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2073.JPG 


2021년 8월 업데이트 https://homecuisine.co.kr/hc10/104322





맛있는 고기에 소금, 후추로 간을 살짝하고 밀가루를 얇게 입혀서 계란물 뭍혀 금방 구워내는거라 간단하고 맛있다.


근막이 없거나 적고 구워먹었을 때도 맛있는 고기로 육전을 부치면 적당하다. 

등심, 안심, 채끝도 당연히 좋고 구이용 고기인 살치살, 부채살, 치마살, 등심덧살, 토시살, 안창살, 제비추리 등 다 좋다.

다만 마블링이 잘게 많이 들어간 구이용고기나 기름이 많은 부위인 업진살이나 차돌박이, 갈비살, 꽃갈비 등은 별로 어울리지 않는 편이다.


저렴한 부위로는 꾸리살, 보섭살, 홍두깨살, 설깃머리, 근막없는 앞다리와 목심. 이와 같은 부위로 근막을 제거하고 불고깃감 수준으로 아주 얇게 써는 등의 손질을 하면 육전으로 만들기에 가성비가 좋았다.

국거리인 양지, 사태, 설깃살, 앞다리와 목심(근막이 있는 부위) 등은 푹 끓여 만드는 음식에 적합하며 육전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비싼 부위와 저렴한 부위의 가격차이가 세배정도 되니까 좋아하면서도 먹기 좋은 부위로 잘 선택하면 적합하다.



소고기를 덩어리로 구매했을 경우에는 썰어야 하니까 냉을 준다고 하는데 30분~1시간정도 냉동해야 육전에 어울리는 두께로 썰기 편하다.

계절이나 부위에 따라 냉동실 온도에 따라 덩어리 크기에 따라 냉동보관하는 시간이 조금 다른데

봄가을 기준으로 기름이 많거나 조직이 부드러운 부위는 2시간정도 / 단단한 부위는 30분정도 

여름에는 조금 더, 겨울에는 조금 덜, 고기 덩어리가 두꺼우면 조금 더, 고기 덩어리가 크지 않으면 조금 덜 하면 적당하다.


이번에는 꾸리살을 얇게 썰었는데 겨울이고, 단단한 고기라서 고기를 냉동하지 않고 냉장했던 상태로 썰어서 육전을 만들었다.

파무침과 상추무침, 부추무침을 각각 곁들여봤는데 내 취향에는 상추무침이 가장 좋았다.

이번에는 대파의 흰부분만 채썰어서 무친 파무침을 곁들였다.

상추무침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2400



이야기가 길었는데 이제 본론.

사용한 재료는


육전으로

꾸리살 400그램

소금, 후추

밀가루 적당량

계란 3개

식용유 적당량


대파무침으로

대파 흰 부분 2대 (큰 것)

고춧가루 약간

식초1스푼 + 설탕 1스푼

간장 약간

참기름 약간



먼저 대파무침에 양념으로 식초에 설탕을 넣고 잘 녹여두었다.

먼저 대파는 심을 제외한 부분만 갈라서 어슷하게 놓고 얇게 채썰었다.

찬물에 5분정도 담가서 매운맛을 줄이고 물기를 바짝 털고 닦은 다음 고춧가루를 약간 넣고 까부르듯이 무친 다음

여기에 설탕+식초, 간장약간, 참기름 약간을 넣고 가볍게 무쳐냈다.


크기변환_IMG_6989.JPG    크기변환_IMG_2029.JPG


크기변환_IMG_2031.JPG    크기변환_IMG_2037.JPG 


크기변환_IMG_2057.JPG





고기는 겉면의 근막을 손질하고 최대한 정성껏 썰어서 종이호일에 하나씩 놓았다.


크기변환_IMG_2048.JPG 



소고기는 소금, 후추를 약간 뿌리는데 후추는 정말 아주 약간만 뿌리고 소금은 평소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뿌리는 정도로 간을 살짝 하면 적당하다.

