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크기변환_IMG_1227.JPG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용했다.

마라탕면이 나온지는 꽤 되었는데 컵라면을 먹어보니 이건 라면전골각이다 생각했다. 그 생각을 했을 때는 아주 더울 때였는데 추워지자마자 라면을 사와서 해먹고 있다.


다른이야기로..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생기면서 훠궈나 마라탕을 예전만큼 자주 먹지 않았다. 중식 식재료점에 사던 훠궈소스는 맛있기도 하고 그 종류도 다양하지만 마음이 불편하면 음식하고 만드는 일이 즐겁지가 않아서 좋아하는 것에 비해서 많이 뜸했었다. 그러던 와중에 요즘 마라가 유행하면서 마라탕면을 비롯해 마라맛을 즐길 방향이 많아지고 있다. 마음 편한 것으로 선택해서 진짜에 좀 덜 가깝든 더 가깝든 많이 신경쓰지 않고 편하게 해먹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마라탕면으로 만드는 라면전골이다. 



평소 준비하던 라면전골재료보다 좀 더 훠궈에 가깝도록 재료를 추가했다. 마라맛이 강한 것을 잘 못먹는 내 입맛 기준으로 시판소스로 만드는 훠궈에 비해서 모자랄 것이 없었다. (쨍한 마라맛을 좋아한다면 좀 라면같다 싶을 수도 있겠지만.) 마라탕이나 훠궈를 할 때 준비하던 지마장소스를 이번 라면전골에 준비했는데 있으면 더 좋고 없어도 문제는 없다.


재료는 그냥 좋아하는 걸로, 장보러 가서 맘에 드는 걸로, 당장 집에 있는 걸로 준비하면 제일 편하고 좋다.

이번에도 집에 있는 재료를 최대한 끌어 모은 것이라서 괜히 레시피에 목록만 길다.

훠궈 재료에 대해 이야기 한 링크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85090 인데 물에 빠져도 괜찮은 재료면 다 좋다.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마라탕면 2개

물 약 1리터 (필요시 더 추가)

고추기름 약간 (생략가능)

다진마늘 0.5스푼 (생략가능)

대패 삼겹살 200~300그램

스팸 작은 것 반캔

오뎅 3장

크래미 3개

만두 5개


알배추 4~5잎

대파 반대

느타리버섯 한 줌

목이버섯 한 줌

푸주 불린 것 1줌 (생략가능)

콴펀 불린 것이나 새송이 표고 팽이버섯 등 추가


지마장소스로

고추기름 1스푼

지마장(깨소스) 1스푼

해선장(호이신소스) 1스푼

다진대파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라오천추(중국식초) 1~2스푼




푸주는 미리 불려서 물기를 짜서 준비했다. 목이버섯은 생목이버섯을 사용하면 편하고, 건조된 것은 불려서 데쳐서 사용한다.

만두는 미리 냉장실에 해동했다. 냉동만두를 바로 넣으면 만두피가 벗겨지니까 전자렌지에라도 해동하는 것이 좋다. 만두는 너무 많으면 국물에 농도가 많아져서 최대 5개로 했다. 5개도 좀 많다 싶다.



재료와 소스만 준비하면 식탁에서 끓이는 것이 전부라 할 일은 별로 없다. 재료를 사려고 장보고 재료 다듬어 씻는 시간이 가장 오래걸린다.


물에 마라탕면 소스를 넣고 채소접시 우르르 넣고 끓으면 고기접시 우르르 넣고 적당히 건져서 소스에 찍어먹다가

간보고 필요하면 물 추가하고 라면사리 넣고 끓여서 냠냠 끝.



재료준비.

크기변환_IMG_1206.JPG




크기변환_IMG_1211.JPG




크기변환_IMG_1212.JPG



지마장소스와 라면, 덜어먹을 그릇과 수저, 라면준비.

크기변환_IMG_1219.JPG




냄비에 스프를 넣고 끓였다. 소스를 준비했기도 하고 끓이면서 졸아드니까 간은 약간 싱거운 정도로 맞췄다.

크기변환_IMG_1227.JPG




라면육수ㅋㅋ가 끓으면

크기변환_IMG_1230.JPG




채소접시 넣고

크기변환_IMG_1232.JPG



끓으면

크기변환_IMG_1233.JPG




(대패고기는 빨리 익으니까) 고기를 제외한 재료를 전부 넣고, 끓으면

크기변환_IMG_1235.JPG



대패삼겹살을 넣고 

크기변환_IMG_1238.JPG



뇸뇸

크기변환_IMG_1243.JPG


불을 줄이거나 끄고 그릇에 덜어서 지마장소스에 찍어먹었다.




