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편하게 자주 해먹는 라면전골.

해먹는 횟수에 비해 많이 자제하면서 가끔 올리고 있다.



라면은 어떻게 해도 라면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재료를 준비한 딱 그만큼 더 맛있다.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에 넣으나 하는 일은 거기서 거긴데, 육수 만드는 수고를 조금 줄여준다 생각하면 간단하고 가볍게 해먹기 좋다.




재료

물 1.1리터

장칼국수라면 2개

다진마늘 1스푼

후추 약간

고운고춧가루 0.5스푼 (생략가능)

고추기름 1스푼 (생략가능)


알배추 6잎

대파 흰부분 1대

팽이버섯 1봉투

샤브샤브용 소고기 500그램

떡국떡 100그램


밥, 대파(부추), 계란, 김가루, 참기름, 후추


겨자간장으로

물 1티스푼+연겨자 1티스푼
물 1.5스푼
간장 2스푼
식초 2스푼

설탕 1스푼


라면은 좋아하는 걸로 아무거나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장칼국수라면을 사용했다. 장칼국수라면은 건더기 스프에 김가루가 들어있어서 전골에 어울리지 않으니까 건더기스프는 사용하지 않았다. 라면이름이 장칼국수인데 스프가 그렇게 찐하지 않아서 간을 좀 하는 것이 좋았다. 면은 칼국수사리 느낌이 나서 마음에 들었다.


라면 스프 2개에 고기와 채소, 버섯도 넉넉하게 넣어서 만드니까 보통 라면 간보다 약간 싱거운데, 보통 라면 정도의 짠맛을 좋아하면 간장을 1티스푼 정도 넣어 간을 맞추면 적당하다.

채소나 버섯은 있는 걸로 더 준비해도 좋고, 만두를 2~4개 정도 넣어도 좋다.

만두를 넣을 경우에는 미리 해동해서 넣어야 하고, 최대 3~4개정도만 넣는다. 2개면 적당하다.

라면사리는 남은 국물 양에 따라 두 개 다 사용하든지 하나만 사용하든지 한다.




1. 샤브샤브용 고기와 채소, 겨자간장, 밥, 계란 등 재료를 준비한다.

알배추와 대파는 반으로 썰어서 먹기 좋은 크기로 썰고 팽이버섯은 밑동을 잘라서 한 번 헹궈서 준비한다.

겨자간장을 만들 때는 먼저 연겨자에 물을 약간 붓고 잘 으깨가며 푼 다음 나머지 재료를 넣고 저어서 설탕을 녹여서 준비한다.

겨자간장에 후추나 다진마늘을 약간 넣어도 좋다.


2. 물에 라면스프를 넣고 다진마늘 약간 넣고 끓인다.

취향에 따라 고추기름이나 고춧가루, 후추를 약간 추가한다.


3. 끓으면 채소를 넣고 만두나 떡국떡을 넣을 경우에는 이때 같이 넣는다.


4. 채소가 적당히 익으면 샤브샤브용 고기를 넣고 익힌다. 먹으면서 추가로 더..


5. 채소와 고기 등을 건져서 겨자간장을 살짝 뿌려 먹는다. 


6. 상태에 따라 물을 조금 추가한 다음 간을 보고 간장으로 약간 심심하게 맞춘다. 여기에 라면사리를 넣고 4분정도 끓인다.

전골이 남은 상태를 보고 라면사리 넣을 갯수를 정한다.

고기와 채소에서 나온 맛있는 맛이 라면국물과 어우러져서 이 국물에 끓인 라면도 당연히  맛있다.


7. 마지막으로는 밥을 넣고 잘 저어가면서 밥이 푹 퍼지도록 끓인 다음 다진 대파와 계란을 넣고 잘 저어서 끓이고 김가루를 넣어서 간을 맞춘다. 불을 끄고 후추와 참기름약간 넣는다. 면에도 죽에도 겨자간장을 살짝 뿌려서 먹으면 더 맛있다.





1. 재료준비

IMG_3994.JPG




IMG_5010.JPG




IMG_5011.JPG



IMG_5012.JPG



겨자간장 준비

IMG_5395-.jpg



IMG_5205.JPG



2. 물에 라면스프 넣고 양념을 조금 더 해서 끓이기

IMG_5390.JPG



3. 끓으면 채소 넣고

IMG_5392.JPG




IMG_5394.JPG



4. 고기 넣고

IMG_5399.JPG




IMG_5402-.jpg



5. 앞접시에 건져서 겨자간장 살짝.

IMG_5404.JPG



고기추가

IMG_5405.JPG



라면 넣기 전에 국물의 상태나 간을 봐서 물을 추가하거나 한다. 필요하면 간장으로 간을 맞추기도 하고, 남은 라면스프나 덕용 라면스프를 약간 넣어서 간을 맞추기도 한다.

라면 넣고 사리 타임.

IMG_5409.JPG



마지막으로 죽 타임

IMG_5414.JPG




IMG_5416.JPG




IMG_5424-.jpg

다 맛있지만 역시 전골의 소울인 죽이 제일 맛있는 것 같다.




