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4005.JPG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2006년경 사진을 봤는데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 파스타를 만든 사진이 있어서 아 이런 적도 있지.. 했다. 완전히 잊고 있다가 사진 보며 생각난 김에 정말 오랜만에 만들었다.

김치 + 베이컨 = 뭘 물어봐 당연히 좋지
베이컨 + 토마토소스 = 당연히 좋지
이런 생각이었던 것 같다.

예전에는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에 파르마산치즈나 모짜렐라치즈만 넣었었는데 옆에 있던 리코타 팬이 리코타를 얹으면 어떨까 하길래
토마토소스+리코타+발사믹비네거+올리브오일 = 당연히 좋지
이니까 아 그거 좋겠다 싶었다.


김치야 어딜 넣어도 맛이 있지만 김치를 넣은 베이컨 토마토소스에 리코타치즈, 발사믹비네거, 올리브오일의 조합이라니 본데없는데 맛은 있고 본데만 없다.
일견 의외의 조합같지만 생각해보면 말이 된다 싶다. 리코타치즈의 말갛게 고소한 맛과 발사믹비네거의 단 맛이 도는 깊은 산미, 올리브오일의 신선한 맛과 향은 원래도 잘 어울리는데 여기에 매콤하면서 살짝 새큼한 김치와 상큼한 토마토소스가 어울리지 않을 이유가 없다. 추억보정인지 기대보다 맛있어서인지 좀 과하게 좋아하는 감이 있긴 하다. 다음에는 구운 가지도 추가해봐야겠다.

(평소 좋아하는 가지 토마토 소스 파스타에 리코타와 발사믹 비네그레트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5/79315)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스파게티니 200그램
베이컨 200그램

올리브오일 약간
양파 반개
대파 흰부분 반대
마늘 6~10개 (큰걸로 6개 사용)
김치 1줌 (4~5잎정도)
후추 약간
코리앤더 파우더 약간 (생략가능)
데체코 아라비아따 토마토소스 400그램 1병

리코타치즈 100그램 (취향에 따라 200까지)
발사믹비네거 약간
올리브오일 약간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치즈 약간 (생략가능)



김치나 베이컨에 간이 있어서 파스타나 소스 둘 다 소금간 하지 않았다. 필요하면 마지막에 마지막에 소금으로 부족한 간을 추가하면 적당하다.
코리앤더 파우더는 생략해도 무방하지만 있다면 빠뜨리지 않고 사용하면 좋다. 숨김맛으로 맛의 깊이를 더한다.
발사믹비네거와 올리브오일은 좋은 걸 사용할수록 좋고, 리코타치즈는 매일 리코타치즈를 늘 사용한다.


김치는 너무 맛이 강하지 않은 걸로, 적당히 잘 익어서 먹기 좋은 상태여야 토마토소스에 겉돌지 않고 맛있다. 
(그래서 이번 김장철에 받아온... 엄마, 시엄마, 고모, 작은엄마께 감사하게 나눠받은 남도식 찐한 김장김치가 있는데 이런 찐한 김치보다는 1포기김치나 시판종갓집김치, 비비고김치 등의 찐하지 않은 김치가 더 잘 어울렸다.)
김칫국물은 일부러 짜지는 않았지만 김칫국물을 더 넣지도 않았다.




베이컨은 미리 적당히 썰어서 구워두었다.
크기변환_IMG_3959.JPG




파스타 삶을 물을 올리고 소스도 함께 만들기 시작했다. 소스를 만드는 중간에 물이 끓으면 파스타를 삶기 시작했다.

스파게티니는 취향에 따라 익힘정도를 조절하는데 나는 알덴테는 좋아하지 않아서 스파게티니를 봉투에 적힌 시간만큼 삶는 편이다.

가장 사용하는 파스타인 스파게티니는 삶는 시간이 6분이다. 스파게티니는 5분간 삶은 상태에서 소스에 넣고 2분정도 더 조리했다. 

