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검색



크기변환_IMG_8501.JPG


요즘 애호박을 잘 먹고 있어서 8월에 오늘까지 올리는 글이 5개인데 하나는 아이스크림이고 나머지는 전부 애호박이 들어간다.


애호박만 해서 부쳐도 좋고, 감자만 부칠 때는 밀가루 없이 부치고,

당근, 대파, 깻잎, 청양고추 등 좋아하는 야채로 얇게 썰어서 부치면 다 맛있다. 양파를 넣을 때는 약간만 넣는 게 좋았다.


부추전이나 파전 등등에 방아잎 넣는 걸 좋아하는데 마침 아버지가 키우신 방아잎이 잔뜩 있어서 방아잎을 사용했다.
방아잎 대신 깻잎을 사용해도 좋고 생략해도 좋지만 있으면 더 맛있다.

채써는 일을 즐겁게 하는 편이라서 가볍게 만들었다.


3장 분량으로

애호박 1개(씨빼고)
감자 약간 큰 것 1개
당근 3센치정도
소금 약간 (진짜 약간)
청양고추2개 
깻잎이나 방아잎 약간

부침가루 80그램
얼음물 130그램
밥새우 0.5스푼(없으면 생략)
식용유 약간


부침가루나 튀김가루 무게 x1.6=물 무게로 보면 묽은 반죽이 된다.
밀가루를 적게 넣고 아주 얇게 부쳐서 가벼운 질감으로 먹기 좋다.

부침가루 대신에 튀김가루를 사용해도 좋고, 반반씩 사용해도 좋다. 반죽에 밥새우를 약간 넣으면 맛있다.
너무 많이 넣으면 새우맛이 강하니까 살짝만 맛이 나는 것이 좋다.
바지락이나 홍합 등 조갯살을 다져서 넣으면 더 좋기는 하지만 아무것도 없이 야채만 부쳐먹어도 맛있다.



애호박은 3등분해서 껍질부터 얇게 돌려깎고 씨는 사용하지 않았다.

크기변환_IMG_8864.JPG     




돌려깎은 것을 겹친 다음 얇게 채썰었다.

크기변환_IMG_8623.JPG     크기변환_IMG_8871.JPG



감자와 당근은 슬라이스채칼로 슬라이스한 다음 곱게 채썰었다.

잘 익지 않는 재료니까 채칼이나 필러를 사용해서 얇게 썰어야 살캉하지 않고 잘 익는다.

크기변환_IMG_8872.JPG     크기변환_IMG_8874.JPG


크기변환_IMG_8371.JPG 



청양고추는 반으로 갈라서 씨를 빼고 썰고 대파도 반으로 갈라서 어슷썰고 방아잎도 돌돌 말아서 송송 썰었다.

크기변환_IMG_8466.JPG




채 썬 재료에는 소금간을 약간 해서 버무렸다가 물기를 살짝 짜서 사용했다. 소금을 미원이라 생각하고 약간만 뿌려야 짜지 않다.

이렇게 버무려두면 물기가 약간 나오는데 가볍게 짜서 부침가루 반죽에 넣었다.

크기변환_IMG_8876.JPG




얼음물에 부침가루를 넣고 덩어리가 없도록 반죽을 잘 저은 다음 밥새우를 넣고 젓고 여기에 살짝 짠 야채를 넣었다.

크기변환_IMG_8467.JPG     크기변환_IMG_8469.JPG 




반죽이 약간 모자란듯 해야 야채전 질감이 가볍다.

크기변환_IMG_8906.JPG



팬에 기름을 두르고 달군 다음 야채는 젓가락으로 집어서 팬에 놓고 뒤집개로 펼친 다음 모자란 부분은 반죽을 떠서 채웠다.

윗부분이 꾸덕꾸덕한 느낌이 들면 뒤집개로 뒤집었다.

크기변환_IMG_8911.JPG



뒤집은 다음 가장자리에도 식용유를 두른 다음 뒤집개로 눌러가면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구웠다.

크기변환_IMG_8920.JPG




크기변환_IMG_8921.JPG



크기변환_IMG_8930.JPG




크기변환_IMG_8510.JPG



크기변환_IMG_8515.JPG


달큰하고 고소한 야채전에 새우맛이 살짝 느껴지면서 청양고추와 방아의 향이 감돈다.

얇고 쫀쫀한데 가장자리는 바삭해서 맛있게 잘 먹었다.






