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2013/08/12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0.JPG

 

 

 

 

 

본론에 앞서 오리백숙보다 더 맛있는 오리 소금구이와 주물럭은 아래 링크에 있다.

 

 

 

 

크기변환_DSC02074.JPG

 

오리 소금구이, 볶음밥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3597&mid=hc10

 

 

 

 

 

 

크기변환_DSC08779.JPG 

 

매콤한 오리 주물럭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13930&mid=hc10

 

 

 

 

 

 

 

본론으로 돌아와서 오리백숙 시작.

 

닭백숙보다 약간 더 까다로운 오리백숙.

오리가 닭보다 더 크기 때문에 다루기 약간 번거로운 것도 까다로운 이유일 수 있고, 향이 닭보다 강하기 때문에

핏물을 빼거나 기름을 제거하거나 한 번 데쳐내고 삶거나 약재를 미리 우려낸 물을 쓰거나 하는 방법을 한 번 더 고려해 볼만 하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질 수도 있다.

오리는 닭보다 가슴근육을 비롯한 전체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므로 육질이 어떻게 보면 질기고 어떻게 보면 쫀쫀하다.

그렇기 때문에 닭보다는 조금 더 오래 삶고, 닭보다는 조금 더 냄새 제거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오리를 손질하기 전에 백숙을 끓인 육수로 죽을 만들기 위해 찹쌀부터 먼저 불려두었다.

 

 

 

오리의 날개 끝은 먹을 부위도 아니고 기름이 많기 때문에 잘라내는데 삶을 때 핏물이 최대한 덜 배어나오도록 꺽어서 잘라내고 꽁지도 지방과 함께 잘라냈다.

오리는 기름이 많기 때문에 목이나 가슴살 꽁지부분의 지방은 거의 다 제거하고 살과 껍질과 사이사이에 있는 지방도 되도록이면 꼼꼼하게 걷어냈다.

등쪽의 껍질도 벗길까 하다가 대충 조금 남겨뒀다. 취향에 따라 완전히 껍질을 제거하는 것도 괜찮다.

이정도만 껍질,지방을 제거해도 껍질만으로도 꽤 묵직한 정도로 제거하게 됐다.

깨끗하게 씻은 다음 핏물을 30분정도 우려내고 건진 다음에 천천히 배어나오는 핏물도 닦아냈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7963.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17.JPG

 

 

껍질과 지방을 굳이 제거하지 않아도 먹을 수는 있지만 육수에 죽을 끓여 먹을 것이기 때문에

오리에서 나오는 어마어마한 양의 지방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죽을 끓여 먹기에 더 편하고 먹기 좋았다.

 

 

 

 

보통 오리백숙에는 황기, 엄나무, 오가피 외에 옷, 당귀, 두충, 헛개 등을 쓰기도 하는데

나는 친정엄마께서 주신 오가피 나무를 듬뿍 넣고, 대파, 양파, 무, 마늘을 넣어서 푹 끓여냈다.

마른 재료인 오가피 등은 향이 천천히 우러나기 때문에 미리 우려내어서 그 물을 사용하고

대파, 양파, 무, 마늘의 생재료는 미리 우릴 필요없이 최대 40분 정도 삶는 것이 그 향이 우러나기에 적절한 시간인데 덥다보니까 에라 모르겠다 하고 다 때려놓고 함께 삶았다.

오리 특유의 냄새를 최대한 제거하기에는 약재를 미리 우려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보통 닭고기는 너무 오래 삶으면 조직이 너무 연해져서 최대 1시간 정도만 삶는 것이 좋고 압력솥에 삶을 때에는 20분 정도면 충분한데

오리는 조금 오래 삶아야 특유의 쫀쫀한 맛이 적당히 먹기 좋도록 부드럽다.

 

오리가 꽤 커서 냄비에 푹 들어가지 않아 억지로 넣었더니 넘치는 것 때문에 뚜껑을 닫고 넘치는 것을 봐가면서 불조절을 하고 여러번 오가며 뒤집어가며 삶았다.