소스에 넣은 다음 한 두 번 먹어보면서 익힘을 조절했다. 물에 삶는 것보다 소스에서 더 더디게 익으니까 파스타를 조리하는 시간이 총 6분이 넘어가게 된다.

(봉골레처럼 소스에 수분이 많은 경우면 4.5+2분인데 토마토소스는 상대적으로 수분이 적으니까 5+2분으로 조리했다.)

시간보다는 상태가 중요하다.


크기변환_IMG_1124.JPG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양파, 대파, 마늘을 노릇노릇하게 볶다가
크기변환_IMG_3960.JPG



크기변환_IMG_3962.JPG



적당히 썬 김치와 코리앤더파우더, 후추를 넣고 달달달달 볶는데, 김치가 어느 정도 익어야 하니까 약간 투명한 색이 날 정도로 볶았다.
사용하는 김치가 어느정도 익은 것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필요하면 물도 약간 넣고 달달 볶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IMG_3964.JPG



여기에 미리 구워 둔 베이컨을 넣고 함께 볶다가
크기변환_IMG_3967.JPG


크기변환_IMG_3969.JPG



토마토소스 400그램 한 병을 전부 넣었다.
크기변환_IMG_3971.JPG



파스타 삶은 물을 3~4스푼정도 소스병에 넣고 흔들어서 팬에 더 넣었다.
크기변환_IMG_3973.JPG
(김치찌개?)

소스가 끓고 김치가 잘 익었는지 확인하는데 그동안 파스타가 먼저 익어서 잠깐 건져두었다.



소스에 건져둔 파스타를 넣고 전체적으로 저어가면서 2분 정도 더 조리하면 완성.
불을 끄기 전에 한 두 번 먹어보고 파스타 익힘정도가 입맛에 맞는지, 소금간이 입맛에 맞는지 확인했다. 소금간을 아주아주 약간만 더 했다.

크기변환_IMG_3975.JPG




크기변환_IMG_3977.JPG



그릇에 파스타를 담고 소스를 듬뿍 얹었다.
크기변환_IMG_3989.JPG



여기에 리코타치즈와 발사믹비네거, 올리브오일을 뿌리고
크기변환_IMG_3996.JPG



마지막으로 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 치즈도 듬뿍 갈아서 올렸다. 아주 듬뿍 갈아서 올리면 약간 싱거울 때에 간이 딱 맞게 된다.
칼칼한 상태가 좋으면 치즈를 넣지 않아도 좋고, 모짜렐라치즈를 좋아하면 모짜렐라를 듬뿍 뿌려서 오븐에 굽는 것도 좋다. 하지만 지금 이 조합이 더 좋다.

크기변환_IMG_4005.JPG



크기변환_IMG_4005-.jpg



크기변환_IMG_4014.JPG

파스타 익힘 정도도 좋고 소스 간도 딱 적당하다. 
김치, 베이컨의 맛이 가득한 토마토소스에 리코타치즈+발사믹비네그레드만 곁들여 먹어도 좋고 당연히 파스타도 맛있다. 조합이 굿.
20대였던 예전 생각을 하면서 만들었지만 전보다 더 맛있어서 여러모로 재미있는 파스타였다.




  • 다밍 2019.12.19 10:57

    완전 다 맛있는 거잖아요!
    리소토 해먹어도 맛있겠어요.
    저 고수는 못 먹는데 파우더는 괜찮다는 윤정 님 글 보고서
    샀는데 좋아요. 그리고 한 가지 배운 건
    윤정 님 말은 다 믿자. 좀 적은 거 같은데 하고 더 넣으면
    짜거나 그맛이 아니에요...!! 주말에 짜파게티 대신해봐야겠어요!

