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3565.JPG




겨울 내도록 감자가 너무 비싸서 거의 사지 않다가 햇감자가 나와서 한박스 샀다.


한박스를 사면 보관이 중요한데, 감자는 어두운 곳에서 7~10도의 온도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싹이 트거나 부패하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전분의 일부가 당으로 분해된다.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습기를 흡수하는 포장지로 감싸 냉장보관했다가 실온에 하루이틀 두어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감자는 보통 전분과 단백질의 햠량에 따라 단백질 함량이 높은 점질감자(왁시포테이토)와 전분 함량이 높은 분질감자(밀리포테이토)로 나눈다.(전분의 햠량뿐만 아니라 구성도 다르다)


왁시포테이토는 익혔을 때 이웃한 세포들 사이의 응집력이 좋으며 단단하고 치밀하고 촉촉한 식감을 갖게되며 (그라탱이나 감자샐러드에 적합)

밀리포테이토는 익히면 세포가 부풀고 흩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섬세하고 건조하고 폭신폭신한 질감이 만들어진다. (오븐구이나 매시포테이토에 적합)

(음식과 요리 참조)


점질감자는 전분의 향량이 낮아서 익혔을 때 잘 부서지지 않고 식은 다음에는 다소 단단한 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으깼을 때에는 서로 잘 달라붙는 경향이 있고

분질감자는 전분의 함량이 높아서 익혔을 때 잘 부서지고, 수분에 닿으면 형체를 유지하기 어렵게 흩어진다.



국내 종으로는 추백이 점질감자의 끝에, 하령이 분질감자의 끝에 있고 그 사이의 스펙트럼에 다양한 감자가 존재한다. 아래사진 참조.


i.jpg

출처 : 한국일보


국내에서 생산하는 감자는 70%정도가 점질과 분질의 중간인 수미감자이고 나머지가 대지, 대서, 두백, 추백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미감자는 중간적인 특성으로 인해 두루두루 사용하는 감자로 알려져 있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감자를 구매하면 음식하기가 편리하다.


국내에서 구매하기로는 점질감자는 홍감자나 추백, 대지를, 중간적으로는 흔한 수미감자를, 분질감자는 미국산 러셋포테이토를 구매하는 것이 접근성이 좋다.

점질에 가까운 감자로는 감자볶음, 감자채전, 감자조림이나 닭도리탕, 찜닭, 감자탕, 감잣국, 카레, 고추장찌개, 감자수프, 그라탱, 으깨지 않은 감자샐러드 / 
분질에 가까운 감자로는 매시트포테이토나 통구이, 감자튀김, 감자칩, 크로켓, 으깬감자전, 분이 나도록 찐 감자, 으깨는 감자샐러드 등에 적합하다.
하지만 국내에 수미감자의 생산량이 70%인 만큼 적극적으로 나누어 사용하기는 쉽지 않다.

(위의 자료에는 뇨끼(옹심이)는 분질감자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는데 구글링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읽어본 바로는 의견이 다양하다. 분질감자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라거나 너무 분질이거나 점질이거나 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는 등..) (추가로 그라탱도 점질에 분류되어 있지만 취향에 따른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내가 구매한 감자는 추백이라서 감자볶음.

당연한 이야기지만 너무 간단하기 때문에 내용은 단순하다.

사용한 재료는 감자 3개, 양파 1개, 대파 약간, 식용유, 소금, 후추


감자, 양파, 대파는 채썰어두었다.


크기변환_IMG_3554.JPG     크기변환_IMG_3555.JPG 





감자는 1가늘게 채썰었을 때는 양파와 함께 볶고 2조금 덜 가늘 때에는 감자를 먼저 볶다가 중간에 양파를 넣는 것이 적당하다.



1 가늘게 채썰었을 때

크기변환_IMG_3556.JPG     크기변환_IMG_3559.JPG 



2 그보다는 덜 가늘게 채썰었을 때.


올리브오일이나 식용유 감자를 볶다가 감자가 반쯤 익으면 양파와 대파를 넣었다.

너무 뒤적거리지 않고 굽듯이 뒤집어가며 덜 부서지도록 했다. (위의 내용과 같이 추백은 덜 부서지고 수미는 조금 더 잘 부서진다.)

노릇노릇한 감자볶음을 좋아해서 감자가 잘 익고 노릇노릇하도록 뒤집어 가며 볶았다.


완성되어 갈 때 쯤 소금과 후추를 뿌리고 한번 더 볶았다.

소금은 처음부터 적다싶게 넣고 간보고 짜지 않게 조금씩 간을 하는데 찐감자 찍어먹는 소금의 양 정도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IMG_9691.JPG     크기변환_IMG_9692.JPG


크기변환_IMG_9694.JPG     크기변환_IMG_9697.JPG




크기변환_IMG_3565.JPG


흔한 재료로 흔하게 먹는 반찬인데 내용이 좀 길어졌다.

노릇노릇하게 굽듯이 볶은 감자에 양파도 달큰하고 짭조름하니 맛있게 잘 먹었다.




