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일상
2019.10.02 02:06

마라볶음면

조회 수 2719 추천 수 0 댓글 6




요즘 유행하는 마라볶음면과 마라탕면을 사봤다. 컵라면으로 사보니 둘 다 괜찮아서 봉지면으로도 한번들씩 샀다. 



(개인취향 주의)

둘 다 마라향이 훅치고 올라오기는 한데 마라의 얼얼한 맛이 세지는 않다. 마라볶음면이 조금 더 달달하다. 맵기는 꽤 맵지만 못먹겠다 싶지는 않은 정도이다.

하지만 봉지면을 부재료 없이 끓이니 간이 너무 세고 소스가 남아서 마라탕이나 마라샹궈에 들어가는 재료 중에 집에 있는 걸로 재료를 조금 준비했다.


먼저 마라볶음면. 

일부러 살 필요는 없고 이왕 샀으니 부재료를 넣어봤다.



마라탕이나 마랴샹궈에 들어가는 재료가.. 고기나 햄, 소세지, 어묵, 해산물, 채소, 버섯, 면.. 이라고 쓰고보니 마라탕에 들어가는 재료라기보다는 그냥 식재료 수준이다. 냉장고에 사둔 게 있으면 (간이 세지 않은 걸로) 아무거나 다 넣으면 된다 싶다. 고기나 햄 소세지 어묵 맛살 해산물은 거기서 거기니까 넘어가고 채소는 볶거나 데쳐서도 먹는 걸로 양파 양배추 배추 청경채 대파 당근 부추 등에 새송이 표고 팽이 목이 등등..인데


집에 있는 대패삼겹살, 크래미 맛살, 양파, 목이버섯을 꺼내왔다.






먼저 고기와 채소를 볶아서 덜어둔 다음


크기변환_IMG_0245.JPG 



크기변환_IMG_0244.JPG     크기변환_IMG_0247.JPG 



크기변환_IMG_0251.JPG




크기변환_IMG_0257.JPG 




라면을 끓이고 졸여서 준비한 재료와 볶으면 끝.


크기변환_IMG_0253.JPG     크기변환_IMG_0259.JPG 


크기변환_IMG_0261.JPG     크기변환_IMG_0265.JPG


크기변환_IMG_0267.JPG





크기변환_IMG_0268.JPG




크기변환_IMG_0272.JPG




크기변환_IMG_0276.JPG




크기변환_IMG_0283.JPG


부재료 없이 먹을 때의 쨍한 맛보다는 좀 완화된 맛이다. 마라의 쨍한 맛이 희석되는 면이 있으니까 쨍한 맛이 좋을 때는 부재료를 조금만 넣는 것이 좋겠다.

마라샹궈 인스턴트버전 느낌이다. 여러가지 먹을 것이 있고 소스맛도 부재료 없이 먹을 때보다 적당히 희석되어서 마라맛이 나는 라면 치고는 맛있게 잘 먹었다. 마라맛에 약하다면 마라샹궈보다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을 것도 같다.



마라탕면은 다음에 이어서..





  • 만두장수 2019.10.04 00:04

    일산의 모 오향족발 가게, 훠궈에 빨간 육수가 기가 막히지 뭡니까, 신세계였읍죠, 겁없이 홀짝홀짝 육수를 많이 마셨나봐요, 어느순간 속이 뒤집혀 119라도 불러야 하나? 정도까지 간 아픈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시장 한 구석에 있는 중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에 드가, 마라탕을 주문합니다. 대화가 1도 안통하네요. 중국인들만 가는 가겐가봐요.

    아는 조선족 꼬마에게 전화를 해서 통역을 해가며 마라탕을 주문해 먹습니다.

    근데 고통스럽게 맵기만 하고 맛이 없어요.
    원래 이런가? 이 집이 못하는건가?
    아직도 모르는 부분입니다.

