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6582.JPG

 


오랜만에 간짜장. 다진고기와 작게 썬 채소를 넣고 만든 유니간짜장이다.

평소 레시피와 거의 같은데 고기를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 사용하고, 토치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약간 다르다.

 

춘장은 10년 넘게 써 온 영화 사자표 춘장을 사용했고, 요즘 이름으로는 중찬명가 볶음춘장이다.
춘장 구매한 이야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30/76722

춘장 볶기가 좀 까다로운데 볶음춘장이 생긴 다음부터 짜장 만들기가 아주 편해졌다.

 

 

그냥 이야기. (=잔소리 시작)

 

0. 춘장은 냉동용기에 담고 랩으로 덮어서 냉동했다가 분량대로 그릇에 덜어서 사용한다. 재료 준비하기 전에 춘장을 먼저 덜어두면 볶다가 바로 넣기에 적당하도록 온도가 올라간다.ㅈ

 

1. 삼겹살 지방을 볶아서 나온 기름을 굳혀서 냉동보관한 라드를 사용했다. 라드가 없으면 식용유를 사용한다. 고추기름을 사용해도 좋다.

 

2. 채소는 양배추나 애호박등을 살짝 넣어도 괜찮지만 양파 대파만 넣어야 가장 맛있다. 채소의 양은 고기의 2배 정도 넣으면 적당하다.

 

3. 생강은 편으로 썰어서 냉동했던 것을 다져서 사용했다. 없으면 생략.


4. 설탕은 양파가 달달한 계절에는 넣지 않아도 좋고, 양파가 덜 단 겨울에는 최대 1스푼까지 사용하고 있다. 설탕은 취향에 따라 약간 넣는다. 이금기굴소스를 이미 넣었지만 미원을 2~3꼬집정도 넣는 것도 괜찮다.

 

5. 중화면을 반죽하고 제면기로 면을 뽑고 삶아서 물에 헹구고 뜨거운 물에 토렴하면 가장 맛있지만 그렇게 하자면 일이 너무 많다. 면사랑냉동중화면을 한 번 끓어오르면 건져서 그릇에 담고 짜장을 올리면 짜장면 느낌이다. 냉동면이라 부족한 점이 많지만 차선책 중에서는 최선이다.

 

6. 집에서는 짜장면보다는 짜장밥이 맛이나 효율 면에서 훨씬 더 좋다. 짜장밥에는 1인분에 계란3개로 만드는 두툼한 계란지단을 올리면 짜장면보다 당연히 더 맛있다.

 

7. 남은 간짜장은 냉장했다가 닭육수를 붓고 물전분을 풀어서 농도를 낸 다음 일반 유니짜장으로 만들어서 짜장면이나 짜장밥을 해도 좋다. 유니짜장은 잡채밥이나 볶음밥에 곁들이면 더 맛있다.

 

8. 간짜장은 만들기도 간단하고 조리하는데 시간은 별로 걸리지 않기는 한데 센 불에 차례대로 후루룩 볶아내고, 계란도 그 사이에 얼른 튀겨야 하고 짜장면을 할 때는 면도 삶아서 건져야 하니까 일단 시작하고 나면 여유가 없다. 옆에서 적당히 잘 도와주는 것이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4~5인분)
식용유 2스푼
돼지고기다짐육 200그램
소고기다짐육 200그램

간장 1티스푼

라드 30그램
대파 흰부분 2대 (100그램)
마늘 2스푼 (6~7개)
생강 1티스푼
청주 2스푼 (생략가능)
양파 3~4개 (700그램)

볶음춘장 150그램
굴소스 1스푼
설탕 0.5~1스푼
후추 약간

냉동중화면, 계란 or 밥, 계란지단


짜장은 센 불에 빠르게 볶아서 만드는 거라 재료 준비를 바로 털어넣기만 하면 되도록 그릇이나 종지에 다 담아놓고 시작해야 한다. 밥도 미리 지어두고 면 삶을 물도 중간에 끓이도록 준비하고 계란도 그릇에 하나씩 깨거나 계란지단할 것도 각각 미리 풀어 둔다. 준비를 다 한 다음 조리를 시작하면 음식 완성도도 올라가고 덜 바쁘다.

 

 


1. 양파와 대파는 새끼손톱크기로 썰고 마늘과 생강을 잘게 다진다. 양념 재료는 분량대로 그릇에 담아둔다.

