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9920.JPG 



올 겨울에는 편하게(혹은 안편하게도) 전골을 많이 했다.

요즘 집에서 밥을 덜 먹으면서 음식을 만드는 폭은 요즘 좁아졌지만 그래도 음식을 준비하고 생각하는 시간에는 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한다.

그래서 전골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베이스로

1. 얼큰 (진하게/시원하게)

2. 얼큰자박

3. 기본된장

4. 맛된장(된장자박)

5. 간장이나 맑은


로 나누어서 양념을 만들고 어울리는 주재료와 육수의 종류와 양을 설정하고(추가재료에 따라 양념장+육수상태로 따로 덜어놓기도하고), 그에 어울리는 채소를 고르면 무조건 맛있다.



주재료로 소고기(차돌박이, 샤브샤브용, 구이용)/사태/차돌/곱창/대패목살/닭고기/낙지등 해물/두부/버섯/만두/(부대, 라면, 순대, 스지)

베이스로 얼큰진함 / 얼큰시원 / 얼큰짜박 / 기본된장 / 된장짜박


(생선이나 조개, 해물을 주재료로 하기도 하는데 가족이 해산물을 즐기지 않고 지금 조합으로도 올 겨울 시간이 모자라서 이번에는 낙지, 오징어정도만 사용했다.)

(5번은 간장은 불고기전골 같은 종류, 맑은은 사태수육 종류인데 조합하는 경우가 넓지 않아서 조합에 대한 고민은 주로 1~4번으로 한다.)



이걸 각각 조합으로 전부 해보지는 않았고 모든 경우의 수가 다 어울리는 것도 아니고 이 모든 결과물의 이름이 전골도 아니지만 (예를 들어 뚝배기불고기나 낙곱새처럼)


볶은 곱창이나 대창, 푹 삶은 사태 차돌박이, 혹은 구이용 고기를 넣은 된장전골, 얼큰전골은 말할 것도 없이 무조건 좋았고,

곱창두부두루치기(곱창+두부, 얼큰짜박)나 맛된장 대패 대파 전골(대패+대파, 된장짜박) 등도 좋은 조합이다.

낙곱새는 낙지+곱장+새우, 얼큰짜박으로 보면 적당하다. 


각 음식마다 어울리는 채소와 사리, 필요에 따라 밥, 죽, 볶음밥 추가.



사진으로 이야기하자면


사태, 맑은

크기변환_IMG_2341.JPG 



사태, 얼큰시원

크기변환_IMG_0046.JPG




곱창, 얼큰진함

크기변환_IMG_0426.JPG



위에까지는 글을 올린 것이고 아래는 안 올린 것



곱창+두부, 얼큰짜박

크기변환_크기변환_IMG_2170.JPG



위에 보다 좀 더 편하게 곱창대신 차돌박이로

크기변환_IMG_2560.JPG 




개미집식 낙곱새

크기변환_IMG_0568.JPG




대패+대파, 된장짜박크기변환_IMG_3220.JPG

(전골냄비만 사용하면 전부 전골이라고 우기는 수준ㅋㅋ)




미리 고기를 삶거나 곱창을 구매해야하거나 채소를 듬뿍 사다놓거나 사리를 준비하거나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귀찮을 때는 편한 조합을 고르면 되고 시간이 많을 땐 많은 대로 이것저것 할 수 있다. 재료를 준비하고나면 다음부터는 밥상에서 끓여내면 끝이다.





아래는 사태와 기본된장으로 사태 된장 전골.



사용한 재료는 


사태 600그램 2시간 삶은 것 + 육수 

육수 600미리 (진한 소고기육수 + 사골육수 반반)

집된장 1스푼 (백일된장 등)

시판된장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간보고 부족하면 국간장 반스푼)


대파 1대

양파 중간 것 반개 (작으면 1개)

청양고추 4~6개 (취향껏)

애호박 반개

팽이버섯 1봉투

두부 1모


라면사리 삶아서 1개


겨자간장소스로

간장 1스푼

식초 1스푼

설탕 0.5스푼

물 1스푼

연겨자 약간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샘표 백일된장, 해찬들 명품집된장)


사태가 한우 암소로 신선한 것이라 따로 핏물을 빼거나 데치지 않았고 키친타올로 핏물을 잘 닦아서 길게 반으로 썰어서 준비했다.

