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DSC02206.JPG



바로 본론.


약 4~6인분으로


-----------------------


배추절임으로

알배추 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무절임으로

무 큰 것 반개 (아랫부분) (크기에 따라 1개까지 가능)

설탕 6스푼, 소금 1.5스푼

고운고추가루 2스푼


---------------------


보쌈김치 양념으로

황태육수 90그램 (6스푼)

고춧가루 45그램 (6스푼)

조청 70그램 (4스푼)

마늘 30그램 (2스푼)

새우젓 45그램 (3스푼)

쪽파 1줌


--------------


선택재료로

겨자잎 15장

깻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8월 추가내용

큰 무 1개로 만들 때에는 설탕 10스푼에 소금 2스푼으로 절이고

나머지 재료는 1.5배로 하니 적당했다.



---------------------





3일정도 짧게 익혀 바로 먹을 김치라 굳이 찹쌀풀을 넣지 않고 고춧가루로 진득한 농도를 내고 약간 달달하게 간을 맞췄다.

충분히 보쌈김치를 익혀서 먹을 경우에는 찹쌀풀을 2스푼정도 추가해서 익었을 때 시원한 맛을 내도 괜찮다.

계절이 따라 신선한 오징어회나 굴을 넣어서 무치는 것도 좋다. (이때는 간을 약간 더..)

겨자잎과 깻잎은 생략해도 되지만 알싸한 겨자잎과 향긋한 깻잎이 한 입에 살짝 들어갈 수 있도록 싸면 더 맛있다.


김치는 4~6인분인데 전부다 말아두었다가 삼겹살 수육을 2~3인분으로 삶아 두 번에 나눠서 다 먹으니 적당했다.




순서는

1. 3~4일전 무채김치 만들기

2. 2일전 배추절임

3. 겨자잎, 깻잎절임

4. 김치싸기




절임배추는 2일정도 냉장실에서 숙성하고 보쌈김치는 3~4일 숙성해서 싸면 풋내가 없이 바로 먹기 좋은 김치가 된다.

수육을 삶으면서 잎채소인 적겨자와 깻잎을 30분정도 절이고 절인배추와 적겨자, 깻잎을 같이 헹궈서 물을 최대한 짜서 준비한 다음 보쌈김치를 싸면 딱 적당하다.





1. 무채보쌈김치

1-1. 무절임

무는 얇게 채썰어서 준비하고 무채에 소금과 설탕을 넣고 4~5시간정도 뒤집어 가며 절인 다음 물에 헹구지 않고 그대로 물기를 꽉꽉 짜서 준비했다.

다음에 만들 때는 설탕 대신 물엿을 150그램 사용했다. 물이 더 잘빠지는 것 같다. (먹기에는 그런데 나오는 물 양을 재보진 않음)


크기변환_DSC08035.JPG    크기변환_DSC08038.JPG     


크기변환_DSC08039.JPG    크기변환_DSC08040.JPG


크기변환_DSC08042.JPG     크기변환_DSC08043.JPG



1-2. 김치양념 만들기

육수는 황태, 무, 대파, 다시마, 표고버섯, 양파를 넉넉하게 넣어 진하게 우린 육수를 사용했다.

김치양념은 분량대로 넣어서 만드는데 새우젓은 건더기를 손에 쥐고 꾹 짜서 새우젓국물만 넣고 새우젓은 칼로 곱게 다져서 넣었다.


크기변환_DSC01886.JPG    크기변환_DSC02096.JPG




1-3. 양념 버무리기

무채에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한 번 버무린 다음 준비한 양념을 넣고 골고루 무치고 쪽파를 넣어서 한 번 더 무친 다음 꾹꾹 눌러서 실온에서 4시간정도 익힌 다음 냉장고에서 3일동안 익혔다.

쪽파는 두꺼운 곳은 반으로 갈라서 넣었다.


크기변환_DSC02095.JPG     크기변환_DSC02098.JPG

(무채 굵기는 이정도..)