 

2. 웍을 달군 다음 식용유를 약간 넣고 고기를 넣어서 센 불로 달달 볶은 후에 마지막에 간장을 약간 넣고 화르륵 볶은 다음 그릇에 담아둔다.

*화력이 강하면 고기를 먼저 볶아둘 필요가 없는데 가정용 화력에서는 고기를 먼저 볶아 둔 다음 짜장을 만들어야 수분이 없어 질척하지 않고 잘 완성된다.

 

3. 팬을 다시 달군 다음 라드나 식용유를 넣고 대파, 마늘, 생강을 볶다가 청주를 넣고 확 날린다.

 

4. 양파와 고기를 넣고 센 불에 3~4분정도 달달 볶는다. 볶는 동안에 웍질을 하며 그 동안 채소와 고기에 골고루 토치질을 해서 불맛을 더한다.
*웍질 하기가 불편할 때는 조리도구를 사용해서 골고루 잘 섞어가면서 볶는 동안 다른 한 손으로는 토치로 골고루 불맛을 입힌다.

 

5. 미리 준비한 양념재료를 전부 털어넣고 춘장이 뭉치지 않도록 골고루 볶는다. 이 때도 불맛을 입혀주면 더 좋다.
*양파 크기에 따라 들어가는 춘장의 양이 다르니까 볶다가 춘장이 부족한지 보고 필요한 것 같으면 얼른 더 넣으면 좋다.

 

6. 냉동중화면은 끓는 물에 넣고 팔팔 끓으면 바로 불을 끄고 건져서 그릇에 담는다.
*짜장밥을 할 경우에는 밥을 시간에 맞게 지어서 그릇에 담는다.

 

7. 계란은 달군 팬에 기름을 넉넉하게 붓고 가장자리가 짜글짜글하게 구워지면 뜨거운 기름을 숟가락으로 떠서 계란 위에 몇 번 뿌려서 흰자만 다 익는 반숙으로 굽는다.
*계란지단을 할 때는 계란을 잘 풀어서 대파를 넣어서 준비한 다음 기름을 넉넉하게 넣은 작은 팬에 계란물을 붓고 가장자리가 일어나면 뒤집어서 겉은 노릇노릇하고 속은 촉촉하게 굽는다.


늘 똑같은 춘장에 늘 똑같이 만드는 간짜장이지만 작은 디테일에서 변화를 줬더니 평소보다 더 맛있고 그러는 김에 평소보다 더 말도 많이 했다..

짜장면도 맛있지만 짜장밥이 완전 맛있었다.

 

 

IMG_6471.JPG

 

 

 

IMG_6473.JPG

 

 

 

IMG_6475.JPG

 

 

 

IMG_6479.JPG

 

 

 

IMG_6481.JPG

 

 

 

IMG_6483.JPG

 

 

 

IMG_6484.JPG

 

 

 

IMG_6486.JPG

 

 

 

IMG_6489.JPG

 

 

 

IMG_6491.JPG

 

 

IMG_6493.JPG

 

 

 

IMG_6495.JPG

 

 

IMG_6496.JPG

 

 

IMG_6497.JPG

 

 

 

 

IMG_6501.JPG

 

 

 

IMG_6505.JPG

 

 

 

IMG_6506.JPG

 

 

 

IMG_6509.JPG

 

 

 

IMG_6512.JPG

 

 

IMG_6517.JPG

 

 

IMG_6523.JPG

 

 

 

 

IMG_6525.JPG

 

 

IMG_6526.JPG

 

 

IMG_6528.JPG

 

 

 

IMG_6532.JPG

 

 

 

IMG_6562.JPG

 

 

IMG_6566.JPG

 

 

 

계란지단 올린 짜장밥

 

IMG_6571.JPG

 

 

IMG_6582.JPG

 

 

IMG_6585-01.jpeg

 

 

 

남은 간짜장으로 잡채밥 https://homecuisine.co.kr/hc20/100158

IMG_6705-.jpg

 

 

 

 

  • 레드지아 2021.01.13 11:13

    제가 사는 곳은 짜장면 위에 계란후라이는 안올려주거든요.