  • 이윤정 2019.12.20 03:47
    아 이조합에 리조또라니 생각도 못했는데 잘 어울릴 것 같아요.
    역시 생각은 여러 방향으로 해봐야 하는 것 같아요!
    저도 고수는 못먹어요ㅠㅠ 여러번 사서 고수가 들어가야할 음식에 시도해봤는데 못먹다보니 사용하지 않게 되더라고요.
    코리앤더 파우더는 코리앤더 잎과는 맛과 향이 완전히 달라서 적절하게 사용하면 아주 맛있죠 그쵸ㅎㅎ
    믿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레드지아 2019.12.19 13:35

    김치스파게티는 안먹어봤지만 맛있을거 같아요

    아삭아삭 새콤하고 베이컨 느끼한 맛도 잡아줄거 같고요

    윤정님은 치즈도 어쩜 이렇게 이쁘게 갈으시는지!

    뿌려놓은 치즈가루마저도 이뻐서 또 한참 봤어요 ㅎㅎㅎ

    리코타치즈에 베이컨에 입안 개운하게 해줄 김치까지 넣으셨는데 안맛있음 이것도 반칙이죠..^^

  • 이윤정 2019.12.20 03:55

    예전에 만든 사진을 지금 보면서

    김치에 파스타라니 좀 웃기네ㅎㅎㅎ 하다보니 근데 맛있었지ㅋㅋ 하면서 오랜만에 만들어야지 싶더라고요ㅎㅎㅎ
    레드지아님 그저께 다음생에 저로 태어나고 싶으시다 하셨는데 저는 다음생에 레드지아님 딸로 태어나고 싶어요.
    저는 아주 어릴 때부터 너무 엄하게 자라는 바람에 독립하기 전에는 누구에게나 거리감을 두는 편이었고 어머니(친정엄마)께 정없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거든요.
    레드지아님 늘 이렇게 언제나 늘 별 것 아닌 것도 이쁘다 좋다 해주시니 오늘도 든든하고 감사합니다^^

  • 땅못 2019.12.20 17:24

    국내 탭에 새 글이 올라왔는데 스파게티 면이 보여 수상쩍었지만 역시 김치는 뭐에 묻혀도 한국화를 시켜주는 훌륭한 친구인 것 같아요 ㅎㅎ 사실 김치베이컨에 리코타치즈+발사믹비네거는 처음 생각해 본 조합이어서 생소했습니다! 너무너무 궁금해요. 당장 시도해보고 싶어서 설레고 있어요 ㅋㅋ 이제 주말인데 주말에 베이컨 대신 훈제삼겹 가공되어 파는 거 있는걸로 해 봐야겠어요. 꿀조합 알려주셔서 감사하구 행복한 일 잔뜩 생기는 주말 보내세요<33

  • 이윤정 2019.12.20 21:24
    이걸 어느 카테고리에 올려야 하나 약간 고민하다가 김치니까 국내로ㅎㅎㅎㅎ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에 리코타 발사믹 올리브오일은 생각보다 잘 어울리는 조합이에요. 다음날 마트에 가서 리코타치즈를 두개 더 사왔어요ㅎㅎㅎ 집에 하나 있는데도요ㅋㅋㅋㅋㅋ
    훈제삼겹살은 저는 안사먹어봤는데 다음에 사봐야겠어요. 베이컨이랑 맛이 비슷한가요? 잘 어울리면 좋겠어요^^
    금요일이라 기분 좋죠^^ 이제 약속 잔뜩 있는 연말인데 맛있고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1. 백제육볶음

