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2777.JPG 


오랜만에 함박스테이크를 만들었다. 레시피는 만들던 것과 거의 똑같다.

함박스테이크는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비율을 2:1로 하고 카라멜라이즈한 양파와 우유에 적신 빵, 계란, 버터, 넛맥 등을 넣어서 반죽하고 빚어서 냉동보관한 다음 필요할 때 냉장해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함박스테이크도 그렇고 함박까스도 그렇고 만들어보면 아 이거 힘든데 싶은데(특히 고기를 갈아서 하니까 더 그렇게 느껴진다.)

그래도 밥상 앞에서 보상받는 정도의 맛이 있으니까 효율이 중간은 된다고 봐야한다.

그리고 한 번 만들어 두면 다음에 몇 번 더 편하다는 면에서는 효율이 상위에 가깝다.




잡담시작

키친에이드 스탠드믹서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미트그라인더를 구매해서 고기를 갈아서 사용했다. 한우로 앞다리와 우둔, 목심, 구이용고기 남은 것을 근막을 최대한 제거해서 갈았고, 돼지고기는 삼겹살, 목살, 앞다리를 시험삼아 각각 갈아보고 골고루 사용했다.

미트그라인더 이야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30/73710


흠.. 기계는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 만들어진건데 왜 저는 편하지 않죠?!?!?!


고기를 다지는 것이 이렇게 아주 귀찮은 일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하는 것이 좋은 점도 있기는 하다.

먼저 좋은 부위의 고기를 근막이 없이 잘 손질한거라 먹다가 거슬리는 부분(근막 등으로 인한 부분)이 없다.

잘게 다지지 않았으니 씹히는 맛이 살아있는데 그와 동시에 각각의 입자가 곱지 않으니까 서로 단단히 붙어있지 않아서 한입 베어물면 단단하지 않고 부서진다.

한입 배어 물면 바로 부서지는데 먹다보면 씹히는 맛이 느껴지는 이중적인 맛이 매력적이다.


단점은 당연히 가장 큰 점이 손이 많이 가는 것이고 다음으로는 굽다보면 좀 부서지는 경향이 있는 것인데 조심조심 다뤄서 부서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렇게 만들면 먹을 때 스푼으로 쪼개먹어도 충분한 정도이고 칼질이 필요없다.

잡담끝




사용한 재료는

함박스테이크 약 18~20개 분량으로 (개당 200그램)


소고기 2키로

돼지고기 1키로

양파 큰 것 4개 
버터 100그램


식빵 250그램
우유 200~250미리 (식빵이 너무 축축하지 않게 살짝 젖을 정도로 봐가면서 조절)


소금 고기의 1% = 30그램

후추 20그램

다진마늘 75그램

넛맥 약간 (약 4그램)

계란4개

계란노른자 4개



가장 먼저 양파는 최대한 잘게 썰어서 버터와 함게 볶았다.

센불에서 약불로 줄여가며 갈색이 나도록 카라멜라이즈한 다음 완전히 식혔다.


크기변환_IMG_2426.JPG     크기변환_IMG_2428.JPG 



빵은 잘게 뜯어서 우유를 조금씩 부어가며 적시고 우유가 조금 많을 때는 살짝 쥐어서 짜서 넣는 것이 좋다.


크기변환_DSC01895.JPG



준비한 재료를 전부 넣고 잘 반죽했다.


8c19bcff0360e54a0bd73167718682c0_4.JPG     1fcd44fb88dc0f855546ee3aa06a8a4b_3.JPG 





다짐육으로 빚은 음식이 다 그렇듯이 구우면 고기가 수축하면서 가운데가 두툼해지기 때문에 

속까지 골고루 잘 익히기 위해서는 너무 두껍지 않게 빚고 가운데를 살짝 눌러서 빚는것이 좋다.


손에 기름을 바르고 하나씩 빚어서 랩으로 포장하고 냉동보관했다.