라면타임.

물이 졸아들어서 물을 더 넣어서 라면 끓일 정도로 물을 맞춘 다음 끓으면 라면사리를 넣고 라면봉투에 쓰여져 있는 시간만큼 끓였다.


크기변환_IMG_1245.JPG




라면에 채소맛 고기맛이 배어들었는데 라면사리까지 맛있지 않을 수가 없다.

크기변환_IMG_1248.JPG

전에는 마지막으로 밥넣고 쪽파, 계란, 김가루를 넣어서 죽까지 마무리했는데 이번에는 양이 너무 많아서 패스했다. 패스하면서도 좀 아쉽..



생각보다 마라맛이 꽤 나는 라면국물에 배추, 버섯, 대파, 푸주 다 잘어울리지만 특히 푸주가 아주 맛있다.

고기접시에 있는 애들도 말할 것도 없이 맛있고 고소한 지마장소스에 전부 다 잘 어울리고 마지막으로 라면사리까지 딱 좋다.

재료준비만 하면 되니까 편하고 맛있고 다 한다.




  • 레드지아 2019.11.11 16:41

    오오!!! 이거 완전 거의 거저인 음식!!! 이런 음식을 생각해내신 우리 윤정님은 또다시 기립박수 받으셔야 마땅하십니다!!!!!!!!!!!!!!!!!!!!!!

    제목이 마라전골..이렇게 되어 있어서 제가 없는 소스랑 재료 넣으신거 같아서 벌벌 떨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있었는데요 ㅋㅋㅋㅋ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생기면서 ] <-----------@@;;;;; 윤정님 글만 봐도 소스 사고 싶은 생각이 뚝!!!!!!! 떨어집니다 ㅠㅠㅠㅠ

    오죽하면 윤정님이 이런 말씀을 하시겠어요!!! ㅠㅠㅠㅠ

    이래서 모르고 먹는게 약인거 같아요 ㅠㅠㅠㅠㅠㅠㅠㅠ

  • 이윤정 2019.11.13 03:12
    모르고 먹을 때는 잘 먹는데 알고 먹으면 전처럼 맛있지 않게 되는 그런 느낌 맞죠ㅠㅠ
    말씀대로 이럴 때 모르는 게 약이라고 하나봐요ㅎㅎ

    라면전골이라고 먼저 써놨는데 왜 떠셨어요ㅎㅎㅎㅎ
    레드지아님 기립박수 제가 생각해봤는데 간단하거나 고기 많거나ㅋㅋㅋㅋㅋ 넘 귀여우신거 아니에요ㅎㅎㅎㅎ
  • 멈뭄 2019.11.12 09:13

    오? 마라탕면에 재료만 넣으신 거 맞나요? 엄청 풍성해보이네요~

    전골요리는 재료 준비만 하면 금방 먹을 수 있어서 평일에 먹기 좋은 음식 같아요.

    육수 없으면 육수 내기 귀찮았는데 저도 라면전골 도전해봐야겠어요!

