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2777.JPG 


오랜만에 함박스테이크를 만들었다. 레시피는 만들던 것과 거의 똑같다.

함박스테이크는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비율을 2:1로 하고 카라멜라이즈한 양파와 우유에 적신 빵, 계란, 버터, 넛맥 등을 넣어서 반죽하고 빚어서 냉동보관한 다음 필요할 때 냉장해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함박스테이크도 그렇고 함박까스도 그렇고 만들어보면 아 이거 힘든데 싶은데(특히 고기를 갈아서 하니까 더 그렇게 느껴진다.)

그래도 밥상 앞에서 보상받는 정도의 맛이 있으니까 효율이 중간은 된다고 봐야한다.

그리고 한 번 만들어 두면 다음에 몇 번 더 편하다는 면에서는 효율이 상위에 가깝다.




잡담시작

키친에이드 스탠드믹서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미트그라인더를 구매해서 고기를 갈아서 사용했다. 한우로 앞다리와 우둔, 목심, 구이용고기 남은 것을 근막을 최대한 제거해서 갈았고, 돼지고기는 삼겹살, 목살, 앞다리를 시험삼아 각각 갈아보고 골고루 사용했다.

미트그라인더 이야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30/73710


흠.. 기계는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 만들어진건데 왜 저는 편하지 않죠?!?!?!


고기를 다지는 것이 이렇게 아주 귀찮은 일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하는 것이 좋은 점도 있기는 하다.

먼저 좋은 부위의 고기를 근막이 없이 잘 손질한거라 먹다가 거슬리는 부분(근막 등으로 인한 부분)이 없다.

잘게 다지지 않았으니 씹히는 맛이 살아있는데 그와 동시에 각각의 입자가 곱지 않으니까 서로 단단히 붙어있지 않아서 한입 베어물면 단단하지 않고 부서진다.

한입 배어 물면 바로 부서지는데 먹다보면 씹히는 맛이 느껴지는 이중적인 맛이 매력적이다.


단점은 당연히 가장 큰 점이 손이 많이 가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굽다보면 좀 부서지는 경향이 있는 것인데 조심조심 다뤄서 부서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렇게 만들면 먹을 때 스푼으로 쪼개먹어도 충분한 정도이고 칼질이 필요없다.

잡담끝




사용한 재료는

함박스테이크 약 18~20개 분량으로 (개당 200그램)


소고기 2키로

돼지고기 1키로

양파 큰 것 4개 
버터 100그램


식빵 250그램
우유 200~250미리 (식빵이 너무 축축하지 않게 살짝 젖을 정도로 봐가면서 조절)


소금 고기의 1% = 30그램

후추 20그램

다진마늘 75그램

넛맥 약간 (약 4그램)

계란4개

계란노른자 4개



가장 먼저 양파는 최대한 잘게 썰어서 버터와 함게 볶았다.

센불에서 약불로 줄여가며 갈색이 나도록 카라멜라이즈한 다음 완전히 식혔다.


크기변환_IMG_2426.JPG     크기변환_IMG_2428.JPG 



빵은 잘게 뜯어서 우유를 조금씩 부어가며 적시고 우유가 조금 많을 때는 살짝 쥐어서 짜서 넣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1895.JPG



준비한 재료를 전부 넣고 잘 반죽했다.


8c19bcff0360e54a0bd73167718682c0_4.JPG     1fcd44fb88dc0f855546ee3aa06a8a4b_3.JPG 





다짐육으로 빚은 음식이 다 그렇듯이 구우면 고기가 수축하면서 가운데가 두툼해지기 때문에 

속까지 골고루 잘 익히기 위해서는 너무 두껍지 않게 빚고 가운데를 살짝 눌러서 빚는것이 좋다.


손에 기름을 바르고 하나씩 빚어서 랩으로 포장하고 냉동보관했다.


크기변환_IMG_2474.JPG     크기변환_IMG_2477.JPG 



--------------------------------------


열심히 만들었으니 이제 굽기 시작.