소금, 후추는 소금통, 후추통 그대로 바로 탈탈 뿌리기보다는 손에 조금 붓고 다른 손으로 조미료 뿌리듯이 솔솔 뿌리면 간이 딱이다.


크기변환_IMG_2051.JPG 


크기변환_IMG_6731.JPG

(살치살은 약간 냉동했다가 이렇게 썰었다.)





계란은 소금을 약간만 뿌리고 잘 저어서 준비했다.


썰어 둔 고기에 밀가루(없으면 부침가루)를 살짝 묻혀서 탈탈 털고 계란물에 담갔다가 바로 팬에 올렸다.


크기변환_IMG_2064.JPG




팬에 기름을 두르고 약간 센불로 팬을 달군 다음 중불로 줄이고 계란물이 타지는 않을 정도로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얼른 익히면 완성.


크기변환_IMG_2066.JPG





크기변환_IMG_2081.JPG




크기변환_IMG_2073.JPG 




크기변환_IMG_2078.JPG


평소에 소고기를 바짝 익혀먹지 않는다면 계란 위로 올라온 육즙이 약간 있어도 신경쓰지 않고 먹는 것도 괜찮다.

한 번 부쳐내면 일단 불을 끄고 접시에 담아서 채소를 곁들여 하나씩 먹고 다시 부쳤다.

1회 부치고 팬을 닦고 다음판을 부쳐야 육전이 깔끔하다.


보드라운 소고기에 계란물이 포근하니 잘 익어서 촉촉하니 맛있고 간도 딱 맞고 아주 맛있다.




  • 레드지아 2019.01.16 16:20

    [1회 부치고 팬을 닦고 다음판을 부쳐야 육전이 깔끔하다.] -> 뜨끔!!! 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뭐가 되었건 그 요리가 끝나기 전엔 팬을 잘 안닦는 1인이라 ㅠㅠ

     

    파채썰어진 모양이 너무나 가지런하고 이뻐서 설마...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칼질의 달인 윤정님이 직접 채써신 대파!!!!!!!!!!!! +_+

     

     

    고기는 항상 맛있는데 맛있는 고기를 달걀물 입혀 전을 만들었으니 더더더더 맛이 업그레이드 되겠네요!!!

    하지만 고기마저도 손으로 썰으셨다니...ㅠ

    고진교 신도는 고개 떨구고 정육점으로 갑니다....

  • 이윤정 2019.01.17 04:46
    제가 성격이 까탈스러워서 괜히 잔소리가 많았죠^^;;; 그냥 그러려니 해주세요ㅎㅎㅎ ㅠㅠ

    레드지아님은 너무 좋게만 봐주셔서 매번 제가 몸 둘 바를 모르겠어요ㅎㅎㅎㅎ
    칼질이야 칼이 잘들면 칼이 알아서 하는 거잖아요ㅎㅎㅎ
    그런데 요즘엔 손 베이는 게 무서워서 칼이 좀 시원찮아도 그냥 버티는데 그러다보면 한번씩 칼이 잘들었었으면 다칠 뻔 했던 걸 안 다치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러면 칼이 시원찮아도 막 정신승리하는거죠ㅎㅎㅎㅎㅎ

    그나저나 고진교 누가 만든 말인지 정말 찰떡같아서 넘 좋아요ㅎㅎㅎㅎㅎㅎ
  • 콩잇 2019.01.18 16:37

    아.. 한점만.,.. 막걸리랑..먹고싶어요.....

