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그릇, 면

곤약냉채

by 이윤정 posted Jul 12,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크기변환_IMG_8177.JPG


(별 내용 없음)


여태 냉채는 늘 간장, 식초, 설탕, 겨자, 다진마늘을 주 재료로 한 소스를 만들었는데

잔치집에서 시판 냉채소스에 버무린 냉채가 심플하면서도 깔끔하게 맛있어서 벤치마킹해보고자 오뚜기겨자냉채소스를 사봤다.

그게 벌써 두 계절이나 지난 일인데 곤약면은 오뎅탕 하려고 넉넉히 샀었고 냉채소스도 일단 샀으니까 간단하게 냉채를 몇 번 만들었다.


여러 형태로 나오는 곤약을 냉채에 곁들여봤는데 그 중에 '대신 실곤약' (곤약누들x) 이 가장 먹을 만 해서 올해는 이것저것 사지 않고 실곤약만 몇 개 사서 먹고 있다.

곤약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어느 것을 곁들여도 맛있겠지만 나는 곤약 자체를 안좋아하는 아니 싫어하고.. 그런 중에 실곤약은 이제 겨우 먹는다.

곤약 중에서도 곤약맛이 덜한 것으로 고르고, 곤약 전처리로 데치고 연한 식촛물에 담가 곤약맛이 덜하도록 했다. (내 취향)




사용한 재료는

실곤약 200그램 1개

크래미 4개

오이 반개

당근 4분의1개

적양파 4분의1개

계란 2개

다진마늘 1스푼

시판 겨자냉채소스 적당량 (처음에 적게 넣고 간보고 가감)


오징어나 새우, 생으로 먹는 햄 등 집에 있거나 좋아하는 재료를 넣으면 더 좋다.




곤약은 물에 한 번 씻고 끓는 물에 데쳐서(다시 끓어오를 때까지 데침) 다시 물에 헹군 다음 식초를 약간 넣은 물에 담가두었다.


양파는 가늘게 채썰어서 물에 담가서 매운 맛을 덜어내고 다른 재료가 준비되면 키친타올로 물기를 흡수시켜서 그릇에 담았다.

계란은 소금을 약간 뿌리고 잘 저은 다음 얇게 지단으로 부쳤다. 계란지단은 식으면 더 잘 썰어지니까 오이 채써는 것보다 먼저 했다.

당근과 오이는 최대한 가늘게 채썰고 크래미는 잘게 찢어서 각각 그릇에 담은 다음 준비한 양파와 계란지단을 그릇에 담았다.

겨자냉채소스는 다진마늘을 약간 넣어서 준비했다.



실곤약은 체에 밭쳐서 건진 다음 가볍게 짜서 물기를 제거했다. 물기가 많으면 소스가 희석되니까 비빔면 끓일 때 물기를 최대한 빼겠다는 정도면 적당하다.국수나 라면 등 다른 면에 비해서 실곤약은 뭉크러지지 않으니까 양손 사이에 놓고 나물 짜듯이 한 번 꼭 짜면 적당하다. 실곤약은 길이가 기니까 먹기 좋게 한번 정도 가위로 잘랐다.



곤약은 데치고

크기변환_IMG_8117.JPG 


헹궈서 물에 담갔다. 식초를 몇방울 뿌렸다.

크기변환_IMG_8118.JPG



양파도 썰어서 물에 담가뒀다.


크기변환_IMG_8157.JPG




계란에 소금을 약간 넣고 잘 풀어서 지단을 얇게 부쳤다.

코팅이 잘 된 팬에 기름을 넣고 한 번 닦아내서 계란물을 얇게 펴서 노릇노릇하지는 않을 정도로 부친 다음 식혀서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DSC04679.JPG     크기변환_IMG_8851.JPG 



오이 채썰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80471


크기변환_IMG_8140.JPG


크기변환_IMG_6077.JPG





시판 겨자소스 + 다진마늘

크기변환_IMG_8162.JPG    크기변환_IMG_8164.JPG






미리 채소를 돌려 담아 준비한 그릇에 실곤약을 담고 소스를 뿌려서 잘 비볐다.


크기변환_IMG_8167.JPG




크기변환_IMG_8177.JPG





간을 보고 부족하면 냉채소스를 조금 더 넣었다.


크기변환_IMG_8179.JPG




크기변환_IMG_8183.JPG


곱게 채 썬 여러 채소가 가볍고 아작아작한 식감을 살리면서 맛살, 계란지단과 곤약면에 시판소스가 상큼 알싸하니 잘 어울린다.

곤약면은 있으면 더 좋고 없어도 좋고 재료도 그냥 상황따라 단순하게 해도 맛있다. (곤약은 정말 안 좋아하는데도 없는 게 낫다는 말을 안 할 정도면 먹을 만 하다는 이야기)

벤치마킹은 적당히 잘 되고 있는 것 같다.






오이나 당근을 기본으로 깔고 크래미나 닭가슴살에 겨자소스를 무쳐서 야식으로 이렇게 간단하게 먹는 일도 꽤 있다.


크기변환_IMG_8208.JPG




크기변환_IMG_8211.JPG



냉채 재료를 비빔장에 비벼먹기도 하고 비빔라면으로도 먹고 그렇다.


크기변환_IMG_7227.JPG


비빔장은 https://homecuisine.co.kr/hc10/40843 이때 이후로 계속 만드는 중이긴 하다.  몇 년이 지나는 동안 레시피는 대용량으로 변하고 맛도 좋아지고 있는데 한 번 만 더 만들면 끝날 것 같다. 그럼 그동안 만든 소스는 다 어쩌냐 하면 무치고 비비고 하면서 소비는 하고 있다. 그래서 비빔국수등 비빔장을 사용해서 음식 만드는 일이 많아도 올리는 일이 잘 없었다.

만들고 마음에 안차면 빨리 또 만들면 편할텐데 한 번 만들었으면 최대한 마음에 차도록 고쳐가며 전부 소비하니까 발전 속도가 느리다.


이야기가 샜는데 여름에 시원하고 아삭하게 먹는 냉채는 어떻게든 다 맛있다.



Articles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