    제가 제게 주는 일주일에 한번, 수고의 선물...양꼬치
    그 양꼬치 가게에 마라샹궈가 있는데 비싸서 후달리고 혼자 먹기도 쩜 그래서 한번도 못먹어 봐서 마라샹궈가 뭔지도 몰라요. 근데 울 장녀는 마라샹궈를 넘넘 좋아한답니다. 이노무 가스나 애비는 그게 뭔지도 모르는데 ㅠㅠ

  • 이윤정 2019.10.04 02:14
    저는 아는 분 가게에서 마라탕을 처음먹고 아니 세상에 이런 게 다 있네 싶더라고요.
    그래서 훠궈, 마라탕 열심히 먹었는데 취향이 생기기 시작하니까 사먹는 게 원하는 바와도 달라지고..
    또 가끔 가던 중국 식료품가게가 훠궈집으로 바뀌는 걸 보니 소스를 사서 해먹는 것과 사먹는 것의 차이도 잘 모르겠고..
    그런데 한국에서도 최근 소스말고 가게자체의 위생문제가 생긴 적이 있는데, 중국에서도 마라탕재료가 위생적으로 문제가 된 경우가 많아서 이걸 계속 사야하나 말아야하나..
    마라샹궈소스도 마찬가지라 맛있게 해먹고 나서도 이 소스를 더 살까 말까..
    그럼에도 양꼬치는 선물과도 같은 존재임에 확실합니다ㅎㅎㅎ
  • 만두장수 2019.10.04 22:51
    그 위생 그거 절반도 안되는 업체들 걸린 것 아니던가요? 절반의 확률이라면 뭐 복불복하시면...??

    마라탕...잘하는 곳 수배해 봐야겠습니당^^
  • 이윤정 2019.10.08 01:47
    절반이면 약간 타노스같은ㅋㅋㅋㅋ
  • 레드지아 2019.10.07 10:55

    빕스가서 마라탕을 한입 먹어봤는데요 엄청 맵더라구요 +_+

    그래서 정식으로 마라탕을 먹으면 무섭도록 매워 죽겠구나!!!

    이것은 내가 범접할수 있는 영역의 음식이 아닌것이다!! 라고 생각했었어요

     

     

    근데 윤정님이 만드신 마라볶음면은 매워서 땀뻘뻘 흘리며 쓰읍쓰읍하면서도 젓가락질이 계속 갈거 같아요!! ㅎㅎㅎ

    무엇보다도 질좋은 재료가 한바가지인데다가 고기가!! 들었으니까요 하하하 !!!

  • 이윤정 2019.10.08 01:50
    요즘엔 빕스에서도 마라탕이 있나봅니다. 대세긴 한가봐요ㅎㅎㅎ
    마라탕도 취향에 맞으면 엄청 땡기는데 그 얼얼한 맛이 입맛에 안맞으면 정말 매운 것 같아요.
    제 남편이 매운건 잘 못먹으면서 얼얼한 건 잘 먹는데 저는 완전 반대거든요ㅎㅎ

    마라볶음면이야 마라맛 라면이니까 우리 입맛에 먹기 좋게 적당히 익숙하면서도 또 마라맛이 나는 그런 지점이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고기가 들어간다면 무서울 것 없겠죠ㅎㅎㅎ

  1. 곱창 두부두루치기, 레시피

    예전에 두부두루치기를 올린 적이 있는데 좀 밋밋해서 재료나 조리법을 바꿨었다. 여러번 해보니 대창이 들어가면 제일 맛있고, 차돌박이가 그 다음, 그도 없으면 대패삼겹살을 사용하면 괜찮다. 소기름이 들어가야 맛있다. 재작년부터 이렇게 해먹어왔는데 여러번 주재료를 바꿔가면서 대량양념도 하면서 비율도 바꿔가면서 하다보니 낙곱새 양념이랑 좀 겹치는 부분이 생겨서 그냥 안 올리고 둘까 하다가 맛있다고 너무 자주 해먹고 또 곱도리탕도 만들고 하다보니 비슷한 음식이 폴더에 자꾸 밀려서 업로드.. 두부두루치기니까 제일 중요한 것은 ...
    Date2020.02.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731 file
    Read More
  2. 꼬막무침

