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5778.JPG



집에서 고로케빵을 만들려면 고로케필링 만들고 빵반죽하고 1차발효하고 분할하고 휴지하고 빚고 계란물 입혀서 빵가루 묻히고 2차발효까지 한 다음 튀겨야 하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할 일이 아주 아주 많다. 그래서 집에서 고로케 만든지 정말 오래됐다.




멘보샤나 몬테크리스토, 꽃빵튀김처럼 호빵을 그대로 기름에 넣어 튀기는 건 어떨까 하다가 찐 호빵도 튀겨보고 안 찐 호빵도 튀겨보고 온도도 조절해보는 등으로 테스트해봤다. 


그런데 이렇게 만든 호빵튀김은 맨질맨질한 윗면은 튀김을 했을 때 먹기 괜찮았지만 호빵 바닥의 종이를 떼 낸 아랫면은 기름을 꽤 많이 먹어서 좀 기름졌다. 이 부분도 조금 개선하고 싶고 호빵을 조리방법을 조금 달리 하면 어떨까 싶다가


여기 빵가루 입혀서 튀기면 고로케 되나? 번뜩 생각이 든다.

앗?? ㅋㅋㅋㅋ


그래서 해보니 야채 호빵에 빵가루옷을 입혀서 튀기면 야매고로케가 된다ㅋㅋ 근데 진짜 완전 고로케맛이다. 아니 이걸?? 아니 이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호빵에 튀김반죽을 묻혀서 빵가루만 듬뿍 잘 묻히면 되니까 고로케치고 아주아주 편하다.

준비하는 것 못지 않게 튀길 때도 편하다. 빵반죽으로 고로케를 만들 때는 빵반죽이 익도록 신경을 써야하는데 이미 다 빵이 되어있는 시판 호빵이라 빵박죽이 덜 익을 걱정이 없다.



과정이래봐야 야채호빵을 튀김반죽에 담갔다가 건지고 빵가루를 묻혀서 높지 않은 온도로 튀기는 것이 끝인데

혹시나 그래도 좀 더 맛있게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런저런 이야기를 덧붙혔다.




반죽도 발효도 빚기도 필링도 필요없이 재료는 호빵 튀김가루 빵가루 기름이 끝이다.



재료

야채호빵 6개

튀김가루 100그램

물 130그램

빵가루 넉넉히

튀김가루 넉넉히


튀김가루 반죽이 약간 남으니까 호빵 8개까지도 가능하겠다.

고로케를 튀길 땐 기름에 고로케기 둥둥 떠서 익는 것이 가장 좋기 때문에 충분히 떠오를 공간이 있도록 기름을 넉넉하게 사용한다.


호빵을 찌면 빵이 부드러워지고 겉면이 수분을 먹어서 튀김옷을 입힐때다루기에 불편하다. 

특히 바닥의 종이를 뗀 부분에 수분이 많으면 튀김기름과 밀가루반죽을 많이 먹어서 좋지 않다. 는 쪄서 튀기는 걸로 테스트 해보니 별로라는 이야기..


그래서 호빵을 데우지 않고 바로 사용한다.


호빵은 냉동했다가 해동해서 사용해도 되는데 전날 실온에 꺼내서 속까지 완전히 다 실온으로 해동되어야 한다.






1. 호빵은 찌지 않고 종이를 살살 뗀다.


2. 튀김가루에 차가운 물을 붓고 잘 젓는다.


3. 호빵을 튀김반죽에 담갔다가 스푼으로 꺼내서 튀김반죽을 주르륵 5초 정도 흘려보낸 다음 탈탈 하고 넉넉히 준비한 빵가루에 뒤집듯이 툭 얹는다.

호빵을 손으로 집어서 튀김반죽을 흘리면 집은 자리가 젖으면서 손자국이 나고 거기에 빵가루가 안묻으니까 스푼으로 건지는 것이 좋다.

튀김반죽을 흘려보내지 않으면 주르륵 흐르는 반죽이 빵가루에 딸려가서 빵가루 묻히기도 불편하고, 중요한 건 완성된 고로케의 겉이 가볍게 바삭하지 않고 묵직한 질감이 더해진다.


