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IMG_8124.JPG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곰탕이나 삼계탕정도로 닭고기가 듬뿍이라 먹기에 더 좋기는 하다.


비슷하게 만드는 닭곰탕 - https://homecuisine.co.kr/hc10/53692

조금 더 재료가 많이 필요하지만 그래도 비슷한 닭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49953



사용한 재료는 

닭 1마리

대파, 양파, 마늘, 후추


칼국수 2인분

소금, 후추

대파 흰부분 반대


양념장으로

고운고춧가루 1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닭은 껍질과 기름을 적당히 제거한 다음 가슴부분을 칼로 썰고 열어서 속까지 깨끗하게 씻어두었다.


양파, 대파, 마늘, 황기를 넉넉하게 넣고 1시간동안 푹 삶으면서 중간중간 거품과 기름은 걷어냈다.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끓는 물로 보충)

닭의 크기에 따라 끓이는 시간이 다른데 큰 닭이라 좀 오래 끓였다. 보통 40분정도도 괜찮다.

닭다리 근육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해 닭다리 발목의 뼈가 보이면 잘 익은 것이다.


크기변환_DSC00078.JPG     크기변환_DSC05417.JPG

 

크기변환_DSC05418.JPG




닭고기는 건져서 기름과 핏줄을 제거하고 뼈를 바르고 먹기 좋게 찢고 육수는 체에 거르고 숟가락으로 떠서 적당히 제거했다.


크기변환_IMG_3317.JPG     크기변환_IMG_3318.JPG



보통 칼국수 면은 따로 초벌로 삶아서 찬물에 헹궜다가 사용해야 국물이 농도가 덜 생겨서 먹기 편하다.

시판 칼국수는 겉에 밀가루가 넉넉하게 묻어있어서 육수에 바로 넣으면 국물이 전분이 너무 많이 녹아나와서 국물이 너무 걸쭉하고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집에서 만드는 칼국수도 밀가루를 최대한 안묻히고 썰어야 육수에 바로 넣을 수 있다.


어쨌든 육수가 너무 걸쭉해지지 않도록 신경써서 만들면 적당하다.

1. 집에서 만드는 경우 밀가루 덜 묻히고 칼국수 썰기 (이 경우에도 물에 따라 50% 정도 삶아서 넣는 것이 좋음) 

2.시판인 경우 칼국수를 미리 삶거나 흐르는 물에 헹구기(면에 따라 편차 있음, 이것저것 써보고 각 면에 맞는 걸로 사용해야..).

어쨌든 변수도 많고 편차도 많아서 한번 정도는 멸치육수로 실험삼아 해보고 안전하거나 편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번에는 시판 칼국수를 양을 조금 적게 잡고(밥 말아 먹을거니까) 조금 두꺼운 걸 사용해서 물에 살짝 헹궈서 바로 뜨거운 닭육수에 넣었다.

흐르는 물에 한 번 헹군 칼국수는 육수에 넣고 바로 저으면 끊어지니까 조금 익었다 싶을 때 잘 저어서 면이 달라붙지 않도록 확인하면서 더 저었다.




닭고기를 삶는 동안 양념장도 분량대로 만들어 두었다.

육수+닭고기를 한 번 삶아서 물로 최종 국물의 양을 조절해서 팔팔 끓으면 칼국수를 넣었다.

4~5분정도 칼국수를 잘 익히면 끝이다.


크기변환_IMG_8099.JPG     크기변환_IMG_8103.JPG 


크기변환_IMG_8105.JPG     크기변환_IMG_8106.JPG 



그릇에 면을 건져서 담고 닭고기와 국물을 듬뿍 붓고 잘게 썬 대파와 양념장을 얹었다.


크기변환_IMG_8111.JPG




크기변환_IMG_8113.JPG




크기변환_IMG_8124.JPG


양념장은 취향에 따라 넣어도 좋고 안 넣어도 좋고 간을 봐가면서 넣은 다음 소금간으로 입맛에 간을 딱 맞게 맞추면 적당하다.


부드러운 칼국수에 구수한 닭육수가 잘 어울리고 닭고기도 아주 듬뿍 들었다.