    얼마전에 올리고 또 올리는 백제육볶음. 내용이 비슷하다. 불판에 고기굽고 채소를 함께 굽는 것과 비슷하지만 그래도 구운고기와 구운채소를 함께 볶아서 고기와 채소의 맛과 향이 서로 교환되어 어울리는 맛이 꽤 좋다. 맛소금과 소금을 반반으로 넣어서 간을 했는데 맛소금 대신에 소금만 사용해도 좋고, 소금으로 간을 하고 다시다나 맛선생 등 조미료를 약간 넣어도 괜찮다. 구운 고기 맛이 중심이니까 고기는 구이용 고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데 그래도 제육이니까 약간 얇은 걸로 준비하면 가장 좋다. 양념맛이 약하고 고기맛이 주를 이루...
    Date2019.11.05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9 Views3645 file
    Read More
  2.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용했다. 마라탕면이 나온지는 꽤 되었는데 컵라면을 먹어보니 이건 라면전골각이다 생각했다. 그 생각을 했을 때는 아주 더울 때였는데 추워지자마자 라면을 사와서 해먹고 있다. 다른이야기로..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Date2019.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09 file
    Read More
  3.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들기, 만드는법

    편하게 자주 만드는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간만에 맛있게 해볼까 하는 음식이 아니고 늘 만드는 반찬은 그냥 장조림이나 하지 뭐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편한 게 좋다. 전체적인 간은 주재료 1키로 당 간장 100미리 / 간장의 반으로 설탕, 미림 / +물이나 육수는 장조림 재료가 겨우 잠기도록. 물보다 멸치황태육수를 사용하면 더 맛있지만 바쁠 때는 참치액이나 멸치진국같은 조미료를 사용할 때도 있고 물만 사용하기도 한다. 진한 멸치황태육수 사용 / 각자 쓰는 조미료 사용 / 그냥 맹물사용 전부 다 괜찮다. (하루이틀 만...
    Date2019.1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6 Views18151 file
    Read More
  4. 항정살수육

    항정살 수육은 다른 돼지고기 부위에 비해서 난이도가 아주 낮다. 항정살은 고기가 얇으니까 그냥 팬에 중약불로 잘 굽거나, 오븐에 굽거나 해도 속까지 잘 익는다. 육향도 거의 없고 기름이 촘촘해서 구이용으로 적합한 고기다보니 어떤 방법으로 조리해도 오래 조리할 필요없이 익기만 하면 끝이라 편한 식재료이다. 겉을 노릇노릇하게 굽고 물을 조금만 붓고 대파, 통후추만 넣어서 15분 삶아서 불을 끄고 뚜껑을 덮은 채로 두고 나머지 밥상을 차린 다음 뚜껑을 열어서 썰었다. 뚜껑을 덮어 둔 동안에도 낮은 온도로 계속 익기 때문에 그동안 고...
    Date2019.11.15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4 Views9903 file
    Read More
  5.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김치찌개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지난 번에 올린 것과 거의 똑같다. 곱창전골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고기도 듬뿍이고 닭도리탕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곱창전골이나 닭도리탕보다 만들기 더 편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번에는 근막이 제거된 갈매기살을 사용해서 전에 올린 것에 비해 삶는 시간을 약간 줄였다. 삶는 시간이 같으면서도 육수/물의 양이 같으면 싱거우니까 육수의 양도 100미리 줄였다. 만드는 김에 그램 계량도 했다. 저울 계량을 하다보면 지금의 나한테 다음 일을 떠맡기고 싶어지고, 적어도 두세배는 만들고 싶어지고, 그러다보면 대용량 레...
    Date2019.11.1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3186 file
    Read More
  6. 떡볶이들

