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크기변환_DSC02206.JPG



바로 본론.


약 4~6인분으로


-----------------------


배추절임으로

알배추 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무절임으로

무 큰 것 반개 (아랫부분) (크기에 따라 1개까지 가능)

설탕 6스푼, 소금 1.5스푼

고운고추가루 2스푼


---------------------


보쌈김치 양념으로

황태육수 90그램 (6스푼)

고춧가루 45그램 (6스푼)

조청 70그램 (4스푼)

마늘 30그램 (2스푼)

새우젓 45그램 (3스푼)

쪽파 1줌


--------------


선택재료로

겨자잎 15장

깻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8월 추가내용

큰 무 1개로 만들 때에는 설탕 10스푼에 소금 2스푼으로 절이고

나머지 재료는 1.5배로 하니 적당했다.



---------------------





3일정도 짧게 익혀 바로 먹을 김치라 굳이 찹쌀풀을 넣지 않고 고춧가루로 진득한 농도를 내고 약간 달달하게 간을 맞췄다.

충분히 보쌈김치를 익혀서 먹을 경우에는 찹쌀풀을 2스푼정도 추가해서 익었을 때 시원한 맛을 내도 괜찮다.

계절이 따라 신선한 오징어회나 굴을 넣어서 무치는 것도 좋다. (이때는 간을 약간 더..)

겨자잎과 깻잎은 생략해도 되지만 알싸한 겨자잎과 향긋한 깻잎이 한 입에 살짝 들어갈 수 있도록 싸면 더 맛있다.


김치는 4~6인분인데 전부다 말아두었다가 삼겹살 수육을 2~3인분으로 삶아 두 번에 나눠서 다 먹으니 적당했다.




순서는

1. 3~4일전 무채김치 만들기

2. 2일전 배추절임

3. 겨자잎, 깻잎절임

4. 김치싸기




절임배추는 2일정도 냉장실에서 숙성하고 보쌈김치는 3~4일 숙성해서 싸면 풋내가 없이 바로 먹기 좋은 김치가 된다.

수육을 삶으면서 잎채소인 적겨자와 깻잎을 30분정도 절이고 절인배추와 적겨자, 깻잎을 같이 헹궈서 물을 최대한 짜서 준비한 다음 보쌈김치를 싸면 딱 적당하다.





1. 무채보쌈김치

1-1. 무절임

무는 얇게 채썰어서 준비하고 무채에 소금과 설탕을 넣고 4~5시간정도 뒤집어 가며 절인 다음 물에 헹구지 않고 그대로 물기를 꽉꽉 짜서 준비했다.

다음에 만들 때는 설탕 대신 물엿을 150그램 사용했다. 물이 더 잘빠지는 것 같다. (먹기에는 그런데 나오는 물 양을 재보진 않음)


크기변환_DSC08035.JPG    크기변환_DSC08038.JPG     


크기변환_DSC08039.JPG    크기변환_DSC08040.JPG


크기변환_DSC08042.JPG     크기변환_DSC08043.JPG



1-2. 김치양념 만들기

육수는 황태, 무, 대파, 다시마, 표고버섯, 양파를 넉넉하게 넣어 진하게 우린 육수를 사용했다.

김치양념은 분량대로 넣어서 만드는데 새우젓은 건더기를 손에 쥐고 꾹 짜서 새우젓국물만 넣고 새우젓은 칼로 곱게 다져서 넣었다.


크기변환_DSC01886.JPG    크기변환_DSC02096.JPG




1-3. 양념 버무리기

무채에 고운고춧가루를 넣고 한 번 버무린 다음 준비한 양념을 넣고 골고루 무치고 쪽파를 넣어서 한 번 더 무친 다음 꾹꾹 눌러서 실온에서 4시간정도 익힌 다음 냉장고에서 3일동안 익혔다.

쪽파는 두꺼운 곳은 반으로 갈라서 넣었다.


크기변환_DSC02095.JPG     크기변환_DSC02098.JPG

(무채 굵기는 이정도..)


크기변환_DSC02100.JPG     크기변환_DSC02102.JPG


크기변환_DSC02104.JPG




3일동안 익은 무채보쌈김치는 한 번 위아래를 뒤집어주었다. 배추나 겨자잎을 준비하면 더 좋지만 이대로 수육에 곁들여도 괜찮다.