양배추 먼저 곱게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2769.JPG 



함박스테이크는 기름을 약간 두르고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고 약불로 줄여서 뚜껑을 닫고 중간에 한 두 번 뒤집었다.

중간에 바닥이 타기 전에 물을 몇스푼 뿌려서 팬 안에 증기를 채워서 속까지 구웠다.


72f872abedb82da4a152a8d090d197fa_3.JPG     67fdbef746e1d44dd3f3abf7f53ae922.JPG


겉은 다 익었다 싶어도 조금 덜 익었을 경우를 생각해서 반으로 갈라서 확인 하는 것도 좋다.

함박스테이크를 굽고 난 다음 밥상에 밥이나 양배추 등등을 준비하는 동안 뚜껑을 닫고 여열로 익도록 조금 두면 속까지 잘 익는다.




크기변환_DSC04759-.jpg 




크기변환_DSC04761-.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어서 함박스테이크를 조금 작고 얇게 빚어서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입혀서 튀겨낸 함박까스.


함박까스는 함박스테이크와 달리 중간에 갈라보고 확인하고나 다 익은 다음에 보고 더 익히는 것이 어렵다.

익히는 것이 조금 까다롭기 때문에  속까지 잘 익도록 하려면 애초에 함박스테이크의 반정도로 얇게 빚는 것이 좋다. 

튀기면서 2배 정도로 두꺼워지기 때문에 생각하는 것보다 조금 더 얇게 하면 결과물이 적당하게 완성된다.


겉만 타고 속은 덜 익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중약불에서 노릇노릇해지기 시작해서 연한색부터 시작해서 노릇노릇해지는 느낌이 들어야한다.

넣자마자 금방 색이 나면 속이 덜 익는다.



200그램씩 빚어두었던 함박스테이크는 다시 조금 더 작고 얇게 빚고 밀가루 - 계란 - 빵가루 순서로 입혔다.


함박에 밀가루를 묻힌 다음 탈탈 잘 털었다.

밀가루를 잘 털어야 계란물을 입히고 건지는 과정에서 계란물이 벗겨지는 곳이 없어서 빵가루가 꼼꼼하게 잘 붙는다.


크기변환_IMG_2751.JPG     크기변환_IMG_2755.JPG


빵가루를 묻힐 때에는 생각하는 것보다 넉넉한 양의 빵가루를 사용해서 듬뿍, 꾹꾹 눌러가면서 빈 곳이 보이지 않게 꼼꼼히 빵가루를 묻혀야 한다.


크기변환_IMG_2759.JPG     크기변환_IMG_2762.JPG


처음 튀김기름을 달구려고 불을 올렸다가 처음 넣은 튀김에서 튀김색이 잘 난다고 처음의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 다음회차부터는 금방 탈 수 있다.

튀기면서 온도조절을 하는데 기름이 적당히 달궈지면 불을 줄이고, 한 번 튀겨낸 다음에는 튀김기름 안의 빵가루를 건져내는 동안 불을 잠깐 끄고, 다시 불을 켰을 때는 처음보다는 불을 약간 줄여서 튀기면 적당하다.


튀김을 하고 나면 빵가루가 가라앉는데 한 번 건질 때마다 체로 남은 빵가루를 건지고 다음 것을 튀겨야 탄 빵가루가 다음 튀김에 묻지 않고 깨끗하다.

튀겨낸 함박까스는 기름을 탈탈 털고 식힘망 위에 올려두면 수분과 기름이 빠져나가서 바삭바삭하다.




크기변환_IMG_2768.JPG 



양배추를 곁들이고 함박까스에는 돈까스소스와 마요네즈를 뿌렸는데 소스가 내맘대로 예쁘게 잘 안나왔다. 네 소스님들 그러시든지요...