크기변환_DSC02100.JPG     크기변환_DSC02102.JPG


크기변환_DSC02104.JPG




3일동안 익은 무채보쌈김치는 한 번 위아래를 뒤집어주었다. 배추나 겨자잎을 준비하면 더 좋지만 이대로 수육에 곁들여도 괜찮다.


크기변환_DSC02183.JPG





2. 배추절임

배추는 알배추의 겉대부분만 떼어내서 사용했다. 배추가 찢어지면 김치 싸기가 좋지 않으니까 이파리가 찢어지지 않게 살살 떼어내야 한다.

배추 줄기부분에 소금을 2스푼 넣어 숨이 죽으면 물을 붓고 배추가 완전히 숨이 죽도록 4~5시간정도 절여서(겨울에는 더 길게) 물기를 빼고 포장해서 냉장고에서 이틀정도 숙성했다.


크기변환_DSC02051.JPG   




3. 겨자잎, 깻잎절임

겨자잎과 깻잎은 물 2컵과 소금 2스푼을 넣어 소금을 완전히 녹인 다음 깨끗하게 씻은 겨자잎과 깻잎을 절이는데

겨자잎은 줄기를 절구공이등으로 찧어야 줄기와 잎이 비슷한 시간으로 잘 절여진다.

절인 잎채소와 배추는 정수기물에 한 번 헹궈서 물기를 단단히 짜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2180.JPG     크기변환_DSC02181.JPG


크기변환_DSC02182.JPG     크기변환_DSC02184.JPG






4. 보쌈김치 싸기

무채김치는 싸는 중간중간 위아래로 충분히 뒤집어서 양념이 골고루 묻도록 하고 김치를 싸기 시작했다.


배추잎은 면적이 최대한이 되도록 구겨지는 곳 없이 편 다음 적겨자와 깻잎을 한장씩 얹고 보쌈김치를 얹는데

무채김치를 가지런하게 집어 약간 위에 놓아 너무 많이 넣지 않아야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크기변환_DSC02190.JPG     크기변환_DSC02192.JPG    




배추 줄기부분을 위로 접어올려 보쌈김치 위쪽의 아래로 집어 넣고 한 번 굴린 다음 양 끝을 오므리고 끝까지 싸서 얇은 김밥 반개 정도로 만들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DSC02191.JPG     크기변환_DSC02195.JPG    

 

크기변환_DSC02197.JPG     크기변환_DSC02199.JPG


보쌈김치를 다 싼 다음 김밥 썰듯이 잘 드는 칼로 한입에 먹기 좋도록 썰었다.

다음에 먹을 것도 미리 썰어두면 그대로 보관했다가 바로 꺼내먹기 좋다.

만든 김치는 3일안에 먹는 것이 좋다.




그동안 삼겹살도 삶고(는 아래에) 명이나물과 쌈무, 부추무침을 준비했다.


부추 배추 깻잎무침은 대충 이야기 하자면..

부추, 배추, 깻잎은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바짝 빼고 배추는 얇게 채설고 부추와 깻잎은 비슷한 크기로 썰어두었다.

밥상을 거의 다 차려갈 때 쯤 봉투에 손질한 채소를 넣고 고춧가루 2스푼 넣고 골고루 묻도록 무치고

여기에 식초+설탕 1:1로 녹인 것을 2스푼 넣고 무치고 참기름 약간, 깨약간을 넣어서 완성.



크기변환_DSC02206.JPG





크기변환_DSC02210.JPG




크기변환_DSC02213.JPG




크기변환_DSC02215.JPG



적당히 한입에 넣어도 짜지 않을 크기로 썰어서

삼겹살수육에 장아찌, 채소무침, 보쌈김치를 얹으면 꿀맛!





부록. 삼겹살 수육

삼겹살 수육은 각각 좋아하는 방식으로 하면 되는데 시간이 없어서 간단하게 물에 삶아서 수육을 만들었다.

수비드 삼겹살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5072&mid=hc10


삼겹살 수육은 삼겹살을 구운 다음 끓는 물에 향채소와 국간장, 새우젓을 넣고 중불~중약불에 1시간정도 푹 삶아냈다.