크기변환_DSC02183.JPG





2. 배추절임

배추는 알배추의 겉대부분만 떼어내서 사용했다. 배추가 찢어지면 김치 싸기가 좋지 않으니까 이파리가 찢어지지 않게 살살 떼어내야 한다.

배추 줄기부분에 소금을 2스푼 넣어 숨이 죽으면 물을 붓고 배추가 완전히 숨이 죽도록 4~5시간정도 절여서(겨울에는 더 길게) 물기를 빼고 포장해서 냉장고에서 이틀정도 숙성했다.


크기변환_DSC02051.JPG   




3. 겨자잎, 깻잎절임

겨자잎과 깻잎은 물 2컵과 소금 2스푼을 넣어 소금을 완전히 녹인 다음 깨끗하게 씻은 겨자잎과 깻잎을 절이는데

겨자잎은 줄기를 절구공이등으로 찧어야 줄기와 잎이 비슷한 시간으로 잘 절여진다.

절인 잎채소와 배추는 정수기물에 한 번 헹궈서 물기를 단단히 짜서 준비했다.


크기변환_DSC02180.JPG     크기변환_DSC02181.JPG


크기변환_DSC02182.JPG     크기변환_DSC02184.JPG






4. 보쌈김치 싸기

무채김치는 싸는 중간중간 위아래로 충분히 뒤집어서 양념이 골고루 묻도록 하고 김치를 싸기 시작했다.


배추잎은 면적이 최대한이 되도록 구겨지는 곳 없이 편 다음 적겨자와 깻잎을 한장씩 얹고 보쌈김치를 얹는데

무채김치를 가지런하게 집어 약간 위에 놓아 너무 많이 넣지 않아야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크기변환_DSC02190.JPG     크기변환_DSC02192.JPG    




배추 줄기부분을 위로 접어올려 보쌈김치 위쪽의 아래로 집어 넣고 한 번 굴린 다음 양 끝을 오므리고 끝까지 싸서 얇은 김밥 반개 정도로 만들면 적당하다.


크기변환_DSC02191.JPG     크기변환_DSC02195.JPG    

 

크기변환_DSC02197.JPG     크기변환_DSC02199.JPG


보쌈김치를 다 싼 다음 김밥 썰듯이 잘 드는 칼로 한입에 먹기 좋도록 썰었다.

다음에 먹을 것도 미리 썰어두면 그대로 보관했다가 바로 꺼내먹기 좋다.

만든 김치는 3일안에 먹는 것이 좋다.




그동안 삼겹살도 삶고(는 아래에) 명이나물과 쌈무, 부추무침을 준비했다.


부추 배추 깻잎무침은 대충 이야기 하자면..

부추, 배추, 깻잎은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바짝 빼고 배추는 얇게 채설고 부추와 깻잎은 비슷한 크기로 썰어두었다.

밥상을 거의 다 차려갈 때 쯤 봉투에 손질한 채소를 넣고 고춧가루 2스푼 넣고 골고루 묻도록 무치고

여기에 식초+설탕 1:1로 녹인 것을 2스푼 넣고 무치고 참기름 약간, 깨약간을 넣어서 완성.



크기변환_DSC02206.JPG





크기변환_DSC02210.JPG




크기변환_DSC02213.JPG




크기변환_DSC02215.JPG



적당히 한입에 넣어도 짜지 않을 크기로 썰어서

삼겹살수육에 장아찌, 채소무침, 보쌈김치를 얹으면 꿀맛!





부록. 삼겹살 수육

삼겹살 수육은 각각 좋아하는 방식으로 하면 되는데 시간이 없어서 간단하게 물에 삶아서 수육을 만들었다.

수비드 삼겹살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5072&mid=hc10


삼겹살 수육은 삼겹살을 구운 다음 끓는 물에 향채소와 국간장, 새우젓을 넣고 중불~중약불에 1시간정도 푹 삶아냈다.

2~3인분으로 삼겹살 1키로에 마늘, 대파, 통후추, 월계수잎, 새우젓, 국간장을 사용했다.


