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4767.JPG




미니오이의 제철은 5~10월인데 그동안 미니오이를 수도 없이 샀었다.

그러는 동안 오이소박이도 했었는데 제철이 끝나고 이제야 정리해서 올린다.

올해는 미니오이가 끝났지만 내년에 미니오이가 나면 만들어먹기 좋겠다. (라고 할 거면 왜 지금 올리는거..)



오이는 요즘은 따로 제철이 없으니까 1년 내내 오이소박이를 가볍게 만들기 괜찮다.

일반 오이로 환산할 때는 8개정도 사용하면 적당하다. (너무 굵지 않은 오이로 1~1.2키로)


미니오이가 원래 일반오이보다 더 아삭한 질감이고 오이의 향이 강해서 맛이 옅은 오이보다 상큼한데 이 오이로 오이소박이를 담으면 오이소박이의 맛과 향이 한층 더 좋다.


전에는 오이소박이를 할 때 원형으로 자르고 소를 채워서 한입에 먹기 좋도록 했는데 미니오이는 작아서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없기도 하고 오이물김치도 해보니 김치소를 잡아주는 한입 방식은 김치소를 더 꽉 잡아줘야하는 오이물김치에 더 알맞은 것 같아서 오이소박이는 편하게 십자로 칼집을 넣어서 만들었다. 먹기 좋고 꼼꼼하게 만들자면 원형으로 자르고 소를 채우는 것도 좋다.

한입에 들어가지 않는, 십자로 자른 오이소박이라서 한입에 먹기 좀 큼직하니까 밥상에 올릴 때는 가위를 사용해서 반으로 잘라 접시에 담아 밥상에 올리면 한입에 먹기 편하다.




오이 절임물을 7%소금물로 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담자마자는 약간 싱겁게 느껴질 수 있는데 3일정도 익혀서 먹어보면 싱겁지 않고 매콤짭짤하게 밥반찬으로 먹기 적당해진다.



재료


미니오이 20개 (1~1.2키로)
미니오이가 잠길 정도의 물 + 소금 7%

진한 육수 100미리 + 찹쌀가루 1스푼
고춧가루 5스푼  (38그램)

고운고춧가루 1.5스푼 (12그램)
다진마늘 2.5스푼 (50그램)
다진생강 1티스푼 (5그램)
새우젓 1.5스푼 다지기 (30그램)
까나리액젓 2스푼 (30그램)

조청 1스푼 (25그램)

부추 1줌 (80그램)

쪽파 반줌 (50그램)



오이는 단단하고 색깔이 선명하면서 씨부분이 너무 굵지 않은 것으로 고른다.

가시가 있는 오이는 가시가 바삭바삭하게 서 있는 것을 구매한다.

오이속의 씨가 하나하나 존재감이 있는 오이라면 오이씨부분을 적당히 제거하고 만드는 것이 먹기 좋다.

까나리액젓 대신 피시소스를 사용했다.



1. 미니오이는 씻어서 양 끝을 약간 잘라서 준비한다.

오이가 잠기도록 물을 붓고 오이를 건진 다음 물의 양을 잰다. 물의 양x7.7%로 계산해서 소금을 넣어 7%소금물을 만든다.

오이를 건진 다음의 물이 1300미리인데 소금 100그램 넣고 녹인 다음 여기에 오이를 다시 넣고 4~5시간이상 절인다.


2. 진하게 우린 멸치황태육수에 찹쌀가루를 넣고 날가루가 없도록 잘 저은 다음 전자렌지에 20초+20초+10초+10초+10초+10초+10초로 중간중간 꺼내서 저어가며 총 1.5분간 돌려 찹쌀풀을 만든다.


3. 찹쌀풀을 식힌 다음 고춧가루와 다진마늘, 다진생강, 다진새우젓, 액젓, 조청을 넣고 잘 젓는다.


4. 부추와 쪽파를 2센치정도 길이로 썰어 김치양념에 넣고 저은 다음 부추와 쪽파의 숨이 죽고 고춧가루가 불도록 2~3시간 둔다.


5. 절인 오이는 겉면의 물기를 닦은 다음 반으로 자르고 십자로 아랫쪽까지 칼집을 낸다.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하려면 동그랗게 자르고 칼집을 내서 김치양념을 채운다.


6. 칼집 사이에 김치양념을 꼼꼼히 채워 넣고 겉면에는 가볍게 양념을 바른다.

