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크기변환_IMG_8713.jpg


고구마줄기를 볶아 놓으니 나물을 여러가지 하고 싶어서 나물을 하고 계란지단과 청포묵, 고추장을 넣고 비빔밥을 만들었다. 씻거나 데치기 번거로운 재료는 최대한 생략하고 늘 집에 있는 재료로 하고 추가로 무와 가지, 청포묵만 사왔다. 평소에도 최대한 덜 번거롭고 좋아하는 채소로 비벼먹기 좋게 만들면 비빔밥을 선뜻 만들기가 부담스럽지 않다.


당근과 양파, 애호박은 간단하게 볶고 소금만으로 간을 했고 가지는 소금간을 해서 물기를 닦아내고 올리브오일에 구웠다.

표고버섯나물은 평소에는 볶아서 준비하는데 이번에는 데친 표고버섯을 황태육수와 국간장약간에 졸여서 만들었다.


채소는 볶든 무치든 전부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어서 양파나 당근, 애호박, 가지를 볶기만 해도 다 나물이라고 할 수 있지만 또 꼭 나물이라고 할 것 까지는 없는데 일괄적으로 나물이라고 해봤다.



약 4인분으로

고구마줄기 200그램 (으로 만든 고구마줄기 볶음) 

무 약 10센치

애호박 1개

당근 1개

양파 1개

가지 3개

표고버섯 8개

계란 4개

청포묵 


식용유나 올리브오일, 참기름 적당량

황태육수, 국간장, 소금, 다진마늘, 고추장

(필요하면 소고기볶음고추장이나 소고기 볶은 것, 육전 등 고기고명 추가)






고구마줄기볶음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0905


크기변환_IMG_8682.JPG



고추장소스

고추장에 물을 약간 넣고 너무 묽지 않게 물에 개어서 비빔밥에 넣으면 비빔밥에 고추장이 너무 많이 들어가지도 않고 한 곳에 뭉치는 일도 없이 골고루 부드럽게 잘 비벼진다.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더 좋다


크기변환_IMG_4717.JPG 




먼저 무나물.

무는 푹 익혀도 부서지지 않도록 세로로 넓고 얇게 썰고 세로로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5332.JPG    크기변환_IMG_8631.JPG


무에 황태육수를 살짝 자작하도록 붓고 국간장으로 간을 해서 (+다진대파, 다진마늘 약간) 무가 무르게 익도록 15분정도 끓여서 만든다.
국간장은 대중없이 1스푼정도 넣고 부족하면 더 넣는데 너무 대충 넣다가 중간에 간을 보니 좀 짰다. 국물을 그릇에 따라내고 육수를 더 넣어서 간을 희석했다. 
간 조절을 하느라 남은 짭조름한 육수는 찌개나 국, 조림에 사용하면 편하다. 
크기변환_IMG_4566.JPG    크기변환_IMG_8643.JPG


크기변환_IMG_8672.JPG     크기변환_IMG_8675.JPG 




애호박나물.

얼마 전 애호박볶음을 올렸는데  https://homecuisine.co.kr/hc10/81732 요즘 우리집 채소 유행은 애호박이다. 이런 날이 올 줄이야..

얇게 돌려깎고 곱게 채썰어서 소금간을 하고 타지 않도록 달달 볶았다. 미리 소금간을 해서 숨을 약간 죽이고 볶아도 좋다.


크기변환_IMG_8623.JPG     크기변환_IMG_8625.JPG 



크기변환_IMG_8652.JPG     크기변환_IMG_8656.JPG 




가지나물.

가지는 3등분하고 8등분으로 썰어서 소금을 뿌려서 살살 무친 다음 여러 나물을 볶는 동안에 물이 생기면 굽기 직전에 키친타올로 물기를 눌러 제거했다.

팬에 가지를 놓고 가지 위에 기름을 살짝 둘러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웠다.


가지나물을 무침으로 하려면 구운 가지에 고춧가루, 간장, 다진마늘, 다진대파, 참기름을 약간 넣고 무치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8633.JPG    크기변환_IMG_8658.JPG 


크기변환_IMG_8666.JPG





양파는 적당히 썰어서 소금간을 약간 하고 달달 볶고

크기변환_DSC04347.JPG 


당근도 얇게 채썰어서 소금간을 약간 하고 달달 볶았다.