  • 이윤정 2019.01.19 05:10
    크 막걸리.. 찌짐부치면서 막걸리 먹으면 신경쓰여서 안되겠고.. 저야 제가 하지만 누가 해주면 더 달게 먹겠습니다ㅎㅎㅎㅎ
  • 뽁이 2019.01.29 06:32
    맛있는 고기 ! 로 만드는게 중요하군요 ㅋㅋㅋ
    계란옷에는 또 무슨 마법이 있는건지
    두부도 고기도 (남은 김밥도 ?) 다 맛나지는거 같아요
    파를 곁들여야 들 느끼하죠 ㅋㅋㅋ
    저리 얇게 고기를 써는 칼이 따로 있는걸까요
    아님 그런 손이 ? 따로 있는건가요 !!!
  • 이윤정 2019.01.30 03:10
    고기계?에서 고기가 맛있다 하믄 그냥 다 된거니까요ㅎㅎㅎㅎㅎ
    뽁이님 말씀 들어보니 정말! 두부도 고기도 김밥도 계란옷만 입으면 폭신폭신하니 푹 안기고 싶은 게 중급마법은 넘은 듯 합니다ㅎㅎㅎㅎ

    고기는 칼만 잘 들면 알아서 얇게 썰리는걸요ㅎㅎㅎ 그런 손보다는 그런 칼이 있는 게 맞는 걸로 아룁니다ㅎㅎㅎㅎ

  1. 깻잎제육, 제육볶음

    평소 만만하게 자주 만드는 제육볶음에 패턴에 세 가지 정도 된다. 셋 다 접시에 수분이 흥건하지 않도록 하는데, 1양념에 수분이 적도록 양념을 미리 만들어두었거나, 2고기를 따로 굽고 소스와 합해서 수분을 줄이거나, 3고기에 바로 양념을 해서 수분이 생기면 당면사리를 약간 넣어서 수분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1. (미리 만들어야 하는 양념이 있음) 미리 만든 불고기양념+고운고춧가루+제육볶음용 고기 https://homecuisine.co.kr/hc10/64560 2. 고기를 미리 구워둔 다음 제육양념은 살짝만 졸이고 양념에 고기를 넣어서 한 번 볶음 https://ho...
    Date2018.12.26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4 Views6839 file
    Read More
  2. 달고기 생선까스 + 타르타르소스

    오랜만에 생선까스. 뽀얀 달고기살로 생선까스를 만들면 기분도 뽀얗게 좋아진다. 여름에는 생선살 사기가 좋지 않아서 눈으로만 보고 넘기다가 겨울이 되어서 마음에 드는 달고기살을 샀다. (네이버 농라카페 삼천포수산에서 구매, 12월 구매 기준 700그램 11000원 배송비별도) 달고기 john dory 는 흰살생선으로 하얗고 보드라운 질감이라 생선전, 생선튀김 등에 잘 어울린다. 서양음식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한 재료는 달고기살 350그램 소금 약간 밀가루 적당량 계란 2개 (작으면 3개) 빵가루 넉넉하게 - 생각보다 더 튀김기름 타르타르소...
    Date2018.12.2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5 Views8271 file
    Read More
  3. 고추장소스 육회

    육회는 늘 간장소스로 먹다가 작년에 처음으로 육회를 무치고 남은 양념에 참기름과 고추장을 넣고 잘 풀어서 고추장소스를 육회에 곁들였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고추장 선호도가 높았다. 육회에 고추장을 왜 먹냐던 우리 아버지도, 육회에 고추장이라니 처음 먹어본다던 친구도 곁들여놓은 고추장소스에 자꾸 손이 간다고. 그래서 먹기 편하게 아예 같이 버무리니 그것도 다들 좋아해서 그 이후로는 고추장을 넣어서 만들고 있다. 생선회만큼은 아니라도 육회도 신선도가 중요하니까 고기에 신경을 많이 쓰는 것이 좋다. 고기만 좋으면 양념은 대충...
    Date2018.12.21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6 Views10074 file
    Read More
  4. 우렁쌈된장, 강된장