라면에 고기, 채소, 밥만 있으면 어떤 전골요리보다 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닭고기 씻고 삶아서 뼈 바르고 닭한마리도 해먹고, 사태 푹 삶아서 수육전골도 해먹고 난 다음에 라면전골을 해먹어보면 만들기는 훨씬 훨씬 편한데 맛은 비슷한 급이라서 과거의 고생이 살짝 후회되기도 한다. 그래도 집밥 메뉴가 다양하면 좋고 닭고기도 소고기도 골고루 먹으면 좋으니까.. 하고 정신승리ㅋㅋ





  • 레드지아 2020.12.15 13:32

    뭐든지 마지막은 국수와 죽이(내지는 볶음밥) 화룡점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위장은 c드라이브와 d드라이브처럼  나뉘어져 있으니까요!!!

    장칼국수라면은 사먹어본지 꽤 오래되었네요. 윤정님이 올리신건 다 좋아보이니 저도 장칼국수라면을 사보는걸로 따라쟁이 시작해봅니다 ㅎㅎ

     

    재료도 크게 어려울거 없이 동네마트엔 다 파는거고 만드는것도 번거롭지 않은거 같아서 해볼 의향이 마구마구 들어요 ^^

    확실히 겨울엔 이렇게 뜨끈한게 최고예요!!!!

  • 이윤정 2020.12.16 04:37
    겨울은 정말 전골의 계절이죠ㅎㅎ
    특히 라면전골은 육수는 라면스프가 다 하는거고 재료만 준비하면 엄청 편하기도 하고요.
    그런데 조금만 더 공들이면 라면없이도 또 맛있다는 점이 약간 아이러니해요ㅎㅎ