(찬물에 담글 때는 30분을 넘지 않는 것이 좋고, 초벌로 익혀서 준비할 때는 끓는 물에 1분정도만 데쳐내면 적당하다.)


팔팔 끓는 육수에 고기를 넣고 육수가 끓어오르면 거품을 걷어내고 불을 줄이고 육수가 졸아들면 물이나 육수를 추가해서 2시간정도 푹 삶았다.

최초에 준비한 육수가 진할 경우에는 너무 졸여지면 맛이 강하니까 중간중간 보충할 때는 물을 뜨거운 물로 추가하고, 애초에 육수가 옅으면 육수를 계속 추가해도 좋다 .


푹 삶은 고기를 약간 잘라서 먹어봤을 때 힘줄이 질기지 않고 쫀득쫀득하게 잘 익었으면 적당하다.

기름은 따로 떠내지 않고 고기에 붙은 기름만 조금 잘라냈다.


크기변환_IMG_7018.JPG 

사태는 고기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육수에 잠기게 하거나 뚜껑을 닫아서 완전히 식혀두었다.



채소는 취향대로 배추나 버섯을 더 추가해도 좋고, 

채소나 사리의 양을 더 많이 잡을 때는 조금 싱거울 수 있으니까 간을 보고 국간장을 반스푼정도 추가하면 좋다.

청양고추는 먹지 않고 건져낼 거라서 큼직큼직하게 썰고 애호박, 양파, 대파는 먹기 좋게 적당히 썰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9906.JPG




고기는 식혀서 썰어서 랩으로 덮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3308.JPG




사골육수+사태육수에 양념을 하고 한 번 팔팔 끓여서 준비했다. 가장 먼저 두부를 넣고 한 번 더 끓인 다음


크기변환_IMG_9905.JPG

(기름이 살짝 자글자글하니 좋다.)




나머지 채소를 얹고 준비한 고기를 얹고


크기변환_IMG_9915.JPG 




크기변환_IMG_9920.JPG 




크기변환_IMG_9923.JPG 




적당히 바글바글 끓여서 고기와 채소가 부드러워지면 먹기 시작했다. 끓여 온 상태라 채소와 고기를 넣으면 금방 익는다.


크기변환_IMG_9929.JPG 




크기변환_IMG_9937.JPG 


고기와 채소도 보드랍고 넉넉하고 구수하니 고소한 된장국물도 달큰하니 맛있다.



적당히 먹다가 라면사리를 넣는데 라면사리는 따로 80%정도 삶아와서 전골에 넣고 한 번 끓여낸 다음 불을 껐다.


크기변환_IMG_9947.JPG 




크기변환_IMG_9953.JPG 




크기변환_IMG_9955.JPG  

된장전골에 라면사리가 언제나 잘 어울린다.





  • 레드지아 2019.02.26 10:34

    어우어우~~~

    뭐 하나 뺄수 없이 다 맛있어보여요!! 다 제취향 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좋아하는 고기에 양심상 다들 몸에 좋다고 해서 할수 없이 먹는 채소도 먹으니 죄책감도 없고 ㅋㅋㅋㅋ

    마무리는 라면!!!!!!!!!!!!!!!!!!꺄아!!!!!!!!!!!!!!!!!!!!!!!!!

     

    이렇게 먹음 뭐가 부럽겠어요!!! ^^

    배 든든하고 따뜻하면 그곳이 바로 천국아니겠습니까 ㅎㅎㅎ

  • 이윤정 2019.02.26 18:45
    사실 전골이 너무 넓은 의미라 이것도 저것도 전골이라고 만들었다 그럼 그냥 전골이고 그렇죠ㅎㅎㅎ
    고기에 채소가 듬뿍이면 먹고 난 다음에도 아 좀 잘했나 셀프 칭찬하게 되더라고요ㅎㅎㅎ 그래놓고 마무리는 라면이고 말입니다ㅎㅎㅎㅎㅎ