    2013/04/16 꼬막무침 꼬막은 바닷물 정도의 소금물에 해감하고 자갈 씻듯이 바락바락 씻어서 끓는 물에 삶는다. 칫솔로 문질러서 닦아도 되는데 일일이 하기가 귀찮고 껍질을 양쪽 다 깔 것이라서 칫솔로 문질러서 씻지는 않았다. 3~4분정도, 몇 개 정도 입을 벌리면 다 삶은 것이다. 꼬막 몇 개가 입을 벌리면 바로 건졌다. 물이 끓도록 기다리지 않아도 다 익었다. 너무 오래 삶으면 꼬막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식감이 부드럽지 않으니까 데친다는 느낌보다 조금만 더 삶는 것이 맛있다. 꼬막의 뒷부분에 숟가락을 넣어서 비틀면 쉽게 까진다. 양념...
    Date2013.04.1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731 file
    Read More
  3. 낙곱새양념으로 관자 곱창 소고기

    낙곱새의 신기한 점은 낙곱새 양념과 소기름이 적당히 들어가기만 하면 낙지, 곱창, 새우가 전부 다 안들어가도 낙곱새맛이 나는 것이다. 이번에는 구이용 소고기, 대창, 관자를 사용했다. 대창을 사용하면 좋지만 구매하기 번거로울 때는 대창 대신 차돌박이를 사용해서 소기름이 들어가도록 하는 것도 괜찮다. 낙곱새 양념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재료 구이용 얇은 소고기 350그램 대창 100그램 조개관자 150그램 낙곱새양념 200그램 (1회분) 사골육수 500그램 양파 1개 대파 흰부분 2~3대 라면사리 1개 냉동우동사리 1개 ...
    Date2020.12.0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2719 file
    Read More
  4. 마라볶음면

    요즘 유행하는 마라볶음면과 마라탕면을 사봤다. 컵라면으로 사보니 둘 다 괜찮아서 봉지면으로도 한번들씩 샀다. (개인취향 주의) 둘 다 마라향이 훅치고 올라오기는 한데 마라의 얼얼한 맛이 세지는 않다. 마라볶음면이 조금 더 달달하다. 맵기는 꽤 맵지만 못먹겠다 싶지는 않은 정도이다. 하지만 봉지면을 부재료 없이 끓이니 간이 너무 세고 소스가 남아서 마라탕이나 마라샹궈에 들어가는 재료 중에 집에 있는 걸로 재료를 조금 준비했다. 먼저 마라볶음면. 일부러 살 필요는 없고 이왕 샀으니 부재료를 넣어봤다. 마라탕이나 마랴샹궈에 들어...
    Date2019.10.02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6 Views2719 file
    Read More
  5. 미니오이로 오이소박이

    미니오이의 제철은 5~10월인데 그동안 미니오이를 수도 없이 샀었다. 그러는 동안 오이소박이도 했었는데 제철이 끝나고 이제야 정리해서 올린다. 올해는 미니오이가 끝났지만 내년에 미니오이가 나면 만들어먹기 좋겠다. (라고 할 거면 왜 지금 올리는거..) 오이는 요즘은 따로 제철이 없으니까 1년 내내 오이소박이를 가볍게 만들기 괜찮다. 일반 오이로 환산할 때는 8개정도 사용하면 적당하다. (너무 굵지 않은 오이로 1~1.2키로) 미니오이가 원래 일반오이보다 더 아삭한 질감이고 오이의 향이 강해서 맛이 옅은 오이보다 상큼한데 이 오이로 오...
    Date2020.11.1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2 Views2717 file
    Read More
  6.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2013/07/06 돼지고기로 속을 채운 파프리카전 사용한 재료는 속을 채우는 돼지고기소로 돼지고기 다짐육 400그램, 계란2개, 빵가루 1컵, 다진 마늘1T, 다진 생강 1t,소금 2t, 청주 2T, 참기름 0.5T, 후추 약간 파프리카 적당량, 밀가루, 계란 파프리카에 고기반죽을 채우고 밀가루와 계란물을 묻혀서 지져내면 끝. 돼지고기반죽의 간이 적절하기 때문에 간장에 찍어먹지 않아도 간이 딱 맞았다.
    Date2013.07.0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710 file
    Read More
  7. 맛살무침

