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3443.JPG


만들기는 닭수제비를 만들었는데 닭칼국수도 똑같이 만드니까 제목에 같이 넣었다. 시판 소스인 닭육수진국와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간단 버전으로 만들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원래 닭칼국수는 닭 한마리 사서 씻고 데치고 푹 삶고 건져서 살을 발라낸 다음 닭육수에 감자 애호박 대파, 고추 등을 넣고 면을 넣어야 맛있지만

매일매일 밥하다보면 편하게 날로 먹고 싶을 때도 있고, 그래서 조미료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이번에는 청우 닭육수진국을 사서 여기저기 사용해보고 있다.

조미료 맛이 나긴 하지만 씻고 고으는 것 생각하면 사용할 만 하다. (같은 종류인 멸치진국도 가끔 사용하는데 닭육수잔국이 간이 조금 센 편이다.)


이번에는 닭수제비에 사용했는데 의외로 굴수제비나 짬뽕 등 해산물과 함께 사용하면 해산물과 어우러져서 조미료맛이 별로 나지 않고 잘 어울렸다.


치킨파우더로 검색해서 나오는 모든 레시피에 대체가능하지만 치킨파우더보다 간이 약간 센 편이라 조금만 넣는 것이 적당하겠다. 

조미료 겉면에는 1인분기준 30그램 사용하는 것인데 실제로 해먹어보니 적게는 15그램에서 최대 20까지가 적당한 분량이었다.




라면스프에 고기넣고 삶아서 건지고 채소넣고 사리넣고 하는 느낌으로 만들면 효율이 좋다.

미리 만들어 둔 수제비반죽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6853


닭을 삶아서 만드는 닭칼국수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7745 

(링크처럼 다대기를 약간 준비해도 좋고 다대기 없이 슴슴하게 먹어도 좋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사용한 재료는

수제비 반죽 2인분


물 1.2리터

닭육수진국 2스푼 (30그램)

닭가슴살 2개

감자1개 

애호박 반개

다진마늘 1스푼

후추 약간

대파 1대

고추 1~2개 (취향에 따라 생략)

필요하면 소금 약간



수제비 반죽은 미리 반죽해서 냉장고에 3일정도 둔 것을 사용했다.
수제비에 딱 맞춘 분량이라서 칼국수를 사용할 때는 미리 70%정도 삶아서 헹군 다음 넣는 것이 적당하다.


감자는 나박하게 썰고 애호박은 돌려깎아서 채썰었다. 대파도 송송 썰고 고추도 썰었다. 
크기변환_IMG_3682.JPG 

크기변환_IMG_3684.JPG



물에 닭육수진국을 희석하고 팔팔 끓으면 닭가슴살을 넣고 불을 줄여서 닭가슴살이 속까지 익도록 10분정도 삶았다.
크기변환_IMG_3401.JPG


불을 끄고 닭고기를 건지고 조금 식힌 다음 먹기 좋게 찢었다.
크기변환_IMG_3410.JPG



닭육수에 감자와 애호박, 다진마늘, 후추를 넣고
크기변환_IMG_3402.JPG     크기변환_IMG_3406.JPG



다시 끓어오를 때까지 수제비반죽은 얄팍하게 썰고 달라붙지 않게 대충 널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3250.JPG



크기변환_IMG_3251.JPG


바로 이어서 수제비를 열심히 떼어 넣었다. (감자가 얇으면 바로 넣고 도톰하면 반정도 익도록 기다린 다음에 넣는다)
수제비를 떼어 넣는 동안에도 중간중간 저어서 위치 바꿔서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했다.

크기변환_IMG_3412.JPG



수제비를 넣고나서 미리 준비한 대파와 청양고추를 넣고 4분정도 수제비가 익도록 저어가면서 끓였다.
크기변환_IMG_3415.JPG


그동안 미리 찢어 둔 닭가슴살도 넣었다.
크기변환_IMG_3417.JPG



수제비는 가장 두꺼운 걸 골라서 반으로 잘라봐서 가운데에 심처럼 흰 부분이 있으면 덜 익은 것이고 그런 것 없이 전부 반투명하면 잘 익은 것이다.
크기변환_IMG_3418.JPG



보들보들하게 수제비가 잘 익었다.
불을 끄기 전에 간을 봐서 물이나 소금으로 간을 조절해서 입맛에 맞게 딱 맞췄다.

