿+시럽에 넣고 졸여 겉이 말랑말랑한 맛탕이 아니고 겉이 파삭파삭한 빠스를 만들었다. 두산백과에 따르면 한 입 크기로 썬 고구마를 튀겨 설탕 시럽에 버무린 디저트로, 중국어로 ‘빠스(拔丝)’는 ‘실을 뽑다’는 의미로 먹을 때 설탕 시럽이 가는 실처럼 묻어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라고 한다. 拔絲地瓜(발사지과) , 빠스디과라고 읽는다. 재료나 만드는 과정은 간단한데 고구마나 설탕은 순식간에 금방 타버리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상태를 잘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한 재료는 고구...
    Date2018.01.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6 Views12048 file
    Read More
  8. 연두부 마파두부

    마파두부에 돼지고기, 새우, 죽순, 해삼 등 재료를 다양하게 넣어서 만들었다. 두부는 평소에 일반 두부도 사용하고 튀긴두부도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식감이 부드럽도록 연두부를 사용했다. 화자오나 마라소스로 좀 더 중국식으로 얼얼하게 만든 버전이 이것인데 https://homecuisine.co.kr/hc20/44307 이번에는 맛을 전체적으로 덜 날카롭게 해서 흔히 먹는 중식에 가깝도록 해봤다. 고추기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66924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새우 몇마리 연두부 2모 (수분빼기) [채소①] 고추기름 ...
    Date2017.03.11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4 Views12054 file
    Read More
  9. 표고버섯 냉동보관

    표고버섯은 연중 생산되니까 따로 제철은 없지만 3~9월을 제철이라고 하며 3월 중순이나 9월 중순 쯤 날씨가 좋을 때 나는 표고가 좋다고 한다. 제철이라서 산 건 아니고 냉동했던 것을 다 먹고 오랜만에 살까 하니 마침 요즘 표고가 좋다 그래서 으흠? 그래? 하고 좀 좋음ㅋㅋㅋ 표고버섯은 그때그때 사서 사용하면 적당하고, 냉동 보관하는 것도 썰어서 데치고 냉동 보관하면 끝이라 별 내용은 없다. 그래도 다른 식재료에 비해 냉동과 해동의 과정을 거치면서 식감 변화가 적은 식재료 중에 하나라서 냉동보관을 자주 하는 편이다. ㅡㅡㅡㅡㅡㅡㅡ...
    Date2019.04.11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6 Views12196 file
    Read More
  10. 어향소스 스테이크, 어향가지

    2014/06/19 어향소스 스테이크, 어향가지 중국요리 중에서도 사천(쓰촨)지방의 요리는 다양한 향을 내어서 사용하는 대담한 맛으로 유명하다. 그 중 하나인 어향소스는 원래는 민물고기를 요리하던 방법의 일종인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사천지방에서 자주 쓰는 향채소와 양념으로 만들어 짭짤하고 달콤하고 약간 새콤하면서도 매콤한 맛을 지니는 일종의 소스가 되었다. 어향소스를 이용해서 가지나 소고기, 돼지고기 등에 곁들이거나 이렇게 만든 요리를 덮밥 등 밥에 곁들여 먹기도 한다. 스테이크용으로 사용하는 고기 대신에 구이용이지만 조금 두...
    Date2014.06.19 Category중식 By이윤정 Reply0 Views12264 file
    Read More
  11. 쯔유만들기, 메밀소바, 스팸덮밥, 아게다시도후, 쇼가야끼

    2014/06/28 쯔유만들기, 메밀소바, 스팸덮밥, 아게다시도후, 쇼가야끼 쯔유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물 1리터, 다시마, 황태, 마른표고버섯, 가쓰오부시, 육수 200미리 간장 70미리, 미림70미리, 청주70미리, 설탕 2~3스푼(간보고), 생강 1~2센치 혼다시와 소금을 넣어서 맛을 짭짤하고 감칠맛 있게 하면 더 맛있겠지만 자연스러운 맛도 나름대로 즐길만 하기 때문에 이렇게만 사용했다. 육수 재료는 더 다양하게 하지 않고, 가쓰오부시의 맛을 해치지 않을 것들로 고르고 간장은 집에 있는 가장 비싼 간장을 사용했다. 간장의 맛도 쯔유의 맛을 좌우하...
    Date2014.06.28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1 Views12293 file
    Read More
  12. 느어팟 남만호이, 소고기 아스파라거스 굴소스 볶음

