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0561.JPG



정말 바쁠 때 만드는 참치김치찌개.
김치를 40분 이상 푹 익혀서 만드는 김치찌개를 좋아하지만 언제나 시간이 한 시간씩 있는 건 아니라서 빠르게 만들었다.
김치가 아주 부드럽게 익지는 않았지만 움직이기 시작한 시간부터 재료준비, 완성까지 30분 만에 금방 만들었다.

1. 가장 먼저 김치부터 꺼내서 가위로 잘라서 냄비에 넣고 기름 약간 두르고 볶고(5분) 
2. 그동안 다른 냄비에 물 끓이기
3. 볶은 김치에 끓이던 물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불로 조금 낮추고 뚜껑을 비스듬히 닫아서 15분 끓이기 (15분) (바쁘지 않으면 이 때 30분이상 푹 익힌다.)
4. 15분동안 냉동다진마늘 찾아와서 다진마늘부터 넣기
5. 두부썰고 대파썰고 참치캔 찾아오고 고춧가루 꺼내오고 등 재료 준비.
6. 중간에 색깔봐서 고춧가루는 필요하면 1스푼정도 넣고, 간보고
7. 대파, 두부 넣고 두부가 좀 익으면(5분) 
8. 참치넣고 국물 끼얹어가면서 한 번 더 끓이기 (5분)
30분이면 끝. 그동안 밥도 하고 반찬도 꺼내서 밥상 차릴 준비도 했다. 바쁨바쁨



재료는
잘 익은 김치 4분의1포기 (+김치국물 적당량)
식용유 약간 (고추기름 있으면 사용)
물 약 3컵 (필요시 물추가)
액젓 1티스푼 (국간장으로 대체가능) (간보고 필요하면추가) 
고춧가루 1스푼 (고운 것을 써도 좋음)
다진마늘 1스푼
대파 반대
후추 약간
참치 250그램 1캔 (기름 버리지 않고 전부)
두부 1모
라면사리 (선택) (라면사리 넣을 때는 육수나 물 추가)


액젓은 까나리액젓을 넣거나 삼게피시소스, 친수피시소스를 넣는다.
물 대신 멸치육수나 황태육수가 있으면 더 좋고, 가지고 있는 조미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액젓으로도 괜찮지만 평소 사용하는 걸로 참치액이나 멸치진국, 맛선생, 다시다 등을 약간 넣어서 맛을 더하면 좋다.




초반에는 너무 바빠서 사진을 못찍고 대파를 넣은 다음에야 여유가 좀 생겨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고추기름 꺼내서 냄비에 살짝 붓고 김치 꺼내서 가위로 자른 다음 기름을 약간 두르고 달달 볶다가 (그동안 다른 냄비에 먼저 물 끓이기기) 
물붓고 다진마늘 넣고 액젓 약간, 고춧가루 1스푼을 넣고 끓이다가
(냄비가 작아서 불편했는데 바쁠수록 냄비는 큰 걸 사용하면 당연히 더 편하다.)

크기변환_IMG_0540.JPG


최소 15분이상 최대 40분까지(시간 늘어나면 물 양도 조절) 푹 끓인 김치찌개에 대파와 두부를 넣고 한 번 더 끓이고


크기변환_IMG_0543.JPG


크기변환_IMG_0546.JPG


여기에 참치를 넣고 한 번 더 끓였다.
참치캔은 털어서 넣은 다음 물이나 김칫국물을 약간 넣고 흔들어서 기름이나 참치육즙을 버리지 않고 전부 넣어준다.
크기변환_IMG_0551.JPG


중불~센 불로 5분정도 끓이면 딱 먹기 좋게 된다. 바쁘다고 가장 가깝게 있던 전골냄비를 사용했더니 퍽퍽 튀는 것 때문에 번거로웠다. 바쁘다면 냄비는 큰 걸로..
크기변환_IMG_0555.JPG



크기변환_IMG_0561.JPG



다른날, 좀 더 졸인 것.
크기변환_IMG_6998.JPG



크기변환_IMG_7004.JPG



김치가 좀 더 묵은 것이었을 때 더 오래 푹 끓인 것.
김치잎이 억셀수록 오래 끓여야 먹기 좋다. 부들부들해진 김치는 젓가락으로 가르면 힘들이지 않고 갈라져서 보드랍고 맛있다.
크기변환_IMG_7539.JPG



크기변환_IMG_7559.jpg



김치가 없을 때도 참치찌개를 끓이는데 주로 이전에 올린 참치매운탕같이 만들지만 https://homecuisine.co.kr/hc10/71158  
전골양념장(곱창전골이나 부대찌개, 부대볶음, 낙곱새 양념들)을 넉넉하게 만들었다가 사용할 때도 종종 있다.
양념이 있으면 진짜 대충대충 만들고.. 양념이 없을 때는 냄비에 참치, 김치, 양파, 대파, 다진마늘에 황태육수 붓고 고춧가루, 국간장, 액젓 약간 넣고 두부넣고 자글자글 끓이면 끝.