    맛살무침 맛살을 데쳐서 충무김밥 오징어무침과 거의 같은 레시피로 무쳤다. 맛살 특유의 향은 줄어들고 집어먹기 좋은 반찬이 된다. 길다란 맛살보다는 크래미나 샐러드용 꽃맛살로 만들면 맛있다. 몇 년 전부터 충무김밥을 만들다가 오징어도 무치고 오뎅도 무치는데 맛살도 무치면 되겠다 생각만 하다가 올해 들어서야 처음 만들었다. 나는 맛살을 좋아하는 편이고 가족은 맛살을 싫어하는데 (한 명은 맛살 맛있는데 왜 이걸? 하고, 한 명은 아니 별 맛있지도 않은데 왜 이걸? 하면서 서로 공감은 못하지만 그러려니 하는 중) 맛살무침은 둘 다 좋...
    Date2022.05.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2706 file
    Read More
  8. 뚝배기불고기

    2013/04/28 뚝배기불고기 뚝배기불고기와 불고기전골은 원래의 의미에서는 다른 음식이기는 한데 현대에 와서는 그 둘의 맛의 차이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 같다. 전골은 원래 물을 약간만 붓고 볶듯이 먹는 음식인데 전골에 육수를 부어서 뚝배기불고기처럼 먹으면서 두 음식이 결론적으로 조금 닮게 된 것 같다. 예전에 올린 불고기전골 - http://www.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document_srl=14816 육수를 붓고 야채와 당면을 넣어서 먹을 것이기 때문에 일반 불고기보다 간을 더 강하게 해서 양념했다. 미리 준비할 것 1 먼저 멸치 다시...
    Date2013.04.28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2705 file
    Read More
  9. 떡국

    새해나 설날에 먹는 떡국. 전국적으로 다 같이 떡국을 먹는 날은 설날이지만 떡국의 본격 시즌은 설날 이후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2001년 자취시절부터 지금까지) 매해 설날이면 엄마께서 떡국떡을 어마어마하게 챙겨주시기 때문.. 설날 당일에는 늘 본가에 가서 떡국을 먹으니까 설에는 우리 집에서 떡국 먹을 일이 없고 엄마께 받아온 떡국떡을 냉동하기 직전에 신선한ㅋㅋ 떡국떡으로 떡국을 먹는 지금이 제일 맛있다. (까지 쓰고 2주가 지났다. 지금은 떡국떡은 전부 냉동해둔 상태이다.) 떡국이야 자주 먹는 편인데다가 대충 만들어서 대충 먹...
    Date2020.02.11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6 Views2703 file
    Read More
  10.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시판 고기순대를 굽거나 볶아서 편하게 밥 한끼를 해결하기도 한다. 좋아하는 메뉴라 일 년 내내 자주 해먹지만 더울 때 공들이지 않고 해먹는 인스턴트 식사라 여름에도 괜찮은 편이다. 먼저 이전에 올린 아스파라거스 순대구이 https://homecuisine.co.kr/hc10/92106 순대구이 (+참나물) https://homecuisine.co.kr/hc10/90517 고기순대볶음밥 https://homecuisine.co.kr/hc10/96711 / https://homecuisine.co.kr/hc10/100894 반조리식품인 순대를 사용했으니 만들기 간단하다. 재료 준비하고 먹기 좋게 굽거나 볶으면 완성. 그런데 이런 것도 뭐 ...
    Date2021.08.05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2 Views2703 file
    Read More
  11. 일상

    찜닭에는 주로 감자를 넣는데 식구가 고구마 넣은 찜닭이 먹고 싶다고 해서 만든 고구마찜닭. 레시피는 평소 올린 찜닭이랑 똑같다. - https://homecuisine.co.kr/hc10/101346 고구마는 갈변하지 않도록 물에 담가두기. 닭다리만 듬뿍이고 고구마도 당면도 양배추도 다 맛있다. 오랜만에 만든 텃만꿍. https://homecuisine.co.kr/hc20/62557 2번 튀기고 기름 바짝 빼고 시판 스윗칠리소스를 곁들였다. 빵가루가 가늘어서 살짝 맘에 안들었지만 다진새우튀김이니 당연히 맛있었다. 카레 짜장은 양파가 흔한 계절에 일상적으로 자주자주 만든다. 카라멜...
    Date2021.07.27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6 Views2701 file
    Read More
  12. 햄김치볶음밥