2~3인분으로 삼겹살 1키로에 마늘, 대파, 통후추, 월계수잎, 새우젓, 국간장을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1879.JPG     크기변환_DSC01880.JPG


크기변환_DSC02179.JPG     크기변환_DSC01881.JPG


크기변환_DSC01882.JPG     크기변환_DSC02200.JPG


크기변환_DSC01910.JPG     크기변환_DSC01917.JPG



아래는 그 전에 만든 보쌈김치인데 김치는 이렇게 싸는 것보다 위에 올린 것처럼 얇게 싸는 것이 훨씬 더 좋았고, 고기는 이 때 더 부드럽게 잘 됐다.

똑같이 했는데도 고기의 질감이 다른 이유를 생각해보니 처음 간 정육점에서 고기를 사서 그런 듯 했다. 한 번 먹어보고 좋았던 곳에서 고기를 사야 계속 맛있는 것 같다.

크기변환_DSC01922.JPG







  • 뽁이 2016.07.13 07:43

    아 ..... 드디어 이것이 와버렸 ? 군요 ㅋㅋㅋ 허허ㅓㅎ

    진짜 ! 보쌈김치 어쩜 이렇게 야물딱지게 말아내셨대요 -

    진짜 일부러 풀려고해도 안풀어질 거 같다는 !

    무채 아작아작하니 알싸한 겨자잎에 ㅠㅜ 아고마야 생각만해도 !

    거기다가 삼교비 수육 ! 꺄아아아 !!!!!!

  • 이윤정 2016.07.14 23:11
    예전에 아주 좋아하던 보쌈김치인데 이제야 제대로 말아서 올렸어요ㅎㅎㅎ
    역시 수육에는 보쌈김치 척 올리면 최고죠^^
    부산에는 수육 주문하면 거의 다 돼지국밥 국물 뚝배기에 담아 주잖아요. 서울에서는 따로 국이 나오나 갑자기 궁금하네요ㅎㅎ
  • 레드지아 2016.07.13 14:30

    고기 좋아하는 전 이 글을 보고 제가 저 밥상을 받은듯 흐뭇했네요 ㅋㅋㅋㅋㅋㅋ

    이젠 망상과 환상까지 ㅋㅋㅋㅋㅋ

    첨에 무슨 김치가 저렇게 이쁠까 했더니 역시 손이 많이 간 김치네요 ㅎㅎㅎ

    손님 접대시 저렇게 내놓으면 완전 어깨가 으쓱할거 같아요 ^^

  • 이윤정 2016.07.14 23:12
    배추잎에 싸는 것이 손이 가서 그렇지 정작 무채로만 만든 김치는 생각보다 간단해요^^
    이쁜 건 손님상에도 좋지만 가장 좋은 건 제 밥상에 올라온 것이지 말입니다ㅎㅎㅎㅎㅎㅎ
  • 네덜댁 2016.07.13 22:02
    역시 이렇게 정성이 들어가야 손님상에 내도 손색이 없군요... ㅠㅠ
    너무 맛있겠어요~~ 언제 꼭 보쌈김치와 수육 해봐야겠습다^^
    그런데 주로 음식에 황태육수를 많이 쓰시는것 같은데 다시마 멸치 육수보다는 김치에는 황태육수가 더 좋은가요?
  • 이윤정 2016.07.14 23:17
    손님상에 내려면 일단 한 번 시험삼아 해보시고 그 때 제일 맛있게 드셨으면 좋겠어요ㅎㅎㅎ
    제가 음식에 쓰는 황태육수가 황태, 무, 다시마, 표고, 대파가 들어간건데 멸치육수가 향이 강해서 김치에는 황태육수가 좋더라고요.
    김치 관련 논문들 구경하니까 사골육수로도 더 맛있게 된다고 하던데 꼭 집어서 뭐가 가장 좋다기보단 취향에 따라 좋아하는 육수를 사용하심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김치에는 육수를 진하게 내서 사용하고 물김치를 만들 때는 생수를 섞어서 만들고 그래요ㅎㅎ
  • 만두장수 2019.11.04 00:43
    보쌈용 무김치 맹글 때요....쌤께선 정공법이시겠지만 살짝 제가 배운 야매를 풀자면 부끄부끄 하지만...굵은 소금 뿌려 삼투압으로 무의 물낄 쭉~ 빼잖아요? 소금 뿌릴 때....소금 한주먹이라면 백물엿 그에 3배이상을 같이 넣습니다.