애호박은 이렇게 필러로 벗겨서 사용하기도 했다. 얇게 벗겨지는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IMG_8450.JPG 


크기변환_IMG_8480.JPG




크기변환_IMG_8484.JPG




크기변환_IMG_8486.JPG




크기변환_IMG_8489.JPG




크기변환_IMG_8494.JPG




크기변환_IMG_8501.JPG



요즘 애호박 가격이 좀 올랐는데 지난달처럼 좀 저렴해지면 다시 또 자주 해먹어야겠다.

애호박을 돌려깎아서 채썰어서 사용하니까 취향에 맞에서 볶아도 좋고 비빔밥에도 제육볶음에도 넣고 맛있게 잘 먹고 있다.





  • 레드지아 2019.08.13 09:46
    [채써는 일을 즐겁게 하는 편이라서 ] <----------ㅠㅠㅠㅠ 역시 채썰기 달인이셔서 즐거워 하시는군요 ㅠㅠ
     
    저같은 곰손은 채칼 쓰면서도 스트레스ㅋㅋㅋㅋㅋ
    채칼의 칼날이 무뎌졌는지 밑에 나오는 재료들이 다 떨어져 나오는게 아니고 붙어서 막 나와요 ㅠㅠㅠㅠㅠㅠㅠㅠ
     
     
    제가 채칼로 썰은것보다 윤정님이 손으로 써신게 훨씬 훨씬 더 이뻐요!!!! ^^
     
    어머어머!! 필러로 넣을수도 있군요... 필러로 넣어도 맛이 색다르고 재밌을거 같습니다 ^^
     
    얼마전 오징어로 오삼불고기 해먹었을때 호박을 썰어 넣었는데 윤정님처럼 속은 버리고 겉만 넣었어요
    확실히 겉만 넣으니 뭉그러지는게 없어서 더 깔끔하게 먹을수 있던걸요 ^^

     

  • 만두장수 2019.08.14 00:30
    곰손이셔서 그나마 얼마나 다행입니까?
    2번 딸에게 "진짜 아빤 똥손이야" 란 소릴 주기적으로 듣는 저에 비해....ㅠㅠ
  • 레드지아 2019.08.14 10:18
    똥손이라고 쓸까 하다가 회원님들의 눈건강을 위해서 곰손이라고 순화시켰습니다 ㅠㅠ
  • 이윤정 2019.08.14 02:38
    별 생각없이 집중하고 있으면 착착 썰려나오는 게 기분 좋더라고요.
    채칼이 말을 잘 들어야 우리 레드지아님이 편하실텐데 제가 채칼 정신교육 좀 시켜야겠어요ㅎㅎ
    곱게 나오는 필러로 해도 좋기는 한데 저는 애호박은 손으로 썰어야 마음에 들더라고요. 사서 고생하는 것도 습관이 되나봐요ㅎㅎ

    저는 음식에 애호박 넣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손질하는 방법을 바꾸고나서 자주 먹다보니 더 익숙해지는 것 같아요.
    이걸 이나이 먹고 깨닫다니 나이 헛먹은거 있죠ㅎㅎ
  • 땅못 2019.08.13 20:30

    방아잎을 넣은 야채전 넘넘 맛있죠!!!!ㅠㅠ 전 가끔 오뚜기카레(인도의 향이 나면 안됨 중요 ㅋㅋ)에 애호박 넣을 정도로 애호박좋아하는데 맛있는 야채들 다 넣고 방아잎까지 넣고 야채전 부치다니 넘 완벽해요 ㅠㅠ그러나 이 폭염경보가 뜨는 날 불앞에서 전을 부치기가 꺼려져요 ;ㅅ; 윤정님도 열기에 노출된 만큼 두배 세배로 시원하게 쉬셔요! 방아 잎을 넣고 거의 지지다시피 기름 많이 해서 파삭하게 하면 방아잎부분이 튀겨진 맛이 나는 게 너무 좋아요 ㅋㅋ 야채튀김과 야채전의 중간 정도로 해서 먹으면 그 안에 깻잎이나 방아가 그렇게 맛있어지더라고요 ㅋㅋ

    윤정님 채썰기 사진은 언제나 예술의 경지네요...손으로 직접 써신 게 얼매나 얇은지 반죽 묻혀놓은 채썬아이들이 쭈뼛쭈뼛!하지 않고 샥시 머리가닥처럼 차르르 해요.

