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찌개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by 이윤정 posted Nov 20,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크기변환_IMG_6827.JPG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었다. 그래서 하얀 소고기뭇국도 이름이 소고기뭇국인 걸 커서 알았다. 가끔 애들 먹는다고 하얀 걸 만들어도 아버지는 드실 건 언제나 따로 덜어서 고춧가루 한스푼 팍 넣어서 끓였던 기억이 난다. 가끔 탕국을 하얀 소고기뭇국 비슷하게 끓인 적이 있기는 했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칠맛이 나기 위해서 소고기가 많이 필요한데 (건더기가 많아지는데)

황태육수를 넉넉하게 우려서 넣으면 국물과 건더기의 양이 적당하면서도 국물에 감칠맛이 생겨서 잘 어울린다.

무는 파란부분이 햇볕을 받아 달달하고 흰부분이 알싸해서 생채는 파란부분, 숙채나 국에는 흰부분을 사용한다.


고기는 양지나 사태를 사용할 때도 있고 목심이나 보통 국거리나 잡육 등등 다 좋은데 너무 기름이 없는 것 보다는 적당히 기름이 있는 것이 좋다. 이번에는 한우 암소 양지를 사용했다. 내용은 매번 올리던 것과 거의 같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소고기 600그램

황태육수 약 1.5리터

물 적당량 (필요시 추가)

무 반개

대파 2대

다진마늘 2스푼

고운고춧가루 4스푼

국간장 4스푼

후추 약간

고추기름 2스푼, 참기름 약간 (선택)




고춧가루는 아주 굵은 것 아니고는 보통 고춧가루를 써도 당연히 무방하다.


미리 준비해둔 황태육수.

육수는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40분정도 푹 우려내고 그대로 완전히 식혀서 체에 거른 다음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필요할 때 쓰고 있다.
 

크기변환_DSC05776.JPG     크기변환_DSC05778.JPG




소고기는 겉면을 노릇노릇하게 구운 다음


크기변환_IMG_3913.JPG     크기변환_IMG_3915.JPG



냄비에 육수를 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줄여서 1시간정도 푹 끓였다. (중간중간 보고 필요시 물추가)

고기 크기나 고기의 부위에 따라 끓이는 시간이 다르다. 고기가 작은 국거리면 30분정도 끓이기도 하고 덩어리로 된 양지나 사태의 경우는 1시간 반정도 삶을 때도 있다.


크기변환_IMG_6254.JPG




그동안 무는 나박나박하게 썰고 대파는 반으로 갈라 큼직하게 썰었다.


크기변환_IMG_3515.JPG    크기변환_78ccdb2641cabfe0d6a9bd7610771d39.jpg





잠깐 불을 끄고 고기를 건진 다음 얄팍하게 썰었다.


크기변환_IMG_3918.JPG    크기변환_IMG_3922.JPG


크기변환_IMG_3928.JPG




고기를 써는 동안 냄비에 무를 넣었다. (고기를 썰어서 끓일 때는 냄비에 바로 준비한 무를 넣는다.)

무를 우르르 넣고 고춧가루, 다진마늘, 국간장, 후추 약간을 넣은 다음 고기도 썰어서 넣고 무가 잘 익도록 끓였다.


크기변환_DSC05878.JPG    크기변환_IMG_6263.JPG



무가 스푼으로 가볍게 눌러도 으깨질 정도로 익으면 마지막으로 대파를 넣고 10분정도 더 끓이다가 간을 보면 완성. 대파를 넣을 때 고추기름을 약간 넣으면 더 맛있다. 

거의 완성 되었을 때 간을 봐서 국물이 졸아들었으면 육수나 물을 끓여서 보충하고 싱거우면 국간장으로 간을 해서 입맛에 맞도록 간을 맞추면 적당하다.



보통 소고기뭇국은 좀 넉넉하게 끓이니까 식사시간에 맞추지 않고 여유 있을 때 미리 끓여 둔 다음 데워서 먹는 경우가 많다.


좀 찐하고 간간하게 완성해서 식힌 다음 반은 덜어서 냉장고에 넣었다. 남은 반은 물로 간을 딱 맞춰서 한 번 끓여서 식사시간에 맞췄다.

처음 만들었을 때보다 데워먹을 때가 더 맛있다.


크기변환_IMG_6797.JPG




크기변환_IMG_6807.JPG




소고기뭇국은 그릇에 담고, 마침 쪽파가 있어서 적당히 올렸다.


크기변환_IMG_6827.JPG




크기변환_IMG_6827-.jpg


양지를 통으로 삶아서 썰어서 국을 끓이고 보기 좋게 담아내면 밥상에 무시로 올려 먹는 일상적인 국같지 않고, 양지탕 같은 느낌도 들면서 이 자체로도 하나의 요리와 같은 느낌이다.


그냥 느낌이 그렇다는 이야기이고 어떤 소고기뭇국이든지 간에 밥상에 올리면 반찬도 필요없이 밥 한그릇이 금방이다.

깊은 맛이 나는 국물과, 존재감이 있지만 부드럽게 먹기 좋은 고기, 사르르한 무까지 전부 다 맛있다.




Articles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