    최근에 떡볶이 수정레시피를 올렸는데 그 소스로 만들던 떡볶이의 면면들. 레시피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5428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물엿 100그램 조청 300그램 고추장 200그램 설탕 150그램 맛선생/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취향껏) 맵다는 민원이 있어서 마지막으로 만든 양념에는 후추를 1티스푼으로 줄였다. 떡볶이 양념을 만들고 유리반찬통에 담았다. 열심히 반찬그릇에 싹싹 담았지만 그래도 볼에 양념이 조금 남았다. 만두를 조금 구워서 떡볶이양념을 곁들였다. 볼에 남은 양념에 ...
    Date2019.11.17 Category소스 By이윤정 Reply14 Views42552 file
    Read More
  7.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었다. 그래서 하얀 소고기뭇국도 이름이 소고기뭇국인 걸 커서 알았다. 가끔 애들 먹는다고 하얀 걸 만들어도 아버지는 드실 건 언제나 따로 덜어서 고춧가루 한스푼 팍 넣어서 끓였던 기억이 난다. 가끔 탕국을 하얀 소고기뭇국 비슷하게 끓인 적이 있기는 했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칠맛이 나기 위해서 소고기가 많이 필요한데 (건더기가 많아지는데) 황태육수를 넉넉하게 우려서 넣으면 국물과 건더기의 양이 적당하면서도 국물에 감칠...
    Date2019.11.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8 Views6114 file
    Read More
  8.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소고기 만두전골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육수는 물이나 물 + 시판 조미료를 사용해도 괜찮다.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소고기 샤브샤브용 200그램 왕만두 8개 배추 6잎 대파 1대 팽이버섯 1봉투 표고버섯 4개 느타리버섯 1줌 애호박 3분의1개 떡국떡 1줌 사골육수 500미리 황태육수 200~300미리 (가감) 양념장으로 다진마늘 1.5스푼 고춧가루 0.8스푼 고운고춧가루 0.8스푼 국간장 1스푼 액젓 0.5스푼 후추 약간 겨자간장...
    Date2019.11.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7156 file
    Read More
  9. 차돌비빔밥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을 부피를 줄이고 반찬 개념으로 만들면 다 나물이다. 건조한 것부터 해초까지도 포함이라서 나물은 진짜 종류가 너무 많다. 콩나물, 무나물,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단배추, 표고버섯, 애호박, 당근, 양파, 가지, 오이, 무생채, 미역줄기, 생미역, 깻잎, 방아, 고구마순, 취나물, 시래기, 호박고지, 참나물, 비름나물, 유채, 곤드레, 방풍 등 아무거나 다 좋다. 마음에 드는 걸로 하면...
    Date2019.11.30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2746 file
    Read More
  10. 수제비 반죽 만들기, 만드는 법, 칼국수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얼큰 수제비) 어릴 때는 수제비를 하면 늘 익반죽으로 했었는데 2013년인가 시판 감자수제비가루를 사보고 난 다음부터 감자수제비가루의 성분을 보고 그 레시피대로 만들었던 적도 있다. 요즘 꽤 오랜만에 수제비를 몇 번 만들면서 이전에 올린 수제비반죽을 보니 조금 재정비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서 따로 수제비 반죽만 올려본다. 요즘 계속 이 반죽으로 수제비만 만들고 있지만 칼국수반죽으로 사용해도 좋다. 칼국수반죽으로 사용할 때는 덧밀가루를 뿌려서 썰어야 하니까 따로 초벌로 삶거나 육수를 넉넉하게 잡으면 ...
    Date2019.12.02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10 Views27786 file
    Read More
  11. 대패 김치수제비

    어제 올린 수제비반죽에 이어서 김치수제비. 멸치육수와 김치로 끓인 칼칼한 국물에 감자, 애호박, 수제비를 넣어서 수제비를 끓였다. 김칫국물을 끓일 때 다짐육이나 찌개용 고기를 넣는 것도 좋은데, 내 생각에는 김치수제비라하면 국물은 칼칼하고 깔끔한 것이 본질이라 생각해서 고기를 넣지 말아야 하나 싶다가 고기도 잃을 수 없어서 고기는 함께 끓이지 않고 대패삼겹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고명으로 올렸다. 저녁식사 등 어느 정도 헤비함이 필요한 시간에 김치수제비가 너무 가볍다면 대패삼겹살로 균형ㅋㅋ을 맞춰주면 좋다. 수제비 반...
    Date2019.12.03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8 Views4432 file
    Read More
  12. 감자탕,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탕을 만들었다. 전에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등뼈 1.2키로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정육점에서 등뼈 2키로를 샀다. 이전에 만든 것이 비해 주재료인 등뼈의 양은 1.7배인데 양념이나 간은 1.3배정도로 조절했다. 보통 레시피를 참고할 때 레시피의 주재료 양과 내가 가진 주재료의 양이 다르면 곱하거나 나눠서 내가 가진 재료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주재료가 2배라고 나머지재료가 모두 2배로 할 때 실패하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국물요리 같은 경우 (장아찌 등도 포함) 재료가 2배면 양념은 1.5배면 적당할 때가 많다. ...
    Date2019.12.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6068 file
    Read More
  13. 업그레이드 쌈무, 친수쌈무