크기변환_IMG_2474.JPG     크기변환_IMG_2477.JPG 



--------------------------------------


열심히 만들었으니 이제 굽기 시작.




양배추 먼저 곱게 썰어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IMG_2769.JPG 



함박스테이크는 기름을 약간 두르고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고 약불로 줄여서 뚜껑을 닫고 중간에 한 두 번 뒤집었다.

중간에 바닥이 타기 전에 물을 몇스푼 뿌려서 팬 안에 증기를 채워서 속까지 구웠다.


72f872abedb82da4a152a8d090d197fa_3.JPG     67fdbef746e1d44dd3f3abf7f53ae922.JPG


겉은 다 익었다 싶어도 조금 덜 익었을 경우를 생각해서 반으로 갈라서 확인 하는 것도 좋다.

함박스테이크를 굽고 난 다음 밥상에 밥이나 양배추 등등을 준비하는 동안 뚜껑을 닫고 여열로 익도록 조금 두면 속까지 잘 익는다.




크기변환_DSC04759-.jpg 




크기변환_DSC04761-.jp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어서 함박스테이크를 조금 작고 얇게 빚어서 밀가루, 계란, 빵가루를 입혀서 튀겨낸 함박까스.


함박까스는 함박스테이크와 달리 중간에 갈라보고 확인하고나 다 익은 다음에 보고 더 익히는 것이 어렵다.

익히는 것이 조금 까다롭기 때문에  속까지 잘 익도록 하려면 애초에 함박스테이크의 반정도로 얇게 빚는 것이 좋다. 

튀기면서 2배 정도로 두꺼워지기 때문에 생각하는 것보다 조금 더 얇게 하면 결과물이 적당하게 완성된다.


겉만 타고 속은 덜 익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중약불에서 노릇노릇해지기 시작해서 연한색부터 시작해서 노릇노릇해지는 느낌이 들어야한다.

넣자마자 금방 색이 나면 속이 덜 익는다.



200그램씩 빚어두었던 함박스테이크는 다시 조금 더 작고 얇게 빚고 밀가루 - 계란 - 빵가루 순서로 입혔다.


함박에 밀가루를 묻힌 다음 탈탈 잘 털었다.

밀가루를 잘 털어야 계란물을 입히고 건지는 과정에서 계란물이 벗겨지는 곳이 없어서 빵가루가 꼼꼼하게 잘 붙는다.


크기변환_IMG_2751.JPG     크기변환_IMG_2755.JPG


빵가루를 묻힐 때에는 생각하는 것보다 넉넉한 양의 빵가루를 사용해서 듬뿍, 꾹꾹 눌러가면서 빈 곳이 보이지 않게 꼼꼼히 빵가루를 묻혀야 한다.


크기변환_IMG_2759.JPG     크기변환_IMG_2762.JPG


처음 튀김기름을 달구려고 불을 올렸다가 처음 넣은 튀김에서 튀김색이 잘 난다고 처음의 온도를 그대로 유지하면 다음회차부터는 금방 탈 수 있다.

튀기면서 온도조절을 하는데 기름이 적당히 달궈지면 불을 줄이고, 한 번 튀겨낸 다음에는 튀김기름 안의 빵가루를 건져내는 동안 불을 잠깐 끄고, 다시 불을 켰을 때는 처음보다는 불을 약간 줄여서 튀기면 적당하다.


튀김을 하고 나면 빵가루가 가라앉는데 한 번 건질 때마다 체로 남은 빵가루를 건지고 다음 것을 튀겨야 탄 빵가루가 다음 튀김에 묻지 않고 깨끗하다.

튀겨낸 함박까스는 기름을 탈탈 털고 식힘망 위에 올려두면 수분과 기름이 빠져나가서 바삭바삭하다.




크기변환_IMG_2768.JPG 



양배추를 곁들이고 함박까스에는 돈까스소스와 마요네즈를 뿌렸는데 소스가 내맘대로 예쁘게 잘 안나왔다. 네 소스님들 그러시든지요...


