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4065.JPG



해마다 돌아오는 소고기미역국.

미역국은 생각할 것도 없고 그냥 쿨타임이 차면 먹는 거라서 이렇게 돌아온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한우 양지 400그램

미역 40그램

참기름 적당량

황태육수나 물 약 2리터

다진마늘 2스푼

국간장 4스푼 (간보고 가감)



미역은 개인적으로 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마트에서 구매한 것 중에서는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구매한 안옥남 기장미역이 좋았다. 평소 미역국에 육수로 황태육수를 연하게 내서 사용하는데 미리 육수 끓일 여유가 없을 때는 물만 사용하기도 한다.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확실히 더 맛있기는 하다.



미역은 고기 100그램당 미역10그램이면 분량이 적당하다.

소고기는 국거리를 사용할 때도 있고 양지나 사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덩어리가 크면 겉을 구워서 그대로 국을 끓이다가 익힌 다음에 썰고 국거리인 경우에는 볶아서 바로 사용한다.


미역은 한 번 헹군 다음 찬물을 붓고 약 1시간동안 불리고 살짝 주물러서 짓이기지지 않게 씻고 물기를 뺐다. 줄기는 제거하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부드러운 국에 오독오독한 질감을 즐기지 않아서 하나하나 꺼내서 미역줄기를 분리하고 적당한 길이로 잘랐다.


크기변환_DSC09579.JPG       



팬이나 냄비에 참기름을 약간 두르고 미역과 다진마늘을 다닥다닥하게 볶아서 그릇에 옮겨 둔 다음

크기변환_IMG_2893.JPG 



소고기도 냄비에 볶았다. 기 보다는 구웠다. 레시피에는 400이라고 썼는데 고기는 다다익선이라 500그램 사서 다 넣었다.

크기변환_IMG_3913.JPG     크기변환_IMG_3915.JPG




같이 조금 더 볶다가 황태육수를 붓고 팔팔 끓으면 거품을 살짝 걷어내고 불을 줄여서 국간장으로 간을 하고 푹 끓이면 끝이다.

(가끔은 그냥 후라이팬에 소고기볶고, 참기름+미역+마늘을 볶아서 차례로 냄비에 넣어서 물을 붓고 끓이기도 한다.)


크기변환_IMG_3916.JPG





크기변환_IMG_2337.JPG


물을 붓고 1시간정도 끓이다가 고기를 건져서 얇게 썰어서 다시 넣었다.



크기변환_IMG_3918.JPG    크기변환_IMG_3922.JPG



크기변환_IMG_3928.JPG

(고기가 너무 잘 익었을 때 썰면 부스러지니까 30분쯤 익히고 썰어서 그 다음에 부드럽게 삶아도 좋다.)




고기를 건져낸 미역국에

크기변환_IMG_3919.JPG



얇게 썬 양지를 넣고 좀 더 끓였다.

크기변환_IMG_3929.JPG



고기나 미역의 상태에 따라 약불로 총 1시간 반정도 푹 끓였다. 

뚜껑은 비스듬하게 닫다가 완전히 닫기도 한다. 물은 2리터라고는 했지만 중간중간 봐서 물이 부족하면 물을 끓여서 부어서 보충하고, 질감은 완성됐다 싶은데 좀 싱겁거나 한 이유로 조금 더 졸일 때는 불을 약간 올려서 조절하고, 마지막에 간을 보고 국간장이나 소금 약간으로 입맛에 딱 맞추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3930.JPG      크기변환_IMG_3932.JPG



간이 딱 맞으면서도 진한 소고기미역국은 말할 것도 없이 맛있다.

음식을 먹을 때 랜덤성이 있는 걸 좋아하지 않는데, 미역줄기없이 흐들흐들한 미역과 부드럽게 푹 익은 고기가 모난 데 없이 한 그릇에 있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


크기변환_IMG_4065.JPG




크기변환_IMG_4074.JPG





남은 미역국에는 밥을 넣고 푹 퍼지게 끓여 소고기미역죽을 만들었다. 