4. 건조 빵가루를 넉넉히 사용해서 호빵에 골고루 묻힌다.

빵가루를 묻힐 때는 윗면에도 빵가루를 듬뿍 올린 다음, 겉면을 밀듯이 다루지지 말고 토닥토닥 덮어가면서 눌러주는 느낌으로 묻힌다.

빵가루가 비는 부분이 없도록 묻어야 빵이 기름에 덜 젖는다.


5. 튀김기름은 넉넉하게 준비하고 튀김 온도는 150도 정도 높지 않은 온도로 예열한다. 

빵가루를 한두개 떨어뜨려보아서 바닥에 닿고 바로 떠오르는 정도의 온도이다. 맞추기 어중간하면 그냥 중불을 유지한다.


6. 빵가루옷을 입힌 호빵을 튀김기름에 넣고 중불로 노릇노릇하게 튀긴다.

튀김기름이 뜨겁고 호빵은 크니까 풍덩하면서 기름이 튀어 다치지 않게 조심해서 기름에 넣는다.


호빵을 넣고 난 다음에는 만지지 않고 일단 조금 익을 정도로 두었다가 한 번 뒤집는다. 겉면이 노릇노릇해져서 젓가락으로 잡아도 괜찮을 정도로 익으면 이리저리 뒤집어가면서 익힌다.


기름을 아주 많이 사용하면 필요없는 과정이지만.. 조리하는 팬의 종류에 따라 팬을 기울여서 튀김기름의 깊이를 깊게 한 다음 최대한 호빵이 기름에 둥둥 뜨도록 하면 겉면이 더 바삭바삭하게 잘 익는다.

여러번 튀길 때는 기름 속의 빵가루를 중간중간 건져주는 것이 좋다.


7. 노릇노릇한 고로케를 건진 다음에는 식힘망에 잠깐 얹어서 수분과 기름을 빼고 살짝 식혀서 더 오래 바삭바삭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1. 야채호빵ㅋㅋ

IMG_5729.JPG




IMG_5730.JPG




2. 3.

IMG_5736.JPG



주르륵

IMG_5744.JPG




4 숟가락을 뒤집어서 빵가루에 팡 떨어뜨린다

IMG_5743.JPG



밀지말고 토닥토닥

IMG_5742.JPG




IMG_5748.JPG




5.

IMG_5749.JPG



6.

IMG_5751.JPG




IMG_5752.JPG




IMG_5756.JPG




IMG_5757.JPG



7.

IMG_5759.JPG




IMG_5764.JPG




완성.

IMG_5769.JPG



IMG_5772.JPG




IMG_5778.JPG




IMG_5781.JPG



속이 뜨거우니까 살짝 식혀서 먹는 것이 좋다. 일반 고로케보다 두터운 편이라 반으로 갈라서 먹는 것이 먹기 편하다.



호빵인 걸 잠깐 잊을 정도로 영락없이 바삭바삭한 갓 튀긴 고로케 그대로이다. 

미리 준비한 것 하나 없이 넘 편하게 만들었는데 고생해서 만든 고로케맛이 나니까 먹으면서 완전 뿌듯ㅋㅋ






  • 무민 2020.12.22 07:04
    와 윤정님 진짜 천재세요
    다른 어떤 손이 많이 가고 맛있는 음식 하셨을 때보다 더 뿌듯하셨을 것 같아요 ㅎㅎㅎ
    전 저렇게 기름에 통째로 튀기는 음식을 한번도 해본적이 없는데, 저것만은 도전해보고 싶어요!
  • 이윤정 2020.12.24 04:07
    고로케가 사먹으면 맛있다 그러고 마는데 만들어 보면 진짜 고로케 먹자고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싶거든요.
    그런데 그 모든 과정을 생략하고 튀김만 하면 된다는 게 얼마나 날로 먹는 느낌인지요ㅎㅎㅎ

    원래 날로 먹는 게 제일 맛있잖아요ㅎㅎㅎ 입맛에 맞으셨음 좋겠어요^^
  • 레드지아 2020.12.23 15:08

    고로케 좋아하는데 진짜 엄두가 안나서 항상 사먹었거든요

    호빵을 이렇게 튀기면 되다니!!! 신기해라!! 왜 전 이런 생각을 못했을까요!!! +_+ 역시 윤정님은 천재셔요!!!!!

