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조회 수 6209 추천 수 0 댓글 4



크기변환_IMG_1230.JPG



구수한 된장에 소고기를 듬뿍 넣어 만드는 전골. 재료를 보면 찌개와 크게 다를 바 없나 싶지만 어쨌든 전골로 만들었다.

국물이나 채소는 스지전골로 유명한 영도 왔다식당 스타일인데 고기와 스지를 넉넉하게 넣어서 만들었다. 


국물이 소고기로 고소하게 기름지고 양파로 살짝 단맛이 돌면서 청양고추로 칼칼하게 하는 포인트이다.

스지와 고기는 초간장+연겨자 양념장에 찍어먹고 채소와 두부를 적당히 건져먹다가 라면사리를 삶아서 넣어서 마무리하면 좋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스지 100그램 (삶은 후 무게)

사태 200그램 (삶은 후 무게)


사골육수+사태육수 600미리

집된장 1스푼

시판된장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후추 약간


대파 흰부분 1대 (얇으면 2대)

양파 중간 것 반개 (작으면 1개)

청양고추 6개

애호박 반개

두부 1모

라면사리 1개 (필요하면 육수추가)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샘표 백일된장, 해찬들 명품집된장)

사태육수는 사태를 삶고 난 육수를 사용했는데 물이 많지 않도록 끓여서 육수 농도가 진하도록 해서 사용했고,

사골육수는 집에 사골국 끓인 것이 있으면 가장 좋지만 대체재로 비비고 사골곰탕도 괜찮다.

멸치나 황태 등의 육수를 사용해봤는데 별로 어울리지 않았다.


채소는 취향대로 배추나 버섯을 더 추가해도 좋고, 

채소나 사리의 양을 더 많이 잡을 때는 조금 싱거울 수 있으니까 간을 보고 국간장을 반스푼정도 추가하면 좋다.




스지와 사태는 넉넉하게 삶아서 보관했다가 필요한만큼 사용했다.

스지 삶는 법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72423


스지는 삶아서 냉동했다 사용하면 적당한데 사태가 남았을 경우에는

소고기 수육 - https://homecuisine.co.kr/hc10/65240

소고기 메추리알 - https://homecuisine.co.kr/hc10/70774

얼큰 사태전골 - https://homecuisine.co.kr/hc10/71639



사태는 찬물에 넣고 센불로 끓이다가 거품을 걷어낸 다음 불을 줄여 1.7~2시간정도 푹 삶고 뚜껑을 닫고 불을 꺼서 여열로 완전히 식을 때까지 익혔다.

푹 삶은 고기를 잘라 봤을 때 힘줄이 쫀득쫀득하게 잘 익었으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6254.JPG    크기변환_IMG_7018.JPG 


육수는 따로 그릇에 담고 고기는 다 식으면 랩으로 포장해서 냉장실에 넣고 다음날 사용했다.

고기와 육수를 함께 담아서 냉장하면 육수가 젤라틴에 의해서 묵처럼 굳을 경우 사태를 따로 분리해서 썰기 불편하다.



그래서 다음날. 사태와 스지는 얇게 썰어서 마르지 않게 덮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1201.JPG 




청양고추는 먹지 않고 건져낼 거라서 큼직큼직하게 썰고 애호박, 양파, 대파는 먹기 좋게 적당히 썰어두었다.

(청양고추 씨앗의 색이 좋으면 그대로 사용하고 검어졌으면 털어냈다.)


크기변환_IMG_1206.JPG 




사골육수+사태육수에 집된장, 시판된장, 다진마늘, 고춧가루, 후추를 넣고 한 번 팔팔 끓인 다음 두부를 넣고 끓으면 불을 껐다.


크기변환_IMG_1203.JPG     크기변환_IMG_1205.JPG


크기변환_IMG_1207.JPG 


이제 전골냄비를 밥상으로 옮겨서 채소와 고기, 스지를 넣고 따끈따끈하게 끓여 먹을 일만 남았다.



두부를 넣어서 끓여 온 상태라 채소와 고기를 넣으면 금방 익는다.


크기변환_IMG_1209.JPG 




준비한 채소를 넣고


크기변환_IMG_1211.JPG 





고기도 위에 잘 올리고..