    무에서 물이 나오고+물엿의 점도가 질퍽하게 어우러지면 30분쯤 저리고 씻습니다. 물엿의 역할은....저린 무가 물끼는 쪽 빠지는데 물엿이 코팅이 돼선가??? 짜지질 않아요. 다소 장시간 저려져도 물끼는 무 말랭이 맹키로 빠지는 시간대비 절여지는 무가 물끼는 빠지지만 전혀 짜지질 않습니다.

    으이구...이놈의 오지랖....또 아는 척 ㅠㅠ
  • 이윤정 2019.11.06 01:54
    제가 충무김밥 석박지 만들 때는 물엿은 아니고 조청을 사용하는데 소금의 1.5배만 넣었었거든요. 3배는 넣어줘야 물기가 더 쪽빠지나봅니다. 다음에는 3배로 해볼게요! 물엿이나 조청으로 무를 절여도 달지 않는 게 저는 신기하더라고요. 삼투압.. 저도 그만해야하는데 습관 무섭네요ㅠ

  1. 깻잎김치

    무농약 깻잎을 1박스 사서 가족과 친구들에게 나눠주고 쌈으로도 실컷먹고 볶음요리에도 넣고 깻잎김치도 담았다. 새로 만든 메인 반찬이 있어도 깻잎이 더 좋을 만큼 깻잎무침이나 깻잎김치를 좋아하는데 엄마께서 담아주신 깻잎을 먹다보니 오랜만에 담았다. 보통 김치에는 진간장을 사용하지 않고 사...
    Date2017.09.2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67304
    Read More
  2. 깻잎무쌈, 쌈무

    쌈무는 평소에도 집에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 두는데 깻잎을 켜켜이 넣은 것은 꽤 오랜만에 만들었다. 고기와 여러채소를 쌈무에 돌돌 말아 소스를 찍는 무쌈말이를 하면 일반 쌈무보다 깻잎무쌈이 깔끔하고 향도 좋아서 더 잘 어울린다. (는 다음에 업로드 예정입니다.) 사용한 재료는 무 반개 깻잎 5묶...
    Date2017.06.1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8085
    Read More
  3. 햇마늘로 마늘장아찌

    올해도 햇마늘이 제철이 되어서 시장에 가면 마늘이 그득그득하다. 어제도 반접 사와서 장아찌를 1차로 담고 작년에 담은 사진을 올린다. 제철에 만들어두면 일년 내내 맛있게 먹기 좋다. 사용한 재료는 햇 통마늘 25개 생수 500미리 식초 500미리 설탕 500미리 소금 1스푼 간장 375미리 장아찌용 보관...
    Date2017.05.2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38300
    Read More
  4. 알배추김치, 배추겉절이

    알배추 1포기로 담는 알배추김치. 집에서 배추겉절이도 이렇게 만들어 먹고는 해서 제목에 둘 다 썼다. 사용한 재료는 (계량스푼 사용) 알배추 큰 것 1개 물 1리터 소금 75그램(5스푼) (염도 약 7%) 쪽파 1줌 양파 반개 양념으로 진한 육수 100미리 + 찹쌀가루 1스푼 고춧가루 6스푼 (100미리) 고운고춧...
    Date2017.05.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7228
    Read More
  5. 한입 오이소박이

    보통 오이소박이는 세로로 갈라 소를 채워 넣어 만드는 김치인데 먹을 때 베어먹거나, 끝을 자르거나 해야 한입 사이즈가 되는 점이 조금 불편하다. 그래서 한입에 딱 넣기 좋게 만들었다. 세로로 만든 것에 비해 오이소박이 소가 덜 빠져나오게 먹을 수 있어서 다 먹고 나면 김치통에 소가 거의 남지 ...
    Date2017.04.21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48981
    Read More
  6. 풋마늘 김치