크기변환_IMG_8649.JPG 




표고버섯나물

표고버섯은 데쳐서 볶는 걸 좋아하는데 더 편하게 하려고 그냥 무나물에 남은 육수에 조렸다. 간이 배이도록 졸이는데 간을 봐서 짜지 않게 살짝 자작한 정도로만 해서 불을 껐다.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4784.JPG     크기변환_IMG_8662.JPG



계란지단.

계란에 소금을 약간 넣고 잘 풀어서 지단을 얇게 부쳤다.

코팅이 잘 된 팬에 기름을 넣고 한 번 닦아내서 계란물을 얇게 펴서 노릇노릇하지는 않을 정도로 부친 다음 식혀서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4679.JPG     크기변환_IMG_8851.JPG 




청포묵은 비빔밥에 넣으면 말랑말랑하니 부드럽다.

썰어서 데치는데 비빔밥에 넣을거라 얇게 썰 필요는 없다. 

끓는 물에 색이 투명해질 정도로만 데치고 불을 껐다.

청포묵은 건져서 헹구거나 하지 않고 그대로 데친 물과 함께 식혔다가 건져서 바로 사용했다. (너무 차갑지 않고 온기가 약간 남은 정도가 좋음. 차가우면 다시 단단해짐)




평소보다는 비교적 간단하게 나물 한접시를 완성했다.


크기변환_IMG_8702-.jpg



고슬고슬하게 잘 지은 밥에 나물과 계란지단을 골고루 담고 청포묵, 고추장, 참기름을 넣어서 완성.


비비기 조금 뻑뻑하면 무나무 국물을 조금 넣어서 비비면 먹기 좋다.

크기변환_IMG_8710.JPG



크기변환_IMG_8713-.jpg




크기변환_IMG_8713.jpg





크기변환_IMG_8713--.jpg


그나마 먄들기 편한 재료로 골라서 덜 힘들고, 좋아하는 재료로만 비비니 입맛에 잘 맞았다. 말랑말랑한 청포묵이 먹기 좋고, 가지, 양파, 당근, 고구마순의 은은한 달달함이 매콤 고소하게 비빈 비빔밥에 잘 어울린다. 구운 가지를 잘 먹어서 가지가 좀 모자랐다.




  • 만두장수 2019.08.11 23:08
    맛 없으면 그게 더 이상하겠습니다.
    업소에서는 비빔밥 고추장에 어마무시한 재료들이 들어가는데 그게 그닥 맛있다 느껴지지 않더라고요.

    전 볶음 고추장으로 하면 간단하고 맛나지 않을까? 하고 상상은 해본적 있습니다만 별다른 잔기교없이 쌤 같은 FM 이 결국 가장 이상적인가? 하는 생각을 해보며 즐거이 봤습니다^^;;
  • 이윤정 2019.08.13 03:02
    비빔밥의 주인공은 역시 나물이라서 제 가족은 고추장 넣지 않고 양념간장 간만 해서 비벼먹기도 하고 그러더라고요.

    저야 집에서 하는거라 고추장에 육수나 물만 풀어도 좋지만 역시 업소는 그 너머의 뭔가가 필요한거겠죠?
    비빔밥 고추장에 어마무시한 재료가 들어가면 그만큼 맛있을 것 같은데 제가 두루 먹어보지 못해서 잘 모르나봐요.
    그나저나 올려주신 볶음고추장은 접수했습니다ㅎㅎㅎ
  • 만두장수 2019.08.13 23:59
    뱅기타면 쪼만한 치약튜브에 담긴 그 고추장 맛과 비슷하달까요? 좀 응용 및 첨가가 필요할 것도 같고 그래요.