    강된장보더 더 뻑뻑하게, 쌈채소와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쌈된장. 여기에 육수를 좀 더 부으면 비벼먹기 좋은 강된장이 된다. 쌈채소와도 좋고 심심한 배추찜이나 데친 호박잎, 양배추찜과 함께 먹어도 잘 어울린다. 주재료와 된장양념, 두부(선택)를 준비하고, 쌀도 씻고 양배추도 씻어서 겹겹이 풀어서 김 오른 찜통에 찌고, 양배추는 너무 뜨겁지 않게 한 김 식히고, 밥은 전기압력밥솥에 돌리고, 그러는 동안 미리 준비한 재료로 쌈된장을 끓이고 졸여내면 금방이다. 주재료는 우렁을 사용했는데 소고기나 버섯을 사용해도 좋다. 두부없이 주재료+...
    Date2018.12.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4803 file
    Read More
  5. 간단 소고기 된장전골

    지난번에 올린 사태 스지 된장전골의 간단버전이다. 소고기된장찌개에 가깝기는 한데 된장전골과 거의 같은 재료로 만들어서 제목이 된장전골이다. 된장전골은 사태나 스지를 아주아주 푹 끓이고 사골국도 따로 끓여서 함께 사용하면 가장 좋은데 구이용 고기 + 시판 사골육수로도 그 맛을 얼추 비슷하게 낼 수 있다. (비비고 사골곰탕 사용) 원래대로 스지와 육수가 가장 좋지만 쉽게 만든 것도 맛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편하고 맛있다. 사골육수 대신 멸치육수를 사용해봤는데 그것도 물론 맛이 있기는 하지만 스지전골로 유명한 왔다식당에 가까운 ...
    Date2018.12.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7482 file
    Read More
  6. 순대볶이

    떡볶이소스는 미리 만들어 두었을 때 순대와 대파만으로 10분만에 만드는 순대볶이. 만들다가 떡볶이소스가 모자라면 중간에 추가하기도 하고 순대도 혼자 먹을 때, 둘이 먹을 때, 순대가 애매하게 남았을 때 등등 만들어서 분량은 따로 없다. 떡볶이소스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181 순대는 적당히 썰어서 기름을 약간 두른 팬에 앞뒤로 굽고 접시로 옮겨 둔 다음 팬에 떡볶이소스 + 대파 송송 썰어서 듬뿍 + 물(떡볶이소스보다 약간 적게) 넣고 끓여서 농도가 생기도록 끓이고 여기에 구워 둔 순대를 넣고 적당히 졸였다. 간 보...
    Date2018.12.13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2 Views4372 file
    Read More
  7. 꽈리고추 오뎅볶음

    마트나 시장에서 만난 꽈리고추가 비싸지 않으면서 단단하고 꼿꼿하니 좋아보이면 일단 사고 그 다음에 뭘 만들지 생각한다. 꽈리고추는 전에 올린 대패삼겹살에도 좋고 오뎅볶음에도 당연히 맛있다. 우리집에 꽈리고추를 사용하는 음식은 대충 볶으면 되는 편한 반찬인데 꽈리고추 다듬는 일이 조금 귀찮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꽈리고추 다듬는 것만 하고 나면 나머지는 간단하다. 사용한 재료는 꽈리고추 2천원치 대충 두세줌 오뎅 6장 양파, 대파 적당량 미림이나 청주 1~2스푼 간장 1~1.5스푼 설탕이나 물엿 약간 물 약간(필요시) 후추, 참기름, ...
    Date2018.12.06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7 Views4649 file
    Read More
  8. 스지수육, 스지사태수육

    스지와 사태를 푹 삶아서 겨자간장에 찍어 먹기만 하면 되는 스지수육. 고기와 스지를 삶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한데 그 외에는 별로 할일이 없어서 일요일쯤 느긋하게 삶아서 월요일 저녁에 먹기 좋다 싶은 메뉴이다. 전에 올린 사태수육처럼 배추를 깔아서 만드는 것도 좋은데 이번에는 사상에 있는 한우스지집 스타일로 만들었다. 여기 특징이 있다면 1. 양파를 깔고 2. 고기와 스지를 올리고 3. 간장으로 간을 한 육수를 자작하게 붓고 4. 대파 넉넉하게 깨 약간 5. 양념장은 초간장+청양고추 마지막으로 뚝배기 접시에 담아서 먹다가 식으...
    Date2018.12.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9961 file
    Read More
  9. 지금 야식. 소떡소떡 아니고 스떡스떡.