솥이 충분히 크다면 중불 정도에 뚜껑을 닫고 1시간정도 푹 삶으면 되겠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18.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19.JPG

 

 

오가피나무에 양파 1개, 마늘 7~8쪽, 대파 두어개, 무 한도막을 넣고 우리가 푹 잠기도록 물을 부은 다음 1시간 20분가량 푹 끓였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20.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21.JPG


 

초반에는 뚜껑을 열고 오리 냄새를 날리면서 반정도 삶은 다음 어느정도 익으면 뚜껑을 닫고 무르게 익혔다.

 

 

푹 익은 오리는 백숙으로 먹으려고 접시에 건져두고,

육수에 맛을 더하고 오리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넣은 재료들을 꼼꼼하게 건진 다음

두어시간 불려 둔 찹쌀을 넣고 죽을 만들기 위해 불에 올린 다음 백숙을 먹었다.

 

찹쌀은 1컵이 조금 넘는 양을 불렸는데 찹쌀에 비해 육수의 양이 많게 되어서 센 불에서 육수를 졸여가며 죽을 끓였다.

쌀에 비해 육수의 양이 적을 때는 물을 조금 더 넣고 하기도 하고, 어쨌든 준비한 재료에 알맞게 불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죽을 끓이면 알맞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27.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28.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29.JPG     

 


 

찹쌀을 넣은 오리육수는 불에 올려두고 백숙 해체 시작.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23.JPG

 

 

 

 

 

1.6키로의 오리를 1인당 반마리씩 들고 열심히 먹었다.

오리 특유의 향이 약간 있으면서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었고 역시 오리 특유의 쫀쫀함이 느껴졌다.

 

 

0.JPG


 

 

 

 

 

 

 

크기변환_DSC08032.JPG

 

 

 

 

 

 

백숙을 뜯어서 먹는 약 18분~20분 동안 두어번 오가며 저어서 죽도 완성 되었다.

백숙을 먹으면서 살을 조금 남겨두고 잘게 찢어서 죽에 넣으면 죽 먹기가 조금 더 좋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35.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37.JPG     \\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42.JPG     크기변환_크기변환_DSC08039.JPG


 

오리 한마리에, 육수재료, 찹쌀에 소금, 후추만으로 더운 여름 허한 속이 가득 차도록 한끼 거하게 먹었다.

