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0435.JPG


정말 오랜만에 비지찌개를 끓였다.

비지는 콩을 불리고 껍질을 까서 곱게 갈아서 사용했다.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다.


속을 털어낸 묵은지와 돼지고기 다짐육으로 바특한 김치찌개를 끓이고 비지를 올려 잘 익도록 끓인다. 콩을 갈아서 비지찌개를 만들 때는 김치를 넣은 것을 좋아하는데, 김치의 산이 간수처럼 작용해서 콩물을 몽글몽글하게 만든다.



1. 콩물은 미리 갈지 않고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2. 사용하는 김치의 상태나 취향에 따라 김칫국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고 김치를 씻었다면 고춧가루를 약간 넣는다.

3.  두부나 순두부를 으깨서 넣는 것도 좋다.

4. 돼지 등뼈 등 뼛국물을 사용하는 비지찌개를 좋아하는데 뼛국물을 우리는 것이 번거로워서 편하게 시판 사골육수를 사용했다. 멸치황태육수와 사골육수를  반반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번거롭다면 한가지만 사용해도 괜찮다.




사용한 재료는 약 3~4인분으로

백태 150그램 (불리고 껍질 벗기기)

물 1컵


묵은지 400그램 (속을 털어내기)
돼지고기 다짐육 300그램
다진마늘 1스푼
대파 흰부분 1대
멸치육수 1.5컵

사골육수 1.5컵


국간장이나 액젓 또는 피시소스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말간 것을 좋아하면 생략)

간보고 필요하면 소금 약간

후추 약간



1. 콩은 상한 알곡을 골라내고 씻어서 넉넉한 물에 8시간 이상 불린다.

불린 콩은 콩 껍질 벗긴다. 취향에 따라 벗기지 않아도 괜찮지만 껍질을 벗기면 비지찌개 식감이 더 보드랍다.

콩은 미리 불리고 껍질을 까고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해도 괜찮다.

IMG_0372.JPG




2. 불리고 껍질을 벗긴 콩에 물을 1컵 붓고

IMG_0374.JPG




3. 믹서기나 블렌더로 곱게 간다. 보기에는 콩이 다 갈린 상태인 것 같아도 1분 더 골고루 갈아준다.

IMG_0378.JPG




IMG_0380.JPG



4. 비지찌개는 숟가락으로 떠먹으니까 김치는 숟가락에 올려도 부담이 없을 크기로 잘게 썰고, 돼지고기 다짐육과 김치, 다진마늘, 액젓을 냄비에 넣는다. 후추도 약간 톡톡.

IMG_0368.JPG



5. 냄비에 멸치육수와 사골육수를 붓고 끓으면 불을 줄인 다음 15분정도 김치가 투명한 느낌이  돌도록 끓인다.

IMG_0370.JPG

비지를 넣기 전에 간을 보는데 비지를 넣기 전에 간을 봐서 약간 짭짤한 정도면 적당하다. 싱거우면 국간장이나 액젓으로 간을 추가한다.




6. 여기에 대파와 비지 넣고 10분정도 중약불로 끓인다.

IMG_0389.JPG



7. 날콩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 콩물이 몽글몽글하도록  끓이는 동안 바닥에 비지찌개가 달라붙지 않고, 아래 위가 골고루 익도록 두세번 저어준다.

깊은 냄비를 사용면 좋은데 얕은 냄비를 사용했을 때는 튀김용뚜껑 등 덮어서 익히면 콩냄새도 휘발되면서 푹푹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MG_0393.JPG



IMG_0397.JPG



8. 콩물이 몽글몽글하게 다 익는 동안 비지찌개의 농도 보고 필요하면 물을 반컵 정도 넣어서 묵직한 감을 조절한다.

간보고 맨입에 먹기 좋아서 따로 더 간을 하지 않았는데 불을 끄고도 간을 봐서 부족하면 소금을 약간 넣어도 좋지만 비지찌개는 약간 싱거워야 푹푹 먹는 맛이 좋다.

불을 끄고 그릇에 담은 다음 취향에 따라 들기름이나 참기름 약간 넣어도 괜찮고 굳이 넣지 않아도 좋다.

IMG_0398.JPG



IMG_0406.JPG




IMG_0410.JPG



그릇에 듬뿍.