미리 만들어 둔 미역국으로 끓였으니 할 일도 거의 없고 속도 편하고 맛있고, 누가 해 준 것 같아서 좋음ㅋㅋ


크기변환_IMG_5237.JPG



  • 만두장수 2019.08.28 23:52

    헐...고기 볶거나 꾸버서 넣는거예요? 몰랐어요. 또배움^^;;

    매번 걍 국거리 꼬기를 대충넣고 다시다 듬북넣고 끓였지요, 다시다가 열일해주는?? 쌤 같이 이케 끓이면 제 상상으론 심심할 것 같습니다. MSG 안들어가면 맛없다고 느끼는 초딩입맛이라서요...그치만 한우양지 비주얼이 어후....맹물에 먹어도 끝판왕일 것 같습니다^^

    근데 1시간 반이나 끓이는거구나....전 끓기시작하면 학 15분쯤? 불끄고 먹는데 1시간 이상이라?? 이유는 알리없는 저지만 담엔 꼭 기억해뒀다 오래 끓여봐야겠습니다.

    건글코...
    얼마전 생일이었는데 멱국은 커녕 맹물한잔도 없었네요? 아~방금 생각났어요. 이누메 망구탱이에게 어찌 복수를 한담...그래도 딸램들에겐 감동의 메세지를 받아서 행복했었는데 멱국 생각에 갑자기 마구마구 분함이 몰려옵니다^^;;

  • 이윤정 2019.08.29 03:59

    고기는 어디에 넣든지 간에 꾸워야 제맛아닙니까ㅎㅎㅎ

    제가 아직 다시다를 미역국에 넣어 본 적이 없어서 모르긴 하지만 이렇게 끓이면 좀 심심한 감이 있을 것 같긴 한데 황태육수 우려서 넣으면 심심한 맛이 채워지더라고요. 하지만 조미료의 파워는 편하고 맛있고 제 생각 이상이겠죠?ㅎㅎ

    저는 미역도 보들보들한 걸 좋아하고 특히 양지는 푹 삶아야해서 1시간반도 좀 짧게 느껴질 때가 있더라고요. 특히 미역을 큼직하고 빳빳한걸로 쓰면 더 그렇고요.

    얼마 전 생일이셨군요. 축하드립니다^^ 사모님께 복수하시기 전에 복수당할 일이 없나 곰곰히 생각해보신 다음 그럴 일이 없으시면 치밀하게 계획을 짜시고, 복수당할 일이 더 많다 싶으시면 더 복수 당하기 전에 조심하셔요ㅎㅎㅎ

  • 만두장수 2019.08.29 23:07
    복수당할 일??
    종종 느끼는건데 여성분들은 남자들보다 매번 한발 앞서가는 것 같습니다...정말 기발하세요^^;;

    10월 망구 생일 때 멱국 끓일 때 꼭 참고해서 끓여보겠습니....가만 또 나만 끓여야 되는건가? ㅠㅠ
  • 레드지아 2019.08.29 09:40

    [ 레시피에는 400이라고 썼는데 고기는 다다익선이라 500그램 사서 다 넣었다.] <--------------기립박수 쳐드립니다!!!

     

    깐느영화제에서 대상받은 봉감독님이 기립박수 받으신것처럼 우리 윤정님도 기립박수 받으실 자격 차고 넘치십니다!!!(...이상 고진교 신도가...)