    올 겨울은 많이 춥지 않기도 했고 벌써 꽃이 피고 있어서 겨울이 다 끝났다 싶어요.
    밥상에 놓고 끓여 먹는 것이 기분이 좋은 건 따뜻하다는 말이 나올 때까지 이니까 그때까지 열심히 해먹으려고요^^
  • 뽁이 2019.03.05 04:35
    헉 사태된장 ... 이라 하셔놓고 ....
    곱창에 낙곱새까지 뭔가요 ..... ㅋㅋㅋㅋㅋㅋ
    반칙이에요 ...... 하하하하하하핳
    그러게요 매콤한 양념에는 뭔가 당면이 어울리고
    된장에는 라면이 어울리는 느낌이에요 ㅋㅋ
    간장에도 당면인강 ㅋㅋㅋㅋㅋ
  • 이윤정 2019.03.05 20:11
    내용은 사태된장인데 분류하다보니 이것저것 참고사진만ㅎㅎㅎㅎㅎ
    이래도 반착입니까ㅎㅎㅎㅎ
    매콤에는 기본 당면에 우동사리도 좋고 칼국수사리도 좋고
    된장에는 저는 라면입니다!
    간장이랑 맑은데도 당면이 좋아요^^
  • 혜니홀릭 2019.04.06 21:51
    부산에서 시부모님이 오셔서 이거 메인으로 올렸어요. 요즘애들말로 JMT!!!!
    배추의 달큰함을 좋아해서 배추도 많이 넣었는데 내가 만들고 내가 제일 많이 먹음요~
    댓글 잘 안남겼지만 항상 레시피에 감사하고 있어요. 이거 너무 맛있어서 안남길 수가 없었네요.
    몇년째 블로그를 염탐했더니 저혼자 윤정님과 되게 친한 느낌이에요. ㅋㅋㅋ 어쨌든 레시피 너무너무 감사해요!
  • 이윤정 2019.04.08 17:24
    오랜만입니다ㅎㅎㅎ 자주 봐주셨는데 뵙지를 못하니 저 혼자 오랜만이라고ㅎㅎㅎㅎ
    시부모님과 함께 즐거운 식사시간보내셨군요ㅎㅎㅎㅎ
    익숙한 맛이라 어른들을 비롯해서 두루두루 입맛 맞추기에도 부담이 없더라고요.
    배추를 듬뿍 넣으셨으니 제가 올린 것보다 더 맛있었을 것 같아요^^

  1. 부대볶음

    매번 똑같은 부대볶음. 재료 양배추 4분의1통 대파 흰부분 2대 김치 2~3잎 스팸 작은 캔 1개 소세지 2~4개 베이컨 100그램 (햄 소세지 베이컨 다 합해서 약 600그램) 양념장 고운고춧가루 18그램 (2.2스푼) 고추장 25그램 (1스푼) 간장 15그램 (1스푼) 친수피시소스 5그램 (1티스푼) 다진마늘 50그램 (2.5스푼) 생강약간 (생략가능) 후추톡톡 미림이나 청주 14그램 (1스푼) 사골육수 300미리 냉동사리 1인분 (중화면이나 우동)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거나 묵은지를 조린 김치조림을 사용하기도 한다. 김치참치조림 https://homecuisine.co.kr/...
    Date2022.01.2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337 file
    Read More
  2. 삼계탕

    삼계-탕蔘鷄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대추, 찹쌀 따위를 넣어서 고아 만드는 보양 음식. 삼복에 보신이 되고 원기를 돕는다. - 네이버 국어사전 삼계탕이라는 음식이 제철이 있는 채소나 해산물로 만드는 것도 아니고 연중 어느 때나 쉽게 먹을 수 있고, 만들 수 있지만 삼복인 초복, 중복, 말복. 복날에 챙겨 먹는 삼계탕은 각별한 의미가 있는 것도 같다. 복날은 그 많은 여름 날 중에 콕 집어서 딱 그 날 보양식을 먹어야 하는 것처럼 집단적인 현상을 가지는데, 집단적임에 우호적이지 않은 나도 이상하게 복날은 그 집단적인 현상이 ...
    Date2013.07.2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454 file
    Read More
  3. 부대찌개