    이제 거의 풋마늘이 끝물이다. 지난주부터 풋마늘장아찌부터 풋마늘베이컨말이, 풋마늘볶음밥, 풋마늘불고기를 올렸는데 철이 지나면 의미가 없으니 몰아서 올린다. 풋마늘 무침도 대파김치도 제철이 지나가고 있어서 얼른 올려야하나 다음 시즌으로 미룰까 어쩌지 싶다. 어쨌든 대충 마지막이라고 생각...
    Date2017.04.14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29730
    Read More
  7. 짭짤이 토마토 장아찌

    요즘 딱 제철인 짭짤이 토마토. 작년 4월 중순에 짭짤이 토마토로 장아찌를 담아 약 1년 후 개봉했다. 집이 부산이라서 그런가 어릴 때는 동네 과일가게에서 그냥 토마토나 짭짤이나 비슷한 가격에 살 수 있었는데 아버지는 매번 꼭 짭짤이를 사오라 하셔서 무슨 토마토 이름이 짭짤인가 짠걸 왜 먹나 ...
    Date2017.04.0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36304
    Read More
  8. 풋마늘 장아찌

    풋마늘 장아찌야 풋마늘 사와서 간장물에 담으면 끝이라 특별할 것이 없지만 우리집에서는 매해 담아도 매해 모자라고 아쉬운 것이 풋마늘이라서, 그런 마음으로 쓰는 약간의 풋마늘 예찬. 풋마늘은 볶거나 구워도 맛있지만 장아찌를 만드는 것이 가장 가치가 있는데 그 이유는 오래 먹을 수 있어서이다...
    Date2017.03.28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35289
    Read More
  9. 과일무로 쌈무 만들기, 만드는법

    수박무나 수박무라고 하는 동그란 무로 만든 쌈무이다. 작년에 처음 사봤는데 해보니 좋아서 이걸로 계속하고 있다. 무가 좀 단단하면 흰무와 반반으로 만드는 것도 좋다. 도시락 반찬도 싸서 보내고 고기 먹을 때도 좋고 만들기도 편한데다가 색깔도 선명하고 예뻐서 만드는 기분도 좋다. 피클로 만들...
    Date2017.02.16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21265
    Read More
  10. 배추 김치 (1포기 한포기 기준)

    약 3년간 프리랜서였던 남편이 지난달부터 다시 출근하게 됐다. 집에서 일하느라 편했는데 갑자기 출근하려니 출근하는 사람이 제일 힘들고 출근 시키는 건 그나마 낫지만 편했던 시절만은 못하다. 아침밥과 도시락을 챙기느라 요즘은 바로 만들어 먹는 요리보다는 아침에 훌훌 먹고 나가기 좋은 국이나...
    Date2016.11.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57160
    Read More
  11. 파김치

    파는 한겨울이 되면 끝부분이 시들고 여름에는 단맛이 부족해서 봄가을에 가장 맛있는데 그래도 파김치를 담기 가장 좋을 때는 파가 싸고 좋을 때.. 시장에 가서 굵지 않은 여리여리한 파가 있으면 사와서 담으면 절이지 않고 김치양념만 무쳐도 충분히 맛있다. 시장을 전부 한바퀴 돌아보고 대가 얇고 ...
    Date2016.10.15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8973
    Read More
  12. 쪽파장아찌

    봄에 담은 명이장아찌를 다 먹고 쪽파 장아찌를 만들었다. 사용한 재료는 쪽파 300그램 생수 150그램 간장 150그램 식초 100그램 설탕 50그램 조청 50그램 2018년 업데이트 → 절임간장물 그대로 쪽파는 500그램까지도 좋았다. 쪽파는 농산물 시장에서 판매하는 흙쪽파를 반단 사용했는데 마트마다 파는 ...
    Date2016.08.14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4381
    Read More
  13. 여름막김치, 파프리카김치, 어린이김치