     

    그러게요!! 생각해보니 미역국안먹은지 꽤 되었어요

    더울땐 아무래도 국물요리는 찌개를 많이 하게되지 국은 안하게 되던걸요

     

    아침저녁으론 이제 선선해졌어요 ㅠ 올해도 거의 4개월 ㅠ 남았네요

    선선해졌으니 저도 미역국 끓여보겠습니다 ^^

  • 이윤정 2019.08.30 04:25

    역시 종교는 종교로 통하는건가요ㅎㅎㅎㅎ
    미역국이야 여름에는 말도 안되는 메뉴죠ㅋㅋㅋ

    아니 올해가 벌써 4개월만 남았어요?!?!? 아 완전 몰랐는데ㅠㅠ
    미역국도 이제는 일종의 인생 스탑워치같다 이렇게 생각했는데 현실감 장난아니네요ㅎㅎㅎ ㅠㅠㅠ

  • 율씨 2019.08.30 10:11

    와 양지 듬뿍듬뿍+가지런한 자태가 아름답습니다 ㅎㅎㅎ

    저도 윤정님 레시피 보고 항상 미역양x10=고기양 으로 하고 있는데 딱 좋고,, 거기에 더 들어가면 더더 좋은거죠 ㅋㅋ 다른 레피시는 고기양이 훨씬 적더라고요..

    사태보다는 저는 지방 쏙쏙 박혀있는 양지가 고소하고 좋은데 막 침고이네요 ㅋㅋ 주말에 좀 끓여봐야겠어요~

    (매일 식단이 윤정님 업데이트에 따라 정해짐 ㅋㅋ)

  • 이윤정 2019.08.31 03:37
    제가 너무 익스트림하게 고기를 많이 넣나요ㅎㅎㅎ
    미역도 많이 넣으려고 하는데도 저는 이렇게 하게 되던데 제가 세상 돌아가는 일을 잘 모르고 사나봅니다^^;;
    사태도 양지도 푹 끓이면 다 좋지만 그래도 미역국엔 좀 기름기가 자글자글해야 구수하고 고소하니 그렇죠ㅎㅎ
    이렇게 미역국 끓이고 남은 것을 그릇에 담아 냉장고 넣었다가 다음날 냄비에 옮기면 그릇에 기름이 굳어서 좀 남잖아요.
    이거 싹싹 긁어서 넣어야 제맛이죠ㅎㅎㅎㅎ
  • 율씨 2019.08.31 21:06
    악ㅋㅋ 고기기름 싹싹 긁는 모습 상상햇어용 ㅎㅎ
  • 이윤정 2019.09.02 04:25
    고기 기름 다 긁은 다음에 (즐거운 X ) 악당같은 미소 지은 것도 상상해주셔요ㅋㅋㅋㅋㅋ
  • 땅못 2019.08.30 16:46

    때깔이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고기가 많이 들어가는군요!!! ㅠㅠ저희집은 미역 고기 비율에서 미역 압승이에요 ㅋㅋㅋㅋㅋ 그래도 고소하게 참기름으로 볶은 미역 푹푹 끓여서 나중에 죽까지 해먹으면 아플 때 특히 위로가 되더라고요! 또 과정을 간단히 하면 아플 때 혼자 해먹을 수 있는 요리중 만족도 기준으로 손에 꼽힌다고 생각해요ㅋㅋㅋ

    아름답게 썰어두신 고기 사진에 카타르시스를 얻으며 오늘도 홈퀴진에서 레시피 얻어갑니다. 날이 선선해지자마자 죽이 당기네요^^...주말에 즐거운 일 많이 생기 생기기를 바라요!! 항상 감사합니다<3

  • 이윤정 2019.08.31 03:40
    저도 미역이 좋기는 한데 고기도 좋고 이렇게 다 좋네 하다보면 결국에는 미역국 양이 늘어나고 그렇기 때문에 어디선가는 멈춰야하더라고요ㅎㅎㅎ
    미역만 볶고 황태육수(+때에 따라 조개육수나 생선뼈) 넣고 푹 끓인 미역국 베이스에 가자미나 대구, 전복 넣어서 시원하게 먹으면 그것도 정말 좋은데 가족이 미역국에 생선 들어가는 걸 안좋아해서 소고기미역국을 제일 자주 하고 있어요. 그렇게 미역국만 끓여서 참치 넣고 밥넣고 푹 끓인 죽도 맛있죠ㅎㅎㅎ
    내일은 오후부터 흐려서 일주일 내내 비온다고 하니 즐거운 토요일과 선선한 일요일을 골고루 즐길 수 있을 것 같아요. 땅못님도 즐겁고 행복한 주말 보내셔요^^
  • 치로리 2019.09.16 19:24
    고기 500 절대 많지 않습니다
    더 넣는집 여기있어요.. (김포시 김씨네 집에..)