크기변환_IMG_1230.JPG




스지와 고기가 부드럽고 채소도 먹기 좋도록 보글보글 잘 끓으면


크기변환_IMG_1238.JPG





크기변환_IMG_1251.JPG 




좋아하는 것부터 적당히 건져서 겨자간장을 곁들여 먹었다.

겨자간장은 간장, 식초, 물을 1:1:1로 넣고 설탕과 연겨자를 약간 풀어서 준비했다.

두부나 스지는 젓가락으로 집어서 간장에 찍어먹기 불편하니까 개인접시에 담아서 겨자간장은 티스푼으로 약간식 떠서 개인접시에 뿌려 먹으면 편하다.


크기변환_IMG_1249.JPG



말랑말랑 쫜득쫜득한 스지에 사태도 맛있고 채소나 두부도 맛있는데 그 와중에 살짝 달달하면서 고소하게 기름진 된장전골 국물도 아주 좋다.




크기변환_IMG_1258.JPG



사리까지 삶아서 맛있게 먹으면 집안도 따끈따끈하고 기분도 따끈따끈하니 좋다.



스지된장전골이 유명하니까 일단 번거로워도 굳이 스지를 삶아서 된장전골로 만들어서 맛을 정리?한 다음,

다음부터는 사태로만, 혹은 그보다 더 편하게 샤브샤브용, 차돌박이, 자투리로 남은 구이용으로도 된장전골을 해먹었다.

역시 된장에는 고소하게 기름진 소고기가 잘 어울린다는 것이 전반적인 감상이다.

요즘 맛있게 잘 먹고 있다.





  • 레드지아 2018.11.26 13:42

    아! 스지된장전골 이라는 요리가 유명한거군요!! 저 처음 들어봤어요!!

    매일 가던 음식점들만 가니 이거야 원... ^^

     

    그렇다면 스지와 사태부터 사놓는걸로 시작해야겠어요

     

    그럼요.그럼요. 된장찌개엔 무조건 소고기가 들어가야 합법적인거 아니겠습니까!!

    국가공인인증 된장찌개=소고기 들어간 것 이어야만 합니다 ^^

     

    제가 먹지 않아도 요리에 고기가 들어간것이라면 참으로 축복받은 음식이라 아니할수 없습니다 ㅋㅋㅋㅋ

  • 이윤정 2018.11.26 20:31
    제 주변에서만 소소하게 유명해요ㅎㅎㅎㅎ 찻잔 속의 태풍정도ㅎㅎㅎㅎ
    저도 매번 가는데만 다녀서 새로운 데를 좀 다녀보고 먹어보고 해야할텐데
    막상 밥먹으러 어디가지 하다보면 또 가는 곳만 가게 되더라고요.

    스지 따로 좋아하시는 거 아니면 편하게 해드셔요ㅎㅎㅎㅎㅎ
    스지하고 사태 넣는 버전말고 구이용 남은 버전으로 끓인 것도 곧 올릴 예정이긴 해요 ㅎㅎㅎ

    역시 된장에는 소기름이 자글자글하면 너무 구수하고 그렇죠^^
    저는 된장에는 꽃게 아니면 소고기가 최고에요ㅎㅎ
  • 뽁이 2018.12.16 08:12

    세상에 .... 차돌도 아니고
    사태랑 스지를 된찌에 넣어서 드시는 집이
    우리나라에 얼마나 될까요 !!! ㅋㅋㅋㅋㅋ
    아닌가 ... 저희집 빼고 다 이렇게 드시나요 ㅋㅋㅋ
    진짜 국물이 다를거 같아요
    된찌인데 막 몸보신 되는 그런 느낌 들고 막

  • 이윤정 2018.12.17 03:37
    사태는 쫀득쫀득한 맛이 있는 점이 차돌박이와 다르긴 하지만 편하게 하자면 차돌박이도 엄청 잘 어울리잖아요ㅎㅎㅎㅎ
    된장국물은 사실 사태육수와 골육수가 다 하는거고 쫀닥쫀닥한 스지나 사태는 기분이 좋아지는 면이 더 큰가 싶기도 해요^^
    저는 여름에는 그저 찬 것만 먹고 싶고 몸보신은 겨울에 하는걸로 하기로 했어요ㅎㅎㅎㅎ