    타지역에 가서 계란 후라이 올려진 짜장면을 받았을땐 어찌나 황송하고 횡재한 기분이 들던지요 ㅋㅋㅋ 계란후라이 하나로 기분이 막 업업!! 되던 그때를 잊지 못합니다 ^^

     

    양파다진 사진을 슬쩍보고 모짜렐라치즈인줄 알았어요!!! +_+ 세상에나..역시 칼의 왕 윤정님이셔서 양파도 참 이쁘게 잘 다지셨네요!!! +_+

     

    그냥 짜장보다는 유니짜장 내지는 간짜장 등 앞에 무슨 글자가 붙은 짜장을 먹으면 내자신이 더 고급져지는 느낌은 저만 그런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저는 윤정님의 부지런함도 손끝야무짐도 집중력도 없어서 농라마트에서 삽니다 엉엉 ㅠ

    근데 냉동중화면 사러 마트가는것도 막 귀찮아요!!! ^^;;; (동네마트엔 없어서 좀 거리가 있는곳에 가야하거든요 .걸어서 10-15분 정도 가야해요. 버스타기도 알맞지 않은 그런곳에 위치한 식자재마트)

  • 이윤정 2021.01.15 02:24

    부산에도 간짜장에만 올려주는데 이유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간짜장에 계란후라이가 없다? 그럼 넘 섭섭한거죠ㅎㅎ
    오늘도 이렇게 칼의 왕이라는 과분한 말씀을ㅎㅎㅎㅎ 과분하지만 고이 간직할게요ㅎㅎㅎㅎ

    일반 짜장은 짜장 듬뿍 만들어뒀다가 면에 소스만 부어주니까 랜덤성이 있는데 갓 볶은 간짜장은 어디서건 보통이상은 하는 것 같아요. 거기다가 저는 또 약간 편식쟁이라 이렇게 잘게 썰어주는 게 좋더라고요ㅎㅎ (어제 시댁갔다가 시엄마께서 끓여주신 떡국에 대파 중에서도 큼직한 것만 남겼어요ㅋㅋㅋㅋㅋ)

    저희집 근처에는 식자재마트가 없었어서 냉동중화면이나 냉동우동을 사려면 택배로 사야했는데 다른 계절에는 많이 녹아서 오니까 겨울에 넉넉하게 사서 냉동해두고 사용했거든요. 그런데 작년초인가 근처에 식자재마트가 생겨서 계절 상관없이 사러 갈 수 있는 것 만으로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ㅎㅎ 근데 저는 걸어서는 아니고 차로 10~15분거리에요ㅠㅠ ㅎㅎㅎㅎ


  1. 난자완스

    오랜만에 난자완스. 물밤(워터체스트넛)이 들어가야 완자가 맛있는데 이번에는 없이 만들었다. 좋아하는 집에서 귀동냥으로 듣고 지난번에 비해 완자 레시피만 조금 바꿨다. 재료 (2~4인분) 고기완자로 돼지고기 다짐육 500그램 워터 체스트넛 100그램 (생략가능) 다진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계란 2개...
    Date2022.11.1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045
    Read More
  2. 마라탕, 훠궈

    정말 오랜만에 마라탕, 훠궈 중국산 훠궈소스 사기가 좀 그래서 꽤 오래 안먹었는데 오랜만의 마라탕이라 알싸하니 쨍하니 넉넉하니 꽤 맛있었다. 사용한 재료 CJ마라탕면 2인분 소스 돼지고기 샤브샤브용 250그램 스팸 작은 것 1캔 뢰겐스부르거 소세지 1개 삼진어묵 4개 만두 3개 맛살 적당량 알배추 ...
    Date2022.10.11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196
    Read More
  3. 볶음짜장면

    볶음짜장면 쟁반짜장? 볶음짜장? 무쇠짜장? 짜장소스에 중화면을 넣고 센 불로 한 번 더 볶았다. 물을 넣지 않은 간짜장으로 만들어서 마지막으로 면을 넣어서 볶은 거라 물이나 전분을 따로 넣지는 않았다. 각자 양파 크기나 화력에 따라 짜장소스에 수분이 다르니까 물전분을 약간 준비해서 필요에 따...
    Date2022.06.15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602
    Read More
  4. 구수계, 레시피, 홍유소스 닭냉채, 닭고기 오이 냉채

    구수계口水鷄는 한자 그대로 입에 침이 고이는 닭요리라는 뜻이다. 삶아서 차게 식힌 닭고기에 오이(+대파)를 곁들이고 고추기름 소스를 부어서 먹는 일종의 냉채요리이다. 쪽파나 고수를 추가하기도 한다. 구수소스는 산니백육의 홍유소스와 거의 같다. 취향에 따라 라오깐마, 마라소스, 두반장 등의 ...
    Date2021.06.26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0240
    Read More
  5. 고추잡채 만들기