    최요비의 아이돌 심효섭 쉐프 아시나요?
    그분 방송에서 본 건데

    미역국을 끓일 때 물이나 육수를 한번에 넣지 말고
    세번에 나눠서 끓이라더군요
    더 진한 국물이 나온다고.

    비교해서 실험해본적은 없는데
    그 뒤론 습관처럼 그렇게 끓여요

    자작하게 넣고 육수 추가하고 추가하고..
    그래서인지 뽀얀 미역국이 되는건지 뭔지
    장담은 못하지만
    싼 미역으로 끓일때도 뽀얗게 되더라구요

    사실 고기 가득 넣고 푹 끓이면
    고깃국이지 미역국 아닌건거 싶기도하고 ㅎㅎ
    적다보니 그러네요 ㅎㅎ
  • 이윤정 2019.09.17 16:43
    그쵸 고기 500은 기본인거죠ㅎㅎㅎ
    고기도 들고 미역도 들었으니 고깃국이기도 하고 미역국이도 하고 그렇죠ㅎㅎ

    제가 티비를 잘 안봐서 몰랐는데 아이돌같으신 셰프님이 있으신가봐요.
    저는 엄마께 미역국 끓일 때 세번에 나눠서 끓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러면 찐하고 뽀얘진다고 해서요
    한 번마다 거의 졸듯이 푹푹 해서 진국을 뽑으라 하시더라고요.
    자취 시작하면서 미역국 어떻게 끓이냐 여쭤보고 처음 미역국 만들 때는 엄마 말 듣고 그렇게 만들어보다가 요즘은 까맣게 잊고 있었어요.
    정말 오래된 일인데 다시 한 번 해봐야겠어요ㅎㅎ