크기변환_IMG_9891.JPG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간만 맞으면 어떻게든 다 편하게 먹기 좋다.


냉동중화면사리를 넣었다.
크기변환_IMG_9897.JPG



크기변환_IMG_9903.JPG

대충대충 해먹는 우리집 참치찌개의 면면.
글을 올리며 생각해보니 바쁘게 움직여 참치김치찌개를 만들던 그 시간보다 그때 어떤 생각을 하며 급하게 밥상을 차렸는지 떠올리며 지금 홈페이지에 글로 쓰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리는 것 같다;







  • 레드지아 2019.10.21 13:09

    아!!! 참치를 맨 마지막에 넣는거였군요!!!

    전 첨부터 넣었....ㅠ

     

    영 맛이 밍숭맹숭하면 조미료의 도움도 살짝 받는게 좋은거 같더라구요

    시판 간장 된장 고추장 케찹 액젓 이런것에도 어차피 조미료가 다 포함되어있는데다가 이것저것 다 가리고 안먹고 하려면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더 몸에 안좋은거 같더라구요 ^^

    뭐든지 스트레스 없이 행복하게 편안하게 먹고 지내는게 최고죠!!

     

     

    저는 주말부터 발바닥이 따끔거리고 화끈거려서 병원 가보니 족저근막염이라고 하네요 ㅠ 제길 ㅠ

    뭐니뭐니해도 건강이 최고입니다!!! (내일 또 병원 오라고 해서 심기가 불편합니다...-_-;)

     

  • 이윤정 2019.10.23 03:25

    참치야 언제 넣어도 상관없는 재료지만 이렇게 시간이 없을 때는 순서가 좀 뒤로 밀리더라고요. 오래 끓여 잘게 쪼개진 참치 말고 덩어리로 좀 먹고 싶다 하면 일부러 마지막에 넣고요^^

    조미료라는 게 양면성이 있는 재료다보니까 논란이 많은데, 맛있는 음식 사먹는 걸 좋아하면서도 집에서는 절대절대 조미료는 안된다는 그런 입장은 모순적이라고 생각해요.
    모든 음식에 조미료를 전혀 넣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조미료를 넣는 맛을 내려면 음식하는 사람의 노동이 무조건 들어갈 수 밖에 없는거니까 각자 적당한 선에서 사용하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해요. 어떤 경우는 조미료없이는 그 맛이 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또 어떤 경우는 조미료를 넣지 않아야 적당하기도 하고, 굳이 조미료 없이도 맛있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조미료를 쓰기 싫지만 조미료를 쓴 것 같은 맛을 최대한 내고 싶다면 어느정도로 노동!할 것인지, 조미료만 쓰고 싶지만 그래도 각 음식의 맛을 낼려면 어느정도까지만 조미료를 쓰고 자제해서 나머지 원재료를 얼만큼 사용할 것인지. 이런 것은 개개인이 판단하고 선택하고 조절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ㅎㅎ
    제가 말이 너무 많죠ㅎㅎㅎ

    족저근막염이시라니ㅠㅠ 많이 아프시기 전에 얼른 좋아지셔야 해요ㅠㅠ
    약도 잘 챙겨드시고 아프셔도 스트레칭하셔요.
    제가 주변에 족저근막염이나 아킬레스건염으로 고생하는 가족 친지에게 선물하는 foot rocker 라는 운동기구가 있어요. 

    레드지아님 지금 아프신 상황에도 맞는 운동기구일지는 모르겠지만..

    https://www.amazon.com/dp/B002PT52WK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2417885741
    https://www.coupang.com/vp/products/271001321
    제가 직접 선물드리고 싶은데 주소 알려주시면 보내드리고 싶어요!

  • 레드지아 2019.10.23 09:36
    윤정님 덕분에 링크 따라가서 저도 하나 주문했어요!!
    이런 제품이 있는지도 몰랐는데 너무너무 감사해요!!!! +_+
  • 이윤정 2019.10.24 02:39
    제가 주문해드리고 싶은데ㅠㅠ 다음엔 링크 안알려드리고 주소만 여쭤봐야겠어요ㅠㅠ
    이왕 구매하셨으니 뒤꿈치 스트레칭 자주하시고 쾌차하셔요!
  • 만두장수 2019.10.27 23:41

    레드지아님 아야 하신거 언넝 나으시길 바라며 아울러....

