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육전, 생선전, 두부계란부침, 계란말이들

by 이윤정 posted Dec 25,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만만하게 자주 만드는 반찬 중에 결이 비슷한 육전, 생선전, 두부 계란 부침, 계란말이들.


주재로 하나만 준비하고 계란만 몇 개 깨뜨리면 되니까 재료준비하는데 손이 덜 가는 편이라 많이 자주 만든다.

육전은 옆에서 많이 좋아하니까 자주 만드는 편이고 생선전 중에서도 특히 달고기전은 내가 좋아하니까 육전용 덩어리고기와 달고기는 늘 냉동실에 있다.

두부계란부침은 집에 두부랑 계란말고 딱히 재료 준비를 한 게 없을 때 만들고, 계란말이는 반찬으로 아무때나 왕 많이..




1. 육전


육전이나 생선전, 계란두부부침이 다 그렇지만 특히 육전은 갓 부쳐서 먹어야 가장 맛있다.

여러 양념을 하기보다는 소금, 후추 간만 딱 해서 부침가루를 무쳐 탈탈 털고 계란물에 담갔다가 부치는 걸 가장 좋아한다.

고기만 좋다면 간장양념이나 양파, 마늘, 설탕, 미림 등을 사용하는 밑간 양념 등이 하나도 필요없다.


육전 이야기는 여기 https://homecuisine.co.kr/hc10/93774 에 구구절절 해놨다.


이 사진 찍었을 때는 꾸리살을 등급이 높은 걸로 사서 근막을 전부 제거하고 냉동해뒀다가 사용했다. 사용할 시간에 맞게 냉장실에 옮겨 냉장해동을 하는데, 완전히 해동하지 않고 속에 살얼음이 남은 정도로 해동한다. 그 때가 식사준비시간이 되도록 시간을 맞춰서 해동정도를 맞춘 다음 칼로 얇게 썰어서 재료준비. 아까 저녁에는 이마트트레이더스에서 산 호주산 안심 리테일팩을 안심스테이크용으로 손질하고 남은 자투리를 사용했는데 그것도 당연히 맛있었다.


냉동해뒀던 육전용 고기는 덩어리니까 칼이 들어갈 정도 해동해야 하고, 칼도 잘 드는 걸로 준비해야 하고, 계획한 식사시간에 해동정도를 딱 맞추는 것이 조금 번거롭다. 특히 냉장해동을 하더라도 여름/겨울에 해동되는 시간 차이가 있어서 더 그렇다. 그런데 완전 해동된 고기도 최대한 얇게 썬 다음에 랩을 덮고 고기망치로 쳐셔 얇게 손질하면 되니까 크게 걱정은 안한다.


IMG_4718.JPG


시간이 잘 맞춰져서 고기에 냉이 적당하니까 마음에 드는 정도로 얇게 썰 수 있고, 썬 다음에는 딱 굽기 좋게 금방 해동되어서 딱 좋다.

좀 두껍게 썰린 부분은 고기망치로 탕탕 쳐서 연육한다.



육전용 고기를 썰어온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절단면에 생긴 수분을 키친타올에 흡수시켜야 밀가루옷+계란물 묻히기가 편하다.

그런데 소금을 뿌리면 다시 수분이 생기니까 소금, 후추를 뿌린 다음 부침가루를 입히기 전에 키친타올로 눌러서 수분을 제거한 다음 사용한다.



이렇게 전부 펼쳐둬야 소금간 하기도 좋고 부침가루 입히기도 편하다.

IMG_4721.JPG



고기에 소금간은 구워먹을 때 부리는 정도로 솔솔 뿌리는데 소금간 딱 맞히기가 어려울 때는 일단 계란물에 소금간을 하지 않고 한 번 부친 다음 싱거우면 계란물에 소금간을 약간 해서 입맛에 맞춘다.

계란에 소금간을 많이 하면 소금이 가라앉아서 갈수록 짜지니까 그냥 조금 싱겁다 싶게 만드는 편이다.

IMG_4273.JPG



IMG_4728.JPG




조리과정 자체는 아주 단순하지만 밀가루옷 입히랴, 털어서 계란물에 넣으랴, 팬에 놓은 다음에는 또 뒤집어야 하고 식용유도 중간중간 보충해야하고 또 중간중간 계란옷 부스러기가 있을 땐 팬도 한번씩 닦아줘야 하고, 중간중간 불조절도 해야하니까 나름대로 아주 바쁘다. 작은 팬에 하는 경우에는 여러번 굽는 것도 바쁘지만, 팬이 크면 또 나름대로 먼저 놓은 육전이 과하게 익을까봐 봐줘야해서 굽는 동안 신경이 계속 쓰인다. (다들 여유롭게 굽는데 저만 이런가여ㅠㅠ)

IMG_4733.JPG




IMG_4732.JPG


구운 다음에 접시에 담기 전에 식힘망에 잠깐 놓고 접시에 담으면.. 접시에 담기 전에 다 없어진다.





2. 달고기전

너무 좋아하는 달고기.. 달고기는 손질해서 팔아주시는 것이 감사하다.

필렛 하나씩 랩으로 싸서 통에 담은 다음 냉동했다가 냉장해동해서 사용한다.


생선전 이야기는 여기 https://homecuisine.co.kr/hc10/96839



달고기는 냉장해동해서 키친타올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따로 소금간을 하지는 않았다. 뿌리고 싶다면 소금이 미원이다 생각하면서 소금을 아주아주 약간만 뿌린다.