    잘 익은 김치와 스팸, 대파 듬뿍, 고슬고슬한 밥과 조미료, 버터와 모짜렐라의 조합인 햄김치볶음밥. 요즘 스팸과 리챔이 제철이라 볶음밥 만들기 딱 좋다. 사용한 재료(2인분) 식용유 약간 스팸이나 리챔 200그램 1캔 대파 흰부분 2대 김치 200그램 쌀 1.5컵으로 지은 밥 (=2그릇) 산들애나 다시다 등 조미료 0.5스푼 버터 1스푼 소금, 후추 약간 참기름 약간 (선택) 모짜렐라치즈 100그램 1. 밥은 고슬고슬하게 지어서 일구고 김을 빼고 볶음밥 재료를 준비한다. 2. 햄 볶기 3. 대파 볶기 4. 김치 볶기 수분 없이 파슬파슬하면 5. 밥 조미료 버터 ...
    Date2022.01.29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0 Views2698 file
    Read More
  13. 굴수제비,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어릴 때부터 굴을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가족 모임으로 자주 가던 굴집(굴전문음식점)이 있었다. 좋아하지 않은 식재료지만 자주 먹으며 크다보니 어떻게 하면 내 입맛에 맞는지도 알게 되고 그러다보니 맛있게 조리된 굴은 잘 먹는 정도가 되었다. 생굴은 아직 못먹는다; 굴이 주재료가 되는 음식을 일부러 찾아서 먹는 편은 아니지만 엄마께서 겨울마다 소굴을 사서 챙겨주시면 그래도 감사히 받아서 잘 먹는다. 올해도 어김없이 굴을 받아왔고 그래서 이번에는 뭘할까 하다가 굴수제비를 만들었다. 굴은 해산물이니까 당연히 멸치황태육...
    Date2019.12.21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6 Views2697 file
    Read More
  14. 스팸파전

    2013/06/17 스팸파전 어머님께 여리여리하고 맛있게 생긴 쪽파를 받았다. 얘네는 한 눈에 봐도 파전으로 딱인데 파를 다듬고나니 냉동실에 있는 해물을 해동하는 것마저도 귀찮아서 파전에 스팸을 넣어본 적은 없지만 스팸이 눈에 띄는 김에, 스팸이 맛이 없을 리가 없으니까 스팸을 썰어 넣어서 만들었다. 예전에는 대파전에 베이컨을 넣은 적도 있고.. 어쨌든 제삿상에 올리는 딱 파만 있는 전보다는 뭐라도 더 들어가면 맛이 더 낫다. 사진은 전체의 반정도이다(=이것보다 2배 더 다듬었다). 보통 전(찌짐)에는 부침가루를 많이 사용하는데, 부침...
    Date2013.06.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694 file
    Read More
  15. 아스파라거스 소고기볶음

    아직도 끝나지 않은 아스파라거스. 그런데 또 남아 있다. 소고기와 아스파라거스를 각각 볶아서 덮밥소스에 볶았다. 사용한 재료는 소고기다짐육 200그램 아스파라거스 10~15개 소금 약간, 올리브오일 적당량 덮밥소스 2.5스푼 (40미리) 후추 약간, 참기름약간 덮밥소스 미리 만든 것을 사용했다. https://homecuisine.co.kr/hc10/89680 덮밥소스는 따로 종지에 3스푼 담아두고 고기를 볶은 다음 붓는데 , 전부 넣지 않고 약간 남겨서 간을 본 다음 부족하면 전부 다 부어서 간을 맞췄다. 덮밥소스가 있으면 편하지만 없을 경우에는 간장 20그램(1.3...
    Date2020.05.25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2687 file
    Read More
  16. 닭곰탕

    닭을 삶아서 닭고기를 바르고 국물을 같이 먹는 닭곰탕. 삼계탕이 이름도 그럴싸하고 1인 1닭에 보기 좋게 나오는데 비해서 닭곰탕은 상징적인 의미가 적어서 그런지 홀대받는데 사실 닭곰탕이나 닭칼국수 같은 음식을 닭살을 미리 발라야 하는거니까 더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인 것 같다. 미리 싹 다 준비해놓고 먹을 때는 손이 안가는 걸 좋아하는 성격상 삼계탕 닭을 살 바르면서 먹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잘 안하는 편이고, 닭 손질하고 씻는 일이 번거로워서 닭곰탕은 가끔 하다가 아버지가 토종닭을 가져다주셔서 요즘 몇번 해먹고 있다. 닭곰탕 ...
    Date2021.12.26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0 Views2684 file
    Read More
  17. 육회