    제가 지병이 있는데 반드시 백년이상 묵은 자연 산삼을 먹어야 낫는대요, 혹시 제 주소 필요하실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4 소스 떡볶이들 최근에 떡볶이 수정레시피를 올렸는데 그 소스로 만들던 떡볶이의 면면들. 레시피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5428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 14 file 이윤정 2019.11.17 44081
803 국 찌개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김치찌개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지난 번에 올린 것과 거의 똑같다. 곱창전골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고기도 듬뿍이고 닭도리탕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곱창전골이나 닭도리탕... 2 file 이윤정 2019.11.16 4621
802 고기 항정살수육 항정살 수육은 다른 돼지고기 부위에 비해서 난이도가 아주 낮다. 항정살은 고기가 얇으니까 그냥 팬에 중약불로 잘 굽거나, 오븐에 굽거나 해도 속까지 잘 익는... 4 file 이윤정 2019.11.15 12644
801 반찬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들기, 만드는법 편하게 자주 만드는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간만에 맛있게 해볼까 하는 음식이 아니고 늘 만드는 반찬은 그냥 장조림이나 하지 뭐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 6 file 이윤정 2019.11.12 23164
800 전골 탕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 4 file 이윤정 2019.11.10 6612
799 고기 백제육볶음 얼마전에 올리고 또 올리는 백제육볶음. 내용이 비슷하다. 불판에 고기굽고 채소를 함께 굽는 것과 비슷하지만 그래도 구운고기와 구운채소를 함께 볶아서 고기와... 9 file 이윤정 2019.11.05 5321
798 일상 맛살 계란말이 그냥 반찬. 평소에 맛살 계란말이를 할 때는 크래미를 썰어서 넣었었는데 이번에는 김밥 만들고 난 다음에 김밥용 크래미가 남아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썰지 않고... 6 file 이윤정 2019.11.01 4788
797 소스 떡볶이 레시피 수정 간장 1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필수. 덩어리 부숴서 준비) 물엿 100그램 조청 3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50그램 (최대200그램) 맛선생 소고기맛 50그램... 18 file 이윤정 2019.10.31 42055
796 고기 갈매기살 양념구이 갈매기살 구이는 바로 앞에 올린 고추장양념구이, 갈비양념구이, 소금구이 등이 있는데 이번에는 고기 간을 간장과 맛소금 반반으로 한 구이양념이다. 갈비양념을... 8 file 이윤정 2019.10.27 8155
795 고기 갈매기살 고추장양념구이, 돼지고기고추장양념구이 지금 올리는 고추장양념구이는 전에 올린 고추장 바베큐 치킨 https://homecuisine.co.kr/hc10/74753 의 레시피외 대동소이하다. 주재료를 꼭 갈매기살로 할 필요... 8 file 이윤정 2019.10.22 11212
»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레시피 정말 바쁠 때 만드는 참치김치찌개. 김치를 40분 이상 푹 익혀서 만드는 김치찌개를 좋아하지만 언제나 시간이 한 시간씩 있는 건 아니라서 빠르게 만들었다. 김... 5 file 이윤정 2019.10.20 61073
793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 만들기, 레시피 몇 년 동안 레시피 변화가 거의 없는 닭도리탕. 다음에 닭도리탕 양념을 대량으로 해보고 다른 양념장레시피와 비교도 하려고 무게계량을 함께 하고 고춧가루 고... 4 file 이윤정 2019.10.18 8852
792 전골 탕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 9 file 이윤정 2019.10.15 4847
791 소스 떡볶이 작년에 산 누들떡을 정말 지겹게 쓰다가 오랜만에 굵은 쌀떡을 샀다. 쌀떡을 살 때는 꼭 시장에 가서 말랑말랑한 걸로 사와서 당일에 사용하면 진짜 최고 맛있다.... 15 file 이윤정 2019.10.11 8555
790 밥류 햄계란볶음밥, XO스팸계란볶음밥 어제 김치볶음밥에 이어서 햄계란볶음밥.여태 올린 내용과 거의 같은데 좋아하니까 자주 만들어서 쿨타임이 안차도 또 올린다. 그냥 일상적으로 만드는 계란볶음... 2 file 이윤정 2019.10.09 4511
789 밥류 김치볶음밥 그냥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이런 밥상은 너무 일상적이라 그냥 밥상글이나 일상글에 묻어 올리고 단독으로 올린 적이 아주 오래 전인데 오랜만에 김치볶음밥을 따... 4 file 이윤정 2019.10.07 6075
788 전골 탕 맑은 알탕, 알탕지리 알탕은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과는 달리 재료 자체에서 육수가 덜 나오기 때문에 육수를 우려서 넣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알탕 뿐만이 아니라 생선으... 4 file 이윤정 2019.10.04 7659
787 일상 짬뽕라면 진짬뽕 이후로 오랜만에 짬뽕라면. 다 아는 이야기겠지만 라면 종류는 상관없지만 기본 라면인 진라면 삼양라면 신라면이나 그 외 열라면, 삼양라면매운맛 짬뽕라... 5 file 이윤정 2019.10.03 3743
786 일상 마라볶음면 요즘 유행하는 마라볶음면과 마라탕면을 사봤다. 컵라면으로 사보니 둘 다 괜찮아서 봉지면으로도 한번들씩 샀다. (개인취향 주의) 둘 다 마라향이 훅치고 올라오... 6 file 이윤정 2019.10.02 3667
785 일상 맵달짠 버터옥수수 엄마께서 삶아주신 찰옥수수가 아직도 냉동실 반 칸을 차지하고 있는 요즘. 언젠가 옥수수를 일단 냉장실에 옮겨 해동하고 다음날 전자렌지 돌릴까 하다가 통으로... 8 file 이윤정 2019.10.01 5818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