여태 여기 저기서 사보니 필렛마다 간이 상이해서 먹기 전까지는 모를 수준이다.

달고기에는 간을 안하고 계란에만 소금간을 평소처럼 하고, 완성한 달고기 전이 약간 싱거우면 그냥 먹고 너무 싱거우면 간장만 살짝 찍어 먹는데 싱거울 일이 별로 없었던 것 같다.


IMG_4417.JPG



어쨌든 수분을 제거하고 어슷하게 포를 뜬 다음

IMG_4418.JPG



부침가루 묻혀서 탈탈하고 하나씩 놓아둔다.

IMG_4421.JPG



IMG_4422.JPG




IMG_4428.JPG




계란물에 담았다가 건져서

IMG_4436.JPG




IMG_4447.JPG




예열한 팬에 기름을 두르고 달고기를 얹은 다음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우면 끝.

IMG_4438.JPG




IMG_4439.JPG




식힘망에 올려 살짝 식혀서 수분과 기름을 빼면 계란옷이 축축하지 않고 부드럽게 맛있다. (쪼끄만 돈까스망이 설거지하기 편해서 식힘망으로 자주 사용한다.)

IMG_4444.JPG






IMG_4448.JPG




IMG_4448-.jpg




IMG_3069.JPG


뽀얀 달고기가 부드럽고 촉촉하고. 좋아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3. 두부계란부침 https://homecuisine.co.kr/hc10/93111


부침용 두부는 물을 빼고 밑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하게 굽고

계란물을 뿌리고 두부를 살짝 들어서 앞뒤로 계란물이 묻게 한 다음 한 두 번 뒤집어서 굽는다.

양념장은 취향에 따라 살짝.


IMG_3477.JPG



IMG_3483.JPG




아래는 홈플 초당두부.

시장 손두부를 가장 좋아하지만 시장이 가기도 번거롭고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서 자주 사고 싶은 것에 비해 별로 사지를 못하는데 반해,  홈플 초당두부는 아무때나 사고 냉장고에 방치하기 편해서 늘 사두는 편이다. 이렇게 두부를 늘 사두다 보니까 유통기한이 살짝 지나는 일이 종종 있는데 그럴 때 두부계란부침으로 해결한다.


수분 빼고 소금간 한 두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다가

IMG_5526.JPG



계란 2~3개정도 잘 저은 다음 두부 위에 골고루 뿌린다. 사실 2개면 적당하고 3개면 욕망ㅋㅋ

IMG_5528.JPG




살짝살짝 들어가며 앞뒤로 계란물이 묻게 하고 식용유도 조금 더 뿌렸다.

IMG_5533.JPG


부침 끝.



이번엔 오이무침하고 만들고 남은 양념장을 사용했다.

오이무침도 자주 하니까 별 생각없이 고춧가루, 간장, 친수피시소스, 참기름으로 대충 만들었던 양념장이었다.

계란두부부침에 조금씩 올려서 바르듯이 문질렀?다.

쪽파나 대파, 깨를 넣으면 당연히 더 좋다.

IMG_5539.JPG





4. 계란말이들.


재료는 그냥 있는 걸로, 아무 생각 없이 막 만든다.


무쇠팬을 사용할 경우엔 예열, 불조절, 기름양 이런 생각을 하긴 하는데 이건 디폴트니까 이렇게 신경 쓰는 건 아무 생각 없는 걸로 합의봤다.


계란말이에 대한 신경씀보다는 무쇠팬 위의 계란이 얼마나 내 맘대로 잘되나 하는 신경씀이라..




운틴 미니팬중에 쪽파, 맛살 넣은 계란말이. 이건 말았다기보단 접어서 만들었다.

IMG_2675.JPG



IMG_2676.JPG



IMG_2677.JPG




다른 날. 

운틴 미니낮은팬같이 작은 팬에 꾸역꾸역 계란 6개 때려넣기.

한 뼘도 안되는 쪼끄만 팬에 계란 5~6개씩 사용하는 계란말이를 구우면 왠지 뿌듯하다ㅋㅋ


IMG_3814.JPG




IMG_3805.JPG



IMG_3808.JPG




IMG_3809.JPG



IMG_3810.JPG




그 외 여러 다른 날들.


IMG_3821.JPG



IMG_3825.JPG




IMG_3396.JPG



IMG_2217.JPG




IMG_3183.JPG



IMG_3188.JPG



IMG_3193.JPG



IMG_3196.JPG



IMG_3208.JPG



IMG_3209.JPG



IMG_3211.JPG



IMG_3217.JPG




이렇게 계란이 필요한 전을 부칠 때면 메인 요리의 느낌이 그렇게 강하지는 않은데 생색은 안나고 나름 은근 바쁘니까 다른 음식 만들기가 넘 귀칞다. 그래서 미리 만들어 둔 찌개맛된장으로 된장찌개 끓이는 일이 아주 잦다. 제일 만만하니까..


해물 넣고 끓이는 된장찌개를 더 좋아하지만 냉동실에 있던 차돌박이 넣는 게 덜 귀찮으니까 차돌된장찌개를 더 자주 만든다. 그런 평범한 된장찌개.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을 만들어두고 대충 끓인다 - https://homecuisine.co.kr/hc10/94268


IMG_474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