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5877.JPG


내가 생각하는 김밥재료의 정석은 

단무지, 우엉 (절임채소) 

시금치, 당근 (익힌채소) 

맛살, 오뎅 

햄, 지단 


인데, 김밥재료야 워낙에 바리에이션이 끝도 없는 분야라 어떻게든 만들면 다 맛있다.


시금치 대신에 오이, 부추, 아보카도 등 채소로 바꾸거나 

추가나 대신으로 유부, 참치, 소고기, 제육, 새우튀김, 돈까스 등을 사용하거나

치즈나 깻잎, 고추무침 등을 추가하거나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만드는 김밥. 



어쨌든 위와 같이 분류해서 김밥에 넣을 재료를 6~8가지로 정하고, 김밥을 쌀 때도 빼먹은 게 없도록 준비한 재료의 갯수대로 다스여스일곱ㅋㅋㅋ 이렇게 세서 확인하면서 싼다ㅎㅎㅎ


이번에는 시금치 대신에 아스파라거스를 사용하고 맛살 오뎅 대신에 소고기를 넣었다. 계란지단은 듬뿍.



ㅡㅡㅡㅡㅡㅡㅡㅡ


사용한 재료는 김밥 약 8~9줄 분량인데 밥을 적게 넣으면 10줄까지도 나온다.


김밥김

쌀 4컵

다시마 1장 (약 10센치)

식초, 설탕, 소금

단무지 반개

우엉조림 

당근 2개

아스파라거스 굵은걸로 8~10개

김밥햄 10개 

소고기 다짐육 400그램 

계란 10개



평소에 초밥이나 김밥을 할 때 편하게 스시노코를 사용하는 편인데 이번에 다 떨어져서 오뚜기2배사과식초, 자일로스설탕, 고운소금(구운소금)을 사용했다.

초밥의 경우는 쌀1컵당 소금3그램, 설탕12그램, 식초12그램이 정석인데 (이 재료로 설탕을 녹여서 초대리를 만든다.)

김밥이니까 간을 약하게 해서 쌀 4컵에 소금 1티스푼, 설탕 2스푼, 2배식초 2스푼이면 적당하다.

(평소에 늘 이렇게 스푼을 쓰지는 않고 대충 대충 소금은 약간, 설탕 약간 탈탈, 2배식초 2바퀴 휘휘 넣는다;;)


불고기소스는 https://homecuisine.co.kr/hc10/64082에서 만들어 둔 것을 200그램분량 사용했는데 시판 불고기양념이나, 간장, 설탕, 미림을 약간 넣어서 볶아도 좋다.

당근과 아스파라거스는 올리브오일을 뿌려서 굽고 소금, 후추로 간을 하고 계란은 소금간만 했다.

우엉조림은 어제 올린 https://homecuisine.co.kr/hc10/78004 분량 전부를 사용했고

김밥햄은 고기함량이 90프로 이상인걸로 찾아서 사왔고

아스파라거스는 얇으면 20개까지도 좋다.





당근은 어제 우엉처럼 슬라이스채칼로 썬 다음 정리해서 뉘인 다음 채썰었다.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달달 볶다가 소금을 약간 넣고 간을 했다.

크기변환_IMG_5741.JPG     크기변환_IMG_5744.JPG 


크기변환_IMG_5832.JPG 



크기변환_1518958726d04d15f7dc8c9ba1b6f775.JPG



아스파라거스는 밑동부분을 똑 하고 부러뜨리고 필러로 껍질을 얇게 벗기고 굵은 것은 반으로 가른 다음 올리브오일을 두른 팬에 볶았다.

소금, 후추를 약간 뿌려서 노릇노릇하게 볶고, 볶은 다음에는 그릇에 하나하나 줄맞춰서 올렸다.

크기변환_IMG_5811.JPG    크기변환_IMG_5814.JPG 



소고기는 달달 볶은 다음 불고기양념을 넣고 축축하지 않도록 바짝 더 볶았다.

크기변환_IMG_3747.JPG    크기변환_IMG_3750.JPG 



팬을 달구고 기름을 두른 다음 살짝 닦아내듯이 해서 팬에 기름을 바르고 계란물을 부어서 팬을 돌려가며 얇게 부치고 채썰었다.

크기변환_DSC04679.JPG  


크기변환_IMG_5818.JPG



김밥햄도 노릇노릇하게 구워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5843.JPG



밥은 질지 않도록 밥물을 딱 맞게 잡고 다시마를 한조각 넣고 지었다.

밥이 다되면 다시마를 꺼내고 일군 다음 식초, 설탕, 소금을 넣고 간을 하고 참기름을 약간 넣고 주걱을 세워서 비벼두었다.

크기변환_IMG_5840.JPG 

단무지도 썰어서 준비했다.



다진고기를 밥에 올리기 귀찮아서 밥에 볶은 소고기를 넣고 비벼서 김밥을 만들었다.

밥에 비비면 만들기도 편하고 먹을 때 흩어지지 않아서 먹기도 편한데 보기에는 따로 넣은 게 더 낫다.