    고추잡채, 청초육사 고기와 고추를 가늘게 썰어 볶아서 만드는 고추잡채. 청조육사 靑椒肉絲 라는 말그대로 피망(청초)와 고기(육)를 실(사)처럼 썰어서 볶는 것이다. 고기는 전분을 뭍혀서 튀기듯이 조리했고, 피망과 양파, 표고버섯, 목이버섯, 죽순을 함께 볶았다. (전에 올린 것과 내용은 대동소이...
    Date2021.05.28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476
    Read More
  6. 멘보샤

    그 유명한 멘보샤를 이제야 만들어봤다. 재료 새우 250그램 (해동 전 300~350그램) 식빵 4장 (8개 분량) 후추 약간 튀김기름 넉넉하게 스윗칠리소스로 친수칠리소스 2스푼 친수피시소스 0.5스푼 꿀 1스푼 식초 0.5스푼 다진 마늘 1티스푼 다진 고추 1티스푼 스윗칠리소스는 시판소스를 사용해도 좋다. ...
    Date2021.01.20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411
    Read More
  7. 중국집 잡채밥 만들기, 레시피

    한식이라고 하기에는 중식집에서만 먹을 수 있고, 중식이라고 하기에는 중국에 없는 중국집 잡채밥. 잡채밥에 짜장이 없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내게 있어서 잡채밥은 밥 + 잡채 + 짜장이다. 간짜장을 만들 때는 볶음밥이나 잡채밥에 곁들이려고 일부러 좀 넉넉하게 만든다. 그저께 ...
    Date2021.01.16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0595
    Read More
  8. 고기간짜장, 유니간짜장, 짜장밥

    오랜만에 간짜장. 다진고기와 작게 썬 채소를 넣고 만든 유니간짜장이다. 평소 레시피와 거의 같은데 고기를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 사용하고, 토치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약간 다르다. 춘장은 10년 넘게 써 온 영화 사자표 춘장을 사용했고, 요즘 이름으로는 중찬명가 볶음춘장이다. 춘장 구매한 이...
    Date2021.01.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4631
    Read More
  9. 레몬 파인애플 탕수육

    3년 전에 올린 파인애플 탕수육과 레시피가 똑같다. 이유는 그동안 많은 시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원하는 답을 못찾아서 결국에는 회귀했기 때문 (ㅠㅠ) 감자전분에 찹쌀가루,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타피오카전분까지 준비해서 비율을 다르게 해가며 만들어봤다. 전분을 여러가지 사용하고 ...
    Date2020.09.30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473
    Read More
  10. 고추기름소스 안심오이냉채, 산니백육

    예전에는 사태나 족발을 사용한 장육냉채를 가장 즐겨했는데 요즘에는 홍유소스로 만드는 냉채를 가장 즐겨하고 있다. 산니백육은 편육과 오이, 홍유소스로 이루어지는데 편육으로는 삼겹살이 기본이지만 삼겹살이 최선은 아니라서 베이컨, 대패삼겹을 거쳐 요즘에는 돼지고기 안심으로 하고 있는데, 돼...
    Date2020.09.10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921
    Read More
  11. 쇠의황과, 중국식 아코디언 오이무침, 蓑衣黄瓜

    중국식 오이무침은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 맵게 만드는 마라황과麻辣黄瓜 (양념기준) 칼면으로 내리친 다음 적당히 썰어서 만드는 파이황과 拍黄瓜 (형태기준) 슬라이스 채칼을 사용해서 길게 슬라이스해서 만드는 협편황과 汁片黄瓜 (형태기준) 아코디언처럼 늘어나게 썰어서 만드는 쇠의황과 蓑衣黄瓜...
    Date2020.06.25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3036
    Read More
  12.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레시피, 만들기

    짬뽕과 조리과정이 비슷한데 물을 적게 넣어서 만드는 중화비빔밥. 짜장면을 중국음식이라고 하기 조금 애매한 것과 비슷한 정도인 한국식 중식이다. 중화비빔밥, 짬뽕덮밥, 야끼밥 세가지가 다 다르다고도 하는데, 친정에 단골중국집에서 주로 야끼밥으로 먹었고 다른 데서도 먹어보니 비슷한 느낌이었...
    Date2020.04.24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20443
    Read More
  13. 대패삼겹살 산니백육, 홍유소스 대패삼겹살 냉채

