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2473.JPG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86320

인덕션으로 사용하다보니 가운데만 더 많이 시즈닝되고 있다.






무쇠팬에서 굽거나 부치는 것의 기본은 (여태 해 본 바로는) 아래와 같다.


0. 잘 완성된 시즈닝이 우선적이고 다음으로는


1. 재료를 실온에 두기 - 팬과 식재료의 온도차이를 좁히기

2. 팬에 기름을 두르고 팬을 기울여서 전체에 기름이 퍼지도록, 팬에 기름이 흐르는 느낌이 들도록 예열하기. 너무 뜨겁지 않게 팬 전체에 열이 퍼지도록 골고루 위치를 바꿔가면서 5분.

3. 팬 바닥이 완전히 평평하지 않으니까 기름이 있는 쪽에 재료 넣기 (기름이 아주 넉넉하면 상관없음)

4. 넣자마자 바로 뒤집지 않고 바닥면이 적당히 익은 후에 뒤집기 (처음부터 안붙어서 뒤집기 편할 때도 있음)



팬 세척은 팬 상태에 따라 다른데

사용한 재료나 바닥에 붙은 경우에 따라 물을 넣고 한 번 끓인 다음 닦아낸다. 뜨거운 물을 버린 다음에는 팬 상태에 따라 세척한다.

물기를 닦고 건조한 다음 아마씨유나 식용유를 약간 두르고 닦아낸다. 마른채로 보관하는 것 보다는 기름을 약간이라도 바르고 아주 완전히 닦아내는 것이 다음에 사용하기 더 편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생선은 미리 실온에 꺼내두고 무쇠팬에 기름을 두르고 예열한 다음 생선을 구웠다.

생선마다 다 다른데 약간 건조한 생선이 덜 달라붙는다.


크기변환_IMG_2623.JPG




크기변환_IMG_2626.JPG




크기변환_IMG_2630.JPG




크기변환_IMG_2633.JPG



크기변환_IMG_2635.JPG



크기변환_IMG_2641.JPG



겉을 바삭하게 익힐 때는 전혀 달라붙지 않는데 다 익을 때쯤 재료에서 수분이 나오기 시작하면 바닥이 조금 달라붙는다.

크기변환_IMG_2645.JPG



IMG_20191210_172817.jpg



굽고 난 상태.

크기변환_IMG_2647.JPG




크기변환_IMG_2656.JPG



크기변환_IMG_2663.JPG



크기변환_IMG_2670.JPG



크기변환_IMG_2674.JPG


겉면의 크러스트가 아주 잘 되었고 속은 촉촉하게 잘 익었다.

생선은 접시에 닿는 부분이 금방 젖으니까 식힘망에 잠깐 식혔다가 접시에 담는 것이 낫다.

만약에 필렛으로 생선을 구우면 다 구운 다음에는 생선 껍질이 위로 오도록 접시에 놓는 것이 정석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무쇠팬에 삼겹살 굽기


삼겹살은 미리 실온에 꺼내두기 (가능하면 30분 이상)

팬에 기름을 살짝 바르고 중불로 5분 이상 예열한 다음 삼겹살 올리는데

올리자마자는 붙으니까 좀 익도록 내버려뒀다가 뒤집기

기름이 많은 부분이나 껍질이 있는 부분은 따로 더 바짝 굽고

키친타올로 기름 닦아내고 먹기 좋게 잘라서 노릇노릇하게 굽기



칼집 삼겹살을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3021.JPG


크기변환_IMG_3023.JPG


크기변환_IMG_3027.JPG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고 껍질도 구운 다음
크기변환_IMG_3028.JPG


크기변환_IMG_3030.JPG


크기변환_IMG_3033.JPG


적당히 자르고 더 구웠다. 기름이 많아서 키친타올로 닦아가며 구웠다.
크기변환_IMG_3034.JPG



크기변환_IMG_3038.JPG



크기변환_IMG_3040.JPG

무쇠팬에 고기 굽는 것이 맛있는 이유는 이런 크러스트에 있다(고 생각한다.)
팬의 바닥에 찰싹 달라붙었다가 떨어지니 어쩔 수 없이 크러스트의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무쇠팬 시즈닝에 대해 쓴 게시글에서 열을 머금는 측면에서 봐서는 어떤 재질이든 무거운 것이면 열을 머금으며, 꼭 필요하다면 약불로 켜면 된다고 무쇠팬을 깠기는 한데;;
그래도 밥상에서 늘 약불로 가열할 수도 없는 일이라서 열을 머금는 것도 장점이기는 하다.




등심덧살(가브리살)은 통으로 구운 다음 가위로 잘라서 구웠다.