    2011/11/12 육회 한우 우둔살, 간장, 꿀, 참기름, 잘게 썬 쪽파, 다진 마늘, 잣, 계란 노른자, 배 블로그 포스팅을 여기로 옮기는 지금 시간은 2015년 4월 12일. 지금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다.
    Date2011.1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680 file
    Read More
  18. 닭다리살튀김을 올린 닭야채철판볶음밥

    자주자주 만드는 닭야채볶음밥인데 닭고기를 양념해서 볶지 않고, 야채와 닭갈비양념으로만 볶음밥을 만들고 닭고기는 따로 튀겨서 넣었다. 닭다리살은 밑간을 하고 바삭하게 튀겼는데 튀긴 닭고기는 볶음밥에 같이 볶는 것 보다는 따로 접시에 담아서 밥에 하나씩 올려서 먹는 것이 바삭바삭하니 더 좋다. 닭갈비양념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2906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닭다리살 400그램 (4개) 소금, 후추, 튀김기름 적당량 버터 2~3스푼 양파 반개 대파 1대 김치 1줌 밥 2.5그릇 (햇반 3개 혹은 식은 밥 600그램) 닭갈비...
    Date2020.08.05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4 Views2679 file
    Read More
  19. 기본잡채

    2013.06.18 기본잡채, 잡채만드는법 오랜만에 다음에서 만화를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인물이 하도 잡채에 면많이!를 강조해서 나도 모르게 잡채를 만들었다. 는 아니고 밤에 온라인마트에서 시금치랑 이것저것 주문해서 만들었다. 그런데 받고 보니 당근이 없어서 아쉽게 당근을 못넣었다. 이걸 왜 빼먹었지?? 잡채에 면많이가 좋기는 한데 너무 면만 있으면 당연히 맛이 반감되니까, 잡채를 먹으면서 이건 당면뿐이네.. 는 아니면서 당면이 많은 정도가 오늘의 포인트. 잡채의 양이 많기 때문에 팬에 한번에 넣고 마지막으로 볶아내는 것은 하지 않...
    Date2013.06.1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0 Views2667 file
    Read More
  20. 콩조림

    2013/07/03 콩조림 시장에서 소복하게 쌓아 두고 파는 콩이 알록달록 이뻐서 절로 눈길이 갔다. 밥에도 넣어 먹지만 콩조림을 해둬도 잘 먹어서 한바가지 샀다. 콩조림을 꼭 해야지 하고 콩을 사오는 것은 아니고 그냥 시장에 들르면 이상하게 콩을 사고 싶어지고 사게 된다.. 눈길이 확 가도록 이쁜 콩. 만드는 과정은 간단하다. 대충 불려서 삶고 간하면 끝;;; 마른 콩은 아니지만 덜 불을 콩을 삶아서 삶는 시간이 오래 걸리면 콩이 부스러지니까 30분 정도 불려서 삶았다. 물을 충분히 붓고 끓기 시작하면 중약불로 줄여 30분정도 뭉근하게 삶은 ...
    Date2013.07.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2655 file
    Read More
  21. 찌개맛된장으로 간단 된장찌개

    찌개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으로 만든 된장찌개. 얼마 전에도 올렸지만 그 때는 물이나 채소, 찌개맛된장의 양을 저울로 재가면서 만들어서 레시피를 올렸었다. 평소에는 저울이고 뭐고 그냥 대충 해먹는다. 찌개맛된장을 해놓으니까 된장찌개 끓이는 게 아주 편해서 예전보다 더 종종 해먹고 있다. 과정사진도 없고 레시피라고 할 것도 없는 간단한 내용이다. 아래 재료를 써두긴 했지만 당장 집에 있는 최소한의 재료로 대충대충 만든거라 크게 의미가 없다. 애호박 반개 (취향에 따라 씨 빼기) 양파 중간 것 1개 두부 1모 (...
    Date2020.07.12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2649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