    요즘 계속 잠을 잘 못자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밥을 불규칙적으로 먹어서 이왕 불규칙적인 김에 새벽 두 시에 야식도 한 접시 갖고 왔다. 야식을 자주 먹기는 해도 귀찮으니까 어지간해서는 불켜서 조리하는 건 안하는 편인데 오늘은 떡과 스팸을 구웠다. 소스는 시판소스를 사용했다. 집에 떡볶이소스가 있어서 떡꼬치소스를 만드는 게 쉽기는 하지만 조금이라도 귀찮은 건 하기 싫은 상태였다.. 소스를 만드는 소떡소떡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323 어제 스팸 캔을 뜯어서 다 안먹고 조금 남겨두었고 누들떡볶이떡은 그저껜가 떡...
    Date2018.11.30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4826 file
    Read More
  10. 깻잎무침, 양념깻잎

    대충 만들어서 소중하게 여기며 먹는 깻잎무침. 양념간장이 필요하면 일부러 넉넉하게 만들어서 남은 양념간장으로 만드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어릴 때부터도 좋아했고 지금도 혼자 집에서 밥 먹을 때는 밥에 깻잎무침만 있어도 한끼 잘 먹는다. 전복밥, 무밥, 콩나물밥 등을 해먹으면서 일부러 양념장을 좀 넉넉하게 만들었다. (양념간장에 넣는 참기름, 깨는 갓 넣어야 좋으니까 양념간장에 미리 넣지 않았다. 전복밥에는 양념간장을 전복밥에 얹은 다음 참기름, 깨를 넣었고 / 깻잎무침에는 깻잎을 무치기 직전에 양념장에 참기름만 약간 넣었다....
    Date2018.11.2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5350 file
    Read More
  11. 곱창전골 만들기, 레시피

    다들 좋아하는 곱창전골이 있기 마련인데 내가 좋아하는 양곱창집의 곱창전골 스타일로 만들고 있다. 곱창구이는 자갈지 영진양곱창의 특양을 좋아하고 곱창전골은 대정양곱창을 좋아한다. 여기는 곱창전골에 소곱창이 아닌 소대창과 특양이 들어가는데, 고소한 맛은 특양보다는 대창에서 나온다. 구이는 특양을 좋아하지만 곱창전골에는 대창을 좋아해서 한우 대창만으로 곱창전골을 만들었다. 기름이 조금 과하긴 하지만 가끔 먹기는 좋다. 소곱창을 사용할 경우에는 깨끗하게 손질한 곱창을 끝을 묶고 끓는 물에 된장, 생강, 청주 등을 넣고 소곱...
    Date2018.11.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9615 file
    Read More
  12. 사태 스지 된장전골

    구수한 된장에 소고기를 듬뿍 넣어 만드는 전골. 재료를 보면 찌개와 크게 다를 바 없나 싶지만 어쨌든 전골로 만들었다. 국물이나 채소는 스지전골로 유명한 영도 왔다식당 스타일인데 고기와 스지를 넉넉하게 넣어서 만들었다. 국물이 소고기로 고소하게 기름지고 양파로 살짝 단맛이 돌면서 청양고추로 칼칼하게 하는 포인트이다. 스지와 고기는 초간장+연겨자 양념장에 찍어먹고 채소와 두부를 적당히 건져먹다가 라면사리를 삶아서 넣어서 마무리하면 좋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스지 100그램 (삶은 후 무게) 사태 200그램 (삶은 후 무게) ...
    Date2018.11.2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7685 file
    Read More
  13. 김장아찌