    유명하다는 비빔밥집 장엔 사골육수나 민찌고기, 각종 기름, MSG, 간마늘, 간대파, 간양파, 사이다....뭐 별별걸 다 넣더라고요, 근데 애써 만든데 비해 깜놀맛은 아닌 것 같습니다^^;;
  • 이윤정 2019.08.14 03:16
    제가 가끔 제육양념 애매하게 남으면 고기볶아서 제육양념 넣고 볶음고추장을 만들거든요. https://homecuisine.co.kr/hc10/75527 이게 맛이 있기는 한데 너무 제 맛이 강하다보니까 나물 넣는 비빔밥에는 잘 어울리지 않고 그냥 밥에 비벼 먹는 게 좋더라고요.
    아 근데 다음에 무슨 이야기 하지 생각해보니
    그치만 아마도 저는 그 유명한 비빔밥집의 비빔밥을 먹고 너무 맛있다고 할 것이 분명합니다ㅎㅎ
  • 만두장수 2019.08.11 23:16
    저 건방레이션하게도 유저레시피 게시판에 첫글 등록했어요...토닥토닥 해주세요^^;;
  • 이윤정 2019.08.13 02:58
    글 보고나서 역시 프로의 터치는 이런건가 생각했습니다ㅎㅎㅎ
  • 레드지아 2019.08.12 09:22

    청포묵 넣는 비빔밥이라니..^^

    저 여지껏 청포묵 넣은 비빔밥은 못먹어봤어요 근데 엄청 맛있을거 같아요 제가 윤정님과 6.25때 헤어진 자매니 저역시 묵을 참 좋아하거든요

     

    채소를 잘 안먹는 저희집은 비빔밥 먹으면 건강식 먹었다는 뿌듯함에 한동안 우쭐해지곤 하죠 ㅋㅋㅋㅋㅋㅋ

     

    표고버섯은 볶아야 된다는것만으로!!! 머릿속으로 확정지었었는데 육수에 졸이다니!!! 어후...더더더 맛있겠어요!! 이래서 사람은 자꾸 배워야 한다니깐요 ^^

  • 이윤정 2019.08.13 03:28
    비빔밥에 청포묵 정말 좋아해요ㅎㅎㅎ 자매님도 좋아하실거라 확신합니다ㅎㅎㅎㅎ

    저희집은 채소는 잘 먹는데 채소 먹으면서도 생선이든 닭이든 육고기든 고기는 조금이라도 먹어주는 편이라서 이렇게 고기 전혀 없이 먹는 일이 자주 없어요.
    그런데 비빔밥은 고기없이도 잘 먹으니 가끔은 이런날도 있어야한다 싶어요^^