    느어팟 남만호이, 소고기 아스파라거스 굴소스 볶음 느어(소고기) 팟(볶다) 남만호이(굴소스) 소고기 굴소스 볶음이다. 채소는 정해진 것은 없지만 먹어본 곳에서 사용한 아스파라거스와 그 외에 양파, 대파, 고추를 사용했고 원래 물전분을 넣지는 않는데 전에 해보니 마지막에 아래에 촉촉하게 수분이 생겨서 물전분을 2티스푼정도 넣어서 하니 더 나았다. 팟타이와 함께 먹었는데 둘 다 볶자마자 바로 먹어야 하는 음식이라 느어팟 남만호이를 하고 식탁에 올려 다 먹고 난 다음 미리 풀세팅 해놓고 볶기만 하면 되는 팟타이를 3~4분만에 얼른 볶...
    Date2015.08.13 Category아시아 By이윤정 Reply4 Views12308 file
    Read More
  13. 블루베리잼 만들기

    적당한 과일에 설탕을 넣고 가열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잼이라 '블루베리에 설탕을 넣어서 끓였다' 한줄로 요약할 수 있는 내용인데 말이 조금 많다.. 잼이 겔화되는 조건은 설탕, 가열, 산도인데 잼이 되기 위한 적당한 설탕, 가열로 인한 수분증발, 겔화 되기 좋은 산도 (pH 2.8~3.5)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잼을 만드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설탕의 양과 약불로 끓이는 시간이 다르고 각각의 산도에 따라 레몬즙 등이 필요하다. 새콤한 블루베리면 레몬즙이 없어도 괜찮지만 새콤함이 부족하고 달달한 것이면 레몬즙을 반개에서 1개분량...
    Date2017.08.1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2 Views12319 file
    Read More
  14. 양고기 커리, 고스트 마크니, gosht makhani

    양고기 앞다리 슬라이스를 불고기용으로 사서 양고기 커리를 만들었다. gosht(양고기) makhani(버터) 커리이다. 양고기는 어린양인 램으로 만들어야 냄새가 튀지 않고 적당하다. 입맛에 따라 머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한국에는 머튼을 못먹는 사람이 많아서 램을 파는 곳이 더 많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양고기 앞다리살 400그램 소금, 후추 약간 버터 1스푼 마살라소스 2인분 생크림 200~250미리 미리 마살라소스를 만들어서 냉동해두었다가 사용했다. 마살라소스 - https://homecuisine.co.kr/hc20/52960 위의 마살라소스를 5등분 하면 ...
    Date2017.12.11 Category인도 By이윤정 Reply7 Views12343 file
    Read More
  15. 소스 가츠동, 돈까스 덮밥

    밥에 양배추와 대파를 곱게 채썰어 올리고 돈까스와 소스를 얹어 먹는 소스 가츠동. 계란으로 오믈렛을 만들어서 밥 위에 곁들여도 좋다. 돈까스로 돼지고기 등심 150그램 2장 소금, 후추, 갈릭파우더 밀가루 계란 1개 습식빵가루 인데 9장을 만들고 7개는 호일로 포장해서 냉동해두었다. 롯데마트몰이 롯데라 별로긴 한데 등심은 저렴하고 우리동네만 그런지 손질도 잘 해오는 편이라 가끔 사고 있다. 안심은 홈플러스가 저렴하고 삼겹살, 갈비는 동네 탑마트가 좋고 마트마다 다 고기 좋은 특징이 달라서 여기저기서 장 보게 된다. 습식빵가루는 농...
    Date2016.07.01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4 Views12426 file
    Read More
  16. 아스파라거스 고르기, 보관하기, 손질하기, 조리하기, 사용/활용하기

    아스파라거스 사용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home&act=IS&search_target=content&is_keyword=%EC%95%84%EC%8A%A4%ED%8C%8C%EB%9D%BC%EA%B1%B0%EC%8A%A4&where=document&page=1 3년 전에 쓴 아스파라거스 보관 글에서 조금 더 보완했다. 아스파라거스는 경험적으로 국산이 가장 맛있었다. 국산 아스파라거스는 제철에만 맛 볼 수 있기 때문에 4월에 제철이 시작되면 열심히 소비해야 뿌듯하다. 올해는 어쩌다 한꺼번에 4키로를 사게 되어서 열심히 소비하고 있다. 작년에는 배송받은 아스파라거스의 상태가 좋지 않아서 더 받는 바람...
    Date2020.04.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4 Views12510 file
    Read More
  17. 버터치킨, 무르그마크니, 치킨마크니, 인도 커리 만들기, 난 만들기