    조금만 추워지면 바로 생각나는 부대찌개. 여태 올린 것과 대동소이하다. 양파, 대파에 햄, 소세지, 베이컨, 차돌박이 등 햄파티를 하고 그 위에 김치, 베이크드빈스, 양념장을 넣고 사골육수, 감자당면사리로 조립한다. 없는 재료는 적당히 생략해도 괜찮고, 여러 맛있는 소세지나 햄을 더 추가해도 좋다. 취향에 따라 떡, 데친 마카로니, 두부, 물만두, 팽이버섯 등의 재료를 소량 추가한다 냉동중화면이나 냉동우동면, 삶은 라면사리, 떡사리 등을 넣기도 하고 다 좋다. 당면은 늘 사용하는 이거 http://naver.me/5SWZpNgT 재료 소세지 2~3개 스팸...
    Date2021.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517 file
    Read More
  4. 소고기 된장전골

    찌개맛된장을 사용한 소고기 된장전골. 맛된장이라고 거창한 건 아니고 평소 된장찌개 만들 때 꺼내오는 재료를 분량을 늘여서 미리 배합해둔 것이고, 간조절에 신경을 썼었다. 된장찌개 하려고 청양고추 한 봉투 사오면 버리는 일이 생기는데 이렇게 만들어두면 편하다. 소고기 된장찌개와 비슷하지만 전골냄비에 끓이고 전골 느낌으로 먹으면 전골이고 찌개 느낌으로 끓이고 찌개라고 생각하고 먹으면 찌개고 그렇다. (전골냄비에 담았으면 다 전골이야!) 전에 올린 맛된장 곱창만두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96393 에서 이야기한 것처...
    Date2021.02.0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644 file
    Read More
  5. 라면전골

    오랜만에 라면전골 당장 집에 라면이 스낵면 뿐이라 고운 고춧가루와 다진마늘을 평소보다 조금 더 사용했다. 좀 더 칼칼하고 얼큰한 라면이 라면전골에 잘 어울린다. 재료 라면 2개 물 1~1.1리터 고운고춧가루 1~1.5스푼 다진마늘 1.5스푼 샤브샤브용 소고기 300~400그램 알배추 대파 듬뿍 어묵탕용 오뎅 4개 (선택) 팽이버섯 1봉투 (선택) 밥 계란 후추 참기름 1. 샤브샤브용 고기, 알배추, 대파흰부분, 버섯 오뎅 등 취향에 따라 재료 준비한다. 2. 물에 라면스프, 고춧가루, 다진마늘을 넣고 끓이기. 취향에 따라 고추기름이나 고춧가루, 후추를 ...
    Date2022.02.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649 file
    Read More
  6.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맛을 내는 것 치고는 많이 간단하다. 돼지고기는 쫄깃쫄깃한 갈매기살이 찌개나 탕에 잘 어울려서 좀 많이 사서 김치찌개도 해먹고 우거지탕에도 사용했는데 어느 부위를 사용해도 괜찮긴 하다. 말린 우거지는 아니고 푸른 겉잎을 데친 것을 사용했다. 요즘같이 배추 겉잎이 남는 계절에 딱이다. 오리탕과 감자탕의 중간적인 느낌인데 갈매기살 육질이 오리탕의 오리와 비슷해서 쫀득쫀...
    Date2021.11.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3708 file
    Read More
  7. 낙곱새

    늘 마음이 쓰이는 레시피인 낙곱새. 자주 올리지는 않았지만 언제라도 해먹을 수 있도록 양념과 주재료를 늘 냉동해두고 있고 양파 대파도 늘 집에 있으니까 하루 전에 냉장실에 옮겨 해동만 하면 되는 메뉴이다. 낙곱새라는게 일종의 짜글짜글한 전골이라 주재료+채소+전골다대가+육수+사리의 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 낙곱새로 검색한 링크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board_secret2&act=IS&is_keyword=%EB%82%99%EA%B3%B1%EC%83%88&where=document&search_target=title&page=1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 재료 고운고춧...
    Date2022.02.1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3712 file
    Read More
  8. 사태 된장전골, 전골이야기