  • 레드지아 2018.06.05 09:27

    전 어릴때부터 감자채볶음을 너무너무 좋아했어요

    엄마가 감자채볶음을 도시락반찬으로 싸주는날엔 어찌나 신이 나던지요 ^^

     

    지금도 좋아하지만 식구들이 안먹으니 ㅠㅠ 잘 안하게 되네요

    그리고 아직은 감자값이 너무 비싸서 감자채볶음하기엔 심적부담이 있어요 ㅎㅎㅎ

    사실은 값이 비싸 조림용감자를 샀거든요

     

    전 저품종중에 두백감자를 사봤는데 맛있어서 좋더라구요.

    다른품종은 안사봤어요 (수미야 워낙 많으니..수미 안사보신분은 없으실듯..^^)

  • 이윤정 2018.06.07 00:35

    저는 짭짤한게 찐 감자가 그렇게 좋더라고요ㅎㅎㅎ 고구마보다 감자를 더 좋아해요^^
    그 맛있는 감자볶음을 식구분들이 왜ㅠㅠㅠㅠ
    지난 겨울에 감자 1개 사면 천원이 막 넘고 그래서 깜짝 놀랐잖아요ㅠㅠ 이제 제철이라 가격이 조금씩 내리고 있어서 덜 부담이에요^^
    두백감자 저는 못사봤는데 포슬포슬하니 분나게 찌면 얼마나 맛있을까 아 상상하게 돼요ㅎㅎㅎ

  • 더느린늘보 2018.06.05 11:12

    감자공부 제대로 하고 갑니다. 요새 시큼한 중국식 감자채볶음에 꽂혀서 종종 동네 중국집에서 사먹는데요, 이것도 점질감자로 하면 좋을 것 같네요. 최대한 얇게 채친 감자를 물에 담가 전분 좍 빼고, 마른고추랑 마늘로 기름 내고 감자 볶아서 소금이랑 초로 간하면... 짜잔~ 쑤언라투도우쓰(酸辣土豆丝)!