*굳이 바르지 않아도  만들다보면 김치양념이 오이소박이의 겉면을 살짝 스쳐간다.


7. 높이가 맞는 그릇에 담아서 3~4시간정도 실온에 두면 숨이 더 죽어서 공간이 생기는데 조금 더 빼곡하게 담은 다음 그동안 자박해진 김칫국물을 끼얹어서 김치에 공기가 최대한 덜 닿도록 해서 누르고 뚜껑을 닫아 냉장보관한다.




1.

IMG_4638.JPG



오이가 잠기도록 물붓고

IMG_4640.JPG



오이를 건진 다음 그 물의 양을 봐서 소금물을 만든다.

미리 7%소금물을 1.5리터정도 넉넉하게 만들어서 오이에 부으면 편하다.

IMG_4647.JPG



보통 김치의 주재료는 10%소금물에 절이고 필요시 추가로 소금을 더 뿌리기도 한다.

그런데 오이를 썰지 않은 상태로 절이는 것과 7%소금물으로 절이는 것 두 요소가 전부 절이는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4~5시간정도 절여야 적당하다.

IMG_4676.JPG




2. 진하게 우린 멸치황태육수에 찹쌀가루를 넣고 날가루가 없도록 잘 저은 다음

IMG_4628.JPG



전자렌지에 20초+20초+10초+10초+10초+10초+10초로 중간중간 꺼내서 저어가며 총 1.5분간 돌려 찹쌀풀을 만든다.

금방금방 상태가 변하니까 숟가락 하나 들고 전자렌지앞에 서서 10~15초 간격으로 꺼내서 젓고 넣고를 반복하면 찹쌀풀이 편하게 완성된다.

전자렌지 출력에 따라 시간이 조금 더 걸리거나 단축될 수 있다.

IMG_4630.JPG






3. 찹쌀풀을 식힌 다음 고춧가루와 다진마늘, 다진생강, 다진새우젓, 액젓, 조청을 넣고 잘 젓는다.


IMG_4653.JPG



IMG_4657.JPG



IMG_4659.JPG




4. 부추와 쪽파를 2센치정도 길이로 썰어 김치양념에 넣고 저은 다음 부추와 쪽파의 숨이 죽고 고춧가루가 불도록 2~3시간 둔다.

IMG_4662.JPG



IMG_4667.JPG



IMG_4669.JPG



IMG_4671.JPG



IMG_4673.JPG



3시간정도 지나니 쪽파와 부추가 어느 정도 숨이 죽어서 오이에 채워넣기 편하게 되었다.

IMG_4680.JPG




5. 절인 오이는 겉면의 물기를 닦은 다음 반으로 자르고 십자로 아랫쪽까지 칼집을 낸다.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하려면 동그랗게 자르고 칼집을 내서 김치양념을 채운다.

IMG_4676.JPG



IMG_4678.JPG





IMG_4682.JPG





IMG_4688.JPG



IMG_4687.JPG




IMG_4683.JPG




IMG_4692.JPG





6. 칼집 사이에 김치양념을 꼼꼼히 채워 넣고 겉면에는 가볍게 양념을 바른다.

*굳이 바르지 않아도  만들다보면 김치양념이 오이소박이의 겉면을 살짝 스쳐간다.

IMG_4700.JPG




IMG_4698.JPG





IMG_4703.JPG




7. 높이가 맞는 그릇에 담아서 3~4시간정도 실온에 두면 숨이 죽어서 공간이 생기는데 조금 더 빼곡하게 담은 다음 그동안 자박해진 김칫국물을 끼얹어서 김치에 공기가 최대한 덜 닿도록 해서 누르고 뚜껑을 닫아 냉장보관한다.


IMG_4710.JPG

(이 반찬통에 처음에는 5*4열로 들어갔는데 3시간정도 익히니 공간이 생겨서 5*5로 꽉 채울 수 있었다.)




3일후.