    여름에 시원하게 먹을 막김치. 파프리카가 주재료가 아니기 때문에 제목에 파프리카김치는 아닌가;; 어쨌든 어린이김치. 배추와 무를 나박하게 막 썰어 약간 자박자박하게 담았다. 조카가 초딩인데 언니한테 갖다 주려고 애들도 먹을 수 있도록 고춧가루를 약간만 사용하고 파프리카를 갈아 넣어서 맵지...
    Date2016.08.03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7310
    Read More
  14. 충무김밥, 석박지, 오징어무침, 오뎅무침 만들기

    바로 본론. (섞박지가 맞는 말인데 석박지로 표기..) ------------------------------------------ 석박지(2인분으로 3~4회 분량) 무 큰 것 반개 (작은 것이면 0.7개) 소금 2스푼 설탕 4스푼 고운고춧가루 1스푼 황태육수 3스푼 찹쌀가루 1티스푼 고춧가루 3스푼 다진마늘 1스푼 새우젓 1스푼 (다져서) ...
    Date2016.07.30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7819
    Read More
  15. 무채 쌈무, 무채 초절임

    쌈무를 먹기 편하게 채썰어서 만들고 고운고춧가루를 넣어서 약간 매콤하면서도 새콤달콤하게 만들었다. 쌈무와 맛은 거의 똑같지만 하나하나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집어먹기 좋았다. 냉면김치를 만들까하다가 무채쌈무를 만들었는데 냉면김치에도 식초를 넣어 만드는 경우가 있으니까 대용으로 사용해...
    Date2016.07.23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0647
    Read More
  16. 기본 깍두기

    김치냉장고가 작기도 하고 김치가 몇 가지 있어서 소비를 먼저 해야 하는데 깍두기 볶음밥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어쩔 수 없이 깍두기를 담았다;; 반찬으로 먹기도 하고 볶음밥도 하겠지만 떠 먹을 것을 감수하고 아예 볶음밥용으로 약간 자잘하게 썰었는데 잘게 썰어도 좋고 젓가락으로 먹게 조...
    Date2016.07.17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32386
    Read More
  17. 보쌈, 보쌈김치, 삼겹살수육

    바로 본론. 약 4~6인분으로 ----------------------- 배추절임으로 알배추 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무절임으로 무 큰 것 반개 (아랫부분) (크기에 따라 1개까지 가능) 설탕 6스푼, 소금 1.5스푼 고운고추가루 2스푼 --------------------- 보쌈김치 양념으로 황태육수 90그램...
    Date2016.07.1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4291
    Read More
  18. 탄산수 물김치

    무와 배추를 1:1로 절이고 삭힌고추와 쪽파를 넣고 채소육수와 탄산수를 넣어 김치국물을 잡아 물김치를 만들었다. 전에는 물김치에 생수와 채소육수를 1:1로 넣는데 이번에는 탄산수를 넣었다고 그렇게 다이내믹하게 다르지는 않고 잘 익었을 때 쨍한 느낌이 1%정도 더 되는것 같다. 김치는 소금, 찹쌀...
    Date2016.07.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2643
    Read More
  19. 고추 삭히기, 삭힌 청양고추

    소금물에 고추를 넣어 그대로 1달정도 삭힌 청양고추. 고추는 20%의 소금물에 잠기도록 담가 그대로 실온에 보관하기만 하면 삭힌 고추가 된다. 급할 때에는 소금물을 1번 팔팔 끓여서 거기에 고추를 넣으면 빨리 익는데 급한대로 3일정도 후에는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뜨거운 물로 만든 삭힌 고추는 ...
    Date2016.07.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56559
    Read More
  20. 쌈무 만들기

    몇 년 전에 산 양배추용 슬라이스 채칼 ACB-657 이 무뎌져서 얼마전에 새로 하나 구입했다. 굵기가 조절되는 SFS-102으로 샀는데 날카로워서 위험하니까 조심하면서 사용하면 아주 유용하다. (채칼은 녹슬지 않게 사용 후 바로 흐르는 물에 씻어서 완전히 탈탈 털어서 다치지 않게 키친타올로 조심조심 ...
    Date2016.07.0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27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