  1. 만두전골 만들기, 만드는법

    얼마전 빚은 만두로 만두전골을 만들었다. 만두 - https://homecuisine.co.kr/hc10/31391 먼두를 냉동상태로 바로 국물에 넣고 오래 끓이면 속과 분리가 되니까 만두 전골에 사용할 만두는 전날 냉장실에 옮겨두어서 완전히 해동했다. 사용한 재료는 만두 약 12개 떡 1~2줌 배추 몇 잎 대파 1대 팽이버섯 표고버섯 두부 반모 멸치황태육수 약 1.3리터 양념장으로 다진마늘 1.5스푼 고운고춧가루 1스푼 고춧가루 1스푼 고추장 0.5스푼 국간장 2~3스푼 소금 약간 후추 약간 소스로 간장 2스푼 물 2스푼 식초 2스푼 설탕 1티스푼 청양고추 1개 마늘 1개 ...
    Date2015.12.1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6758 file
    Read More
  2. 부대찌개

    23일~26일 연휴 동안은 평소에도 자주 만드는 라자냐와 오므라이스 정도 만들고 평소 잘 안먹던 우럭구이, 문어숙회 정도를 집에서 먹었다. 나머지 끼니는 전부 사먹었는데 선지전골에 갈치구이도 맛있었고 만두 맛집도 다녀왔다. 그 중에 베트남음식을 맛있게 먹고 와서 어떻게 만들까 고민하고 있다. 친구한테 홍콩제니쿠키를 선물 받아서 지금 먹고 있는데 좀 기분 좋다ㅎㅎ 올리는 글은 계속 이어지는 겨울찌개, 전골. 이제 다른 것도 좀 찾아먹어야겠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사골곰탕 350그램 1팩 멸치황태육수 2컵 (필요시 조금 더 추가) ...
    Date2017.12.2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6236 file
    Read More
  3. 사태 스지 된장전골

    구수한 된장에 소고기를 듬뿍 넣어 만드는 전골. 재료를 보면 찌개와 크게 다를 바 없나 싶지만 어쨌든 전골로 만들었다. 국물이나 채소는 스지전골로 유명한 영도 왔다식당 스타일인데 고기와 스지를 넉넉하게 넣어서 만들었다. 국물이 소고기로 고소하게 기름지고 양파로 살짝 단맛이 돌면서 청양고추로 칼칼하게 하는 포인트이다. 스지와 고기는 초간장+연겨자 양념장에 찍어먹고 채소와 두부를 적당히 건져먹다가 라면사리를 삶아서 넣어서 마무리하면 좋다. 사용한 재료는 2인분으로 스지 100그램 (삶은 후 무게) 사태 200그램 (삶은 후 무게) ...
    Date2018.11.2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6209 file
    Read More
  4. 감자탕, 레시피

    오랜만에 감자탕을 만들었다. 전에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등뼈 1.2키로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정육점에서 등뼈 2키로를 샀다. 이전에 만든 것이 비해 주재료인 등뼈의 양은 1.7배인데 양념이나 간은 1.3배정도로 조절했다. 보통 레시피를 참고할 때 레시피의 주재료 양과 내가 가진 주재료의 양이 다르면 곱하거나 나눠서 내가 가진 재료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주재료가 2배라고 나머지재료가 모두 2배로 할 때 실패하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국물요리 같은 경우 (장아찌 등도 포함) 재료가 2배면 양념은 1.5배면 적당할 때가 많다. ...
    Date2019.12.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6063 file
    Read More
  5. 간단 소고기 된장전골

    지난번에 올린 사태 스지 된장전골의 간단버전이다. 소고기된장찌개에 가깝기는 한데 된장전골과 거의 같은 재료로 만들어서 제목이 된장전골이다. 된장전골은 사태나 스지를 아주아주 푹 끓이고 사골국도 따로 끓여서 함께 사용하면 가장 좋은데 구이용 고기 + 시판 사골육수로도 그 맛을 얼추 비슷하게 낼 수 있다. (비비고 사골곰탕 사용) 원래대로 스지와 육수가 가장 좋지만 쉽게 만든 것도 맛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편하고 맛있다. 사골육수 대신 멸치육수를 사용해봤는데 그것도 물론 맛이 있기는 하지만 스지전골로 유명한 왔다식당에 가까운 ...
    Date2018.12.1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6016 file
    Read More
  6. No Image