    올 겨울에는 편하게(혹은 안편하게도) 전골을 많이 했다. 요즘 집에서 밥을 덜 먹으면서 음식을 만드는 폭은 요즘 좁아졌지만 그래도 음식을 준비하고 생각하는 시간에는 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한다. 그래서 전골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베이스로 1. 얼큰 (진하게/시원하게) 2. 얼큰자박 3. 기본된장 4. 맛된장(된장자박) 5. 간장이나 맑은 로 나누어서 양념을 만들고 어울리는 주재료와 육수의 종류와 양을 설정하고(추가재료에 따라 양념장+육수상태로 따로 덜어놓기도하고), 그에 어울리는 채소를 고르면 무조건 맛있다. 주재료로 소고기(차...
    Date2019.02.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3732 file
    Read More
  9.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내 식대로 만들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램 집된장 100그램 고추장 100그램 고춧가루 50그램 670그램 / 5등분 각 2~3인분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
    Date2019.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3748 file
    Read More
  10. 부대볶음 만들기

    매년 돌아오는 부대볶음. 내용도 결론도 똑같은 걸 너무 자주 올릴 수는 없으니까 최대한 자제해서 1년에 1회 정도만 올리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2줌 대파 1대 양파 반개 김치 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그릴소세지 1~2개 비엔나소세지 한줌 라운드햄 약 100그램 (최대한 여러종류)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1스푼 생강약간 후추약간 사골육수 약 300미리 (필요시 400까지) 면사리 1인분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기도 하고, 냉장고에 미리 볶아...
    Date2019.09.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871 file
    Read More
  11.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양념장 넣고 볶다가 사골육수는 약간 모자란듯이 부어 짜글짜글하게 완성해서 적당히 먹다가 사리도 듬뿍 넣고 볶음밥으로 마무리하면 완벽하다.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3줌 대파 흰부분 1대 양파 반개 김치 3~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소세지 2~3개 (햄과 소세지는 최대한 여러종류로 합해서 500~600그램) 양념으로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
    Date2021.0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4044 file
    Read More
  12. 감자탕

    맛있게 만드는 법 2014/06/15 감자탕 냉동 돼지등뼈는 집에 없으면 늘 있어야 할 것 같고 있으면 하기 귀찮고.. 그래서 늘 냉동실에 두고만 있었는데 본격적인 여름이 되기 전에 한 번은 해먹고 넘어가야겠다 싶어서 조금 덥긴 하지만 일단 등뼈를 해동하기 시작했다. 냉장실에서 이틀정도 해동한 등뼈로 감자탕 만들기 시작. 등뼈를 고으는 것 자체는 별로 힘들지 않은데 고기 손질하고 데치는게 귀찮아서 그렇다. 그것만 지나고 나면 귀찮을 것도 없구만.. 싶다. 그리고 냉동실에 김치 담을 때 남은 배추 겉대를 삶아 놓은 우거지가 있어서 편하게 ...
    Date2014.06.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4150 file
    Read More
  13. 꽃게알탕, 서더리매운탕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사두고 냉동 꽃게 해동하고 장도 안보고 있다가 집에 당장 있는 채소인 무, 대파, 청양고추만 사용했는데 미리 채소를 준비할 여유가 있을 때는 팽이버섯, 방아잎, 깻잎, 미나리, 쑥갓 중에 취향에 맞는 채소를 골라 다양하게 준비하면 더 좋다. 생선과 달리 꽃게와 명란에는 기름이 없기 때문에 고추기름 약간을 넣으면 더 맛있고 산초나 제피를 약간 넣는 것도 좋아한다. 육수를 내기 ...
    Date2019.04.2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165 file
    Read More
  14. 대패삼겹배추찜