크기변환_IMG_2777.JPG 




크기변환_IMG_2780.JPG 




크기변환_IMG_2784.JPG


보드랍고 맛있는 함박스테이크에 겉은 바삭바삭한 까스. 소스도 잘 어울리고 간도 맞고 부족할 것이 없다.


아쉬운 점은 최초 만들 시에 만드는데는 종일인데 먹는 건 순식간이라는 것이고 좋은 점은 만드는 시간과 정성에 비춰봐도 모자라지 않게 맛있다는 것.


  • 레드지아 2019.01.18 09:21

    첫사진 보고 이상하다..함박스테이크인데 왜 돈까스 모양인걸까...했더니 함박까스여서 그런거였네요~ ^^

     

    저희집 식구들은 함박까스 해주면 로또 당첨된듯한 기분에 입 찢어질듯..ㅎㅎㅎ

     

    함박스테이크만 해야 한다는 선입견에 사로잡혀있었는데 (저는 항상 사로잡혀 있는게 많음 -_-;;)

    오올...신박한 아이디어세요!!!

     

    양파 캬라멜라이즈는 아우..시간 많고 정신적 여유가 많을때 한번 도전해보겠습니다!!! ^^

     

     

    세상에나!! 양배추 채써신게 제가 시모무라채칼로 채썬거보다 더 이뻐요!!!! +_+

  • 이윤정 2019.01.19 05:06

    저 사진 찍으면서 함박까스 기껏 튀겼더니 소스 얘네 참 사람 마음 몰라준다 싶었는데
    소스보다 돈까스모양을 먼저 봐주시니 제가 마음이 편해집니다ㅎㅎㅎㅎ
    사실 식구들이야 함박에 튀김이면 엄청 좋아하는데 만드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정도 좋아해주지 않으면 음식값? 떼인 것 같지 않겠습니까ㅎㅎㅎㅎ

    양파 카라멜라이즈는 제 생각에 팁이라면 팁인데 인덕션 사용하면 (인덕션이 여열을 오래 품고 있어서 그런지) 센불로 노릇노릇 갈색갈색하게 볶고 불을 끄고 뒀다가 - 완전히 식으면 다시 불을 켜고 - 뒤적뒤적하면서 센불 - 불끄고 가만히 두기 를 반복하면 좀 시간이 덜 걸려요. 그 외에는 산도변화를 통해 세포벽을 빨리 부순다든지 하는 방법도 있는데 해보니까 그냥 또 쌩으로 하는게 제일이지 싶기도 하더라고요.

    시모무라 채칼이 진짜 최곤데 관리를 잘 못해서 날이 나가는 바람에 억지로 칼로 썰었어요. 손목이 너무 피곤해서 역시 채칼이 최곱니다ㅎㅎㅎ

  • 콩잇 2019.01.18 16:36

    함박 스테이크 안 좋아하는데,, 이 사진 보니까 너무 먹고 싶어요,,

    함박까스는 생각도 못했는데,, 천재같아요 ㅠㅠ 아 먹구싶다....

     

  • 이윤정 2019.01.19 05:07
    함박스테이크도 만들어보고 멘치까스도 만들어보고 하다보면 함박까스도 만들버고고싶고 만들면 또 맛있고 그런 흐름인 것 같아요ㅎㅎㅎㅎㅎㅎ
    원래 사진은 가깝고 실제 만들고 일하는 건 멀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ㅠㅠㅠ
  • Balnim 2019.01.21 10:00

    함박스테이크로는 소고기 또는 소고기+돼지고기 로 하던데 돼지고기로만 안하는 이유가 있나요?