크기변환_IMG_3426.JPG



크기변환_IMG_3425.JPG

불을 끄고 나서 밥상에 김치 놓고 수저 놓고 했는데 식으면 간이 달라질까 그동안 더 익었었는데 괜찮을까 싶어서 그릇에 담기 전에 한 번 더 수제비도 맛을 봐서 체크하고 국물도 간을 봤는데 입맛에 맞았다. 아무리 시판 조미료를 사용한 간단한 음식이라도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간을 보는 습관이 중요하다.


간이 맞으니까 그릇에는 대충 담았다.

크기변환_IMG_3443.JPG



크기변환_IMG_3457.JPG



크기변환_IMG_3457-.jpg

시판 소스로 편하게 만든 닭육수에 닭고기, 감자, 애호박도 먹기 좋고 쫀닥쫀닥한 수제비도 맛있고 좋다.
미리 만들어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던 수제비 반죽을 제외하면 재료 준비부터 총 조리시간이 30분도 되지 않아서 만들기 편하다.

중간중간 간을 보면서는 닭 한마리 통째 삶은 것도 아니고 조미료 사용한 것 치고는 그럭저럭 맛있네 싶은데 먹다보면 그런 느낌 없이 꽤 맛있다. 마지막에 국물까지 쭉 다 먹고나면 편하게 만들고 맛있으니 됐다 싶다.


  • 레드지아 2019.12.16 14:15

    어머어머!! 닭육수진국 이란 제품이 있다고요???? 어머어머!!!

    촌순이라 처음 알았어요!

    윤정님 덕분에 새로운 문물을 하나씩 알아갑니다 ㅋㅋㅋㅋ

    와~~ 사람들 진짜 머리 좋네요. 닭육수진국이란것을 만들어 내다니!!!

    수제비 반죽 잘라서 만드시는것 진짜 굳굳 아이디어시라니깐요 ~~~ ^^ 수제비 반죽 칼로 자른 모습 보면서 왜 제가 흡족한지 말이죠 ㅋㅋㅋ

     