어쨌든 김에 밥을 얇게 깔고

크기변환_IMG_5866.JPG



준비한 재료를 차곡차곡 쌓은 다음

크기변환_IMG_5862.JPG




크기변환_IMG_5865.JPG



김밥 속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단단히 말았다.

김발이나 종이호일을 이용해서 단단하게 감싸고 종이호일은 그대로 감싸서 김밥의 김이 여며진 부분을 아래로 가게 두면 잘 붙는다.


크기변환_IMG_5869.JPG




크기변환_IMG_5877.JPG




크기변환_IMG_5882.JPG




밥에 고기를 넣고 비비지 않고 그냥 만들면 이렇게.

크기변환_IMG_5847.JPG




크기변환_IMG_5861.JPG


각 재료들이 맛있게 잘 어울린다.


김밥은 전부 썰어서 냉장보관한 다음 다음날 조리하거나 데워먹으면 또 맛있다.

냉장고에 남은 김밥은 그대로 굽거나 계란물에 묻혀서 굽거나 또 가끔은 튀김옷을 입혀서 튀김으로 먹기도 한다.

이번에는 다음날 도시락으로 싸서 보냈는데 전자렌지 15초씩 두번 돌려서 데워 먹으니 적당하다고 한다.






  • 레드지아 2019.05.13 11:23

     볶은 소고기를 밥과 함께 비벼 넣으시다니!!! 신기해요 ^^

    먹으면서 골고루 고기 맛이 느껴질테니 더 흡족할수도 있을거 같은데요 ㅋㅋㅋㅋㅋ

     

    보기엔 소고기를 따로 올리는게 이쁜데 먹기엔 아예 섞어서 김밥 만드는게 선물같은느낌!! ㅋ 이어서 먹으면서도 흡족하고 기쁠거 같은 느낌이 들어요 ㅎㅎㅎㅎ

     

    저는 김밥을 만들면 보통 5~6줄 내외 아무리 많이 만들어도 10줄이하여서 남은 단무지가 고민인데요

     

    전에 제올케가 김밥 단무지 남아서 냉장고에 두었다가 다음번에 만들려고 하면 처음처럼 아삭한 맛이 없다고 했었어요

    그때 저는 아니라고~~그럴리가 없다고~~ 맛이 똑같다고~~~ 했는데...ㅠ

    진짜 올케말이 맞더라구요 ㅠㅠㅠㅠㅠㅠ

     

    그제 김밥을 만들었는데 남은 단무지 사용했거든요 처음 포장 뜯었을때처럼 아삭한 맛이 덜해서 7~8줄 정도 만들려고 했던거 급히 수정하여 3줄 만들고 말았어요 ㅠ

     

    윤정님은 김밥용단무지 보관을 어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단무지물채로 통에 담아서 단무지가 잠긴채로 냉장고에 보관했거든요 ㅠ

  • 이윤정 2019.05.14 02:56
    고기를 밥에 비비면 김밥 쌀 때 편한 게 제일 크더라고요. 먹는 건 알아서 먹고 제가 귀찮은 것만은 참을 수 없잖아요ㅎㅎㅎㅎ