  • 이윤정 2019.01.22 03:06
    돼지고기로만은 안해봐서 잘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함박스테이크의 맛이 나지 않아서 아닐까요?
  • 뽁이 2019.01.30 09:21
    함박 !!! 어릴때 엄마랑 레스토랑가면
    동까스보다 비싼 ? 함박스테이크 먹었는데 ㅋㅋ
    부드러워서 그냥 포크로도 먹었던거 같아요

    양배추 저리 가늘게 어찌써나요 ㅋㅋ
    또 저런 칼이 있는지 저런 손이 있는지 ㅋㅋㅋㅋㅋ

    함박까스는 멘치까스랑은 또 다른건가봐요 !
    함박을 튀겼으니 어찌 맛없겟냐며 !!!
    쏘스님들이야 그러시든지 말든지 맛나게 잘 먹겟어요 ㅋㅋ
  • 이윤정 2019.02.01 04:06
    역시 떡잎?때부터 맛있는 것 드셔서 그런지 떡잎!때부터 귀여운 에피소드네요ㅎㅎㅎㅎ
    양배추는 칼이 써는 겁니다ㅎㅎㅎ 손은 칼이 아니잖아요ㅎㅎㅎㅎㅎㅎㅎㅎ

    고기 다진다고 진짜 고생했는데
    그 함박스테이크를 튀기고도 맛이 없으면 반성해봐야 하는 부분입니다ㅎㅎ

  1. 오리소금구이

    마지막으로 오리소금구이 올린 것이 벌써 2015년이라니.. 그동안 자주 먹었는데 내용이 별로 다를 것이 없어서 올리지 않다가 오랜만에 업로드한다. 오리고기에 양념하고 부재료만 준비하면 되니까 간단하고, 고기에 볶음밥까지 해먹으면 당연히 맛있으니까 효율이 좋다. 후추는 갈아서 쓰는 후추말고 갈아져서 나온 오뚜기후추를 사용했고 다시다 대신에 맛선생 소고기맛을 사서 사용했다. 그거나 그거나 그게 그거지만... 사용한 재료는 약 2~3인분으로 오리 슬라이스 700그램 맛소금 0.5티스푼 다시다 0.5티스푼 다진마늘 2~3스푼 청양고추 7개 청...
    Date2017.07.19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4 Views7612 file
    Read More
  2. 파불고기, 쪽파를 듬뿍 얹은 따닥불고기, 바싹불고기, 떡갈비

    따닥불고기에 쪽파를 듬뿍 얹어서 만든 파불고기. 쪽파는 묽은 부침가루 반죽을 약간 부어서 따닥불고기에 붙혔다. 사용한 재료는 불고기용 소고기 200 불고기양념 2.5스푼 쪽파 듬뿍 부침가루 2스푼 물 2스푼 불고기양념은 https://homecuisine.co.kr/hc10/51790 이렇게 미리 만들어 둔 것을 사용했다. 링크에는 불고기 양념이 채소를 적당히 넣는 불고기 기준으로 100그램에 2스푼으로 되어 있는데 따닥불고기에는 채소를 넣지 않으니까 60~70%만 사용해서 간을 하면 짜지 않고 먹기 좋다. 고기는 다짐육을 사는 것보다 한우 암소 불고깃감을 준비...
    Date2017.09.24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4 Views7671 file
    Read More
  3. 닭도리탕 만들기, 레시피

    몇 년 동안 레시피 변화가 거의 없는 닭도리탕. 다음에 닭도리탕 양념을 대량으로 해보고 다른 양념장레시피와 비교도 하려고 무게계량을 함께 하고 고춧가루 고추장을 무게로 동량으로 맞췄다. 이번에는 액젓 대신에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했다. (액젓은 기본적으로 발효한 상태라 맛의 성분이 풍부하지만 액젓이나 피시소스를 각각 찍어서 맛보면 첫맛은 다 짜지만 맛을 보고 조금 뒤에 남는 맛의 차이가 크다. 향수의 잔향과도 같은 이 희미한 맛이 액젓을 넣고 가열해서 조리하는 음식에 작은 맛의 차이를 준다. 요즘 사용하는 친수 피시소스는 덜 ...
    Date2019.10.1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4 Views7672 file
    Read More
  4. 부대볶음