    매일 매일 끼니 뭘로 먹나 고민하다가 결국 요기요나  배민으로 주문하는데 -_-;;; 윤정님 덕분에 좋은 메뉴 얻어갑니다~~ ^^

  • 이윤정 2019.12.16 16:22
    세상에 꼼수는 많고도 많죠ㅎㅎㅎㅎ
    요즘 날씨도 추우니까 육수 내기 번거로운 계절도 아니고 육수 내면 맛이야 제일 좋겠지만 육수 넉넉히 내면 버릴 것이 많아서 그냥 편하게 이렇게 사용하기도 해요.
    수제비 반죽 자르는 건 너무 편하니까 재밌어서 수제비 자꾸 하게 돼요ㅎㅎㅎㅎ
    그러고보니 오늘 저녁을 뭘 먹을지 고민이에요. 진짜 매일매일 이 고민이 제일 큰 것 같아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4 전골 탕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 2 file 이윤정 2019.12.30 5647
823 한접시, 일품 마라떡볶이 만들기 평소에 늘 만들어 두는 떡볶이 양념과 삼양 마라탕면 라면을 사용해서 마라떡볶이를 만들었다. 마라탕면이 마트에서 쉽게 사기도 편하고 라면사리도 어치피 넣을... 4 file 이윤정 2019.12.28 9802
822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양파절임, 양파장아찌, 친수양파절임 양파장아찌는 여태 따로 올린 적이 없는데 양파장아찌를 마지막으로 대량으로 담은 일이 한 10년 전인가 싶다. 매실장아찌 담는 큰 유리병에 담았다가 간장물을 ... 10 file 이윤정 2019.12.27 11144
821 김치, 장아찌, 무침 무말랭이무침, 양념 레시피 이번에 수박무를 5키로 사면서 수박무를 말린 무말랭이를 1키로 같이 샀다. 양념을 적당히 해도 색깔이 이뻐서 먹기 좋다. 무말랭이는 맵달짠 간 / 오독오독한 질... 8 file 이윤정 2019.12.26 6386
820 일상 고구마칩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 6 file 이윤정 2019.12.22 3747
819 한그릇, 면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어릴 때부터 굴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가족 모임으로 자주 가던 굴집(굴전문음식점)이 있었다. 좋아하지 않은 식재료지만 자주 먹으며 크다보니 어떻... 6 file 이윤정 2019.12.21 3892
818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파절임, 친수 대파절임, 파무침, 파절이 여태 파절임을 만들 때 좋아하는 고깃집인 내껍데기돌리도 스타일로 만들려고 많이 해봤었다. 대파를 송송 썰어서 절임소스에 절여 나오는 스타일인데 그런 방식... 12 file 이윤정 2019.12.20 6945
817 한그릇, 면 김치 베이컨 토마토 파스타 + 리코타치즈 예전 사진을 정리하다가 2006년경 사진을 봤는데 김치 베이컨 토마토소스 파스타를 만든 사진이 있어서 아 이런 적도 있지.. 했다. 완전히 잊고 있다가 사진 보며... 6 file 이윤정 2019.12.19 5702
816 반찬 감자조림 만들기,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조림. 집에 감자가 남아있고 도시락 반찬을 뭘로 할까 하다가 오랜만에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감자 4개 (550그램) 양파 1개 (200그램) 물 300미... 2 file 이윤정 2019.12.16 5598
» 한그릇, 면 닭수제비, 닭칼국수,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만들기는 닭수제비를 만들었는데 닭칼국수도 똑같이 만드니까 제목에 같이 넣었다. 시판 소스인 닭육수진국와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간단 버전으로 만들었다. ㅡㅡ... 2 file 이윤정 2019.12.13 6704
814 고기 맛된장 제육볶음, 깻잎제육 맛된장을 사용한 제육볶음. 된장이 들어가면 맥적이라고는 하지만 전에 올린 맥적과 다르게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 활용해서 만들었다. 깻잎을 마지막에 듬뿍 올... 6 file 이윤정 2019.12.11 4711
813 일상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 2 file 이윤정 2019.12.10 6718
812 한접시, 일품 족발 만들기, 레시피 이전에 올린 레시피와 완전히 똑같이 만든 족발. 그래서 내용도 똑같다. 재작년에는 그냥 족발을 열심히 만들었고 작년에는 장육냉채나 냉채족발을 자주 만들다가... 7 file 이윤정 2019.12.09 16450
811 김치, 장아찌, 무침 업그레이드 쌈무, 친수쌈무 무가 맛있는 계절에 만들기 좋은 쌈무. 기존 쌈무에 비해 재료 하나만 바꿔서 넣었지만 그 하나로 의외로 아주 더 맛있어진다. (ㅡㅡㅡㅡㅡㅡㅡ까지 잡담주의) 지... 6 file 이윤정 2019.12.08 4215
810 전골 탕 감자탕,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탕을 만들었다. 전에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등뼈 1.2키로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정육점에서 등뼈 2키로를 샀다. 이전에 만든 것이 비해 주재... 8 file 이윤정 2019.12.06 7282
809 한그릇, 면 대패 김치수제비 어제 올린 수제비반죽에 이어서 김치수제비. 멸치육수와 김치로 끓인 칼칼한 국물에 감자, 애호박, 수제비를 넣어서 수제비를 끓였다. 김칫국물을 끓일 때 다짐육... 8 file 이윤정 2019.12.03 5468
808 한그릇, 면 수제비 반죽 만들기, 만드는 법, 칼국수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얼큰 수제비) 어릴 때는 수제비를 하면 늘 익반죽으로 했었는데 2013년인가 시판 감자수제비가루를 사보고 난 다음부터 감자수제비가루의 ... 10 file 이윤정 2019.12.02 46347
807 일상 차돌비빔밥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 2 file 이윤정 2019.11.30 3909
806 전골 탕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소고기 만두전골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4 file 이윤정 2019.11.26 8487
805 국 찌개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었다. 그래서 하얀 소고기뭇국도 이름이 소고기뭇국인 걸 커서 알았다. 가끔 애들 ... 8 file 이윤정 2019.11.20 7141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