    막 보면서 대리만족이 막막!! ㅋㅋㅋㅋ 홈퀴진을 보면 따라하고 싶어져서 큰일이에요 ㅋㅋㅋㅋ 저는 사실 필러는 아무리 급해도 잘 안쓰게 되더라고요 ㅠㅠ 흑흑 아무리 깨끗(?하게 모양 만드려고 해도 결국 껍질 벗겨놓은 모양새가 되어서 왠지 마음에 안차요 ㅠㅠㅋㅋㅋ뭔가 필러질을 잘 못하는 것 같기도... ㅠㅠ 야채전은 마침 밥새우까지 있어서 똑같이 넣고 해 봐야겠어요.

    늘 올려주시는 과정과 레시피 보면서 많이 배우고 기운도 얻고 갑니다. 윤정님 더위로 뺏어갈 수 있다면 좋겠네요! 즐거운 여름밤 보내셔요

  • 이윤정 2019.08.14 02:46
    카레에 애호박이라니 생각도 못해봤는데 말씀 듣고 생각해보니 달달하니 좋을 것 같아요.
    방아잎은 정말 마음 가는 구석이 있는 채소인 것 같아요. 말씀대로 파삭하게 튀겨진 맛도 좋고 향도 너무 좋죠ㅎㅎ
    야채튀김도 그렇고 야채전도 그렇고 깻잎이나 방아가 있으면 무조건 더 맛있더라고요.
    밥새우까지 있으시다니 이건 마치 운명?
    물론 요즘 날씨에 전을 부치는 건 힘든 일이긴 하지만 조금만 부치면 좀 낫고 많이 부치면 진짜 저 못해요ㅎㅎㅎ

    채소 채써는 건 제가 재밌어서 그런지 칭찬 들으면 넘 좋아요ㅎㅎㅎ 감사합니다ㅎㅎ
    저는 필러 쓰는 건 좋은데 필러가 무서워서 잘 못 써요ㅠㅠ 필러 쓰다가 다친 역사가 유구하답니다ㅠㅠ

    여름이라 덥기는 해도 작년보다 나아서 이정도면 살 만 하지 여유 부리고 있는데 남은 여름도 무사히 지나가면 좋겠어요.
    땅못님의 여름밤도 즐거운 밤이길 바랍니다^^
  • 만두장수 2019.08.14 00:27
    ㅎㅎㅎ 일전에 한 회원님께서 뭐라고 표현하셨더라? 명이의 난? 암튼 한창 명이 포스팅 있을 때 그 댓글보고 빵 터졌었는데 이번엔 애호박인가요^^??

    저희 딸1번이 제가 해주는 감자전을 많이 좋아합니다, 근데 강판에 간 감자를 간을 못하겠더라고요. 간 생감자를 살짝 맛을 봐도 이게 짠지 싱거운지....개인적으로 싱거우면 망한다라는 강박이 좀 있어서요. 어케 간을 맞추실지 궁금합니다.

    건글코, 마지막 사진은 마치 젓가락질하며 먹고 있는듯한 착긱이 들 정도란 생각이 듬과 동시에 500원 주고 사던 애호박이 2,000원 가격표가 붙을 걸 보고 심정지 올 뻔 했....ㅡㅡ;;
  • 이윤정 2019.08.14 02:53
    레드지아님이 명명하신 그 명이의 난 말씀하시는거죠ㅎㅎㅎ
    애호박으로 제가 그러고 있다는 건 자각 못했는데 생각해보니 애호박도 그러고 있네요. 애호박으로 그럴 나이는 아닌거 같은데 말입니다ㅎㅎ

    강판에 간 감자전이라니 아버님의 사랑 아니고서야 자주 해줄 수 있는 종목이 아니네요ㅎㅎ
    저도 싱거우면 명한다는 생각이 자리잡고 있는데 제가 강판에 간 감자전을 자주 하지 않아서리ㅠㅠ

    저는 소고기는 스테이크를 구울 때 이걸 구이용으로 먹으면 어느정도 소금을 찍어먹나 생각하고 소금을 뿌리고
    감자도 이걸 감자 삶아서 소금을 얼마나 찍어먹나 생각하고 소금을 뿌리는 편이에요.