    중국에서 유명한 편육요리인 산니백육. 종잇장처럼 얇게 썬 편육과 오이에 고추기름으로 만든 맵고, 짜고, 새콤달콤한 소스를 곁들여 낸다. 산니백육은 통삼겹살을 사용해서 고기 삶고 모양 잡아서 식히고 얇게 썰고, 고기가 차가우면 느끼하니까 또 살짝 데워야 먹기 좋으니 꽤 번거롭다. 그래서 전에 ...
    Date2020.01.1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0309
    Read More
  14. 시판 만두에 고추기름소스를 곁들인 홍유만두 紅油抄手

    홍유소스를 곁들인 완탕만두를 보통 紅油抄手 홍유챠오쇼우 라고 하는데 새우완탕만두를 만들어서 해도 좋고 사서 사용해도 좋고, 시판 만두로 대체해도 괜찮다. 시판만두를 사용하니까 제목은 간단하게 홍유만두로 했다. 다음에 완탕을 만들어서 홍유를 곁들이면 홍유챠오쇼우라고 제목을 붙히고 싶지...
    Date2020.01.09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6455
    Read More
  15. 훠궈 만들기, 마라탕 재료, 레시피

    마라탕이나 훠궈재료는 정말정말 다양하지만 여태 먹으러 다녀 본 것을 곰곰히 생각해서 생각나는 최대한을 쓰고 있다. (못 먹어 본 것 포함) 중국에서 먹어본 적이 없는데다가 재료의 폭이 아주 넓어서 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했어도 내가 모르는 것이 한참 많을 것 같다. 평소 구하기 어렵지 않고 좋아...
    Date2019.10.25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22449
    Read More
  16. 사천탕수육, 탕수육 만들기

    사천탕수육이라고 쓰촨식은 아니고 매콤달콤새콤한 한국식 사천탕수육이다. 전에 올린 것과 내용이 대동소이하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안심 600그램 소금, 후추 약간 감자전분 1.2컵 물 1컵 계란흰자 0.5개 튀김기름 소스로 고추기름 2스푼 물 10스푼 (150미리) 설탕 6스푼 (90그램) 사과식초 4스푼...
    Date2019.08.31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15511
    Read More
  17. 고추잡채 만들기, 재료

    고기와 고추를 가늘게 썰어 볶아서 만드는 고추잡채. 청조육사 靑椒肉絲는 말그대로 피망(청초)와 고기(육)를 실(사)처럼 썰어서 볶는 것이다. 고기는 전분을 뭍혀서 튀기듯이 조리했고, 피망과 양파, 표고버섯, 목이버섯, 죽순을 함께 볶았다. (전에 올린 것과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사용한 재료는 2~...
    Date2019.08.2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5343
    Read More
  18. 산니베이컨, 홍유소스 베이컨 냉채

    산니백육은 삼겹살 등의 돼지고기를 삶고 식혀서 얇게 썰고, 오이도 얇게 썰어서 홍유소스에 먹는 중국의 편육요리이다. 이 때 사용하는 고기는 심혈을 기울여서 아주아주 얇게 썰어야 하고 기계로 써는 것이 최상이다. 산니백육 링크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68591 산니백육은 맛있고...
    Date2019.06.03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7178
    Read More
  19. 마라황과

    중국식 오이초절임인 마라황과. 마라소스에 절인 황과(오이)인데 黃이 아닌 黄자를 사용한다. 소량과 대량으로 여러 번 해보고 가장 편한 방법을 찾고 간도 딱 맞췄다. 오이가 입맛에 맞게 짜지 않아야 하므로 맛을 보면서 만들어야하기는 하지만 일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만들었다. 단점이 있는데 소...
    Date2019.05.27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6946
    Read More
  20. 창잉터우 레시피, 蒼蠅頭, 돼지고기 마늘쫑 볶음

    대만에서 유명한 음식인 창잉터우 (蒼蠅頭 창승두) 돼지고기 다짐육, 부추꽃대(부추쫑), 마늘, 홍고추, 또우츠(豆豉 두시)가 주재료이다. (두시는 중국식 발효 콩으로 또우츠보다는 또우치나 떠우치에 더 가깝다.) 소금으로 간을 하고 맛을 내는 재료로 굴소스나 미원, 치킨파우더 같은 조미료를 약간 ...
    Date2019.05.22 Category중식 By이윤정 Views284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