IMG_4767.JPG


가위로 한 번 잘라야 먹기 좋은 점이 조금 아쉽지만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20.11.17 11:00

    김치도 집에서 안만들면 잡혀가는줄 알았던 시절이 있었어요 ㅋㅋㅋ (왜이리 잡혀가는 일이 많은건지 ㅋㅋㅋㅋ)

    지금은 시판사먹고요

    얼마전 김장을(절임배추 10키로 ㅋ) 했는데 시판절임배추 + 시판 배추양념 샀어요 ㅋㅋ 둘다 시판 사다가 속만 바르면 되니 이거야 말로 개이득  

     

    속으로 이럴려면 왜 사서 속을 바르고 있는가..그냥 시판김치 사면 되는거 아닌가? 싶다가도

    시판김치는 특유의 들큰한 맛이 있어서 찌개 끓이면 개운하지 않잖아.. 라며 스스로를 위로했어요

     

    아무튼 매일 배추김치먹다가 윤정님의 파릇파릇 푸릇푸릇한 오이소박이 보니 우와~~~완전 맛있겠네요!!!

     

    김치 만들 생각하면 젤 먼저 찹쌀풀 쑤는게 생각나거든요 (어우..귀찮아라 ㅋㅋ)

    전자렌지를 이용한 찹쌀풀이라니!! 신박합니다!!! +_+

     

    오이소박이를 5*4열과 5*5열로 넣으시는 윤정님을 상상하니 너무 귀여우셔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윤정 2020.11.20 04:16