    시원하면서 밤낮으로 쌀쌀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밥상에 가스버너를 올려서 불을 켜고 끓여먹는 전골도 부담스럽지 않아서 부대볶음으로 스타트. 예전에 올린 글과 거의 같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그릴소세지 1~2개 라운드햄 약 100그램 김치 4잎 양배추 2줌 대파 1대 양파 반개 사골육수 1.5~2컵 냉동우동사리 (또는 여러가지 사리)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1스푼 생강파우더약간 후추약간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기도 하고, 냉장고...
    Date2018.10.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7693 file
    Read More
  5. 장어덮밥, 우나기동, 히츠마부시 실패하기

    장어덮밥인 히츠마부시. 사전적인 의미로 우나기 = 장어 동 = 덮밥 / 히츠 = 나무그릇 마부시 = 올려먹는다 이다. 그래서 밥+장어로 만든 덮밥은 우나기동이고 히츠마부시는 우나기동에 추가재료를 곁들여서 나고야스타일로 먹는 방식을 말한다. 4등분해서 1. 밥+장어 2. 밥+장어+쪽파 와사비 깻잎(시소) (생강) 김 - 덮밥 3. 2번의 상태+육수 - 오차즈케 4. 1 2 3중에 마음에 드는 걸로 한 번 더 이렇게 하면 하츠마부시라고 한다고 한다. 2번 상태를 좋아하니까 2번상태로 만든 장어덮밥. 하지만 제목은 히츠마부시 실패하기 (만들기X) 이다. 오랜...
    Date2020.04.19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7697 file
    Read More
  6.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 듬뿍에 무도 듬뿍 넣어서 자주 자주 끓이는 소고기뭇국. 홈페이지에는 가끔 올리는데 그냥 편하게 끓여서 자주 먹는다. 고기는 겉을 굽고 육수붓고 푹 끓이다가 무 넣고 고춧가루, 국간장, 마늘 넣고 대파넣고 고추기름 참기름 약간 넣어서, 재료 분량 크게 생각하지 않고 건더기 많게 간만 맞으면 무조건 맛있다.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칠맛이 나기 위해서 소고기가 많이 필요한데 (건더기가 많아지는데) 황태육수를 넉넉하게 ...
    Date2018.10.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7740 file
    Read More
  7. 오므라이스 만들기

    오랜만에 올리는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를 3리터씩 만들어 두고 오므라이스며 함박스테이크를 여전히 자주 해먹기는 한데 오믈렛 굽는 것이 아직도 조금 어렵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볶음밥으로 밥 2그릇 대파 2대 당근 3분의1개 다진마늘 1스푼 햄 150그램 버터 소금, 후추, 굴소스 약간씩 오믈렛으로 계란 8개, 생크림 8스푼, 소금약간 오므라이스소스 1인분에 1~1.5국자 물을 약간 적게 잡고 고슬고슬하게 지은 다음 종이호일에 밥을 널어 놓고 식혀두었다. 다 식고 나면 마르지 않게 다시 밥솥에 넣고 종이호일로 덮어두었다. 대파...
    Date2017.09.19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7 Views7774 file
    Read More
  8. 찐감자, 감자조림

    햇감자가 맛있는 계절. 엄마께 감자를 1박스 받아와서 베란다에 테이블에 박스를 깔아 펼쳐놓고 검은 천으로 덮어 말려두었다. 요즘 밥맛도 없고 밥하기도 귀찮고 감자 삶아서 끼니를 몇 번 때웠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감자는 크기가 너무 크지 않은 걸로, 최대한 크기가 비슷한 걸로 골라서 찌면 시간도 너무 많이 들지 않고 각각 비슷한 시간으로 속까지 골고루 잘 익는다. 크지 않은 것도 가스 켜는 시간이 길긴 하지만 그래도 너무 그나마 시간이 덜 걸리도록 크지 않은 걸로 골랐다. 깨끗하게 씻은 감자에 감자가 80%정도 점기도록 잠기지는 않...
    Date2016.07.2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7778 file
    Read More
  9. 짜장라볶이