    그런데 요즘 갑자기 애호박 가격이 너무 올랐죠. 7월말에 식자재마트에서 600원이라 두개 사서 볶아먹고 1주일 후에 집근처 마트에 사러 갔더니 2500원 하는 것 보고 깜짝 놀랐어요.
    그치만 두 번 다 샀다는요ㅎㅎㅎ

  1. 떡볶이들

    최근에 떡볶이 수정레시피를 올렸는데 그 소스로 만들던 떡볶이의 면면들. 레시피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5428 간장 100그램 물 5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물엿 100그램 조청 300그램 고추장 200그램 설탕 150그램 맛선생/산들애 소고기맛 60그램 후추 1티스푼 (취향껏) 맵다는 ...
    Date2019.11.17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44227
    Read More
  2.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김치찌개

    갈매기살 고추장찌개. 지난 번에 올린 것과 거의 똑같다. 곱창전골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고기도 듬뿍이고 닭도리탕 비슷한 느낌도 나면서 곱창전골이나 닭도리탕보다 만들기 더 편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번에는 근막이 제거된 갈매기살을 사용해서 전에 올린 것에 비해 삶는 시간을 약간 줄였다. ...
    Date2019.11.1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751
    Read More
  3. 항정살수육

    항정살 수육은 다른 돼지고기 부위에 비해서 난이도가 아주 낮다. 항정살은 고기가 얇으니까 그냥 팬에 중약불로 잘 굽거나, 오븐에 굽거나 해도 속까지 잘 익는다. 육향도 거의 없고 기름이 촘촘해서 구이용으로 적합한 고기다보니 어떤 방법으로 조리해도 오래 조리할 필요없이 익기만 하면 끝이라 편...
    Date2019.11.15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2773
    Read More
  4.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들기, 만드는법

    편하게 자주 만드는 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간만에 맛있게 해볼까 하는 음식이 아니고 늘 만드는 반찬은 그냥 장조림이나 하지 뭐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편한 게 좋다. 전체적인 간은 주재료 1키로 당 간장 100미리 / 간장의 반으로 설탕, 미림 / +물이나 육수는 장조림 재료가 겨...
    Date2019.11.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23461
    Read More
  5.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
    Date2019.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6731
    Read More
  6. 백제육볶음

    얼마전에 올리고 또 올리는 백제육볶음. 내용이 비슷하다. 불판에 고기굽고 채소를 함께 굽는 것과 비슷하지만 그래도 구운고기와 구운채소를 함께 볶아서 고기와 채소의 맛과 향이 서로 교환되어 어울리는 맛이 꽤 좋다. 맛소금과 소금을 반반으로 넣어서 간을 했는데 맛소금 대신에 소금만 사용해도 ...
    Date2019.11.05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437
    Read More
  7. 맛살 계란말이

    그냥 반찬. 평소에 맛살 계란말이를 할 때는 크래미를 썰어서 넣었었는데 이번에는 김밥 만들고 난 다음에 김밥용 크래미가 남아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썰지 않고 중간에 넣어서 계란말이를 부쳤다. 썰어서 넣는 것보다 편해서 앞으로는 이렇게 할까 싶다. 여러 재료를 넣은 뚱뚱한 계란말이를 만들어 ...
    Date2019.11.01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902
    Read More
  8. 떡볶이 레시피 수정

    간장 1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필수. 덩어리 부숴서 준비) 물엿 100그램 조청 3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50그램 (최대200그램) 맛선생 소고기맛 50그램 후추 1스푼 (입맛에 따라 1티스푼까지 조절) 이 소스로 만든 떡볶이 - https://homecuisine.co.kr/hc10/86247 마지막에 올린 레시피 https...
    Date2019.10.31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42177
    Read More
  9. 갈매기살 양념구이

    갈매기살 구이는 바로 앞에 올린 고추장양념구이, 갈비양념구이, 소금구이 등이 있는데 이번에는 고기 간을 간장과 맛소금 반반으로 한 구이양념이다. 갈비양념을 사용하면 더 맛있긴 한데 갈비양념은 재료부터 조리, 보관까지 할 일이 너무 많고, 레시피도 지금은 삭제한 상태라.. 이렇게 간단하게 해...
    Date2019.10.27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8228
    Read More
  10. 갈매기살 고추장양념구이, 돼지고기고추장양념구이

    지금 올리는 고추장양념구이는 전에 올린 고추장 바베큐 치킨 https://homecuisine.co.kr/hc10/74753 의 레시피외 대동소이하다. 주재료를 꼭 갈매기살로 할 필요는 없지만 두꺼운 지방이 적으면서도 구이용으로 먹었을 때 퍽퍽하지 않은 고기가 적당하다. 추천하는 바는 등심덧살, 갈매기살, 닭다리살...
    Date2019.10.22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1327
    Read More
  11. 참치김치찌개 레시피