  1.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얼큰 소고기뭇국

    재료 (6~8인분) 소고기 양지 1키로 물 2리터 +a 무 1키로 대파 흰부분 3~5대 (200그램) 다진마늘 4스푼 (100그램) (통마늘 넣을 땐 더 듬뿍) 고춧가루 3~4스푼 (고운거랑 보통거 반반) 국간장 2스푼 피시소스 3스푼 (간보고 필요하면 추가) 고추기름, 후추(선택) 고기는 덩어리로 양지를 사용했다. 국거리 고기를 사용해서 빠르고 간단하게 끓이는 버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108112 물은 2리터를 사용했는데 최소한이 2리터이다. 고기의 두께에 따라 고기 삶는 시간이 달라지고, 그 시간에 따라 물이 더 필요할 수 있다. 물이 적...
    Date2022.12.0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2641 file
    Read More
  2. 소고기뭇국,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었다. 그래서 하얀 소고기뭇국도 이름이 소고기뭇국인 걸 커서 알았다. 가끔 애들 먹는다고 하얀 걸 만들어도 아버지는 드실 건 언제나 따로 덜어서 고춧가루 한스푼 팍 넣어서 끓였던 기억이 난다. 가끔 탕국을 하얀 소고기뭇국 비슷하게 끓인 적이 있기는 했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칠맛이 나기 위해서 소고기가 많이 필요한데 (건더기가 많아지는데) 황태육수를 넉넉하게 우려서 넣으면 국물과 건더기의 양이 적당하면서도 국물에 감칠...
    Date2019.11.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8 Views6107 file
    Read More
  3. 소고기무국,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2014/04/14 소고기무국,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 얼큰한 소고기뭇국은 벌써 4~5번째 올리는 것 같은데 그냥 먹고 싶을 때 만들어 먹는 국이라 소고기만 사면 편하게 만들어 먹기 좋다. 미역국 한다고 사 둔 한우양지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랩에 싸고(진공포장도 좋은데 우리집 진공포장기가 진공이 잘 풀려서 랩에 싸는게 차라리 더 나았다..) 빛이 통하지 않도록 은박호일에 싸서 냉장고에서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보관해뒀다가 소고기무국을 만들었다. 원래는 소고기뭇국이 맞는 말인데 무국이 더 편해서.. 이렇게 포장한 고기는 내가 보관하...
    Date2014.04.1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9209 file
    Read More
  4. 소고기무국, 끓이는법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 https://homecuisine.co.kr/hc10/86423 맑은 소고기뭇국 - https://homecuisine.co.kr/hc10/71007 소고기뭇국이 생각나는 겨울이라 한우양지를 주문해서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맑은 국으로 끓인 다음 3등분해서 냉장해두었다가 데워먹을 때 취향에 따라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적당히 끓이니 맑은 소고기뭇국과 경상도식 매콤한 소고기뭇국을 둘 다 먹을 수 있었다. 무는 파란부분이 햇볕을 받아 달달하고 흰부분이 알싸하다고 한다. 그래서 생채는 파란부분, 숙채나 국에는 흰부분을 사용한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
    Date2015.12.0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12 Views18610 file
    Read More
  5.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2013/09/03 소고기무국, 경상도식 얼큰한 소고기무국 뭇국이 맞는 표기이기는 하나 내 입도 뭇국이 익숙치 않아서 제목은 무국으로 올려본다. 평소에도 밥, 국, 반찬의 식단은 주로 1주일에 1번정도이고 여름이라 국은 거의 만들지 않았는데 아무 생각 없이 언젠가는 해먹겠지하고 사다 둔 소고기국거리를 냉동실에 넣어두니 언젠가는 해먹겠지 했던 내가 얼마나 거슬리는지 3주만에 항복하고 해동해서 뭇국을 만들었다. 요즘 날씨도 여름을 벗어나고 있어서 오랜만에 국 끓이기에 적당했다. 어릴 때부터 먹어온 소고기뭇국이 맑은 국이 아니고 고춧...
    Date2013.09.0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5762 file
    Read More
  6. 소고기무국

    2014/09/18 소고기무국 소고기뭇국이 맞는 말이지만 무국이 더 편해서 계속 무국으로 쓴다. 평소에 늘 얼큰한 경상도식 소고기무국을 자주 만들고 맑은 국은 제사 때나 먹는데 오랜만에 맑은 국을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소고기 200그램, 무 500~600그램, 참기름 약간, 다진마늘 1스푼, 물 넉넉히, 다시마 몇 장, 국간장 3스푼(가감), 콩나물 300그램, 대파 1대 무는 파란부분이 햇볕을 받아 달달하고 흰부분이 알싸하다고 한다. 실제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서 생채는 파란부분, 숙채나 국에는 흰부분을 사용한다. 무는 나...
    Date2014.09.1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4253 file
    Read More
  7. 소고기고추장볶음, 소고기고추장, 참치볶음고추장

    보통 음식이름이 마지막에 있는 것이 정체성인데 지금 올리는 소고기 볶음 고추장을 예를 들면 다진고기를 볶아서 (고추장이 들어간)양념을 고기보다 더 많이 넣어서 만든 것인데 쓰임새가 고추장임 - 소고기(볶음)고추장 다진고기를 볶아서 (고추장이 들어간)양념을 고기보다 적게 넣고 것인데 쓰임새가 고기볶음의 요리임 - 소고기고추장볶음 혹은 고추장다진불고기 이런 식이다. 모든 음식이 다 그렇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그렇게 이름을 붙힌다. 그런데 지금 올리는 소고기고추장은 양념비율에 따라 얼마든지 둘 다 될 수 있어서 제목은 대충 이...
    Date2019.03.04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7060 file
    Read More
  8. 소고기 피망볶음, 차돌피망볶음