    말씀대로 처음 뜯었을 때에 비해서 질감이 떨어지더라고요.
    단무지가 단무지물에 잠긴 채로 보관하는 것 이상은 없을 것 같은데 질감 저하가 있으니까 보관에는 정말 답이 없더라고요.
    김밥 만들고나면 단무지 남는 것이 늘 고민이라서 일단 뜯으면 연달아서 무조건 빨리 먹으려고 해요.
    지금도 단무지는 반 개 남았고 우엉은 없어서 시장가서 우엉 사오고 또 우엉조림하는 고생을 하고 왔지 말입니다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 밥류 통마늘을 곁들인 베이컨 대파 볶음밥 베이컨과 대파로 만든 볶음밥에 통마늘구이와 계란후라이를 곁들였다. 평소에 마늘은 썰어서 구운 것 보다 통으로 구운 것을 더 좋아한다. 통마늘은 절단면이 적... 6 file 이윤정 2020.01.05 27631
77 밥류 햄계란볶음밥, XO스팸계란볶음밥 어제 김치볶음밥에 이어서 햄계란볶음밥.여태 올린 내용과 거의 같은데 좋아하니까 자주 만들어서 쿨타임이 안차도 또 올린다. 그냥 일상적으로 만드는 계란볶음... 2 file 이윤정 2019.10.09 4471
76 밥류 김치볶음밥 그냥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이런 밥상은 너무 일상적이라 그냥 밥상글이나 일상글에 묻어 올리고 단독으로 올린 적이 아주 오래 전인데 오랜만에 김치볶음밥을 따... 4 file 이윤정 2019.10.07 6053
75 밥류 기본 김밥, 김밥 만들기 2021년 5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103190 내가 생각하는 김밥재료의 정석은 단무지 우엉조림 데친 시금치 or 데친 부추 오뎅조림 or 유부조림... 7 file 이윤정 2019.09.02 11186
74 밥류 소고기 야채죽 식사 대신 죽을 꼭 먹어야 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지만 지내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죽이라도 먹어야 할 때가 있다. 미음 다음으로 먹기에는 조금 더 가벼... 6 file 이윤정 2019.06.26 4523
73 밥류 마늘쫑 김밥 마늘이 나오기 시작했으니 이제 제철 마늘쫑은 완전 끝물이다. 김밥을 하려고 푸른 채소를 어떤 걸 사용할까 하다가 집에 있는 마늘쫑을 볶아서 사용하면 편하겠... 4 file 이윤정 2019.06.02 4978
72 밥류 베이컨 아스파라거스 볶음밥 (별 내용 없음) 5월말이라 제철 아스파라거스가 끝물이다. 끝물이면 더 아쉬워서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사게 되고 그렇다. 이번에 산 아스파라거스로는 처음으로 ... 3 file 이윤정 2019.05.30 3674
» 밥류 소고기 김밥 내가 생각하는 김밥재료의 정석은 단무지, 우엉 (절임채소) 시금치, 당근 (익힌채소) 맛살, 오뎅 햄, 지단 인데, 김밥재료야 워낙에 바리에이션이 끝도 없는 분야... 2 file 이윤정 2019.05.10 5676
70 밥류 참치 생야채 비빔밥, 명이비빔밥 명이는 많이 샀고 이것저것 해먹자는 마음으로 장아찌를 담은 다음 여기저기 사용할 분량을 남겨두었고 귀한 명이는 알뜰하게 써야하니 귀찮아도 뭐든 해먹어야한... 4 file 이윤정 2019.04.24 11563
69 밥류 명이쌈밥 (내용은 길지만 평범함 주의) ■■■■■■■■ 까지 잡담 주의 아직도 명이 잔업이 남은 걸 보면 우리집에 명이 요정이 온 줄 알았는데 알고 보면 명이 사장님이었던걸까... 1 file 이윤정 2019.04.21 5074
68 밥류 육회비빔밥, 육전비빔밥 전날 만든 나물로 비빔밥을 했다. 비빔밥을 할 때 나물은 고추장이나 된장이 좋고 생채는 쌈장+고추장을 좋아한다. 나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 2 file 이윤정 2019.04.14 6031
67 밥류 소고기 버섯밥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소고기버섯밥에 달래장을 곁들였다. ~밥이면 밥에 주재료를 넣고 지어야 하지만 밥과 함께 짓는 것은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 내 취향... 11 file 이윤정 2019.03.31 7922
66 밥류 명란마요김밥 명란젓에 마요네즈를 넣어서 만든 명란마요로 김밥을 했다. (별 내용 없음) 김밥이야 김밥용 김에 소금, 식초, 설탕으로 간을 한 밥, 그 외 좋아하는 재료면 끝이... 8 file 이윤정 2019.02.20 12054
65 밥류 전복볶음밥, 전복 새우 XO볶음밥 식혀서 냉장보관한 전복밥에, 전복, 새우, XO소스를 넣어서 볶음밥을 만들었다. 전복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702 사용한 재료는 전복밥 2... 6 file 이윤정 2018.11.06 5739
64 밥류 전기압력밥솥으로 만드는 전복밥 전복밥은 솥밥으로 하면 더 좋지만 집에 있는 전기압력밥솥으로 편하게 전복밥을 만들었다. 전복육수로 밥을 짓고 그 위에 전복볶아서 올리고 쪽파양념간장을 곁... 4 file 이윤정 2018.10.17 19365
63 밥류 밥으로 간단하게 계란죽 아주 간단한 계란죽. 늦잠을 자고 일어난 주말 점심으로 밥 할 재료도 없고 밥 때는 지나가고 있고 귀찮을 때 (라면각이긴 한데..) 간단하게 만들었다. 육수에 식... 2 file 이윤정 2018.09.11 20759
62 밥류 밥으로 만드는 전복죽 쌀을 불리지 않고 밥으로 지어서 조금 편하게 전복죽을 만들었다. 전복, 쌀, 육수, 참기름, 국간장으로 재료가 아주 심플하다. 2~3인분으로 전복 6미 (약 450그램... 2 file 이윤정 2018.08.30 9248
61 밥류 충무김밥 1년에 한번씩 그대로 다시 올리는 충무김밥. 매해 내용이 똑같긴 한데 어쨌든 늘 이렇게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 2 file 이윤정 2018.07.19 15076
60 밥류 차돌 양볶음밥, 양밥 보통은 양곱창집에서 곱창 먹고 볶아주는 볶음밥인데 양밥이라도고 부르는 것 같다. 양밥이 곱창집마다 다 스타일이 다르긴 한데 내가 가는 곳은 이렇게 볶음밥이... 2 file 이윤정 2018.07.07 10738
59 밥류 두부밥 북한의 유명한 길거리 음식인 두부밥. 90년대 이후 북한 전역에 퍼졌다고 한다. 앙념장을 만들 때 고춧가루와 간장을 기름에 익혀서 만드는데 이렇게 만드는 다대... 10 file 이윤정 2018.06.08 156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