크기변환_IMG_3280.JPG


크기변환_IMG_3282.JPG


크기변환_IMG_3286.JPG


여기도 고기에서 수분이 나오기 시작하니 바닥에 조금 달라붙었다. 고기 말고 육즙이 달라붙는 것인데 살짝 긁으니까 또 없어진다.
크기변환_IMG_3288.JPG

생선, 고기 둘 다 맛있게 잘 먹었다.
전도 여러가지 부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마음에 들게 잘 된다.


...

생선이랑 고기 잘 구워놓고 바로 다음에 계란후라이는 또 이렇게 됐다.
예열은 대충하고 계란은 냉장고에서 꺼내서 바로 깨뜨려 넣었는데 가장자리에 예열이 덜 된 부분은 바로 붙었고 가운데는 전혀 안붙었다.
실온에 꺼내두지 않은 재료를 사용했고, 시즈닝이 상대적으로 덜 된 부분인데 게다가 그 부분이 예열까지 덜 되어서 그런 것 같다.
그런데 냉장고에서 바로 꺼낸 계란도 가운데 시즈닝과 예열이 잘 된 부분은 안 붙었다.
잘 될 때는 잘 되는 이유가 있고 잘 안될 때는 잘 안되는 이유가 있다는 이야기.

크기변환_IMG_2657.JPG




  • 레드지아 2019.12.11 10:42

    이렇게 과학적으로 풀어주시다니!!

    저는 달라붙으면  화내면서 ㅋㅋㅋㅋ " 왜 또 이*^%^$이야!!! " 라고 후라이팬에게 욕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체 왜 저래!! 라고 욕만 했지 그 이유를 알아보려고도 안한 저를 반성합니다 -_-;;;

     

    꼼꼼하신분이셔서 무쇠팬도 역시 척척 쓰시네요

    전 처음 사서 잘 안되길래 싱크대 하부에 몇년간 보관했었어요

    그러다가 다시 꺼내 쓰기 시작했던거죠. 변덕스런 무쇠 사용이 쉽지 않던걸요

    그래서 저희집 무쇠들 꼴은 지금 정말 꼴이 말이 아닙니다

     