    배추가 제철인 요즘, 재료도 단촐하고 만들기도 간편하고 맛도 좋은 대패삼겹살 알배추찜. 재료 (2인분) 알배추 1통 (800그램) 대파 흰부분 2대 대패삼겹살 700~800그램 물 2스푼, 피시소스 1.5스푼 유자폰즈 5스푼, 연겨자 약간 찍먹소스는 간장, 식초, 설탕, 유자청, 물을 넣어도 되는데 시판 소스를 사서 사용했다. (미츠칸 아지폰 소스) 고기는 대패목살이나 차돌박이도 좋고, 전골에 생강이나 부추, 쪽파를 더 곁들여도 좋다. 소스에 다진마늘을 약간 넣어도 좋음. 알배추는 씻어서 물기를 닦고 송송 썰고, 대파도 반으로 갈라서 어슷 썰고, 대...
    Date2022.11.2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4255 file
    Read More
  15.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좋겠고 하는 의견을 수렴해서 상호보완했다. 국물은 곱창전골 스타일의 얼큰한 버전으로 하고 채소는 좋아하는 걸로 조합했다. 사태를 삶는데 시간이 꽤 걸리는 것이 번거로운데 사태 대신 샤브샤브용 고기를 사용해서 만들면 더 간편하다. 곱창은 사용하지 않고 대창만 사용했다. 한우대창을 넉넉하게 구매해서 씻고 100그램씩 소분하고 래핑해서 냉동해두었다가 곱창전골, 낙곱새, 곱창...
    Date2019.12.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389 file
    Read More
  16. 부대찌개 레시피, 양념, 재료

    (잡담주의, 레시피는 잡담 아래.) 부대찌개의 핵심은 부대찌개에 보통 넣는 햄이라고들 한다. 보통은 가공식품 함량에 고기가 적어야 제 맛이라는 음식이 별로 없는데, 유독 부대찌개는 예외로 치는 것 같다. 가공식품 자체의 퀄리티보다는 전부터 부대찌개에 써 온 재료를 고집하며 원래 부대찌개의 맛은 이렇다고 하는데 내가 무뎌서 그런지 원래가 뭔지 잘 모르겠다. 이름이 부대라서 그런가? 이는 전통적인 음식이 아니고 비교적 최근에 생겨서 새로운 포맷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원론주의자가 강세인 것이 특징인데, 현대적으로 제창된 제사같...
    Date2020.04.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7 Views4865 file
    Read More
  17.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전골다대기는 1달 넘게 보관할 것이면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구구절절 낙곱새 이야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재료 (2~3인분) 양파 1개 대파 흰대 2~3대 낙지 300그램 (손질 후) 대창 100그램 새우 150그램 (해동 후) 낙곱새양념 200그램 사골육수 300~400미리 (300 먼저 넣고 필요하면 조절) ...
    Date2021.01.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5573 file
    Read More
  18.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용했다. 마라탕면이 나온지는 꽤 되었는데 컵라면을 먹어보니 이건 라면전골각이다 생각했다. 그 생각을 했을 때는 아주 더울 때였는데 추워지자마자 라면을 사와서 해먹고 있다. 다른이야기로..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Date2019.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05 file
    Read More
  19.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넣기 or 통오리 그대로 삶기 or 토막내서 삶기) 2. 들깨 사용 (물에 들깨넣고 믹서로 갈아서 만든 들깨즙을 체에 거르기 or 거피들깻가루 사용하기 + 들깨즙에 캐슈넛 갈아서 같이 넣어도 좋음) 3. 토란대나 머위대 사용 (우거지, 고구마줄기, 고사리, 죽순, 표고버섯도 좋음) 4. 된장간을 베이스로 얼큰구수하게 조절하기. 마늘 넉넉하게 들어감 5. 오리탕 완성 후 전골냄비에 담은 다...
    Date2021.04.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4 Views5635 file
    Read More
  20. 얼큰 사태 수육 전골, 수육전골

    한우 사태도 넉넉하게 사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육으로 얼큰전골, 된장전골, 맑은전골을 만들었다. 사태를 푹 삶아서 사용했는데 양지를 사용해도 괜찮고 스지를 추가하면 더 좋다. 사용한 재료를 보면 사태가 600그램인데 사태는 600그램만 2시간동안 삶으면 효율이 좋지 않으니까 1.2키로 삶아서 반은 전골에 반은 장조림에 사용했다. 소고기 수육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5240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0774 사용한 재료는 사태 600그램 2시간 삶은 것 + 육수 대파 2대 마늘 1줌 육...
    Date2018.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43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