크기변환_DSC01879.JPG     크기변환_DSC01880.JPG


크기변환_DSC02179.JPG     크기변환_DSC01881.JPG


크기변환_DSC01882.JPG     크기변환_DSC02200.JPG


크기변환_DSC01910.JPG     크기변환_DSC01917.JPG



아래는 그 전에 만든 보쌈김치인데 김치는 이렇게 싸는 것보다 위에 올린 것처럼 얇게 싸는 것이 훨씬 더 좋았고, 고기는 이 때 더 부드럽게 잘 됐다.

똑같이 했는데도 고기의 질감이 다른 이유를 생각해보니 처음 간 정육점에서 고기를 사서 그런 듯 했다. 한 번 먹어보고 좋았던 곳에서 고기를 사야 계속 맛있는 것 같다.

크기변환_DSC01922.JPG







  • 뽁이 2016.07.13 07:43

    아 ..... 드디어 이것이 와버렸 ? 군요 ㅋㅋㅋ 허허ㅓㅎ

    진짜 ! 보쌈김치 어쩜 이렇게 야물딱지게 말아내셨대요 -

    진짜 일부러 풀려고해도 안풀어질 거 같다는 !

    무채 아작아작하니 알싸한 겨자잎에 ㅠㅜ 아고마야 생각만해도 !

    거기다가 삼교비 수육 ! 꺄아아아 !!!!!!

  • 이윤정 2016.07.14 23:11
    예전에 아주 좋아하던 보쌈김치인데 이제야 제대로 말아서 올렸어요ㅎㅎㅎ
    역시 수육에는 보쌈김치 척 올리면 최고죠^^
    부산에는 수육 주문하면 거의 다 돼지국밥 국물 뚝배기에 담아 주잖아요. 서울에서는 따로 국이 나오나 갑자기 궁금하네요ㅎㅎ
  • 레드지아 2016.07.13 14:30

    고기 좋아하는 전 이 글을 보고 제가 저 밥상을 받은듯 흐뭇했네요 ㅋㅋㅋㅋㅋㅋ

    이젠 망상과 환상까지 ㅋㅋㅋㅋㅋ

    첨에 무슨 김치가 저렇게 이쁠까 했더니 역시 손이 많이 간 김치네요 ㅎㅎㅎ

    손님 접대시 저렇게 내놓으면 완전 어깨가 으쓱할거 같아요 ^^

  • 이윤정 2016.07.14 23:12
    배추잎에 싸는 것이 손이 가서 그렇지 정작 무채로만 만든 김치는 생각보다 간단해요^^
    이쁜 건 손님상에도 좋지만 가장 좋은 건 제 밥상에 올라온 것이지 말입니다ㅎㅎㅎㅎㅎㅎ
  • 네덜댁 2016.07.13 22:02
    역시 이렇게 정성이 들어가야 손님상에 내도 손색이 없군요... ㅠㅠ
    너무 맛있겠어요~~ 언제 꼭 보쌈김치와 수육 해봐야겠습다^^
    그런데 주로 음식에 황태육수를 많이 쓰시는것 같은데 다시마 멸치 육수보다는 김치에는 황태육수가 더 좋은가요?
  • 이윤정 2016.07.14 23:17
    손님상에 내려면 일단 한 번 시험삼아 해보시고 그 때 제일 맛있게 드셨으면 좋겠어요ㅎㅎㅎ
    제가 음식에 쓰는 황태육수가 황태, 무, 다시마, 표고, 대파가 들어간건데 멸치육수가 향이 강해서 김치에는 황태육수가 좋더라고요.
    김치 관련 논문들 구경하니까 사골육수로도 더 맛있게 된다고 하던데 꼭 집어서 뭐가 가장 좋다기보단 취향에 따라 좋아하는 육수를 사용하심 좋을 것 같아요.
    저는 김치에는 육수를 진하게 내서 사용하고 물김치를 만들 때는 생수를 섞어서 만들고 그래요ㅎㅎ
  • 만두장수 2019.11.04 00:43
    보쌈용 무김치 맹글 때요....쌤께선 정공법이시겠지만 살짝 제가 배운 야매를 풀자면 부끄부끄 하지만...굵은 소금 뿌려 삼투압으로 무의 물낄 쭉~ 빼잖아요? 소금 뿌릴 때....소금 한주먹이라면 백물엿 그에 3배이상을 같이 넣습니다.