    김에 간장물을 부어서 재었다가 먹는 김장아찌. 여러가지 김을 사용해봤는데 거의 풀리는 경우가 많고 김밥용 김을 사용하면 김이 풀리지 않는다. 보통 김장아찌에는 간장에 여러 재료를 넣어서 끓인 달임장을 넣는데 진하게 우려낸 육수에 간장을 넣어서 끓이는 방법으로 달임장을 만들었다. 육수는 황태 표고 양파 대파 마늘 다시마 마른고추 후추를 넣고 끓인 다음 육수재료를 건져내고 색이 충분하다 싶을 정도로 더 끓여서 평소 육수보다 조금 더 진하게 우려내서 사용했다. 간은 맨입에 먹어도 별로 짜지 않은 정도로, 밥에는 두세장 올려도 괜...
    Date2018.11.19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4873 file
    Read More
  14. 길거리 토스트, 햄치즈 토스트

    (별 내용 없음) 한 번 꽃히면 그 이후로 한달은 주말마다 먹어줘야 하는 길거리토스트. 요즘 우리동네에 토스트 하나에 3천원으로 사먹기 은근 비싸서 잘 안사먹게 된다. 빵+계란부침의 기본 토스트에 햄과 치즈를 더했다. 1개당 버터 빵 2개 계란 1~1.5개 양배추 반줌 대파 약간 체다치즈 1장 햄 (식빵크기) 1장 허니머스타드 케찹 설탕 양배추는 너무 많이 넣으면 속까지 알 안익으니까 좀 부족하다 싶게 넣는 것이 적당하다. 체다치즈는 서울우유 체다치즈(80%), 햄은 의성마늘햄 골드를 사용했다. 3개를 한번에 만들었는데 팬 2개로 한 명은 빵 ...
    Date2018.11.11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6 Views5785 file
    Read More
  15. 라면전골

    작년에 이어서 올해도 라면전골. 전골이긴 하니까 여러 재료를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긴 하지만 전골 중에서도 가장 쉬우면서도 효율이 좋아서 겨울에 해먹기 만만하다. 그냥 라면에 추가토핑을 넉넉하게 준비하고 라면 면을 마지막에 넣는 그런 느낌인데 편하게 생각할수록 효율이 좋다. 편하면서도 맛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럴 만 도 한 게 라면이 원래 맛있는거니까? 이번에는 샤브샤브용 소고기 대신 대패삼겹살을 사용했는데 취향에 따라 고기를 선택하면 적당하다. 삼겹살은 기름이 있으니까 소량만 넣기 적합하면서 식감이 부드럽고 소고기...
    Date2018.11.08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39958 file
    Read More
  16. 전복볶음밥, 전복 새우 XO볶음밥

    식혀서 냉장보관한 전복밥에, 전복, 새우, XO소스를 넣어서 볶음밥을 만들었다. 전복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1702 사용한 재료는 전복밥 2인분 계란 3개 새우 약 20마리 대파 1대 당근 4센치 고추기름 2~3스푼 XO소스 1.5스푼 굴소스 약간 소금, 후추 약간 (간보고) 참기름 약간 1. 채소준비 2. 계란 스크램블 3. 전복, 새우볶기 4. 대파, 당근 볶기 5. 밥 넣고 볶기 6. 미리 볶은 재료 넣기, 모자란 간 약간 대파는 가늘게 송송 썰어서 풀어두고 당근은 잘게 썰고 쪽파도 잘게 썰어두었다. 계란은 잘 풀어서 미리 잘게 스크램...
    Date2018.11.06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6 Views5773 file
    Read More
  17. 꽈리고추 대패삼겹살볶음

    꽈리고추를 다듬어서 대패삼겹살, 양파, 대파를 양념과 함께 볶아 짭조름하니 집어 먹기 좋은 꽈리고추 대패삼겹살볶음. 고추잡채와도 비슷한 맛이 나니까 꽃빵을 곁들여서 먹어도 좋고 밥상에 메인반찬으로도 좋다. 사용한 재료는 꽈리고추 약 50개 대패삼겹 약 400그램 고추기름 2~3스푼 양파 1개 대파 1대 다진마늘 1스푼 간장 1스푼 청주 1스푼 후추약간 설탕 0.5티스푼 굴소스 0.7스푼 노두유 1티스푼 참기름 약간 간보고 부족하면 소금 약간 고추기름은 생략해도 되지만 사용하면 더 좋다. https://homecuisine.co.kr/hc20/66924 노두유는 노추...
    Date2018.11.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8 Views10249 file
    Read More
  18. 간단 오징어 초무침