    얼마 전 올린 고추잡채 https://homecuisine.co.kr/hc20/103357 와 비슷한 재료로 만들었다. 비슷한 느낌으로 대패삼겹살에 꽈리고추를 사용하면 https://homecuisine.co.kr/hc10/91466 이렇고 대동소이하다. 고추잡채는 돼지고기를 감자전분으로 코팅한 다음 튀기듯이 조리해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차돌박이를 미리 굽고 나머지 재료와 마지막으로 함께 구워서 볶음을 만들었다. 차돌에 기름이 많으니까 구운 다음에 차돌박이도 키친타올로 기름을 살짝 닦는 것이 먹기 좋다. 차돌박이 400그램 소금, 후추 약간 (식용유없이 소고기 볶을 때 나온 기름...
    Date2021.06.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3124 file
    Read More
  9. 소고기 콩나물밥

    소고기 콩나물밥 표고버섯과 소고기를 볶아 고명으로 만들고 늘 만드는 양념장을 곁들이고 계란도 하나 부쳐서 올린 콩나물 밥을 만들었다. 쌀 1.5컵 콩나물 300그램 다진소고기 200그램 표고버섯 4개 간장 1스푼 물엿 0.5스푼 양파 반개 다진 마늘 1스푼 후추 약간 대파 반대 참기름 약간 쪽파 반줌 다진마늘 약간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0.5스푼 간장, 참기름, 깨 계란2개 분량이 딱 정확하지는 않은데 양념장을 약간 넉넉하게 만들고 양념장의 양으로 입맛에 맞게 간 조절을 했다. 콩나물 밥에는 콩나물만 넣었는데 무나 당근을 조금 채썰어서 ...
    Date2015.01.26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10 Views17377 file
    Read More
  10. 소고기 얼갈이 된장국

    소고기국거리와 단배추를 사용한 소고기 얼갈이 된장국. 소고기와 우거지가 푹 익어서 부드럽고 국물도 구수하니 맛있다. 찌개맛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93371 을 사용했다.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다. 시판된장 200그램 집된장 200그램 피시소스 36그램 조개다시다 36그램 다진마늘 100그램 대파흰부분 100그램 청양고추 75그램 (12개) 시판된장은 해찬들 재래식 된장을 사용했다.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
    Date2020.09.13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3560 file
    Read More
  11. 소고기 야채죽

    식사 대신 죽을 꼭 먹어야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지만 지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죽이라도 먹어야 할 때가 있다. 미음 다음으로 먹기에는 조금 더 가벼운 죽도 좋지만 소고기 야채죽도 맛있게 먹기 좋은 편이다. 입맛이 없는 와중이었는데 맛있는 죽이라서 입맛이 당기게 먹기 좋았다. 다음에는 어쩔 수 없지 않은 상황에서 이거 너무 맛있겠다 하면서 만들고 먹게 되면 좋겠다. 쌀을 볶지 않고 밥을 해서 만들었다. 당장 집에 감자, 당근, 양파, 애호박, 대파, 쪽파가 있어서 이렇게 사용했는데 표고버섯이나 팽이버섯 등을 넣어도 좋다. ...
    Date2019.06.26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6 Views3094 file
    Read More
  12. 소고기 야채죽

    별 내용 없는.. 밥은 전기압력밥솥에 했는데 물을 평소보다 1.5배 정도 잡고 질게 밥을 짓는다. 소고기는 안심이 있어서 안심을 썰고 (국거리를 사용하면 충분히 푹 끓여줘야 함) 집에 당장 있는 채소들 중에 대파 당근 감자 (양파는 달달하니까 취향따라 쪼끔만. 단거 별로면 넣지 않기, 표고버섯이나 팽이버섯 애호박도 있으면 넣기) 잘게 썰어서 같이 달달 볶고 다진마늘 넣고 달달 볶는다. 물을 아주 넉넉하게 붓고 끓이다가 진밥 넣고 국간장과 피시소스or 액젓으로 간을 하고 푹 퍼지게 끓여서 (중간중간 물 추가, 최종적으로 간보기) 마지막에...
    Date2021.08.23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4 Views1775 file
    Read More
  13.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