백숙이라는게 고기를 손질 할 때를 제외하면 딱히 손이 많이 가지도 않으면서 먹고 나면 잘 먹은 느낌이 드니까 지칠 때 기운내서 한 번씩 해먹기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반찬 멸치볶음, 멸치호두볶음 2013/09/03 마땅히 만들 밑반찬이 없을 때 편하게 만드는 멸치볶음. 멸치를 볶을 때에는 주로 지리멸치를 사용하고 있다. 멸치는 크기 순으로 대멸 중멸 소멸이 ... file 이윤정 2013.09.03 5694
83 고기 소고기숙주볶음 2013/09/01 소고기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꽤 자주 해먹고 있는 숙주+고기+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은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docume... file 이윤정 2013.09.01 7582
82 고기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2013/08/26 김치두루치기, 김치제육볶음 보통 양념장을 만들면 이것저것 찾아보고 계량해서 만들기도 하고 뭐 그냥 대충 만들기도 하는데 계량해서 만드는 것은 ... file 이윤정 2013.08.26 6109
81 한접시, 일품 탕평채, 청포묵무침 2013/08/24 탕평채, 청포묵무침 청포묵은 마트에서 암만 찾아도 없더니 사상이마트에 볼일이 있어 갔다가 바로 옆 사상 홈플러스에서 발견했다. 안그래도 보이면 ... file 이윤정 2013.08.24 5058
80 반찬 감자전 2013/08/19 감자전 강판에 간 체에 거른 다음 남은 감자수분은 가만히 가라앉혀서 윗물을 따라내고, 갈아 둔 감자와 전분을 섞어서 굽는 것이 기본인데 조금 편하... 3 file 이윤정 2013.08.19 5045
79 고기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2013/08/14 소불고기, 소불고기양념, 불고기덮밥 소불고기를 양념해 놓고 전골이니 뚝배기불고기니 자주 해먹었는데 정작 불고기는 조금 오랜만에 해먹었다. 배와... file 이윤정 2013.08.14 8842
» 한그릇, 면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2013/08/12 오리백숙, 오리백숙만드는법 본론에 앞서 오리백숙보다 더 맛있는 오리 소금구이와 주물럭은 아래 링크에 있다. 오리 소금구이, 볶음밥 - http://www.... file 이윤정 2013.08.12 76475
77 한그릇, 면 닭칼국수, 양념장, 닭칼국수만드는법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칼국수, 쪽파 양념장으로 청양고추, 고춧가루, 다진마늘, 간장 먼저 칼국수 양념장. 실제로 만들기로는 닭을 삶으면... file 이윤정 2013.08.09 45751
76 반찬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2013/08/03 호박볶음, 호박새우젓볶음 호박을 평소에 거의 안먹는 편이지만 여름에 나는 달고 부드러운 여름호박은 전으로 부치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건 좀 맛이 ... file 이윤정 2013.08.03 5433
75 고기 LA갈비, 갈비구이, 갈비구이양념, 갈비덮밥 이론적으로는 고기에 양념장이 속까지 충분히 스며든다는 전제하에, 조리과정 중 양념장이 팬에 많이 딸려들어가 졸여져서 고기에 배이도록 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file 이윤정 2013.07.31 9370
74 반찬 꼬막무침 2013/07/27 꼬막무침 꼬막에 소금물에 넣어 뚜껑을 덮은 다음 하룻밤동안 냉장고에 두고 해감한 다음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었다. 꼬막이 살짝 잠기도록 물을 ... file 이윤정 2013.07.27 5009
73 국 찌개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쌈 2013/07/27 소고기 강된장 호박잎은 데쳐서 호박잎쌈으로 만들었고 거기에는 당연히 강된장이 딱이라 오랜만에 강된장을 만들었다. 강된장을 떠먹을만한 국물이 ... file 이윤정 2013.07.27 4774
72 한그릇, 면 닭죽 2013/07/23 삼계탕이 이어 닭죽. 삼계탕은 한마리씩 그릇에 담아 살을 발라 먹는 맛이 있다면 닭죽은 백숙을 끓여 닭은 건지고 육수에 불린 찹쌀을 넣어 죽으로 ... file 이윤정 2013.07.23 4213
71 전골 탕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 file 이윤정 2013.07.22 4590
70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2013/07/20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 미리 소스만 만들어 둔다면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나 거기서 가기긴 한데 어쨌든 볶음밥보다 계란과 소스가 보기 좋게 ... file 이윤정 2013.07.20 15895
69 국 찌개 바지락된장찌개 2013/07/19 바지락된장찌개 생각없이 재료를 사두고 이걸로 뭘할까 고민하면서 괴로워 하는 것이 취미라 바지락을 한봉투 사두고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 file 이윤정 2013.07.19 4684
68 반찬 두부조림 2013/07/18 두부조림 두부조림은 팬에 노릇노릇 지져서 진하게 우려낸 멸치육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조렸다. 두부조림이야 대충 만들면 되니까 그까이꺼 물기... file 이윤정 2013.07.18 4851
67 김치, 장아찌, 무침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2013/07/18 마늘종장아찌, 마늘쫑장아찌만드는법 열흘정도 식촛물에 노랗게 삭혀서 식촛물의 물기를 뺀 다음 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양념을 무쳐서 만들었다. 사용... file 이윤정 2013.07.18 12667
66 고기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7 소고기샐러드 + 오리엔탈드레싱 오리엔탈드레싱에 잘 어울리는 소고기샐러드.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구워서 샐러드채소 위에 얹은 다음 오리엔탈드레싱... file 이윤정 2013.07.17 5760
65 고기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2013/07/16 차돌박이 숙주볶음 + 오리엔탈드레싱 앞서 올린 오리엔탈 드레싱만 있다면 굉장히 만들기 쉬우면서 다른 반찬 필요없이 밥만 조금 곁들여서 한끼 식사... 2 file 이윤정 2013.07.16 7422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