    짜장라면으로 라볶이를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물 약 3.5컵 짜장 라면 1개 떡 2줌 오뎅 3장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설탕 1.5스푼 다진마늘 1스푼 양파 작은 것 1개 대파 1대 후추 약간 양파와 대파는 적당히 채썰어 두고 떡볶이떡은 떡집에서 사서 냉동한 것을 해동하고 오뎅도 적당히 썰어두었다. 냄비에 물을 붓고 짜장라면스프, 고추장, 고춧가루, 설탕, 다진마늘을 넣고 5분정도 끓여서 소스에 농도를 냈다. 라볶이소스에 양파와 대파를 넣고 조금 더 끓이다가 떡, 오뎅을 넣고 떡과 오뎅이 충분히 불도록 7분정도 익혔...
    Date2016.11.29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6 Views7807 file
    Read More
  10. 대파 치즈 계란말이

    대파 치즈 계란말이 계란말이는 늘 일상반찬을 모아놓은 게시글에 함께 올리곤 해서 따로 올린 적이 무려 2012년 일이었다. 그만큼 딱히 따로 올릴 내용이 없기 때문이기도 한데 계란말이 따로 올릴 일이 또 있겠나 싶어서 올려본다. 대파는 얇게 썰어서 그냥 넣기도 하고 맛살 등을 넣기도 하는데 이번에는 체다치즈와 모짜렐라치즈를 넣고 대파는 볶아서 넣을까 하다가 구워서 넣었다. 구운 대파의 맛이 좋기는 하지만 굳이 구울 필요까지는 없고, 대파를 계란물에 넣지 않고 계란말이의 속으로 넣을 경우에는 잘게 썰고 한 번 볶아서 넣는 것이 더...
    Date2015.09.10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7825 file
    Read More
  11. 비빔냉면, 냉면양념장

    2014/08/02 비빔냉면 냉면양념장 소고기 양지 250그램은 대파와 함께 1시간이상 약불에 삶았다. 건져내고 남은 육수는 150그램정도로 더 졸이고 식혀서 기름을 걷어냈다. 고기는 잘게 다졌다. 배 200그램, 양파 100그램, 마늘 30그램, 생강 10그램, 간장 200그램을 블렌더로 갈아두고 여기에 식힌 육수와 고운 고춧가루 100그램, 고춧가루 100그램, 물엿 150그램, 설탕 100그램 을 넣고 섞은 다음 다진 소고기를 넣고 섞었다. 여기에 실파, 참기름, 깨가 들어가야 하지만 이건 양념장을 면에 무치기 직전에 약간씩 넣으면 되니까 여기까지만 양념장을...
    Date2014.08.02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6 Views7837 file
    Read More
  12. 밥으로 만드는 전복죽

    쌀을 불리지 않고 밥으로 지어서 조금 편하게 전복죽을 만들었다. 전복, 쌀, 육수, 참기름, 국간장으로 재료가 아주 심플하다. 2~3인분으로 전복 6미 (약 450그램) 쌀 1.5컵으로 지은 밥 국간장 1스푼 참기름 약간 육수 800미리 (농도에 따라 추가, 먹기 직전에 필요시 반컵 추가) 전복은 1키로에 12~13미 정도 되는 사이즈로 구매해서 사용했다. 전복은 솔로 깨끗하게 씻은 다음 내장이 없는 쪽으로 작은 칼을 넣어서 숟가락이 들어가도록 칼집을 낸 다음 숟가락을 넣어 힘껏 껍질과 분리하고 내장이 터지지 않게 조심조심해서 살과 내장을 분리한 ...
    Date2018.08.30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2 Views7844 file
    Read More
  13. 갈비탕