    (잡담주의)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을 부쳤다. 육전은 육즙논쟁에서 거리가 있는 음식이지만 육즙논쟁의 솔루션이기도 하다. 고기가 익으면서 고기 밖으로 빠져나간 육즙이 계란옷을 적셔가면서 고기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고기 옆에 딱 붙어 있으니 육전은 맛있을 수 밖에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태 육전을 많이도 만들었는데 역시 육전 맛은 고기가 9할이라 주재료인 소고기가 맛있는 만큼 육전도 덩달아 딱 그만큼 맛있다. 안심이야 어떻게 해도 맛있으니까 육전도 당연히 맛있었다. 비싼 안심을 굳이 육전을 해서 먹어야할까...
    Date2021.02.19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2 Views3672 file
    Read More
  14. 소고기 산적, 산적 양념

    소고기에 양념을 해서 만드는 소고기산적. 집에 따라 다르지만 소고기를 길게 잘라서 꼬치에 꿰어 만들기도 하고 이렇게 넓적하게 만들기도 한다. 산적용 고기는 우둔이나 설도를 주로 사용하지만 그 외에 기름이 많지 않은 구이용 소고기도 더 잘 어울린다. 산적용 고기는 두껍지 않은 것으로 기계에 한 번 내려서 사왔다. 보통 산적은 제사 때에 만드니까 1키로 정도 넉넉하게 만들지만 집에서 반찬으로 먹으려고 만든거라 4인분 반찬 분량으로 만들었다. 제사음식에는 마늘을 넣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제사음식에도 마늘을 넣는 걸 ...
    Date2018.01.30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2 Views24027 file
    Read More
  15. 소고기 산적 만드는법

    소고기 산적 보통 산적은 꼬치에 꿴 것을 이야기하고 우리집도 늘 세로로 잘라서 양념한 다음 꼬치에 꿰어서 구웠는데 내 취향으로는 통째로 구워서 잘라 먹는 것을 좋아해서 통째로 구웠다. 산적은 보통 제사나 차례를 지낼 때만 만드니까 늘 식은 것을 먹는 경우밖에는 없는데 이번에는 단지 먹기 위해서 산적을 만들었더니 평소하지 않던 거라 제사음식을 평소에 하다니.. 싶기도 했다ㅎㅎ 평소에 산적을 만들 때는 친정이나 시댁에서 제사음식을 할 때니까 레시피를 정리하거나 사진 찍을 일이 없는데 이번에는 편하게 집에서 만들어서 사진도 찍...
    Date2015.11.17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7 Views25416 file
    Read More
  16. 소고기 버섯밥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소고기버섯밥에 달래장을 곁들였다. ~밥이면 밥에 주재료를 넣고 지어야 하지만 밥과 함께 짓는 것은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 내 취향에는 밥에 육수가 필요하면 따로 우려서 밥을 짓고 올리는 재료는 따로 조리해서 (굽거나 볶거나 데쳐서) 밥 위에 쌓고 양념장을 올리는 것이 좋다. 함께 짓는 것에 비해서 손이 많이 가기는 하지만 밥하는 동안 조리하면 생각보다 크게 손이 많이 가지는 않는다. 각 재료를 알맞게 조리하는 측면이나, 각 재료를 노릇하게 구워서 얻을 수 있는 풍미와 식감 측면에서는 잃는 것 (귀찮음)보...
    Date2019.03.31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11 Views6634 file
    Read More
  17. 소고기 버섯 샤브칼국수, 매콤 소고기 버섯 전골