  • 이윤정 2018.06.07 00:37
    아 그 중국식 감자볶음 이름을 몰랐는데 역시 잘 아시는 더느린늘보님^^
    엄청 얇은데 노릇노릇하지도 않고 거의 흰색인데다가 약간 아삭하기도 하고 감자를 이렇게도 볶아먹네 싶었거든요.
    이름을 알게되니까 좀 더 친해진 느낌에요ㅎㅎㅎ
  • TR 2018.06.11 19:32
    저도 노릇노릇 쫀득한 감자채를 좋아해서
    적당히 씨즈닝해서 양파랑 아예 오븐팬에서 익혀요. 중간에 한번만 뒤집으면 감자볶음과 뢰스티의 중간 정도 식감이 나오더라구요.
    윤정님 저 닉넴 바꿨어요.ㅎㅎ
  • 이윤정 2018.06.12 00:23
    아니 그런 좋은 방법도 있네요. 감자볶음도 뢰스티도 꼭 팬에서만 완성되라는 법은 없으니까요.
    오븐 돌리기 번거로워서 최대한 덜 사용하고 있는데 시간만 좀 넉넉하게 잡으면 훨씬 더 편할 것 같아요.
    닉네임 바꾸셨군요! 계속 테리님이라고 불러도 될까요? 아님 바뀐 닉네임으로 불러야 맞을까요? 다음에 시간나면 알려주세요^^
  • TR 2018.06.12 08:53
    ㅋㅋ TR로 불러주쎄염^^ㅋ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 국 찌개 청국장, 청국장찌개 마트에서 청국장을 사서 끓였었는데 마음에 딱 들지 않아서 한동안 청국장을 안먹었다. 이번에 엄마께 청국장을 받고 만들었는데 너무너무 맛있었다. 청국장의 콩... 4 file 이윤정 2018.05.06 5720
523 김치, 장아찌, 무침 당귀장아찌 평소에는 봄이 되면 풋마늘부터 햇양파, 명이장아찌를 담고는 했는데 올해는 집에서 밥 먹을 일이 별로 없어져서 조금씩 사서 맛만 봤다. 당귀는 독특하게 개운한... 2 file 이윤정 2018.05.24 6149
522 한접시, 일품 순대볶음 진짜 오랜만인 순대볶음. 이전과 마찬가지로 닭갈비양념으로 만들었다. 순대만 사다두면 양배추, 양파, 대파 대충 썰어서 던져넣고 양념장을 넣어서 볶고 마지막... 2 file 이윤정 2018.05.27 5258
521 고기 냉채족발 요즘은 족발을 삶을 때 3키로씩 삶아서 따뜻할 때 먼저 한접시 담아서 먹고, 기름이 적은 부위로 냉채, 기름이 있는 부위로 족발볶음을 해서 먹는다. 족발 만들기... 6 file 이윤정 2018.05.29 6922
» 반찬 감자볶음, 감자의 특성, 용도, 보관 겨울 내도록 감자가 너무 비싸서 거의 사지 않다가 햇감자가 나와서 한박스 샀다. 한박스를 사면 보관이 중요한데, 감자는 어두운 곳에서 7~10도의 온도에 보관하... 7 file 이윤정 2018.06.04 15010
519 전골 탕 등뼈없이 사골육수로 간단 감자탕 돼지등뼈를 푹 고으면 돼지뼈에서 우러나오는 국물 + 삶은 고기가 되니까 발상의 전환을 해봤다. 등뼈는 보통 씻어서 한 번 데쳐내고 푹 고아서 만드는데 등뼈 대... 10 file 이윤정 2018.06.06 9742
518 밥류 두부밥 북한의 유명한 길거리 음식인 두부밥. 90년대 이후 북한 전역에 퍼졌다고 한다. 앙념장을 만들 때 고춧가루와 간장을 기름에 익혀서 만드는데 이렇게 만드는 다대... 10 file 이윤정 2018.06.08 15767
517 한접시, 일품 훈제오리냉채 냉채는 주로 여름에 만드는데 여름에는 음식 여러개 하기가 더 귀찮으니까 한접시만으로도 여름 한끼 식사가 되는 냉채를 선호하는 편이다. 자주 만드는 냉채들이... 2 file 이윤정 2018.06.13 6052
516 한그릇, 면 서동계란만두, 계란만두 만들기 티비에 서동계란만두가 나와서 오랜만에 생각이 났다. 별거 없지만 별거 없는 그 맛이 어릴 때는 참 좋았는데 추억보정인지 나이를 먹고 먹어도 맛있다. 학교 다... 17 file 이윤정 2018.06.19 14211
515 고기 대패목살 배추찜 지난 늦겨울에 올린 차돌박이 배추찜, 대패목살 숙주찜 등에 이어서 더 편하게 자주 해먹었던 대패목살 배추찜. 전골용 뚝배기를 사용했는데 일반 전골냄비도 좋... 6 file 이윤정 2018.06.23 28573
514 반찬 삼치조림 정말 오랜만에 생선. 생선은 냉동보다는 생물이 최고지만 요즘 장보러 갈 여유가 없어서 지난 봄에 가끔 구워먹을까 싶어 사 둔 냉동삼치로 삼치조림을 만들었다.... 4 file 이윤정 2018.06.28 4886
513 한접시, 일품 납작당면잡채 사용한 재료는 고추기름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대파 1대 청주 1.5스푼 간장 1.5스푼 양파 큰것 반개 당근 4분의1개 피망 1개 목이버섯 1줌 표고버섯 3~4개 죽순 ... 2 file 이윤정 2018.06.30 12222
512 국 찌개 초간단 명란젓 두부찌개, 알탕 지난번에 만들고 또 만들어 둔 명란젓은 소분해서 냉동했다가 꺼내쓰고 있다. 그 중에도 너무너무 간단한 명란젓 두부찌개. 재료 전부 냄비에 넣어두고 시간에 맞... 2 file 이윤정 2018.07.03 8082
511 밥류 차돌 양볶음밥, 양밥 보통은 양곱창집에서 곱창 먹고 볶아주는 볶음밥인데 양밥이라도고 부르는 것 같다. 양밥이 곱창집마다 다 스타일이 다르긴 한데 내가 가는 곳은 이렇게 볶음밥이... 2 file 이윤정 2018.07.07 10879
510 일상 일상밥상 2018 07 오랜만에 올리는 일상밥상. 정말 편하게 밥 먹을 때는 바쁘기도 해서 사진을 별로 찍지 않는다. 그 와중에서도 어쩌다 찍어놓은 사진도 있고.. 그 중에 편한 일상... 2 file 이윤정 2018.07.10 5177
509 일상 경상도식 순대막장, 순대쌈장 완전 업데이트 ㅡ https://homecuisine.co.kr/hc10/100999 여기를 참고하세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순대, 간, 염통에 막장. 경상도에서 순대에 곁들이는 쌈... 2 file 이윤정 2018.07.12 18858
508 일상 기본 돈까스, 등심돈까스 (별 내용 없음) 여러 돈까스를 만들어서 올렸는데 기본 돈까스는 편하게 자주 만들어도 내용이 너무 단순해서 올리지 않았는데 오래만에 업데이트한다. (잠시 잡... 2 file 이윤정 2018.07.13 5472
507 전골 탕 뚝배기불고기 불고기양념을 미리 만들어 두기가 좀 번거롭기는 한데 그래도 한 8키로 분량으로 넉넉하게 만들어서 1키로분량씩 봉투에 포장하고 냉동보관하면 1년은 먹으니까 ... 2 file 이윤정 2018.07.14 8246
506 밥류 충무김밥 1년에 한번씩 그대로 다시 올리는 충무김밥. 매해 내용이 똑같긴 한데 어쨌든 늘 이렇게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 2 file 이윤정 2018.07.19 15199
505 국 찌개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더위를 쫓기 위한 비용으로 전기세를 듬뿍듬뿍 쓰고 있는 요즘. 언니와 조카카 한국에 들어와서 매일 만나느라 바쁘기도 하고 밥 할 기력도 없어서 집에서 거의 ... 4 file 이윤정 2018.07.29 6571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