크기변환_IMG_2777.JPG 




크기변환_IMG_2780.JPG 




크기변환_IMG_2784.JPG


보드랍고 맛있는 함박스테이크에 겉은 바삭바삭한 까스. 소스도 잘 어울리고 간도 맞고 부족할 것이 없다.


아쉬운 점은 최초 만들 시에 만드는데는 종일인데 먹는 건 순식간이라는 것이고 좋은 점은 만드는 시간과 정성에 비춰봐도 모자라지 않게 맛있다는 것.


  • 레드지아 2019.01.18 09:21

    첫사진 보고 이상하다..함박스테이크인데 왜 돈까스 모양인걸까...했더니 함박까스여서 그런거였네요~ ^^

     

    저희집 식구들은 함박까스 해주면 로또 당첨된듯한 기분에 입 찢어질듯..ㅎㅎㅎ

     

    함박스테이크만 해야 한다는 선입견에 사로잡혀있었는데 (저는 항상 사로잡혀 있는게 많음 -_-;;)

    오올...신박한 아이디어세요!!!

     

    양파 캬라멜라이즈는 아우..시간 많고 정신적 여유가 많을때 한번 도전해보겠습니다!!! ^^

     

     

    세상에나!! 양배추 채써신게 제가 시모무라채칼로 채썬거보다 더 이뻐요!!!! +_+

  • 이윤정 2019.01.19 05:06

    저 사진 찍으면서 함박까스 기껏 튀겼더니 소스 얘네 참 사람 마음 몰라준다 싶었는데
    소스보다 돈까스모양을 먼저 봐주시니 제가 마음이 편해집니다ㅎㅎㅎㅎ
    사실 식구들이야 함박에 튀김이면 엄청 좋아하는데 만드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정도 좋아해주지 않으면 음식값? 떼인 것 같지 않겠습니까ㅎㅎㅎㅎ

    양파 카라멜라이즈는 제 생각에 팁이라면 팁인데 인덕션 사용하면 (인덕션이 여열을 오래 품고 있어서 그런지) 센불로 노릇노릇 갈색갈색하게 볶고 불을 끄고 뒀다가 - 완전히 식으면 다시 불을 켜고 - 뒤적뒤적하면서 센불 - 불끄고 가만히 두기 를 반복하면 좀 시간이 덜 걸려요. 그 외에는 산도변화를 통해 세포벽을 빨리 부순다든지 하는 방법도 있는데 해보니까 그냥 또 쌩으로 하는게 제일이지 싶기도 하더라고요.

    시모무라 채칼이 진짜 최곤데 관리를 잘 못해서 날이 나가는 바람에 억지로 칼로 썰었어요. 손목이 너무 피곤해서 역시 채칼이 최곱니다ㅎㅎㅎ

  • 콩잇 2019.01.18 16:36

    함박 스테이크 안 좋아하는데,, 이 사진 보니까 너무 먹고 싶어요,,

    함박까스는 생각도 못했는데,, 천재같아요 ㅠㅠ 아 먹구싶다....

     

  • 이윤정 2019.01.19 05:07
    함박스테이크도 만들어보고 멘치까스도 만들어보고 하다보면 함박까스도 만들버고고싶고 만들면 또 맛있고 그런 흐름인 것 같아요ㅎㅎㅎㅎㅎㅎ
    원래 사진은 가깝고 실제 만들고 일하는 건 멀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ㅠㅠㅠ
  • Balnim 2019.01.21 10:00

    함박스테이크로는 소고기 또는 소고기+돼지고기 로 하던데 돼지고기로만 안하는 이유가 있나요?