    전골에 사리에 죽까지 먹으려면 그정도 드라이브는 기본으로 필요한 것 같아요ㅎㅎ
    장칼국수라면은 스프는 보통이고 제 취향에 면은 좋았어요. 다음에 또 살 지 생각한다면 아주 막 사고 싶지는 않지만 한 두 번은 더 살 것 같아요^^
  • 레니몬니 2020.12.20 06:38
    우와..
    요즘같이 추운 겨울에 먹기 너무 좋을거 같아요
    요즘 너무 날씨가 스산하다고 해야할까요?ㅠㅠ
    칼날스치듯 바람이 서늘하고.. ㅠㅠ 빨리 겨울이 지나갔으면 좋겠어요 ㅠ
    정말 요런 날씨에 딱!! 이네요 ㅎㅎ
    라면을 더더 맛있게 묵는 방법..!! ♥ ♥ ㅎㅎ
    선생님도 늘 감기 조심하셔요 ㅎㅎ
  • 이윤정 2020.12.24 04:01
    저는 원래 겨울을 좋아했는데 그 이유 중에 하나가 겨울에는 이런 뜨끈한 음식이 좋아서 그랬던 것도 있어요ㅎㅎㅎ
    그래도 너무 춥고 스산한데다가 요즘 코로나때문에 연말 분위기도 착 가라앉아서 다들 빨리 힘든 시기가 지나갔으면 하는 바람이 큰 것 같아요.
    레니몬니님도 늘 감기조심하시고 조용한 와중에도 즐거운 연말 보내시길 바랄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4 일상 육전, 생선전, 두부계란부침, 계란말이들 만만하게 자주 만드는 반찬 중에 결이 비슷한 육전, 생선전, 두부 계란 부침, 계란말이들. 주재로 하나만 준비하고 계란만 몇 개 깨뜨리면 되니까 재료준비하는데... 6 file 이윤정 2020.12.25 4014
963 한접시, 일품 야채호빵으로 만드는 호빵고로케 집에서 고로케빵을 만들려면 고로케필링 만들고 빵반죽하고 1차발효하고 분할하고 휴지하고 빚고 계란물 입혀서 빵가루 묻히고 2차발효까지 한 다음 튀겨야 하는... 6 file 이윤정 2020.12.22 8296
962 고기 등심덧살구이, 파절이 양념, 소스 한동안 비쌌던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하락세이다가 요즘 저점을 찍어서 항정살, 등심덧살(가브리살), 갈매기살 등 특수부위를 사기에도 좋은 시기가 됐다. 요즘처... 2 file 이윤정 2020.12.19 4870
961 일상 2020. 12 일상 (스압) 오랜만의 일상인데 제목은 일상이고 그냥 단독으로 올릴 것 없는 자투리 사진들이다. 밥상 사진 잘 찍으려면 감각도 좋고 부지런하기도 해야하는데 부지런은 글렀... 8 file 이윤정 2020.12.14 4723
» 전골 탕 라면전골 편하게 자주 해먹는 라면전골. 해먹는 횟수에 비해 많이 자제하면서 가끔 올리고 있다. 라면은 어떻게 해도 라면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재료를 준비한 딱 그만큼... 4 file 이윤정 2020.12.12 10417
959 일상 고구마칩 옆지기 최애 간식인 고구마. 고구마로 만든 건 다 좋아해서 매년 고구마를 박스로 몇 번 사지만 고구마를 튀기는 것은 귀찮아서 자주 안했었다. 그런데 요즘 튀김... 6 file 이윤정 2020.12.10 3000
958 전골 탕 낙곱새양념으로 관자 곱창 소고기 낙곱새의 신기한 점은 낙곱새 양념과 소기름이 적당히 들어가기만 하면 낙지, 곱창, 새우가 전부 다 안들어가도 낙곱새맛이 나는 것이다. 이번에는 구이용 소고기... 2 file 이윤정 2020.12.09 3851
957 반찬 참치쌈장 양배추쪄서 쌈 싸먹으려고 양배추를 찌면서 양념장을 뭘할까 하다가 참치쌈장을 만들었다. 맛된장으로 만든 참치쌈된장을 https://homecuisine.co.kr/hc10/89092 ... 2 file 이윤정 2020.12.07 4162
956 국 찌개 갈매기살로 돼지고기 김치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는 제목대로 돼지고기와 김치가 다 하는 거니까 잘 익은 묵은지와 맛있는 돼지고기만 있으면 무조건 맛있는 김치찌개가 된다. 김치찌개에 돼지... 2 file 이윤정 2020.12.04 6179
955 고기 간단 돼지갈비 제목은 간단인데 내용은 구구절절 주의 간단 돼지갈비. 지난 몇 년 간 대량 레시피에 신경을 많이 썼었는데 대량으로 만드는 것에 익숙해질수록 간단하게 만드는 ... 4 file 이윤정 2020.11.30 6688
954 전골 탕 닭한마리 만들기, 레시피 닭한마리. 유명한 음식이라 말할 것도 없지만 굳이 이야기하자면 닭고기 한마리를 삶고, 육수에 감자, 대파, 떡 등의 채소를 넣고 닭고기를 적당히 분리해서 함께... 6 file 이윤정 2020.11.28 15454
953 한접시, 일품 숯불양념치킨, 지코바 양념 레시피 직화로 구운 닭고기와 매콤달콤찐득한 소스를 한 번 더 굽는 숯불양념치킨. 숯불 대신 토치를 사용했다. 불맛을 입은 바베큐양념치킨의 맛이 맛있다. 남은 양념에... 9 file 이윤정 2020.11.26 29548
952 전골 탕 곱창전골 레시피 작년에 곱창전골을 올린 이후로 유명하다는 곱창전골집을 몇 군데 더 다녀봤는데 좋은 곳도 있었고 기대보다 덜 좋은 곳도 있었다. 평소에 만들던 대정양곱창 스... 4 file 이윤정 2020.11.24 8920
951 한접시, 일품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 만들기, 레시피 짭조름 달달한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스타일로 만들었다. 교촌치킨 스타일의 간장치킨을 만들어보면서 교촌치킨의 특징적인 부분은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 4 file 이윤정 2020.11.21 21820
950 국 찌개 고등어조림 칼칼하면서 단맛이 슬쩍 도는 고등어조림. 고등어 기름이 국물에 스며 고소하고 뽀얀 고등어까지 다 맛있다. 고등어조림이라기보다는 '고등어 찌진거'가 더 익숙... 2 file 이윤정 2020.11.20 6049
949 고기 당면사리를 넣은 촉촉한 제육볶음 제육볶음을 바특하게 할 때는 고기와 채소를 먼저 따로 굽고 양념을 넣어서 수분이 없도록 하는데 어떨 땐 촉촉한 제육볶음이 땡길 때도 있다. 돼지고기에 제육볶... 2 file 이윤정 2020.11.17 7227
948 한접시, 일품 잡채 맨입에 먹기 적당한 간으로 만드는 잡채. 매번 올리는 레시피와 대동소이한데 이번에는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사용했다. 소고기는 얇은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따로 ... 2 file 이윤정 2020.11.15 4562
947 김치, 장아찌, 무침 미니오이로 오이소박이 미니오이의 제철은 5~10월인데 그동안 미니오이를 수도 없이 샀었다. 그러는 동안 오이소박이도 했었는데 제철이 끝나고 이제야 정리해서 올린다. 올해는 미니오... 2 file 이윤정 2020.11.12 4304
946 일상 고구마튀김 튀김은 오징어튀김을 가장 좋아하지만 가족 취향을 반영해서 가장 자주 만드는 튀김이 고구마튀김인데 그냥 뭐 고구마에 튀김가루가 끝이라 하도 쓸 말이 없어서 ... 4 file 이윤정 2020.11.12 3320
945 한접시, 일품 오리주물럭, 오리불고기, 양념, 레시피 생오리슬라이스를 닭갈비양념장에 무쳐서 기름이 빠지는 불판에 매콤하게 구워서 먹는 오리주물럭. 미리 만들어 둔 닭갈비양념장을 사용한다. https://homecuisin... 2 file 이윤정 2020.11.11 7106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