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류

소고기 야채죽

by 이윤정 posted Jun 26,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크기변환_IMG_7680-.jpg


식사 대신 죽을 꼭 먹어야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지만 지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죽이라도 먹어야 할 때가 있다.

미음 다음으로 먹기에는 조금 더 가벼운 죽도 좋지만 소고기 야채죽도 맛있게 먹기 좋은 편이다.

입맛이 없는 와중이었는데 맛있는 죽이라서 입맛이 당기게 먹기 좋았다. 

다음에는 어쩔 수 없지 않은 상황에서 이거 너무 맛있겠다 하면서 만들고 먹게 되면 좋겠다.



쌀을 볶지 않고 밥을 해서 만들었다.

당장 집에 감자, 당근, 양파, 애호박, 대파, 쪽파가 있어서 이렇게 사용했는데 표고버섯이나 팽이버섯 등을 넣어도 좋다.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쌀 1.5컵으로 지은 밥


소고기 다짐육 200그램

연한 황태육수 약 7컵 (필요시 물추가)


감자 약간 큰 것 1개

당근 3분의1개

양파 중간 것 반개

애호박 3분의1개

대파 흰부분 1대

쪽파 4대 (생략가능)

다진마늘 반스푼

국간장 1~2스푼 (간보고 조절)

후추 약간


참기름, 깨, 김가루



0. 재료준비

1. 고기 볶기 + 육수 붓고 끓이기 거품 걷기 - 끓으면 불 낮추기

2. 감자, 당근 잘게 썰어서 살짝 볶아서 넣기 (그냥 넣어도 무방)

3. 양파, 애호박, 대파 잘게 썰어서 넣기

4. 밥 넣고 국간장 후추약간 다진마늘약간 넣고 저어가면서 푹 퍼지도록 끓이기 




밥은 미리 지어두고 식은 밥을 사용했는데 바로 지어서 넣어도 좋고, 쌀을 푹 불려서 볶아서 고기와 함께 넣어도 좋다.


소고기는 달달 볶은 다음 냄비에 넣고 육수를 붓고 끓이기 시작했다. 소고기를 오래 끓이면 부드러우니까 먼저 소고기부터 끓이면서 나머지 재료를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3750.JPG    크기변환_IMG_7648.JPG

육수가 끓으면 거품을 걷어내고 불을 줄였다.



그동안 감자를 먼저 다져서 살짝 볶아서 냄비에 넣다음으로 당근도 다져서 살짝 볶아서 냄비에 넣었다. 기름은 참기름을 아주 약간만 사용했고 세지 않은 불에 볶았다. 

크기변환_IMG_7647.JPG 



여기에 차례로 애호박과 양파도 다져서 넣고 대파와 쪽파도 다져서 넣었다.

크기변환_IMG_7650.JPG     크기변환_IMG_7651.JPG



여기에 밥을 넣고 푹 끓이기 시작했다. (찬밥을 넣어서 갓 지은 밥보다는 조금 더 오래 끓여야 했다.)

국간장은 먼저 1.5스푼을 넣고 중간에 간을 봐서 부족하면 나머지 0.5스푼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그릇에 담은 다음 조미김가루를 넣을 예정이라서 아주 약간 싱겁게 하면 김가루를 넣고 난 다음에 간이 딱 맞다.


밥을 넣고 국간장 1.5스푼, 다진마늘 반스푼, 후추 약간을 넣고 끓였다.

크기변환_IMG_7652.JPG     크기변환_IMG_7655.JPG


30분정도 중간중간 저어가면서 퍽퍽 튀면 뚜껑 닫아가면서 밥이 푹 퍼지도록 하는데 중간중간 확인해서 물이 부족하면 물을 끓여서 더 추가했다. (시간보다는 상태확인)

바닥에 달라붙지 않게 저어주는데 쌀이 푹 퍼진 상태에서 죽이 너무 뻑뻑하지 않도록 완성하는 것이 좋다.

불을 끄고 조금 식게 두면 뜸이들면서 물기가 더 잦아들기 때문에 되직하지 않게 완성하고 밥상을 차리면서 살짝 식히면 먹기 좋은 온도에 되직하기도 알맞다.


크기변환_IMG_7664.JPG


마지막으로 간을 보니 아주 약간 싱거운 듯하게 짜지 않고 적당하다.



그릇에 죽을 담은 다음 참기름을 약간만 붓고 조리과정에서 조금 남겨 둔 쪽파를 얹고 김가루와 깨를 올렸다.


크기변환_IMG_7669.JPG




크기변환_IMG_7680-.jpg


고기도 야채도 푹 익고 밥도 푹 퍼져서 속편하게 먹기 좋다.






Articles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