칼국수를 먹고 나서는 찰기라 흐르게 지은 밥을 말아서 먹으면 속도 편안하고 배도 부르고 몸도 따끈따끈하니 좋다.



  • 레드지아 2018.02.21 09:33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 ㅋㅋㅋㅋㅋㅋㅋㅋ

    팩트십니다!!!!!

     

    뭐 이런 이야기가 있잖아요

    남편이 아내보고 "간단하게 국수나 먹지" 했더니 아내가 "먹는 너나 간단하지" 라고 했던것처럼요!

     

     

    윤정님댁 칼국수는 완전 쫄깃쫄깃해보여요!!!

    뭐가 되었던 간에 음식하나하나에도 정성을 다하시고 담음새마저도 깔끔하고 야무지시니 음식의 격이 확~~~ 올라가보여요!!!!

  • 이윤정 2018.02.23 00:07
    닭고기 다 발라서 푹푹 떠먹으면 진짜 먹기 편하고 진짜 금방이잖아요ㅠㅠ ㅎㅎㅎㅎ
    레드지아님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저희 아버지와 어머니인가 싶어요ㅎㅎㅎㅎㅎ
    음식은 정성이긴 하지만 정성도 좋은 마음으로 해야 하니까 귀찮고 힘들 땐 안하는게 최고입니다ㅎ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한그릇, 면 닭수제비, 닭칼국수, 레시피 (시판소스 사용) 만들기는 닭수제비를 만들었는데 닭칼국수도 똑같이 만드니까 제목에 같이 넣었다. 시판 소스인 닭육수진국와 닭가슴살을 사용해서 간단 버전으로 만들었다. ㅡㅡ... 2 file 이윤정 2019.12.13 6559
43 한그릇, 면 대패 김치수제비 어제 올린 수제비반죽에 이어서 김치수제비. 멸치육수와 김치로 끓인 칼칼한 국물에 감자, 애호박, 수제비를 넣어서 수제비를 끓였다. 김칫국물을 끓일 때 다짐육... 8 file 이윤정 2019.12.03 5406
42 한그릇, 면 수제비 반죽 만들기, 만드는 법, 칼국수 (소고기와 버섯을 넣은 얼큰 수제비) 어릴 때는 수제비를 하면 늘 익반죽으로 했었는데 2013년인가 시판 감자수제비가루를 사보고 난 다음부터 감자수제비가루의 ... 10 file 이윤정 2019.12.02 45737
41 한그릇, 면 콩국수, 레시피, 만들기 콩국수 올린 지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바이타믹스 이후 계속되는 콩국수. 계속 해먹다보니 1. 전에 올린 레시피대로 계속 해먹는데 (콩국수가 다 그렇겠지만) ... 2 file 이윤정 2019.08.25 5254
40 한그릇, 면 곤약냉채 (별 내용 없음) 여태 냉채는 늘 간장, 식초, 설탕, 겨자, 다진마늘을 주 재료로 한 소스를 만들었는데 잔치집에서 시판 냉채소스에 버무린 냉채가 심플하면서도 ... 14 file 이윤정 2019.07.12 4848
39 한그릇, 면 닭한마리 만들기, 소스 2020 11 버전 https://homecuisine.co.kr/hc10/98774 곧 복날이고 해서 묵혀뒀던 닭한마리 레시피를 갖고 왔다. 종로에 있는 음식점에서 나오는 닭한마리의 구성... 14 file 이윤정 2019.07.09 31244
38 한그릇, 면 콩국수 레시피, 콩국 만들기, 백태 서리태 콩물 콩국수 업데이트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82634 크리미한 콩국수를 좋아하는데 보통 믹서기로 하면 체에 걸러야 마음에 드는 질감이 나와서 집... 8 file 이윤정 2019.05.14 26702
37 한그릇, 면 라볶이, 떡볶이 레시피 양념 소스 대량으로 만들어 둔 떡볶이소스와 냉동실이 모자라도록 채워 놓은 떡볶이떡, 오뎅으로 아직도 우리집 떡볶이판이 끝나지 않았다. 미리 만들어 둔 소스를 사용해서... 4 file 이윤정 2019.01.20 6814