    정말 바쁠 때 만드는 참치김치찌개. 김치를 40분 이상 푹 익혀서 만드는 김치찌개를 좋아하지만 언제나 시간이 한 시간씩 있는 건 아니라서 빠르게 만들었다. 김치가 아주 부드럽게 익지는 않았지만 움직이기 시작한 시간부터 재료준비, 완성까지 30분 만에 금방 만들었다. 1. 가장 먼저 김치부터 꺼내...
    Date2019.10.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61315
    Read More
  12. 닭도리탕 만들기, 레시피

    몇 년 동안 레시피 변화가 거의 없는 닭도리탕. 다음에 닭도리탕 양념을 대량으로 해보고 다른 양념장레시피와 비교도 하려고 무게계량을 함께 하고 고춧가루 고추장을 무게로 동량으로 맞췄다. 이번에는 액젓 대신에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했다. (액젓은 기본적으로 발효한 상태라 맛의 성분이 풍부하지...
    Date2019.10.1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8974
    Read More
  13.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내 식대로 만들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
    Date2019.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4948
    Read More
  14. 떡볶이

    작년에 산 누들떡을 정말 지겹게 쓰다가 오랜만에 굵은 쌀떡을 샀다. 쌀떡을 살 때는 꼭 시장에 가서 말랑말랑한 걸로 사와서 당일에 사용하면 진짜 최고 맛있다. 바로 사기 힘들어서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할 경우에도 살 때는 말랑말랑한 것으로 사와야 한다. 다닥다닥 붙은 가래떡이 붙은 채로 굳으면 ...
    Date2019.10.11 Category소스 By이윤정 Views8660
    Read More
  15. 햄계란볶음밥, XO스팸계란볶음밥

    어제 김치볶음밥에 이어서 햄계란볶음밥.여태 올린 내용과 거의 같은데 좋아하니까 자주 만들어서 쿨타임이 안차도 또 올린다. 그냥 일상적으로 만드는 계란볶음밥인데 밥은 좀 미리 준비했다. 햄이나 스팸, 새우 등 주재료가 바뀌기는 하는데 주 재료를 달리해도 과정은 거의 같다. 준비 1. 밥 미리 지...
    Date2019.10.09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657
    Read More
  16. 김치볶음밥

    그냥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이런 밥상은 너무 일상적이라 그냥 밥상글이나 일상글에 묻어 올리고 단독으로 올린 적이 아주 오래 전인데 오랜만에 김치볶음밥을 따로 올려본다. 평범해서 별 내용이 없다는 이야기; 평소에 좋아하는 볶음밥은 디저트로서의 볶음밥으로; 고기 구워먹고 남은 고기와 김치에 ...
    Date2019.10.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197
    Read More
  17. 맑은 알탕, 알탕지리

    알탕은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과는 달리 재료 자체에서 육수가 덜 나오기 때문에 육수를 우려서 넣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알탕 뿐만이 아니라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도 주재료가 서더리든 우럭이든 대구든 꽃게든 해물탕이든 국물이 맛있으려면 육수를 사용해야 더 맛있다. 바지락이나 홍합...
    Date2019.10.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763
    Read More
  18. 짬뽕라면

    진짬뽕 이후로 오랜만에 짬뽕라면. 다 아는 이야기겠지만 라면 종류는 상관없지만 기본 라면인 진라면 삼양라면 신라면이나 그 외 열라면, 삼양라면매운맛 짬뽕라면 등을 사용하는데 별 생각 없이 아무거나 사용했다. 시용한 재료는 고추기름 2스푼 오징어 1마리 양파 반개 대파 반대 고운고춧가루 1스...
    Date2019.10.03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3873
    Read More
  19. 마라볶음면

    요즘 유행하는 마라볶음면과 마라탕면을 사봤다. 컵라면으로 사보니 둘 다 괜찮아서 봉지면으로도 한번들씩 샀다. (개인취향 주의) 둘 다 마라향이 훅치고 올라오기는 한데 마라의 얼얼한 맛이 세지는 않다. 마라볶음면이 조금 더 달달하다. 맵기는 꽤 맵지만 못먹겠다 싶지는 않은 정도이다. 하지만 봉...
    Date2019.10.02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3763
    Read More
  20. 맵달짠 버터옥수수

    엄마께서 삶아주신 찰옥수수가 아직도 냉동실 반 칸을 차지하고 있는 요즘. 언젠가 옥수수를 일단 냉장실에 옮겨 해동하고 다음날 전자렌지 돌릴까 하다가 통으로 굽고 시즈닝하고 치즈를 듬뿍 뿌린 옥수수가 생각났다. 보통 이런 옥수수는 노란걸 사용하는데 찰옥수수라고 뭐 안될 거 있나? 하며 옥수...
    Date2019.10.01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59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