    무에서 물이 나오고+물엿의 점도가 질퍽하게 어우러지면 30분쯤 저리고 씻습니다. 물엿의 역할은....저린 무가 물끼는 쪽 빠지는데 물엿이 코팅이 돼선가??? 짜지질 않아요. 다소 장시간 저려져도 물끼는 무 말랭이 맹키로 빠지는 시간대비 절여지는 무가 물끼는 빠지지만 전혀 짜지질 않습니다.

    으이구...이놈의 오지랖....또 아는 척 ㅠㅠ
  • 이윤정 2019.11.06 01:54
    제가 충무김밥 석박지 만들 때는 물엿은 아니고 조청을 사용하는데 소금의 1.5배만 넣었었거든요. 3배는 넣어줘야 물기가 더 쪽빠지나봅니다. 다음에는 3배로 해볼게요! 물엿이나 조청으로 무를 절여도 달지 않는 게 저는 신기하더라고요. 삼투압.. 저도 그만해야하는데 습관 무섭네요ㅠ

  1. 불고기양념, 소불고기, 돼지갈비, 만드는법, 황금비율

    구글 자동검색에 뜨도록 황금비율이라고 제목에 넣어봤다;; 불고기 외에도 떡갈비나 산적 등 여러 음식에 양념으로 넣어도 두루 잘 어울린다. 소스를 만드는 것 자체는 육수내고 과일갈고 번거롭기는 해도 크게 일이 되지는 않는데 어떻게 하면 평소 입맛에 맞아서 좋아하는 시판양념장을 사와서 적혀있는대로 양념하면 되는 것처럼 간을 맞출까로 여러 자료를 참고하고 고민하고 계산하는 것을 꽤 해서 공이 조금 들었다. 이대로 계속 만들어서 먹고 주위에도 나눠주는 했지만 올리지는 않았었고 언제가 될 지는 모르겠지만 다음에 책이라도 쓸 마음...
    Date2016.06.02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23 Views35544 file
    Read More
  2. 향미유, 고추기름

    최근에 올린 고추기름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20/66924 내용은 거의 같다. 여러 채소를 넣어서 만든 기름. 아무데나 넣어도 다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식용유 1컵 양파 작은 것 1개 대파 1대 생강 1조각 마늘 6개 청양고추 2개 고춧가루 6스푼 식용유 1컵으로 만들었는데 한 번 만들 때 식용유 양을 1.5배로 늘이거나 아예 2배로 만들면 만들고 난 다음에 양이 너무 적어서 실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에 깻잎이 있을 때는 깻잎도 넣고 만드는데 향긋하고 좋다. 식용유에 고춧가루를 제외한 재료를 넣고 채소가 노릇노릇할 때...
    Date2016.06.04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16008 file
    Read More
  3. 불고기전골, 불고기버섯전골, 뚝배기불고기, 만드는법

    불고기양념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1&document_srl=40715 에 이어 불고기전골. 불고기 양념을 해두면 채소와 버섯, 육수만 준비해서 넉넉하게 먹기 좋다. 전골냄비에 넣고 끓여가면서 먹으면 불고기전골, 뚝배기에 넣고 육수를 약간 덜 넣고 끓여서 내면 뚝배기불고기.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등심 불고기 350그램 불고기 양념 350그램 분량 x 1.2 알배추 4장 양파 반개 대파 1대 표고버섯 4개 팽이버섯 1봉투 맛타리버섯 1봉투 황태육수 3컵 간장 2스푼 불린 당면 한줌 소스로 식초+설탕 녹인 것 간장 육수...
    Date2016.06.05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6 Views10411 file
    Read More
  4. 불고기 김밥

    맛살이나 오이없이 딱 불고기에 어울리는 조합으로 불고기 김밥을 만들었다. 부추를 다듬고 데치는 것이 좀 번거로운데 부추 대신 시금치도 좋지만 부추가 아주 잘 어울린다. 김밥 8줄로 (약 4~6인분) 김 8장 쌀 4컵 스시노코 3스푼 참기름 깨 소고기 600그램 불고기소스 600그램분량 단무지 우엉 당근 2개 부추 1단 (마트사이즈) 깻잎 1묶음 (16장) 계란 6~7개 소고기는 불고기용 고기와 다짐육을 다 사용해봤는데 불고기용 고기는 좀 더 쫀쫀하고 다짐육을 사용한 김밥은 좀 더 부드러웠다. 불고기 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64082 부...
    Date2016.06.07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6 Views6796 file
    Read More
  5. 김치전골