    갈비탕 만들기 사용한 재료는 약 3인분으로 탕용 갈비 1키로 무 반개 대파 2대 마늘 1줌 다진마늘 0.5스푼 간은 국간장 2스푼 소금, 후추 계란 지단 (황백) 당면 대파 양념장으로 연겨자 1티스푼 간장1스푼 육수1스푼 식초 0.5스푼 설탕 0.3스푼 참기름 약간 다진마늘 약간 보통 갈비탕을 할 때 탕용 갈비는 갈비에 붙어있는 살이 너무 적어서 찜용 갈비로 하라거나, 잡뼈를 추가하라거나 양지를 넣으라거나 하는 조언이 많은데 국물 맛을 내기 위해 뼈가 더 필요하다면 살이 덜 붙은 탕용 갈비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고 고기를 조금 더 먹으려면 ...
    Date2015.02.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7846 file
    Read More
  14. 완자전, 소고기 동그랑땡

    2014/05/08 완자전, 소고기 동그랑땡 엄마께서 주신 불고기용 고기로 뭐 딱히 할 것이 생각나지 않아서 칼로 다져서 완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다져 두면 완자 외에도 파스타나 칠리에 쓰니 불고기 말고도 다양하게 해먹을 수 있어서 좋긴 한데 다지기가 영 귀찮았다. 완자전 반죽으로 표고버섯에 채워서 표고버섯전이나, 호박이나 양파에 채운 호박전이나 양파전, 고추에 채워서 고추전으로 할 수도 있고 여기에 팽이버섯을 넣어서 부쳐도 좋다. 나는 깻잎에 채운 전을 가장 좋아하긴 하는데 그건 또 돼지고기랑도 잘 어울리고 뭐 그렇다.. 사용한 재...
    Date2014.05.0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7880 file
    Read More
  15.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바지락 칼국수 만들기, 만드는법 그저께 올린 수제비에 사용하고 남은 반죽과 육수, 채소, 양념장을 사용해서 사용한 재료나 과정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 감자수제비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0&document_srl=28871 바지락이 들어가는 음식은 해감한 바지락을 미리 데쳐서 아래 가라앉는 모래나 뻘을 다 제거하는 편이라 바로 만들지는 않고 육수를 미리 내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사용했다. 수제비반죽은 약 4인분으로 찰밀가루 360그램 강력분 40그램 감자전분 100그램 소금은 1%로 5그램 물은 45%로 225그램 ...
    Date2015.10.24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Reply4 Views7881 file
    Read More
  16. 파김치

    파는 한겨울이 되면 끝부분이 시들고 여름에는 단맛이 부족해서 봄가을에 가장 맛있는데 그래도 파김치를 담기 가장 좋을 때는 파가 싸고 좋을 때.. 시장에 가서 굵지 않은 여리여리한 파가 있으면 사와서 담으면 절이지 않고 김치양념만 무쳐도 충분히 맛있다. 시장을 전부 한바퀴 돌아보고 대가 얇고 길이가 짧은 것을 파는 곳에서 사와서 파를 다듬고 손질하니 300그램정도 나왔다. 그래서 김치양념은 파 300그램 기준. 사용한 재료는 잔파 300그램 찹쌀풀로 황태육수 100미리 찹쌀가루 1스푼 양념으로 사과즙 50미리 고춧가루 0.5컵 멸치액젓 1.5...
    Date2016.10.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6 Views7903 file
    Read More
  17. 가자미전, 생선전