    김장이란 게 참 애증의 대상이죠^^;;
    저는 너무 잘 지치는 성격인데 갑자기 일정이 안맞고 절임배추가 오배송으로 오고.. 이런 이유로 김장 80키로 혼자 하게 된 다음에 김장안하겠다 마음먹었었어요. 생각만 해도ㅠㅠ
    그런데 하필 재작년에 김치냉장고 고장나서 버리고 다시 김치냉장고 들이지 않으니까 알아서 안만들도록 조절이 되더라고요ㅎㅎ
    한번씩 김치욕망?이 올라오긴 한데 가끔씩만 만들고 거의 패스하니까 세상 편해요ㅎㅎㅎ
    (늘 그냥 별 거 아닌걸로도 좋게만 봐주시니 쑥스러워서 어쩔 줄을 모르겠어요ㅎㅎㅎ 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4 일상 육전, 생선전, 두부계란부침, 계란말이들 만만하게 자주 만드는 반찬 중에 결이 비슷한 육전, 생선전, 두부 계란 부침, 계란말이들. 주재로 하나만 준비하고 계란만 몇 개 깨뜨리면 되니까 재료준비하는데... 6 file 이윤정 2020.12.25 4014
963 한접시, 일품 야채호빵으로 만드는 호빵고로케 집에서 고로케빵을 만들려면 고로케필링 만들고 빵반죽하고 1차발효하고 분할하고 휴지하고 빚고 계란물 입혀서 빵가루 묻히고 2차발효까지 한 다음 튀겨야 하는... 6 file 이윤정 2020.12.22 8296
962 고기 등심덧살구이, 파절이 양념, 소스 한동안 비쌌던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하락세이다가 요즘 저점을 찍어서 항정살, 등심덧살(가브리살), 갈매기살 등 특수부위를 사기에도 좋은 시기가 됐다. 요즘처... 2 file 이윤정 2020.12.19 4870
961 일상 2020. 12 일상 (스압) 오랜만의 일상인데 제목은 일상이고 그냥 단독으로 올릴 것 없는 자투리 사진들이다. 밥상 사진 잘 찍으려면 감각도 좋고 부지런하기도 해야하는데 부지런은 글렀... 8 file 이윤정 2020.12.14 4723
960 전골 탕 라면전골 편하게 자주 해먹는 라면전골. 해먹는 횟수에 비해 많이 자제하면서 가끔 올리고 있다. 라면은 어떻게 해도 라면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재료를 준비한 딱 그만큼... 4 file 이윤정 2020.12.12 10417
959 일상 고구마칩 옆지기 최애 간식인 고구마. 고구마로 만든 건 다 좋아해서 매년 고구마를 박스로 몇 번 사지만 고구마를 튀기는 것은 귀찮아서 자주 안했었다. 그런데 요즘 튀김... 6 file 이윤정 2020.12.10 3000
958 전골 탕 낙곱새양념으로 관자 곱창 소고기 낙곱새의 신기한 점은 낙곱새 양념과 소기름이 적당히 들어가기만 하면 낙지, 곱창, 새우가 전부 다 안들어가도 낙곱새맛이 나는 것이다. 이번에는 구이용 소고기... 2 file 이윤정 2020.12.09 3851
957 반찬 참치쌈장 양배추쪄서 쌈 싸먹으려고 양배추를 찌면서 양념장을 뭘할까 하다가 참치쌈장을 만들었다. 맛된장으로 만든 참치쌈된장을 https://homecuisine.co.kr/hc10/89092 ... 2 file 이윤정 2020.12.07 4162
956 국 찌개 갈매기살로 돼지고기 김치찌개 돼지고기 김치찌개는 제목대로 돼지고기와 김치가 다 하는 거니까 잘 익은 묵은지와 맛있는 돼지고기만 있으면 무조건 맛있는 김치찌개가 된다. 김치찌개에 돼지... 2 file 이윤정 2020.12.04 6179
955 고기 간단 돼지갈비 제목은 간단인데 내용은 구구절절 주의 간단 돼지갈비. 지난 몇 년 간 대량 레시피에 신경을 많이 썼었는데 대량으로 만드는 것에 익숙해질수록 간단하게 만드는 ... 4 file 이윤정 2020.11.30 6688
954 전골 탕 닭한마리 만들기, 레시피 닭한마리. 유명한 음식이라 말할 것도 없지만 굳이 이야기하자면 닭고기 한마리를 삶고, 육수에 감자, 대파, 떡 등의 채소를 넣고 닭고기를 적당히 분리해서 함께... 6 file 이윤정 2020.11.28 15454
953 한접시, 일품 숯불양념치킨, 지코바 양념 레시피 직화로 구운 닭고기와 매콤달콤찐득한 소스를 한 번 더 굽는 숯불양념치킨. 숯불 대신 토치를 사용했다. 불맛을 입은 바베큐양념치킨의 맛이 맛있다. 남은 양념에... 9 file 이윤정 2020.11.26 29548
952 전골 탕 곱창전골 레시피 작년에 곱창전골을 올린 이후로 유명하다는 곱창전골집을 몇 군데 더 다녀봤는데 좋은 곳도 있었고 기대보다 덜 좋은 곳도 있었다. 평소에 만들던 대정양곱창 스... 4 file 이윤정 2020.11.24 8920
951 한접시, 일품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 만들기, 레시피 짭조름 달달한 허니간장치킨. 교촌치킨스타일로 만들었다. 교촌치킨 스타일의 간장치킨을 만들어보면서 교촌치킨의 특징적인 부분은 1. 매장마다 다르지만 윙은 ... 4 file 이윤정 2020.11.21 21820
950 국 찌개 고등어조림 칼칼하면서 단맛이 슬쩍 도는 고등어조림. 고등어 기름이 국물에 스며 고소하고 뽀얀 고등어까지 다 맛있다. 고등어조림이라기보다는 '고등어 찌진거'가 더 익숙... 2 file 이윤정 2020.11.20 6049
949 고기 당면사리를 넣은 촉촉한 제육볶음 제육볶음을 바특하게 할 때는 고기와 채소를 먼저 따로 굽고 양념을 넣어서 수분이 없도록 하는데 어떨 땐 촉촉한 제육볶음이 땡길 때도 있다. 돼지고기에 제육볶... 2 file 이윤정 2020.11.17 7227
948 한접시, 일품 잡채 맨입에 먹기 적당한 간으로 만드는 잡채. 매번 올리는 레시피와 대동소이한데 이번에는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사용했다. 소고기는 얇은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따로 ... 2 file 이윤정 2020.11.15 4562
» 김치, 장아찌, 무침 미니오이로 오이소박이 미니오이의 제철은 5~10월인데 그동안 미니오이를 수도 없이 샀었다. 그러는 동안 오이소박이도 했었는데 제철이 끝나고 이제야 정리해서 올린다. 올해는 미니오... 2 file 이윤정 2020.11.12 4304
946 일상 고구마튀김 튀김은 오징어튀김을 가장 좋아하지만 가족 취향을 반영해서 가장 자주 만드는 튀김이 고구마튀김인데 그냥 뭐 고구마에 튀김가루가 끝이라 하도 쓸 말이 없어서 ... 4 file 이윤정 2020.11.12 3320
945 한접시, 일품 오리주물럭, 오리불고기, 양념, 레시피 생오리슬라이스를 닭갈비양념장에 무쳐서 기름이 빠지는 불판에 매콤하게 구워서 먹는 오리주물럭. 미리 만들어 둔 닭갈비양념장을 사용한다. https://homecuisin... 2 file 이윤정 2020.11.11 7106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