    2018년 버전 - https://homecuisine.co.kr/hc20/72218 2013/10/17 버터치킨, 무르그마크니, 치킨마크니, 인도 커리 만들기, Murgh Makhani , 난 만들기 오랜만에 버터치킨을 만들었다. Murgh 는 닭, Makhani는 버터를 뜻하고 보통 인도식 치킨커리라 불리는 것이 이것이다. 커리 이야기는 업데이트가 좀 필요하긴 하지만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20&category=232&document_srl=3529 이 링크에 열심해 써뒀다. 북서부인도와 파키스탄에서는 난을 주식으로 여러가지 커리나 음식에 곁들여 먹고 북부는 짜파티, 남부는 쌀(밥)을 ...
    Date2013.10.17 Category인도 By이윤정 Reply2 Views12513 file
    Read More
  18. 계란지단 만들기, 잘부치는법

    계란지단 부치는 음식을 할 때마다 계란지단 때문에 스크롤이 길어져서 링크로 대체하려고 따로 올린다. 보통 계란지단을 잘 만드는 방법으로 1. 체에 거르기 2. 물전분 넣기 가 있는데 3. 미리 소금 넣기 4. 불조절 을 더 들 수 있다. 1 2 3 4를 다 하면 좋지만 1.2에 비해서 3.4는 설거지 할 것도 없고 추가재료도 없으니까 3 4만 잘해도 지단을 잘 부칠 수 있다. 지금 올리는 계란지단은 황백지단을 따로 부친 것도 아니고 체에 거르거나 물전분을 넣은 것도 아니다. 그냥 계란 두어개 깨트려서 알끈을 제거하고 소금 뿌려서 잘 저어서 부쳤다. ㅡ...
    Date2020.02.28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6 Views12562 file
    Read More
  19. 치킨 가라아게, 레시피, 만들기

    가라아게는 전분을 묻혀서 튀긴 튀김요리를 전반적으로 의미한다. 채소나 생선, 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튀겨서 먹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즐겨 먹는 것이 치킨 가라아게 인데 요즘은 보통 가라아게 하면 치킨을 뜻하기도 한다. 일본 음식에서 유명한 튀김으로 가라아게, 덴뿌라, 고로케가 있는데 가라아게는 전분을 묻혀서 튀긴 것, 덴뿌라는 튀김가루와 물을 섞어서 만든 반죽을 튀긴 것, 고로케는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입혀서 튀긴 것 정도로 볼 수 있겠다. 사용한 재료는 닭다리살 450그램 청주 150미리 간장 60미리 미림 60미리 생강즙, 마늘즙...
    Date2016.04.20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12 Views12577 file
    Read More
  20. No Image

    음식에 간보는 방법 (초보용. 고수용 아님, 주관적임 주의)

    음식에 간보는 방법 (초보용, 고수용 아님, 주관적임 주의) 네이버 카페에 쓴 글입니다. 그래서 평소에 홈페이지에 사용하지 않는 해요 말투로 작성했습니다. 평소 말투대로 전부 수정하자니 번거로워서 그냥 올리는데 나중에 수정할 수도 있어요. 그냥 잡담이나 해볼까 하다가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홈페이지에도 올리면 참고하실 분이 있을까 싶어서 옮겨왔습니다. 새벽에 음주 중 쓴 글이라 말이 많아요! ----------------------------- 아래 내용은 왕초보용입니다. 음식 잘하시는 분은 당연한 이야기하네 하고 생각해주세요. 원래는 짧게 쓰고 있...
    Date2018.09.20 Category그 외 등등 By이윤정 Reply6 Views12594
    Read More
  21. 치킨 데리야끼 덮밥

    닭다리살을 굽고 소스에 졸여 밥에 얹어 간단하게 덮밥을 만들었다. 대파를 굽고 초생강을 얹었는데 취향에 따라 계란지단, 쪽파 등을 더 추가해도 괜찮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밥 2인분 닭다리살 450그램 데리야끼소스 후추 대파 초생강 데리야끼소스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0355&mid=hc20 초생강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0621&mid=hc20 재료가 비슷한 오야코동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40433&mid=hc20 닭고기는 껍질과 지방, 힘줄 등을 손질하고 먹기 ...
    Date2016.08.07 Category일식 By이윤정 Reply4 Views12611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