    (내용없음주의) 명절에 동태나 대구로 생선전을 많이 하고 홍메기살로도 하는데 나는 그 중에서도 달고기나 가자미전을 가장 좋아한다.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이렇게 생긴 걸 구매했다. 뼈가 하나도 없어서 먹기 좋다. 생선뼈를 극히 싫어하는 남편도 잘 먹는다. 사용한 재료는 가자미살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 식용유 적당량 1필렛씩 든 가자미살은 냉장실에서 10시간정도 해동한 다음 키친타올로 겉면에 묻은 물기를 가볍게 톡톡 닦았다. 소금과 후추로 살짝 간해서 밀가루 옷을 입히고 계란물을 입혀서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노릇하게 지져냈다...
    Date2016.09.03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7 Views7919 file
    Read More
  18.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계란국, 명란젓 주먹밥, 유부초밥 명란젓 주먹밥을 만들어서 계란국과 함께 먹었다. 먼저 계란국. 사용한 재료는 황태육수 4컵 국간장 1스푼 소금 약간 (간보고) 대파 반대 계란 2개 계랸의 양이 많으면 바닥에 깔려 뭉치는 것을 저어주거나 뭉친 것을 나눠줘야 하는데 그러면 원하는 질감이 나오지 않아서 계란은 약간 적다싶게 넣었다. 부추를 약간 넣는 것도 좋다. 먼저 늘 올리는 멸치황태육수. 황태, 멸치, 무, 대파, 표고, 다시마를 적당히 준비해서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에 1시간정도 우려두었다가 불을 켜고 물이 끓기...
    Date2016.01.24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7928 file
    Read More
  19. LA갈비, 갈비구이, 갈비구이양념, 갈비덮밥

    이론적으로는 고기에 양념장이 속까지 충분히 스며든다는 전제하에, 조리과정 중 양념장이 팬에 많이 딸려들어가 졸여져서 고기에 배이도록 하는 경우는 제외하고. 고기를 재우는 양념장의 염도에 따라 고기가 짜게 될 수는 있어도 양념장의 염도가 일정하다면 양념장의 양이 아무리 많다고 해서 고기가 짜지지는 않는다. 내가 바닷물에 1주일 잠겨 있든지 1년을 잠겨 있든지 내 근육에 스며든 소금물의 짠 정도는 같다고 하면 아 좀 그런가..? 어쨌든 그렇고, 물론 양념장이 고기에 비해 적다면 간이 적게 들긴 하지만.. 결론적으로 최상은 많은 경...
    Date2013.07.31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7929 file
    Read More
  20.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2014/04/16 소갈비찜, 갈비찜 만드는 법, 명절음식 부산에서 나고 자란데다가 어머니께서도 동래토박이라 친정에서는 명절에 해산물은 즐겨 했어도 육고기는 그렇게 신경쓰지 않으셔서 어릴 적 부터 명절에 해산물 산적이나 고기(부산에서는 생선을 고기라고 합니다..)는 많았어도 갈비찜 같은 고기요리를 접하지 않았는데, 시댁 역시 부산인데도 시댁에서는 명절에 고기(생선)에 해산물 산적도 하시면서 회나 갈비를 더 하셔서 어머님께서 명절마다 늘 갈비찜을 하셨고 그게 참 맛있었다. 어머님 갈비찜을 결혼 전 부터 먹어와서 이제 명절마다 먹은...
    Date2014.04.16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0 Views7952 file
    Read More
  21. 함박스테이크, 함박까스, 멘치가츠

    오랜만에 함박스테이크를 만들었다. 레시피는 만들던 것과 거의 똑같다. 함박스테이크는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비율을 2:1로 하고 카라멜라이즈한 양파와 우유에 적신 빵, 계란, 버터, 넛맥 등을 넣어서 반죽하고 빚어서 냉동보관한 다음 필요할 때 냉장해동해서 사용하고 있다. 함박스테이크도 그렇고 함박까스도 그렇고 만들어보면 아 이거 힘든데 싶은데(특히 고기를 갈아서 하니까 더 그렇게 느껴진다.) 그래도 밥상 앞에서 보상받는 정도의 맛이 있으니까 효율이 중간은 된다고 봐야한다. 그리고 한 번 만들어 두면 다음에 몇 번 더 편하다는 면...
    Date2019.01.17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8 Views7958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