    무가 맛있는 계절에 만들기 좋은 쌈무. 기존 쌈무에 비해 재료 하나만 바꿔서 넣었지만 그 하나로 의외로 아주 더 맛있어진다.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주의) 지난 여름에 분짜를 많이 만들어 먹은 이후로 친수피시소스와 삼게피시소스를 자주 여러 음식에 사용하고 있다. 분짜를 아직 올리지는 않았지만 여러 방법으로 대량으로도 만들다보니 무+당근 절임과 분짜소스를 합하는 편한 방법을 최종적으로 자주 하게 되었는데,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장아찌나 양파절임, 파절임, 피클, 쌈무, 치킨무 등에 사용했다. 그랬더니 아니 너무 맛있는거...
    Date2019.12.0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6 Views2802 file
    Read More
  14. 족발 만들기, 레시피

    이전에 올린 레시피와 완전히 똑같이 만든 족발. 그래서 내용도 똑같다. 재작년에는 그냥 족발을 열심히 만들었고 작년에는 장육냉채나 냉채족발을 자주 만들다가 올해 오랜만에 장족을 사서 족발을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3~4인분으로 장족 2.5키로 물 적당량 양파 1개 대파 2대 마늘 10개 간장 1.5컵 조청 0.5컵 청주 0.5컵 미림 0.5컵 노두유 3스푼 월계수잎 2장 통후추 1스푼 시판 사골육수를 1팩정도 추가해서 만들어서 씨간장으로 계속 사용해도 좋다. 중국간장인 노두유는 생략해도 괜찮지만 넣으면 색이 진해진다. 족발에 들어가는 향신...
    Date2019.12.0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7 Views12734 file
    Read More
  15.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86320 인덕션으로 사용하다보니 가운데만 더 많이 시즈닝되고 있다. 무쇠팬에서 굽거나 부치는 것의 기본은 (여태 해 본 바로는) 아래와 같다. 0. 잘 완성된 시즈닝이 우선적이고 다음으로는 1. 재료를 실온에 두기 - 팬과 식재료의 온도차이를 좁히기 2. 팬에 기름을 두르고 팬을 기울여서 전체에 기름이 퍼지도록, 팬에 기름이 흐르는 느낌이 들도록 예열...
    Date2019.12.10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5594 file
    Read More
  16. 맛된장 제육볶음, 깻잎제육