  • 이윤정 2019.01.22 03:06
    돼지고기로만은 안해봐서 잘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함박스테이크의 맛이 나지 않아서 아닐까요?
  • 뽁이 2019.01.30 09:21
    함박 !!! 어릴때 엄마랑 레스토랑가면
    동까스보다 비싼 ? 함박스테이크 먹었는데 ㅋㅋ
    부드러워서 그냥 포크로도 먹었던거 같아요

    양배추 저리 가늘게 어찌써나요 ㅋㅋ
    또 저런 칼이 있는지 저런 손이 있는지 ㅋㅋㅋㅋㅋ

    함박까스는 멘치까스랑은 또 다른건가봐요 !
    함박을 튀겼으니 어찌 맛없겟냐며 !!!
    쏘스님들이야 그러시든지 말든지 맛나게 잘 먹겟어요 ㅋㅋ
  • 이윤정 2019.02.01 04:06
    역시 떡잎?때부터 맛있는 것 드셔서 그런지 떡잎!때부터 귀여운 에피소드네요ㅎㅎㅎㅎ
    양배추는 칼이 써는 겁니다ㅎㅎㅎ 손은 칼이 아니잖아요ㅎㅎㅎㅎㅎㅎㅎㅎ

    고기 다진다고 진짜 고생했는데
    그 함박스테이크를 튀기고도 맛이 없으면 반성해봐야 하는 부분입니다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 고기 아스파라거스 백제육볶음 얼마 전 아스파라거스를 4키로 구매한 이후로 정말 열심히 소비했다. 며칠 간 아스파라거스로 손질에서부터 베이컨, 닭다리살, 새우의 조합을 올렸었다. 이번에는... 2 file 이윤정 2020.04.27 3432
111 고기 항정살수육, 레몬양파절임 항정살로 수육을 만들고 고기에 어울리는 여러가지 반찬을 준비했다. 미리 만들어 둔 무말랭이무침과 명이장아찌도 꺼내오고 레몬양파절임도 준비하고 상추무침도... 2 file 이윤정 2020.03.27 5243
110 고기 김치제육볶음, 김치두루치기 제육볶음 진짜 지겹게도 많이 올렸는데 라고 생각하고 찾아 보니 고기 부위별로도 여러가지 이고, 양념이 바특하면 토핑도 얹고, 촉촉하면 당면이니 국수니 사리... 2 file 이윤정 2020.03.11 7691
109 고기 통마늘구이를 곁들인 제육볶음 이번에는 제육볶음에 통마늘구이를 듬뿍 올렸다. 자꾸 음식에 통마늘구이를 올리는 것 같은데.. 통마늘구이를 여기저기 곁들이려고 일부러 농산물시장까지 가서 ... 4 file 이윤정 2020.01.31 4932
108 고기 촉촉한 제육볶음 + 옥수수국수사리 제육볶음을 하는 방법은 먼저 고기를 굽고 채소를 볶아서 수분을 날린 다음 양념을 넣고 무쳐서 한 번 더 볶아내는 것을 가장 자주 하는데 또 가끔 내킬 때는 고... 2 file 이윤정 2020.01.23 7302
107 고기 맛된장 제육볶음, 깻잎제육 맛된장을 사용한 제육볶음. 된장이 들어가면 맥적이라고는 하지만 전에 올린 맥적과 다르게 미리 만들어 둔 맛된장 활용해서 만들었다. 깻잎을 마지막에 듬뿍 올... 6 file 이윤정 2019.12.11 4419
106 고기 항정살수육 항정살 수육은 다른 돼지고기 부위에 비해서 난이도가 아주 낮다. 항정살은 고기가 얇으니까 그냥 팬에 중약불로 잘 굽거나, 오븐에 굽거나 해도 속까지 잘 익는... 4 file 이윤정 2019.11.15 12611
105 고기 백제육볶음 얼마전에 올리고 또 올리는 백제육볶음. 내용이 비슷하다. 불판에 고기굽고 채소를 함께 굽는 것과 비슷하지만 그래도 구운고기와 구운채소를 함께 볶아서 고기와... 9 file 이윤정 2019.11.05 5291
104 고기 갈매기살 양념구이 갈매기살 구이는 바로 앞에 올린 고추장양념구이, 갈비양념구이, 소금구이 등이 있는데 이번에는 고기 간을 간장과 맛소금 반반으로 한 구이양념이다. 갈비양념을... 8 file 이윤정 2019.10.27 8127