  • 이윤정 2019.11.13 03:13
    저도 그래서 전골요리 좋아해요ㅎㅎㅎ 대충 준비해도 전골이다 하면 먹는 사람도 좀 좋아하고ㅎㅎㅎㅎㅎ
    마라탕면에 재료만 넣은 것 맞아요^^ 요즘은 라면도 너무 다양하게 잘나와서 골라서 라면전골 해먹는 재미도 좋은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47 전골 탕 만두전골, 버섯만두전골, 소고기 만두전골 소고기와 만두, 버섯이 주재료인 전골. 시판 만두와 시판 사골육수에 평소 늘 우려두는 황태육수를 사용했다. 사골육수는 시판이니까 꼭 사용하는 것이 좋고 황태... 4 file 이윤정 2019.11.26 8426
» 전골 탕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 4 file 이윤정 2019.11.10 6611
45 전골 탕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 9 file 이윤정 2019.10.15 4843
44 전골 탕 맑은 알탕, 알탕지리 알탕은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과는 달리 재료 자체에서 육수가 덜 나오기 때문에 육수를 우려서 넣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알탕 뿐만이 아니라 생선으... 4 file 이윤정 2019.10.04 7653
43 전골 탕 부대볶음 만들기 매년 돌아오는 부대볶음. 내용도 결론도 똑같은 걸 너무 자주 올릴 수는 없으니까 최대한 자제해서 1년에 1회 정도만 올리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양... 11 file 이윤정 2019.09.15 4900
42 전골 탕 백합탕 만들기, 백합 손질법 백합탕은 백합이 다하는거니까 국물 간만 맞추고 간단하게 부추나 고추정도만 넣어서 맑고 깔끔하게 먹는다. 사용한 재료는 백합 1키로 물 부추 고추 부추 넣는 ... 12 file 이윤정 2019.06.29 10918
41 전골 탕 꽃게알탕, 서더리매운탕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 2 file 이윤정 2019.04.29 5392
40 전골 탕 사태 된장전골, 전골이야기 올 겨울에는 편하게(혹은 안편하게도) 전골을 많이 했다. 요즘 집에서 밥을 덜 먹으면서 음식을 만드는 폭은 요즘 좁아졌지만 그래도 음식을 준비하고 생각하는 ... 6 file 이윤정 2019.02.25 4736
39 전골 탕 소고기수육, 사태수육, 수육전골, 사태전골 2017년에 올린 내용은 여기 ㅡ https://homecuisine.co.kr/hc10/65240 재작년에 썼던 내용을 그대로 가지고 오자면 &#039;소고기 수육은 수육용 전골냄비와 그 위에 얹... 2 file 이윤정 2019.01.04 12625
38 전골 탕 간단 소고기 된장전골 지난번에 올린 사태 스지 된장전골의 간단버전이다. 소고기된장찌개에 가깝기는 한데 된장전골과 거의 같은 재료로 만들어서 제목이 된장전골이다. 된장전골은 사... 4 file 이윤정 2018.12.16 7476
37 전골 탕 스지수육, 스지사태수육 스지와 사태를 푹 삶아서 겨자간장에 찍어 먹기만 하면 되는 스지수육. 고기와 스지를 삶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한데 그 외에는 별로 할일이 없어서 일요일... 4 file 이윤정 2018.12.04 9955
36 전골 탕 곱창전골 만들기, 레시피 다들 좋아하는 곱창전골이 있기 마련인데 내가 좋아하는 양곱창집의 곱창전골 스타일로 만들고 있다. 곱창구이는 자갈지 영진양곱창의 특양을 좋아하고 곱창전골... 11 file 이윤정 2018.11.26 39606
35 전골 탕 사태 스지 된장전골 구수한 된장에 소고기를 듬뿍 넣어 만드는 전골. 재료를 보면 찌개와 크게 다를 바 없나 싶지만 어쨌든 전골로 만들었다. 국물이나 채소는 스지전골로 유명한 영... 4 file 이윤정 2018.11.22 7682
34 전골 탕 라면전골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라면전골. 전골이긴 하니까 여러 재료를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긴 하지만 전골 중에서도 가장 쉬우면서도 효율이 좋아서 겨울에 해먹... 8 file 이윤정 2018.11.08 39955
33 전골 탕 얼큰 사태 수육 전골, 수육전골 한우 사태도 넉넉하게 사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육으로 얼큰전골, 된장전골, 맑은전골을 만들었다. 사태를 푹 삶아서 사용했는데 양지를 사용해도 괜찮고 스지... 4 file 이윤정 2018.10.15 7510
32 전골 탕 부대볶음 시원하면서 밤낮으로 쌀쌀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밥상에 가스버너를 올려서 불을 켜고 끓여먹는 전골도 부담스럽지 않아서 부대볶음으로 스타트. 예전에 올린 글... 2 file 이윤정 2018.10.04 8587
31 전골 탕 뚝배기불고기 불고기양념을 미리 만들어 두기가 좀 번거롭기는 한데 그래도 한 8키로 분량으로 넉넉하게 만들어서 1키로분량씩 봉투에 포장하고 냉동보관하면 1년은 먹으니까 ... 2 file 이윤정 2018.07.14 8165
30 전골 탕 등뼈없이 사골육수로 간단 감자탕 돼지등뼈를 푹 고으면 돼지뼈에서 우러나오는 국물 + 삶은 고기가 되니까 발상의 전환을 해봤다. 등뼈는 보통 씻어서 한 번 데쳐내고 푹 고아서 만드는데 등뼈 대... 10 file 이윤정 2018.06.06 9643
29 전골 탕 라면전골 집에 전골 재료를 잔뜩 사두고는 귀찮아서 라면이나 먹을까 하다가 몇 번 해 먹은 라면전골. 전골이라는게 원래 재료 준비가 가장 큰 일이라 라면에 넣으나 육수... 10 file 이윤정 2018.01.23 43474
28 전골 탕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 9 file 이윤정 2017.12.26 72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