    윤정님 무쇠는 관리를 잘하셔서 여전히 이뻐요!! ^^

  • 이윤정 2019.12.13 04:10
    과학은 아니옵고ㅎㅎㅎㅎ 그냥 말이 너무 많았죠ㅎㅎㅎㅎ
    저는 제가 잘못한 줄 알고 저한테만 이유를 찾았는데 그쵸그쵸 후라이팬이 잘못한거죠ㅎㅎㅎㅎㅎ
    저야 이제 하나만 겨우 사용하니 하나라도 잘 쓰고 있긴 하지만요
    레드지아님은 무쇠팬이 너무 많아서 꼴이 말이 아니라시니 약간 외제차에 앉아서 비싼 백 집어던지며 울고 싶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아요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 일상 채끝짜파구리 비슷한 거 오랜만에 이렇게 생긴 안심을 사서 손질했다. 겉면을 싸고 있는 근막을 전부 제거하다보면 머릿부분과 아랫부분에 안심스테이크의 모양이 나오지 않는 자잘한 부... 2 file 이윤정 2020.09.05 3388
97 일상 치즈스틱 만들기 치즈스틱을 하려고 블럭으로 된 통모짜렐라치즈를 사러 다녔는데 생각보다 잘 보이지가 않아서 구매하기 쉬운 스트링치즈로 치즈스틱을 만들었다. 코스트코에서 ... 4 file 이윤정 2020.08.26 6806
96 일상 오리햄으로 햄야채볶음밥, 레시피 날이 더우니까(는 핑계고 평소에 늘 그렇듯이) 어떤 음식을 할지 계획하고 사오고 준비하고 하는 일이 부쩍 귀찮다.. 그래서 미리 계획을 안하고 냉장고에 뭐 있... 6 file 이윤정 2020.08.19 3720
95 일상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 원팬파스타 리코타치즈 아라비아따 파스타라고 제목은 썼는데.. 시판토마토소스에 페페론치노 좀 넣으면 아라비아따니까 여기에 베이컨도 좀 구워서 넣고 평소 좋아하는 조합... 6 file 이윤정 2020.07.29 5869
94 일상 일상 2020. 07 (스압주의)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 별 내용은 없고 사진만 많다. 무쇠팬을 10개정도 샀는데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운틴미니팬. 냉동해뒀던 블루베리와 딸기로 만드는... 8 file 이윤정 2020.07.22 5268
93 일상 함박스테이크 작년에 올린 함박스테이크와 똑같이 만들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3959 매번 똑같이 만드니까별로 할 이야기가 없어서 작년에 올린 내용을 복사해... 4 file 이윤정 2020.07.03 4117
92 일상 소세지야채볶음 도시락 반찬 하기 귀찮을 때 대충 해서 보내는 소세지볶음. (별내용없음) 제육양념이나 떡볶이양념을 만들어두었으면 매콤한 쏘야나 https://homecuisine.co.kr/h... 4 file 이윤정 2020.05.20 3516
91 일상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로 만드는 음식 중에 가장 만만한 것인 아스파라거스 베이컨볶음. 아스파라거스를 많이 산 바람에 여기저기 사용하고 있지만 만들기 간단하고 맛있는... 4 file 이윤정 2020.04.21 4130
90 일상 장어덮밥, 우나기동, 히츠마부시 실패하기 장어덮밥인 히츠마부시. 사전적인 의미로 우나기 = 장어 동 = 덮밥 / 히츠 = 나무그릇 마부시 = 올려먹는다 이다. 그래서 밥+장어로 만든 덮밥은 우나기동이고 히... 4 file 이윤정 2020.04.19 10471
89 일상 라볶이 또 떡볶이. 는 아니고 라볶이. 그런데 사실 떡볶이를 올리는 것보다 더 많이 해먹는다. 그런데 사실 떡볶이 먹으러 자주 다니기도 한다. 아무리 떡볶이 양념이 늘... 2 file 이윤정 2020.04.15 4399
88 일상 물떡 만들기, 시판 소스를 사용한 간단버전 (아주 별 것 아니지만 말 많음 주의) (만드느니 사 먹는 게 나음 주의) 어릴 때부터 좋아한 물떡. 오뎅탕 끓여서 떡 넣으면 물떡이겠지만 그래도 물떡에 각별한 ... 10 file 이윤정 2020.04.08 10044
87 일상 소고기 라면전골 샤브샤브용 소고기를 8키로 산 김에 부지런히 샤브샤브나 수제비, 전골, 불고기 등을 만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만만한 라면전골. 전에 올린 라면전골은 특... 2 file 이윤정 2020.03.14 5386
86 일상 양념치킨소스 맛살볶음 원래 술은 좀 먹는 편이지만 안주는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 그나마 술안주를 준비할 때가 있다. 술상을 차려놓고 먹는 경우는 아예 없고 간단하게 스낵 정도 먹지... 4 file 이윤정 2020.03.09 2659
85 일상 영도 골목분식 비빔라면 만들기 2013년에 송도 근처로 이사 온 이후 인터넷으로 골목분식이라는 곳이 있고 여기의 비빔라면이 맛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송도 토박이인 남편에게 여기 아냐고 했... 9 file 이윤정 2020.02.24 14432
84 일상 XO소스 볶음밥, xo볶음밥 레시피 제목은 XO소스 볶음밥인데, 내용은 평소 자주 해먹는 XO계란볶음밥들. XO볶음밥을 자주 만들고 있어서 계속 중복인 느낌이 있긴하다. 평소에 밥을 하면 남은 밥은... 2 file 이윤정 2020.02.06 9121
83 일상 고구마칩 간식 먹자고 튀김 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자주 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고구마는 철마다 두어박스씩 꼭 사니까 이렇게도 해먹고 저렇게도 해먹게 된다. 아버지가 고... 6 file 이윤정 2019.12.22 3627
» 일상 무쇠팬에 생선굽기, 고기굽기 운틴가마 전골팬을 사서 여기저기 잘 사용하고 있다. 무쇠팬에 생선굽기라고 제목은 넣었는데 가장 중요한 건 시즈닝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시즈닝은 여기 - ht... 2 file 이윤정 2019.12.10 6658
81 일상 차돌비빔밥 나물 재료를 준비하고 데치고 헹구고 하기가 귀찮아서 진짜 대충 만드는 비빔밥. 야채로 만든 반찬이면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주 포괄적이라서 채소(식물)... 2 file 이윤정 2019.11.30 3814
80 일상 맛살 계란말이 그냥 반찬. 평소에 맛살 계란말이를 할 때는 크래미를 썰어서 넣었었는데 이번에는 김밥 만들고 난 다음에 김밥용 크래미가 남아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썰지 않고... 6 file 이윤정 2019.11.01 4740
79 일상 짬뽕라면 진짬뽕 이후로 오랜만에 짬뽕라면. 다 아는 이야기겠지만 라면 종류는 상관없지만 기본 라면인 진라면 삼양라면 신라면이나 그 외 열라면, 삼양라면매운맛 짬뽕라... 5 file 이윤정 2019.10.03 36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