    차돌박이 부대찌개

    차돌박이를 넣은 부대찌개. 약간 슴슴하게 시작해서 끓이고 먹으면서 사리와 함께 졸아들면 간이 딱 맞도록 만들었다. 보통 부대찌개에 소고기민찌가 들어가는데 민찌 대신 한우차돌박이를 한 줌 사용했다. 육수는 편하게 레토르트로 나온 사골곰탕과 늘 우려두는 멸치황태육수를 반반 섞어서 사용하고 사리는 납작당면, 라면사리를 넣었는데 취향에 따라 떡, 마카로니, 물만두, 팽이버섯 등을 취향에 맞게 추가하면 적당하다. 나는 납작감자당면을 엄청 좋아해서 납작당면 많이 넣는 것이 가장 좋았다. 베이크드빈스는 보통은 넣는 것이 맞는데 베이...
    Date2016.07.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5976
    Read More
  7. 맑은 알탕, 알탕지리

    알탕은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과는 달리 재료 자체에서 육수가 덜 나오기 때문에 육수를 우려서 넣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알탕 뿐만이 아니라 생선으로 만드는 매운탕도 주재료가 서더리든 우럭이든 대구든 꽃게든 해물탕이든 국물이 맛있으려면 육수를 사용해야 더 맛있다. 바지락이나 홍합 등 조개로 육수를 내어도 좋고 황태나 멸치육수도 좋다. 평소 자주 다니는 횟집에 매운탕이나 생선지리를 주문하면 꼭 대파를 구워서 탕에 넣어서 나오길래 요즘에는 대파를 구워서 만든다. 들은 바로는 꼭 조개다시다와 민물새우를 사용한다고 하...
    Date2019.10.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917 file
    Read More
  8. 얼큰 사태 수육 전골, 수육전골

    한우 사태도 넉넉하게 사뒀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수육으로 얼큰전골, 된장전골, 맑은전골을 만들었다. 사태를 푹 삶아서 사용했는데 양지를 사용해도 괜찮고 스지를 추가하면 더 좋다. 사용한 재료를 보면 사태가 600그램인데 사태는 600그램만 2시간동안 삶으면 효율이 좋지 않으니까 1.2키로 삶아서 반은 전골에 반은 장조림에 사용했다. 소고기 수육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65240 소고기 메추리알 장조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70774 사용한 재료는 사태 600그램 2시간 삶은 것 + 육수 대파 2대 마늘 1줌 육...
    Date2018.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43 file
    Read More
  9.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넣기 or 통오리 그대로 삶기 or 토막내서 삶기) 2. 들깨 사용 (물에 들깨넣고 믹서로 갈아서 만든 들깨즙을 체에 거르기 or 거피들깻가루 사용하기 + 들깨즙에 캐슈넛 갈아서 같이 넣어도 좋음) 3. 토란대나 머위대 사용 (우거지, 고구마줄기, 고사리, 죽순, 표고버섯도 좋음) 4. 된장간을 베이스로 얼큰구수하게 조절하기. 마늘 넉넉하게 들어감 5. 오리탕 완성 후 전골냄비에 담은 다...
    Date2021.04.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4 Views5638 file
    Read More
  10. 라면전골, 마라탕면으로 마라전골

    날씨가 추워지면 전골의 계절이 돌아오는데 그 때 묻어서 함께오는 라면전골. 1년마다 올리는데 내가 해먹는 횟수와는 상관없이 없고 요즘처럼 쌀쌀해지는 쿨타임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올린다. 좋아하는 라면이면 다 좋지만 그 중에서도 맛이 좀 찐한 라면을 주로 사용했었고 이번에는 마라탕면을 사용했다. 마라탕면이 나온지는 꽤 되었는데 컵라면을 먹어보니 이건 라면전골각이다 생각했다. 그 생각을 했을 때는 아주 더울 때였는데 추워지자마자 라면을 사와서 해먹고 있다. 다른이야기로.. 훠궈/마라탕소스의 위생에 대해 의구심이 가는 일이...
    Date2019.1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5605 file
    Read More
  11. 낙곱새, 낙지볶음, 레시피, 만들기