103 고기 갈매기살 고추장양념구이, 돼지고기고추장양념구이 지금 올리는 고추장양념구이는 전에 올린 고추장 바베큐 치킨 https://homecuisine.co.kr/hc10/74753 의 레시피외 대동소이하다. 주재료를 꼭 갈매기살로 할 필요... 8 file 이윤정 2019.10.22 11185
102 고기 뚝배기 불고기 만들기, 뚝불 레시피 먼저 이야기 하자면 뚝배기 불고기에는 미리 만들어 둔 불고기양념을 사용했다. 뚝배기불고기 불고기에 양념만 해서 간단하게 하면 되는데 무슨 과일에 채소 푹 ... 7 file 이윤정 2019.09.07 7061
101 고기 오향장육냉채 다시 돌아온 오향장육냉채. 올해도 덥기 시작해서 개시했다. 요즘 예전에 만들었던 걸 거의 똑같게 올리는 경우가 많다. 자주 만드는 품목은 엄청 자주 하지만 최... 2 file 이윤정 2019.06.21 4453
100 고기 하얀 제육볶음, 백제육볶음, 백제육, 돼지고기볶음 영등포에서 판다는 하얀 제육볶음 사진을 봤는데 먹어 본 적은 당연히 없고 맛도 모르지만 맛있어보여서 비슷하게 만들었다. 사진을 보니 돼지고기, 양파, 고추, ... 21 file 이윤정 2019.06.08 12495
99 고기 가브리살 제육볶음, 제육떡볶이 올 초에 항정살, 가브리살, 갈매기살로 많이도 이것저것 만들어봤다. 항정살과 가브리살로 제육볶음을 한 것은 벌써 올려놓고는 명이로 4월을 보내느라 미뤘다가 ... 7 file 이윤정 2019.05.31 5645
98 고기 제육볶음, 명이를 곁들인 명이제육 제육볶음에 깻잎을 올리면 깻잎제육이고 그런데 명이를 듬뿍 올려서 오늘은 명이제육이다. 여태 명이장아찌 다음에 올린 것이 다 그렇지만 이걸 하려고 명이를 살... 4 file 이윤정 2019.04.19 4476
97 고기 항정살, 가브리살, 갈매기살 수육 돼지고기의 구이용 특수부위인 항정살, 가브리살, 갈매기살. 삼겹살이나 앞다리를 썰지 않은 덩어리로 사보면 아주 커다란데 이 세가지 부위는 덩어리로 사도 손... 13 file 이윤정 2019.04.05 15765
96 고기 갈매기살 제육볶음 요즘 돼지고기 특수부위(항정살, 갈매기살, 가브리살(=등심덧살))로 제육볶음/ 찌개/ 수육을 각각 해보고 있는 과정 중 하나. 항정살/갈매기살/가브리살로 만든 ... 4 file 이윤정 2019.03.26 6303
95 고기 항정살 제육볶음 제육볶음은 고기가 도톰한 것보다는 얇은 것을 좋아해서 냉동대패목살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그 외에는 불고기용 목살이나 앞다리살을 사용하고 있다. 마... 6 file 이윤정 2019.02.17 18624
94 고기 차돌야채찜, 소고기야채찜 작년에 자주 먹던 차돌배추찜에 야채를 더 추가했다. 배추만 있어도 좋지만 적당한 채소를 추가해서 찌면 당연히 더 좋다. 찜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데 나는 좀 ... 8 file 이윤정 2019.01.27 19069
» 고기 함박스테이크, 함박까스, 멘치가츠 오랜만에 함박스테이크를 만들었다. 레시피는 만들던 것과 거의 똑같다. 함박스테이크는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비율을 2:1로 하고 카라멜라이즈한 양파와 우유에 ... 8 file 이윤정 2019.01.17 93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