    갑오징어 데치고 무채, 깻잎과 초장으로 대충대충 오징어초무침. 정성껏 공들여 만든 게 아니라 횟집 반찬으로 대충 나오는 스타일인데 무채를 곱게 채썰고 깻잎만 딱 넣은 게 맛있었어서 이번에는 이렇게 만들었다. 미나리나 쪽파, 얇게 채 썬 배, 양파 등 좋아하는 채소를 더 추가하면 좋다. 사용한 재료는 갑오징어 작은 것 4마리, 무 2센치, 깻잎 몇 장 고추장 1.5스푼, 사과식초, 설탕 각 1스푼, 간장, 다진마늘, 참기름 0.5스푼, 깨약간 초장을 조금 뻑뻑하게 하려면 고운고춧가루를 반스푼 더 넣고, 약간 촉촉하게 하려면 사이다나 물을 반스...
    Date2018.10.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4679 file
    Read More
  19. 꼬막비빔밥, 꼬막손질하기

    티비에 나와서 유명한 꼬막비빔밥. 꼬막을 아주 좋아하지만 손질하기가 번거로워서 작년 한해는 안먹고 지나갔는데 올해는 더 땡겨서 꼬막을 사왔다. 손질해서 양념장에 무쳐서 꼬막무침만 먹다가 꼬막비빔밥은 처음 해봤다. 양념장은 평소와 거의 같기는 한데 꼬막무침 + 양념장에 비빈 밥이 한 그릇에 많이 담긴 모습도 아주 보기 좋고 당연히 맛있기도 하다. ■■■■■■■■■부터가 레시피. 먼저 꼬막손질하기. 꼬막은 해감이 필요하면 1시간만 소금물 담가 덮어놓으면 적당하다. 나는 해감을 재차 했다는 곳에서 구매해서 따로 해감은 하지 않았는데 하...
    Date2018.10.28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11 Views9516 file
    Read More
  20. 촉촉 제육볶음, 두루치기 + 당면사리

    몇 년 전까지는 제육볶음에 우동사리도 넣고 당면사리도 넣다가 요즘 와서는 수분이 없는 바특한 제육볶음을 자주 해먹었다. 그러다가 오랜만에 엄마께서 당면 넣어 해주신 것을 보니 이런 스타일도 좋아서 예전처럼 몇 번 해먹고 있다. (고기를 미리 구워서 수분이 남지 않고 바특한 버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8879 ) 대패목살이나 대패삼겹살로 만든 제육볶음에 양파와 대파를 적당히 넣고 당면 약간으로 촉촉하고 먹기 좋게 익혔다. 청양고추로 알싸하게 마무리했다.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 사용) 대패목살 500그램 설탕 2...
    Date2018.10.23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7 Views7334 file
    Read More
  21. 경상도식 소고기뭇국

    소고기 듬뿍에 무도 듬뿍 넣어서 자주 자주 끓이는 소고기뭇국. 홈페이지에는 가끔 올리는데 그냥 편하게 끓여서 자주 먹는다. 고기는 겉을 굽고 육수붓고 푹 끓이다가 무 넣고 고춧가루, 국간장, 마늘 넣고 대파넣고 고추기름 참기름 약간 넣어서, 재료 분량 크게 생각하지 않고 건더기 많게 간만 맞으면 무조건 맛있다. 제목은 경상도식 소고기뭇국인데 우리집에서는 그냥 이게 디폴트 소고기뭇국이다. 소고기국에 소고기로만 국을 끓이면 국물에 적당한 감칠맛이 나기 위해서 소고기가 많이 필요한데 (건더기가 많아지는데) 황태육수를 넉넉하게 ...
    Date2018.10.2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8524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