    배추와 대파 듬뿍에 버섯과 소고기를 넣고 매콤하게 끓여낸 전골이다. 이런 음식을 처음 먹었을 때가 20대초반의 샤브칼국수집이라서 둘 다 써봤다. 전골 스타일로 먹으니까 본문에는 전골로 썼다.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육수 약 1리터 (+ 필요시 추가) 국간장 2스푼 고운고춧가루 1.5스푼 고추장 0.5스푼 다진마늘 1스푼 후추 약간 소금 약간 배추 8잎 대파 1대 느타리버섯 1줌 팽이버섯 1봉투 두부 반모 샤브샤브용 고기 300그램 칼국수반죽 +밥, 계란, 쪽파, 김가루 칼국수반죽으로 (칼국수 반죽은 3~4인분 정도 된다.) 강력분 20그램 중...
    Date2017.12.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11769 file
    Read More
  18. 소고기 버섯 샤브샤브, 등촌 얼큰 샤브 칼국수 레시피

    올 겨울은 별로 춥지 않아서 부산의 낮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를 겨울 내내 기다렸다. 이유는 냉동고기를 주문하기 위해서이다. 날씨를 계속 모니터링 하다가 얼마전 올 겨울 들어 가장 추웠던 날이 이틀정도 지속 되는 일기예보를 보고 바로 고기를 주문했다. 주문한 고기는 호주산 목심 8키로로, 1미리 슬라이스한 것이다. 아이스박스에 포장되어 오기는 하지만 1미리정도의 얇은 고기가 상온에서 몇 시간이라도 있으면 금방 녹아서 도착하니까 가장 추운 날에 주문했다. 벌크 포장인 것을 알고 주문했는데 꺼내보니 압도당하는 느낌이 있었고 냉동...
    Date2020.02.1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10412 file
    Read More
  19. 소고기 버섯 강된장

    2014/03/06 소고기 버섯 강된장 된장찌개, 김치찌개 다 좋아하지만 된장찌개는 꽃게 된장찌개를 가장 좋아하고, 김치찌개는 김치찜처럼 만든 것을 좋아하고, 밥과 함께 비벼 먹기로는 강된장이 가장 좋다. 잘 익은 고기에 쫀득한 버섯과 짭쪼름한 된장양념에 매콤한 끝맛, 두부의 부드러움이 한 그릇에 들어간 더할 나위 없는 식사라고 생각한다.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에 멸치육수로 물 약 1리터, 멸치, 황태, 표고, 다시마(로 낸 육수를 반만 사용했다) 소고기 200그램, 양파 반개,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청양고추 4개, 팽이버섯 1봉투, 버들...
    Date2014.03.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2984 file
    Read More
  20. 소고기 미역국, 양지 미역국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소고기미역국도 늘 이렇게 끓이고 있다. 양지는 얼마 전에 12키로 산 것을 냉동했다가 사용하고 있다. 대량으로 사서 손질한 양지의 자투리를 사용한거라 전에 올린 소고기뭇국 https://homecuisine.co.kr/hc10/100773 에 비해서 고기가 좀 자잘하다. 기본 미역국과 미역 손질한 내용은 여기에 있다.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6~8인분) 불리고 손질한 미역 60...
    Date2021.04.1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7015 file
    Read More
  21. 소고기 미역국 레시피, 끓이는 법

    해마다 돌아오는 소고기미역국. 미역국은 생각할 것도 없고 그냥 쿨타임이 차면 먹는 거라서 이렇게 돌아온다. 사용한 재료는 약 6인분으로 한우 양지 400그램 미역 40그램 참기름 적당량 황태육수나 물 약 2리터 다진마늘 2스푼 국간장 4스푼 (간보고 가감) 미역은 개인적으로 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마트에서 구매한 것 중에서는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구매한 안옥남 기장미역이 좋았다. 평소 미역국에 육수로 황태육수를 연하게 내서 사용하는데 미리 육수 끓일 여유가 없을 때는 물만 사용하기도 한다.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확실히 더 맛있기는 ...
    Date2019.08.28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13 Views735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