IMG_0419.JPG




IMG_0432.JPG




IMG_0435.JPG


찌개라고 생각하면 약간 싱거운데 맨입에 먹기 딱 좋아서 간을 추가로 하지 않았더니 짜지 않고 푹푹 떠먹기 좋다.

반찬도 밥도 없이 비지찌개만 떠먹어도 맛있다. 잘 익은 김치와 고기에 몽글몽글한 비지가 고소하니 잘 어울린다.


어릴 땐 좋아하지 않아서 잘 안먹었는데 나이먹고 나서 청국장찌개, 비지찌개 이런 음식이 입맛에 착 달라붙는다.





  • 얌냠 2020.07.25 10:56

    콩을 갈아만든 비지찌개를 처음 먹었을 때 까암짝 놀랐던 게 지금도 기억나요.

    구수함이 정말 깊은 맛이더라구요.

    겨울에 어울리는 맛이라지만, 저는 사계절 모두 비지찌개 한 숟갈 소복히 얹어 먹는걸 사랑합니다.

    윤정님 비지찌개 아름다워요!!

  • 이윤정 2020.07.27 05:17

    몽글몽클한 고소한게 넘 맛있죠ㅎㅎ
    집에서 만들기에는 콩 갈아서 콩물 거르고 남은 것을 만드는 것이 오히려 더 번거롭지 싶어요. 굳이 두부를 만들 것이 아니니까요.
    말씀대로 비지찌개는 언제나 좋지만 비지찌개 하면 겨울이미지가 있군요. 별 생각을 안하고 살아서 그런지 잘 몰랐는데 말씀 듣고 보니 깊은 겨울 밤에 잘 어울릴 것 같아요ㅎㅎ

  • 레니몬니 2020.07.31 22:56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는걸 30년동안 몰라떠요..어쩐지 비지찌개 먹고싶어서 재래시장 두부집에서 비지사다가 해먹으면 옛날에 엄마가 해준 그 맛이 안나더라구요..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근데 콩은 어떤 콩으로 사용하시는건가요??
  • 이윤정 2020.08.01 02:18

    두부집에서 사는 비지는 아무래도 콩물을 짜고 난 다음이기도 하고 콩껍질을 벗긴 것도 아니라서 콩을 갈아서 만드는 것만은 맛이 못하긴 해요. 콩은 백태 사용했는데 장단콩이나 연천콩 등 두부에 사용하는 콩은 다 좋아요^^

  • 레니몬니 2020.08.01 06:23
    너무 감샤합니당^^♥
  • 레드지아 2020.08.07 14:16

    비지찌개 만드실때도 껍질을 다 벗기시는군요!!! 와..진짜 섬세하셔요!!

    전 콩국물 만들때만 벗기고 비지찌개는 슬그머니 안벗기거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릴땐 비지찌개 꼴도 보기 싫더니 (형상도 너무 이상하잖아요????)

    나이드니 그렇게  구수하고 맛있네요 ^^

    콩은 항상 비축하고 있어서 정말 뭘 만들어 먹어야 할지 모를때 만들면 흡족하더라구요 ㅋㅋㅋ

  • 이윤정 2020.08.08 03:21
    콩껍질 벗기는 건 아무래도 성격차이인 것 같아요ㅎㅎ 저는 귀찮다 귀찮다 하면서도 못 두고 보는 것 중에 하나가 이런거거든요ㅠㅠ
    전부 다 일괄적으로 하든지 아니면 아예 안하든지 둘 중에 하나라서.. 그래서 안 해먹는 것이 좀 있어요ㅎㅎㅎ 귀찮느니 안해먹고 말지 하면서요ㅎㅎㅎ