    겨울이면 밥상에서 불을 켜고 해먹는 음식을 자주 만드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좋아하는 것이 낙곱새이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을 대량으로 만들어두었다가 사용한다. 전골다대기는 1달 넘게 보관할 것이면 냉동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구구절절 낙곱새 이야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재료 (2~3인분) 양파 1개 대파 흰대 2~3대 낙지 300그램 (손질 후) 대창 100그램 새우 150그램 (해동 후) 낙곱새양념 200그램 사골육수 300~400미리 (300 먼저 넣고 필요하면 조절) ...
    Date2021.01.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5573 file
    Read More
  12. 부대찌개 레시피, 양념, 재료

    (잡담주의, 레시피는 잡담 아래.) 부대찌개의 핵심은 부대찌개에 보통 넣는 햄이라고들 한다. 보통은 가공식품 함량에 고기가 적어야 제 맛이라는 음식이 별로 없는데, 유독 부대찌개는 예외로 치는 것 같다. 가공식품 자체의 퀄리티보다는 전부터 부대찌개에 써 온 재료를 고집하며 원래 부대찌개의 맛은 이렇다고 하는데 내가 무뎌서 그런지 원래가 뭔지 잘 모르겠다. 이름이 부대라서 그런가? 이는 전통적인 음식이 아니고 비교적 최근에 생겨서 새로운 포맷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원론주의자가 강세인 것이 특징인데, 현대적으로 제창된 제사같...
    Date2020.04.0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7 Views4866 file
    Read More
  13. 사태 곱창전골, 레시피, 만들기

    곱창전골+소고기사태전골 버전이다. 사태 전골은 고기도 듬뿍이고 맛있는데 덜 기름진 면이 아쉽고 곱창전골은 곱창을 좀 줄여도 되겠고 대신에 고기를 추가하면 좋겠고 하는 의견을 수렴해서 상호보완했다. 국물은 곱창전골 스타일의 얼큰한 버전으로 하고 채소는 좋아하는 걸로 조합했다. 사태를 삶는데 시간이 꽤 걸리는 것이 번거로운데 사태 대신 샤브샤브용 고기를 사용해서 만들면 더 간편하다. 곱창은 사용하지 않고 대창만 사용했다. 한우대창을 넉넉하게 구매해서 씻고 100그램씩 소분하고 래핑해서 냉동해두었다가 곱창전골, 낙곱새, 곱창...
    Date2019.12.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390 file
    Read More
  14. 대패삼겹배추찜

    배추가 제철인 요즘, 재료도 단촐하고 만들기도 간편하고 맛도 좋은 대패삼겹살 알배추찜. 재료 (2인분) 알배추 1통 (800그램) 대파 흰부분 2대 대패삼겹살 700~800그램 물 2스푼, 피시소스 1.5스푼 유자폰즈 5스푼, 연겨자 약간 찍먹소스는 간장, 식초, 설탕, 유자청, 물을 넣어도 되는데 시판 소스를 사서 사용했다. (미츠칸 아지폰 소스) 고기는 대패목살이나 차돌박이도 좋고, 전골에 생강이나 부추, 쪽파를 더 곁들여도 좋다. 소스에 다진마늘을 약간 넣어도 좋음. 알배추는 씻어서 물기를 닦고 송송 썰고, 대파도 반으로 갈라서 어슷 썰고, 대...
    Date2022.11.2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4255 file
    Read More
  15. 꽃게알탕, 서더리매운탕

    알탕을 하려다가 육수에 명란만 있으면 국물이 좀 심심할 것 같아서 꽃게를 넣어 꽃게알탕을 했다. 사용한 채소는 무, 대파, 청양고추 뿐이다. 명란을 가장 먼저 사두고 냉동 꽃게 해동하고 장도 안보고 있다가 집에 당장 있는 채소인 무, 대파, 청양고추만 사용했는데 미리 채소를 준비할 여유가 있을 때는 팽이버섯, 방아잎, 깻잎, 미나리, 쑥갓 중에 취향에 맞는 채소를 골라 다양하게 준비하면 더 좋다. 생선과 달리 꽃게와 명란에는 기름이 없기 때문에 고추기름 약간을 넣으면 더 맛있고 산초나 제피를 약간 넣는 것도 좋아한다. 육수를 내기 ...
    Date2019.04.29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4165 file
    Read More
  16. 감자탕