  • 이윤정 2020.12.24 04:13
    빵집 고로케 말고 고로케집(?)에서 고로케 갓 튀긴 게 진짜 맛있는데 제가 이런 고로케를 먹으러 부평시장이랑 영도 두 군데를 다녀요ㅎㅎ
    근데 두 곳 다 영업시간이 짧아서 먹고싶다 싶을 때 가서 먹을 수가 없거든요ㅠㅠ
    그런데 이렇게 팍 떠올라서 호빵고로케 만들어보니까 언제나 해먹을 수 있어서 마음의 여유가 생겨요ㅎㅎㅎ
  • Enomis 2020.12.24 00:57

    평소에 워낙 부지런하시니 이런 꼼수를 발견하셨을 때 더 기쁘실 거 같아요.

    그나저나 몇 달 전에 윤정 님 글을 보고 솔리드테크닉스 뽐뿌가 와서 3일 동안 심도 깊은 고민을 하다가 결국 안 샀는데,

    굉장히 멋스러운 검은색으로 변해있는 모습을 보니 다시 또.... 후...

     

  • 이윤정 2020.12.24 04:18

    맨날 귀찮다는 말을 달고 다니다 보니까 가끔 이렇게 얻어걸리는데 부지런하게 봐주시니 감사합니다ㅎㅎㅎ
    솔테는 저는 아직까지는 추천드리지 않아요. 몇 번만 사용해도 잘 다뤄서 잘 쓰시는 분도 계신데 저는 내공이 부족해서 그런지 아직도 잘 못다뤄서요ㅠ
    지금 저희집 솔테 상태는 마음에 확 드는건 아니고.. 튀김용 철팬으로 사용하기는 적당해서 구매한 걸 후회하지는 않을 정도에요^^;
    많이 사용하다보면 코팅팬 못지 않게 맨들맨들해진다는데 저희집 솔테는 아직 멀은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2 김치, 장아찌, 무침 껍데기집 대파절임, 친수 대파무침, 대패뒷고기, 계란볶음밥 재작년에 처음 올렸던 대파절임 https://homecuisine.co.kr/hc10/87636 인데 이번에는 하인즈 올내츄럴 화이트 비네거를 사용해서 산도를 약간 낮추고 피시소스를... 4 file 이윤정 2021.05.29 5994
1001 반찬 오이무침, 간단 오이김치 오이가 많이 생겨서 오이소박이를 할까 하다가 부추나 당근 등 부재료도 없고 찹쌀풀 만들기도 귀찮고 오이무침과 오이소박이의 중간정도 느낌으로 만들었다. 오... 4 file 이윤정 2021.05.27 9823
1000 밥류 김밥 재료, 만들기 유부와 부추가 들어가는 김밥을 좋아하는데 부추 사와서 씻고 데치기도 귀찮고 냉동유부 사와서 씻고 졸이기도 귀찮아서 안하고 버티다가 이번에 드디어 둘 다 사... 2 file 이윤정 2021.05.20 6674
999 국 찌개 가지강된장, 조림맛된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양념 이야기. 조림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은 내용은 별 거 없고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마늘, 대파, ... file 이윤정 2021.05.17 5804
998 일상 참치 야채 비빔밥 처음 참치 생야채 비빔밥을 먹었던 것이 2000년도 학교식당이었는데 그 때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라 우리집에서는 아직도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다. 여러번 ... file 이윤정 2021.05.16 8742
997 국 찌개 소고기 된장찌개, 차돌된장찌개, 찌개맛된장 여태 자주 올렸던 찌개맛된장은 여전히 집에 상주하고 있다. 찌개맛된장은 분량대로 만들어서 1~2주 정도 냉장실에서 숙성한 다음 그 이후로는 냉동보관해서 사용... file 이윤정 2021.05.10 8024
996 국 찌개 소고기뭇국, 맑은 소고기 무국 매번 얼큰한 소고기뭇국만 만들다가 오랜만에 맑은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처음에는 이대로 슴슴하게 먹고, 다음에는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서 데워 먹었다. 습관 ... 2 file 이윤정 2021.05.06 5580