36 한그릇, 면 카레라이스, 오므라이스 집에 고기나 양파, 감자 등 카레 재료가 있으면 대충 해먹는 카레라이스. 카레야 대충 하는거니까 주재료로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를 다 사용하는데 닭가슴살... 2 file 이윤정 2019.01.12 6944
35 한그릇, 면 XO소스 계란볶음밥, 햄계란볶음밥 볶음밥용 밥 만들기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71378 볶음밥용 밥은 넉넉하게 지어서 3~5일정도 냉장실에 방치해두었다가 편하게 볶음밥을 만들기... 2 file 이윤정 2019.01.06 6102
34 한그릇, 면 서동계란만두, 계란만두 만들기 티비에 서동계란만두가 나와서 오랜만에 생각이 났다. 별거 없지만 별거 없는 그 맛이 어릴 때는 참 좋았는데 추억보정인지 나이를 먹고 먹어도 맛있다. 학교 다... 17 file 이윤정 2018.06.19 14091
33 한그릇, 면 당면볶이, 떡볶이소스 갑자기 당면볶이가 땡겨서 바로 실행 하고 싶었는데 불린 당면이 없어서 당면을 불린 다음, 다음날 해먹었다. 이런건 생각날 때 바로 먹어줘야 하는데 먹고 싶은 ... 4 file 이윤정 2018.04.09 8563
32 한그릇, 면 명란 아보카도 덮밥 요즘 유행한다는 명란 아보카도 비빔밥? 유행에 밝고 싶은데 어두워서;; 유행이 한참 지난거 같기도 하고 요즘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다. 이번에 만든 명란젓을 ... 2 file 이윤정 2018.04.04 11567
» 한그릇, 면 닭칼국수 닭고기를 푹 고아서 살을 바르고 육수를 걸러서 칼국수를 넣고 삶아낸 닭칼국수. 일은 많은데 먹는 건 금방인 아주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래도 집에서 먹으면 닭... 2 file 이윤정 2018.02.20 15716
30 한그릇, 면 오므라이스 만들기 오랜만에 올리는 오므라이스. 오므라이스 소스를 3리터씩 만들어 두고 오므라이스며 함박스테이크를 여전히 자주 해먹기는 한데 오믈렛 굽는 것이 아직도 조금 어... 7 file 이윤정 2017.09.19 8962
29 한그릇, 면 멸치냉국수, 차가운 잔치국수 온국수 보다는 냉국수를 좋아해서(=머릿 속의 국수 디폴트가 냉국수라) 여름이고 겨울이고 매번 차가운 육수를 부어 시원한 국수를 먹는데 육수를 늘 우려두니까 ... 8 file 이윤정 2017.08.07 38678
28 한그릇, 면 라볶이 혼자 집에 있는 날에 점심에 간단하게 인스턴드나 반조리식품을 먹기도 하고 종종 떡볶이나 라볶이도 해서 먹는다. 라면스프를 넣은 소스에 채소와 떡, 오뎅, 라... 2 file 이윤정 2017.06.26 10095
27 한그릇, 면 낙지볶음덮밥 데친 낙지를 매운 양념에 볶은 낙지볶음으로 덮밥을 만들었다. 불고기양념을 사용해서 만든 것을 여러번 올리고 있는데 공들여 만든 만큼 여러가지로 활용해서 사... 4 file 이윤정 2017.03.30 21467
26 한그릇, 면 소고기카레, 카레라이스 덥고 바빠서 집에서 밥 먹을 일이 거의 없어져서 계속 이어지는 간편한 음식들. 카레라이스는 늘 일상 게시글에 묶어서 대충 올렸는데 단독으로 올리기는 또 처음... 15 file 이윤정 2016.08.15 11804
25 한그릇, 면 냉국수, 멸치국수 온국수 보다는 냉국수를 좋아해서(=머릿 속의 국수 디폴트가 냉국수라) 여름이고 겨울이고 매번 차가운 육수를 부어 시원한 국수를 먹는데 육수를 늘 우려두니까 ... 13 file 이윤정 2016.05.22 153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