    맛있게 만드는 법 2014/06/15 감자탕 냉동 돼지등뼈는 집에 없으면 늘 있어야 할 것 같고 있으면 하기 귀찮고.. 그래서 늘 냉동실에 두고만 있었는데 본격적인 여름이 되기 전에 한 번은 해먹고 넘어가야겠다 싶어서 조금 덥긴 하지만 일단 등뼈를 해동하기 시작했다. 냉장실에서 이틀정도 해동한 등뼈로 감자탕 만들기 시작. 등뼈를 고으는 것 자체는 별로 힘들지 않은데 고기 손질하고 데치는게 귀찮아서 그렇다. 그것만 지나고 나면 귀찮을 것도 없구만.. 싶다. 그리고 냉동실에 김치 담을 때 남은 배추 겉대를 삶아 놓은 우거지가 있어서 편하게 ...
    Date2014.06.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4150 file
    Read More
  17. 부대볶음

    부대찌개보다 훨씬 더 자주 만드는 부대볶음. 부대찌개에 들어가는 재료를 끓이지 않고 볶아서 만든다. 레시피는 맨날 똑같다. 평소 좋아하는 햄이나 소세지를 사용하고 채소도 듬뿍 넣은 다음 양념장 넣고 볶다가 사골육수는 약간 모자란듯이 부어 짜글짜글하게 완성해서 적당히 먹다가 사리도 듬뿍 넣고 볶음밥으로 마무리하면 완벽하다.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3줌 대파 흰부분 1대 양파 반개 김치 3~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소세지 2~3개 (햄과 소세지는 최대한 여러종류로 합해서 500~600그램) 양념으로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
    Date2021.01.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4044 file
    Read More
  18. 부대볶음 만들기

    매년 돌아오는 부대볶음. 내용도 결론도 똑같은 걸 너무 자주 올릴 수는 없으니까 최대한 자제해서 1년에 1회 정도만 올리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2~3인분으로 양배추 2줌 대파 1대 양파 반개 김치 4잎 베이컨 150그램 스팸 작은것 반캔 그릴소세지 1~2개 비엔나소세지 한줌 라운드햄 약 100그램 (최대한 여러종류) 양념으로 (계량스푼사용) 고운고춧가루 2스푼 고추장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2스푼 청주 1스푼 생강약간 후추약간 사골육수 약 300미리 (필요시 400까지) 면사리 1인분 김치는 잘 익은 김치를 사용하기도 하고, 냉장고에 미리 볶아...
    Date2019.09.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1 Views3871 file
    Read More
  19. 맛된장 대패대파전골

    맛된장, 대파, 대패목살로 만든 맛된장 대패전골. 예전에 일본방송을 올린 글에서 보고 만든 대패삼겹 된장구이 https://homecuisine.co.kr/hc20/24653 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내 식대로 만들었다. 먼저 필요한 것은 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청양고추 80그램 (약 20개) 다진마늘 120그램 다진대파 120그램 (흰부분 5~8대) 시판된장 100그램 집된장 100그램 고추장 100그램 고춧가루 50그램 670그램 / 5등분 각 2~3인분 집된장이 없으면 대두, 소금, 주정, 종국 정도로 최소한의 재료가 들어간 시판 된장을 사용하면 적당하다. ...
    Date2019.10.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9 Views3748 file
    Read More
  20. 사태 된장전골, 전골이야기

    올 겨울에는 편하게(혹은 안편하게도) 전골을 많이 했다. 요즘 집에서 밥을 덜 먹으면서 음식을 만드는 폭은 요즘 좁아졌지만 그래도 음식을 준비하고 생각하는 시간에는 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한다. 그래서 전골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베이스로 1. 얼큰 (진하게/시원하게) 2. 얼큰자박 3. 기본된장 4. 맛된장(된장자박) 5. 간장이나 맑은 로 나누어서 양념을 만들고 어울리는 주재료와 육수의 종류와 양을 설정하고(추가재료에 따라 양념장+육수상태로 따로 덜어놓기도하고), 그에 어울리는 채소를 고르면 무조건 맛있다. 주재료로 소고기(차...
    Date2019.02.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6 Views3732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