995 반찬 가지볶음 만들기, 레시피 가지는 가지에 소금을 약간만 뿌려서 절인 다음 물기를 닦고 밀가루옷을 입혀서 굽거나 튀기는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는 이탈리안음식이나 중국음식에 아주 잘 어... 4 file 이윤정 2021.04.30 8207
994 전골 탕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14 file 이윤정 2021.04.27 11607
993 한접시, 일품 납작당면 잡채 잡채를 만들려고 재료준비를 하는데 집에 늘 있는 자른당면이 하필 없는 날이었다. 당면 사러 나가기도 귀찮고 해서 당장 있는 납작당면으로 잡채를 만들었다. 몇... 4 file 이윤정 2021.04.22 8169
992 김치, 장아찌, 무침 보쌈무김치 레시피 오랜만에 올리는 보쌈무김치. 그동안 약간의 레시피 변화가 있었다. 수육이나 수육에 곁들이는 채소무침, 양념새우젓, 찍된장 등을 올리면서 다음에 보쌈무김치를... 4 file 이윤정 2021.04.19 8307
991 고기 소고기 등심 구매한 이야기 미트박스에서 돼지고기는 흔하게 사지만 소고기는 판매단위가 커서 꾸리살 정도만 샀었다. 다음으로 국거리인 양지를 12키로 사보고 이번에는 소고기 등심 차례. ... 8 file 이윤정 2021.04.17 7827
990 국 찌개 소고기 미역국, 양지 미역국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소고기미역국... 4 file 이윤정 2021.04.15 11720
989 고기 액젓 돼지불고기, 간단 돼지불고기, 액젓불고기 전에 간단소불고기를 올렸을 때 간을 간장으로만으로 한 것도 올리고 친수피시소스랑 반반으로 한 것도 올렸었고.. 가장 최근에 올린 간단 돼지갈비 https://home... 8 file 이윤정 2021.04.13 7306
988 반찬 부드러운 계란찜 푸딩같은 질감의 부드러운 계란찜. 이런 식감의 계란찜을 하려면 냄비나 그릇을 여럿 사용해야 하고 찜기도 꺼내야 하는데 계란찜 하나 만들자고 하기에는 함께 ... 4 file 이윤정 2021.04.10 10916
987 김치, 장아찌, 무침 물없이 만드는 양파장아찌 ㅡㅡㅡㅡㅡㅡㅡ잡담 패스 재료로 ㄱㄱ ㅡㅡㅡㅡㅡㅡㅡ 햇양파가 제철이라 양파장아찌 만들기 아주 좋다. 수도 없이 만들어 먹는 양파장아찌라 이전에 올린 양파장... 4 file 이윤정 2021.04.09 20558
986 일상 김치찌개 아무 생각 없이 눈감고 만드는 게 김치찌개와 된장찌개인데 김치찌개는 잘 익은 묵은지만 있으면 끝이고 된장찌개는 찌개맛된장을 물에 대충 풀면 끝이다. 그래서... 1 file 이윤정 2021.03.27 7180
985 전골 탕 낙곱새 양념으로 닭곱새 낙곱새의 낙지 대신 닭다리살을 넣어서 만들었다. 낙곱새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https://homecuisine.co.kr/hc10/100384 여태 낙곱새양... 1 file 이윤정 2021.03.25 12243
984 한접시, 일품 찜닭 아주 오랜만에 올리는 찜닭. 보통 닭도리탕용 닭을 사용하지만 우리집에서는 손질하기 편한 닭다리를 주로 사용한다. 닭다리는 깨끗하게 씻은 다음 데치거나 구워... 3 file 이윤정 2021.03.22 8719
983 반찬 친수두부부침, 액젓두부부침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 4 file 이윤정 2021.03.20 7574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