    맛된장을 사용한 제육볶음. 된장이 들어가면 맥적이라고는 하지만 전에 올린 맥적과 다르게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 활용해서 만들었다. 깻잎을 마지막에 듬뿍 올렸다. 맛된장 말고 평소 만드는 졔육볶음에 깻잎 올린 것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3436 맛된장은 미리 만들어두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램 집된장 100그램 고추장 100그램 고춧가루 50그램 670그램 / 5등분 각 2~3인분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
    Date2019.12.11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6 Views3372 file
    Read More
  17. 닭수제비, 닭칼국수,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만들기는 닭수제비를 만들었는데 닭칼국수도 똑같이 만드니까 제목에 같이 넣었다. 시판 소스인 닭육수진국와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간단 버전으로 만들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원래 닭칼국수는 닭 한마리 사서 씻고 데치고 푹 삶고 건져서 살을 발라낸 다음 닭육수에 감자 애호박 대파, 고추 등을 넣고 면을 넣어야 맛있지만 매일매일 밥하다보면 편하게 날로 먹고 싶을 때도 있고, 그래서 조미료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이번에는 청우 닭육수진국을 사서 여기저기 사용해보고 있다. 조미료 맛이 나긴 하지만 씻고 고으는 것 생각하면 사용할...
    Date2019.12.13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2 Views5107 file
    Read More
  18. 감자조림 만들기,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조림. 집에 감자가 남아있고 도시락 반찬을 뭘로 할까 하다가 오랜만에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감자 4개 (550그램) 양파 1개 (200그램) 물 300미리 간장 3스푼 물엿 1.5스푼 미림 1스푼 피시소스 0.5~1티스푼 (0.5 넣고 간보고 추가) 다진마늘 1스푼 대파 반대 후추 약간 참기름 약간 베트남고추 5~6개 (생략가능) 늘 육수를 사용하다가 요즘 피시소스로 대체를 많이 하는 편이라 육수 대신에 친수피시소스를 약간 사용했고 간장을 약간 줄였다. 대파 대신에 냉동해뒀던 실파를 사용했다. 감자는 크지 않게 깍뚝썰고 양파는 감자와 비...
    Date2019.12.1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3459 file
    Read More
  19.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 + 리코타치즈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2006년경 사진을 봤는데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 파스타를 만든 사진이 있어서 아 이런 적도 있지.. 했다. 완전히 잊고 있다가 사진 보며 생각난 김에 정말 오랜만에 만들었다. 김치 + 베이컨 = 뭘 물어봐 당연히 좋지 베이컨 + 토마토소스 = 당연히 좋지 이런 생각이었던 것 같다. 예전에는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에 파르마산치즈나 모짜렐라치즈만 넣었었는데 옆에 있던 리코타 팬이 리코타를 얹으면 어떨까 하길래 토마토소스+리코타+발사믹비네거+올리브오일 = 당연히 좋지 이니까 아 그거 좋겠다 싶었다. 김치야 어...
    Date2019.12.19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6 Views4520 file
    Read More
  20. 업그레이드 파절임, 친수 대파절임, 파무침, 파절이

    여태 파절임을 만들 때 좋아하는 고깃집인 내껍데기돌리도 스타일로 만들려고 많이 해봤었다. 대파를 송송 썰어서 절임소스에 절여 나오는 스타일인데 그런 방식으로 만들되 여러 방법으로 하다가 최근에 방법을 찾았더니 여태까지와는 다른 레벨로 맛있다. 간단한 재료의 조합이지만 내 입맛에는 아주 맛있어서 안올릴까 싶기도 했다. 이렇게 간단하면서도 입맛에 맞는 조합 찾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워서.. 근데 혼자 알고 있어봤자 뭐하겠나. 이걸로 고깃집 할 것도 아닌데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다. 쌈무에도 한 이야기인데 https://homecuisine....
    Date2019.12.20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12 Views5392 file
    Read More
  21.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어릴 때부터 굴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가족 모임으로 자주 가던 굴집(굴전문음식점)이 있었다. 좋아하지 않은 식재료지만 자주 먹으며 크다보니 어떻게 하면 내 입맛에 맞는지도 알게 되고 그러다보니 맛있게 조리된 굴은 잘 먹는 정도가 되었다. 생굴은 아직 못먹는다; 굴이 주재료가 되는 음식을 일부러 찾아서 먹는 편은 아니지만 엄마께서 겨울마다 소굴을 사서 챙겨주시면 그래도 감사히 받아서 잘 먹는다. 올해도 어김없이 굴을 받아왔고 그래서 이번에는 뭘할까 하다가 굴수제비를 만들었다. 굴은 해산물이니까 당연히 멸치황태육...
    Date2019.12.21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6 Views268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