    표고버섯은 졸이면 말랑말랑하고 볶으면 쫀쫀한데 저는 볶는 걸 더 잘먹어요. 버섯 못먹던 습관이 아직도 조금은 남아있어서 그런가봐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804 소스 떡볶이들 최근에 떡볶이 수정레시피를 올렸는데 그 소스로 만들던 떡볶이의 면면들. 레시피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5428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 14 file 이윤정 2019.11.17 44227
803 국 찌개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김치찌개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지난 번에 올린 것과 거의 똑같다. 곱창전골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고기도 듬뿍이고 닭도리탕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곱창전골이나 닭도리탕... 2 file 이윤정 2019.11.16 4751
802 고기 항정살수육 항정살 수육은 다른 돼지고기 부위에 비해서 난이도가 아주 낮다. 항정살은 고기가 얇으니까 그냥 팬에 중약불로 잘 굽거나, 오븐에 굽거나 해도 속까지 잘 익는... 4 file 이윤정 2019.11.15 12773
801 반찬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들기, 만드는법 편하게 자주 만드는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간만에 맛있게 해볼까 하는 음식이 아니고 늘 만드는 반찬은 그냥 장조림이나 하지 뭐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 6 file 이윤정 2019.11.12 23461
800 전골 탕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 4 file 이윤정 2019.11.10 6731
799 고기 백제육볶음 얼마전에 올리고 또 올리는 백제육볶음. 내용이 비슷하다. 불판에 고기굽고 채소를 함께 굽는 것과 비슷하지만 그래도 구운고기와 구운채소를 함께 볶아서 고기와... 9 file 이윤정 2019.11.05 5437
798 일상 맛살 계란말이 그냥 반찬. 평소에 맛살 계란말이를 할 때는 크래미를 썰어서 넣었었는데 이번에는 김밥 만들고 난 다음에 김밥용 크래미가 남아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썰지 않고... 6 file 이윤정 2019.11.01 4902
797 소스 떡볶이 레시피 수정 간장 1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필수. 덩어리 부숴서 준비) 물엿 100그램 조청 3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50그램 (최대200그램) 맛선생 소고기맛 50그램... 18 file 이윤정 2019.10.31 42177
796 고기 갈매기살 양념구이 갈매기살 구이는 바로 앞에 올린 고추장양념구이, 갈비양념구이, 소금구이 등이 있는데 이번에는 고기 간을 간장과 맛소금 반반으로 한 구이양념이다. 갈비양념을... 8 file 이윤정 2019.10.27 8228
795 고기 갈매기살 고추장양념구이, 돼지고기고추장양념구이 지금 올리는 고추장양념구이는 전에 올린 고추장 바베큐 치킨 https://homecuisine.co.kr/hc10/74753 의 레시피외 대동소이하다. 주재료를 꼭 갈매기살로 할 필요... 8 file 이윤정 2019.10.22 11327
794 국 찌개 참치김치찌개 레시피 정말 바쁠 때 만드는 참치김치찌개. 김치를 40분 이상 푹 익혀서 만드는 김치찌개를 좋아하지만 언제나 시간이 한 시간씩 있는 건 아니라서 빠르게 만들었다. 김... 5 file 이윤정 2019.10.20 61315
793 한접시, 일품 닭도리탕 만들기, 레시피 몇 년 동안 레시피 변화가 거의 없는 닭도리탕. 다음에 닭도리탕 양념을 대량으로 해보고 다른 양념장레시피와 비교도 하려고 무게계량을 함께 하고 고춧가루 고... 4 file 이윤정 2019.10.18 8974
792 전골 탕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 9 file 이윤정 2019.10.15 4948
791 소스 떡볶이 작년에 산 누들떡을 정말 지겹게 쓰다가 오랜만에 굵은 쌀떡을 샀다. 쌀떡을 살 때는 꼭 시장에 가서 말랑말랑한 걸로 사와서 당일에 사용하면 진짜 최고 맛있다.... 15 file 이윤정 2019.10.11 8660
790 밥류 햄계란볶음밥, XO스팸계란볶음밥 어제 김치볶음밥에 이어서 햄계란볶음밥.여태 올린 내용과 거의 같은데 좋아하니까 자주 만들어서 쿨타임이 안차도 또 올린다. 그냥 일상적으로 만드는 계란볶음... 2 file 이윤정 2019.10.09 4657
789 밥류 김치볶음밥 그냥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이런 밥상은 너무 일상적이라 그냥 밥상글이나 일상글에 묻어 올리고 단독으로 올린 적이 아주 오래 전인데 오랜만에 김치볶음밥을 따... 4 file 이윤정 2019.10.07 6197
788 전골 탕 맑은 알탕, 알탕지리 알탕은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과는 달리 재료 자체에서 육수가 덜 나오기 때문에 육수를 우려서 넣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알탕 뿐만이 아니라 생선으... 4 file 이윤정 2019.10.04 7763
787 일상 짬뽕라면 진짬뽕 이후로 오랜만에 짬뽕라면. 다 아는 이야기겠지만 라면 종류는 상관없지만 기본 라면인 진라면 삼양라면 신라면이나 그 외 열라면, 삼양라면매운맛 짬뽕라... 5 file 이윤정 2019.10.03 3873
786 일상 마라볶음면 요즘 유행하는 마라볶음면과 마라탕면을 사봤다. 컵라면으로 사보니 둘 다 괜찮아서 봉지면으로도 한번들씩 샀다. (개인취향 주의) 둘 다 마라향이 훅치고 올라오... 6 file 이윤정 2019.10.02 3763
785 일상 맵달짠 버터옥수수 엄마께서 삶아주신 찰옥수수가 아직도 냉동실 반 칸을 차지하고 있는 요즘. 언젠가 옥수수를 일단 냉장실에 옮겨 해동하고 다음날 전자렌지 돌릴까 하다가 통으로... 8 file 이윤정 2019.10.01 5924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