    비지찌개 형상이 너무 이상하다니 저 빵터졌어요ㅎㅎㅎㅎㅎ 비지찌개의 형상에 대해선 지금 처음 생각해본걸요ㅎㅎㅎㅎㅎㅎ
    확실히 어릴 땐 모르다가 나이 먹고 아는 맛이 청국장 비지찌개 이런 맛인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4 전골 탕 찌개맛된장으로 곱창만두전골 찌개맛된장 만들어 둔 것으로 만두전골을 만들면서 대창을 넣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구수한 된장에 대창기름이 살짝 자글자글하니 아주 잘 어울린다. 만두전골... 4 file 이윤정 2020.09.04 4040
923 한접시, 일품 매운 돼지갈비찜 소고기 갈비찜 https://homecuisine.co.kr/hc10/94186 과 같은 양념으로, 사과와 고춧가루만 추가한 돼지갈비찜이다. 고기는 갈비찜용 돼지갈비를 사용하는데, 통... 5 file 이윤정 2020.09.01 5316
9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닭갈비양념은 늘 만들어두고(냉동보관) 순대볶음이나 백순대,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등 순대가 들어가는 음식에 잘 사용하고 있다. (닭갈비양념 - https://ho... 6 file 이윤정 2020.08.31 4336
921 한그릇, 면 잡채 기본 잡채. 여태 올린 잡채와 거의 똑같이 만들어서 레시피가 대동소이하다. 대동소동하다고 하는 게 더 맞겠지만.. 당면을 불리고, 채소와 고기를 볶고, 불린 당... 2 file 이윤정 2020.08.29 4603
920 반찬 된장오이무침, 오이무침 밥상에 채소가 없을 때 얼른 무쳐서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오이무침. 미니오이가 나는 철이면 밥상에 오이가 빠지지 않는 편이라서 오이는 무치지 않고 그냥 썰어... 2 file 이윤정 2020.08.28 3434
919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6821
918 전골 탕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 1 file 이윤정 2020.08.23 3081
917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3752
916 전골 탕 부대볶음 그냥 매번 돌아오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사골육... 6 file 이윤정 2020.08.17 4659
915 국 찌개 오이미역냉국 오이미역냉국을 좋아하긴 한데 여러모로 만들어도 별로 맛있지가 않아서 고민하다가 작년부터 분짜를 만들면서 분짜소스가 딱 냉국이다 싶어서 그때부터는 이렇게... 6 file 이윤정 2020.08.15 5265
914 반찬 대충대충 참치전 평소에 참치전을 할 때는 참치를 기름이나 참치즙을 따라 버리지 않고 캔 째로 팬에 붓고 수분이 날아가도록 볶은 다음 식히고 계란물에 볶은 참치를 넣고 한스푼... 6 file 이윤정 2020.08.14 3059
913 한그릇, 면 낙곱새양념으로 곱창순두부덮밥 바로 전에 올린 낙곱새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에 이어서낙곱새와 같은 방식으로 조리한 다음 순두부와 물전분으로 덮밥소스의 농도를 낸 다음 밥... 4 file 이윤정 2020.08.12 3519
912 전골 탕 개미집 낙곱새 만들기, 레시피 바로 전에 올린 전골다대기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에 이어서 개미집식 낙곱새 이야기를 하자면 0. 개미집 육수에는 조미료가 약간 느껴지는 맛임... 8 file 이윤정 2020.08.09 34571
911 소스 낙곱새양념, 전골다대기, 레시피 낙곱새양념 5회분. (전골다대기로도 5회인데 부대찌개 등 간이 센 전골에는 1회분의 30~50%만 사용한다.)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 8 file 이윤정 2020.08.09 15598
910 밥류 날치알 주먹밥 며칠 전 올린 알밥에 이어서 비슷한 주먹밥. 튀긴멸치와 날치알을 넣어서 톡톡하고 바삭바삭한 질감을 더했다. 알밥과 비슷한 내용이 많다. https://homecuisine.... 4 file 이윤정 2020.08.07 15902
909 한그릇, 면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 4 file 이윤정 2020.08.05 3980
908 밥류 날치알밥, 알밥만들기, 레시피 날치알밥. 세멸치 튀긴 것을 넣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더했다. 날치알밥을 하려고 드래곤볼 아니 식재료를 모으다 보면.. 날치알도 날치알 100퍼인 걸 사자니 생... 6 file 이윤정 2020.08.02 18796
907 반찬 박나물 만드는법, 나물비빔밥 바특하게 볶거나 무친 것이 아니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무나물같은 박나물이다. 박은 계절을 타는 식재료인데다가 쉽게 집에 데리고 오기 좋은 재료도 아니면서... 2 file 이윤정 2020.07.31 8134
906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5898
» 국 찌개 비지찌개, 레시피 정말 오랜만에 비지찌개를 끓였다. 비지는 콩을 불리고 껍질을 까서 곱게 갈아서 사용했다. 콩물을 짜낸 비지보다 콩을 갈아서 만든 비지찌개가 더 맛있다. 속을 ... 7 file 이윤정 2020.07.24 711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