    김치찌개 베이스에 원하는 재료를 추가해서 다양하게 먹기 좋은 김치전골. 김치찌개로 (4인분) 김치 4분의1포기 돼지고기 400그램 멸치육수 약 1.5리터(필요시 보충) 다진마늘 1스푼 청주 약간 김치전골로 (2인분) 김치찌개 2인분 어묵 약간 소시지 1개 떡 1줌 물만두 1줌 대파 1대 불린 당면 약간 두부 반모 팽이버섯 1개 추가로 멸치육수 1컵 간장 1스푼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으로 육수를 우려두었다. 찬물에 1시간정도 담가두고 중불~중약불이 1시간 끓이고 그대로 완전히 식힌 다음 걸렀다. 고기는 앞다리살이나 목살도 좋고 ...
    Date2016.06.1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2777 file
    Read More
  6. 차돌낙지볶음, 조방낙지 레시피

    원조할매낙지나 조방낙지, 개미집과 비슷한 스타일의 낙지볶음. 낙지, 새우, 소곱창을 넣은 낙곱새가 유명한데 소곱창의 고소한 소기름의 맛을 추가하기 위해 곱창대신 쉽게 살 수 있는 차돌박이를 사용했다. 새우는 마침 집에 딱 떨어져서 생략했는데 추가로 넣으면 더 좋다. 주재료에 차돌박이를 추가하면서 전에 만든 것 보다 육수와 양념의 양을 약간 늘였다. 내용은 거의 같지만 낙지볶음, 낙새볶음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29174&mid=hc10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멸치새우육수 약 2.5컵 낙지 약 230그...
    Date2016.06.11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6 Views9451 file
    Read More
  7. 4가지 버섯을 곁들인 불고기덮밥

    불고기를 굽고 육수를 부어 물전분으로 농도를 내고 여러가지 버섯을 구워 소스와 함께 밥에 얹어 덮밥을 만들었다. 버섯은 좋아하는 걸로 다양하게 준비하면 좋다. 사용한 재료는 약 2인분으로 불고기용 등심 400그램 불고기 양념 400그램 분량 양파 중간 것 1개 대파 1.5대 황태육수 300미리 간장 1스푼 조청 1스푼 참기름 약간 전분 1.5스푼 물 3스푼 (의 80%정도 사용) 팽이버섯 1봉투 표고버섯 4개 맛타리버섯 1봉투 새송이버섯 2개 불고기 양념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mid=hc10&category=211&document_srl=40715 불고기...
    Date2016.06.12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8 Views6521 file
    Read More
  8. 당면볶이

    떡볶이 양념에 떡과 오뎅은 약간만 들어가고 당면으로 채워 이름은 대충; 당면볶이. 떡볶이야 늘 만들던 대로 만드는 거라 머릿 속에 아무 아이디어도 없고 할 때 별 생각 없이 만들기 좋았다. 약 2~3인분으로 사용한 재료는 멸치황태육수 4컵 고운고춧가루 4스푼 고추장 2스푼 설탕 2스푼 조청쌀엿 3스푼 간장 1스푼 다진마늘 1.5스푼 아주 매운 고춧가루 0.5티스푼 후추 약간 양파 1개 대파 1대 떡볶이떡 4개 오뎅 약 2장 분량 당면 한줌 당면만두 김말이 당면이 양념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육수를 더 잡고 매운 고춧가루로 맵기를 조절...
    Date2016.06.13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10 Views8616 file
    Read More
  9. 돼지고기 찹쌀구이

    유자즙을 넣어 만든 상큼한 소스에 채소를 버무리고 그 위에 돼지고기 찹쌀구이를 얹어서 한접시를 차렸다. 고소한 맛을 더하기 위해 대파와 꽈리고추를 두 번 튀겨서 올렸는데 생략해도 좋지만 있으면 더 맛있다.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목살 약 450그램 불고기 양념 450그램 분량 x 0.8 찹쌀가루 약 1컵 로메인레터스 1개 양파 반개 오이 반개 꽈리고추 10개 대파 2대 드레싱으로 물 1스푼 식초+설탕 2스푼 유자즙 1스푼 메이플시럽 0.5스푼 다진 마늘 0.5스푼 다진 청양고추 2개 참기름 약간 불고기양념은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
    Date2016.06.16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11 Views14312 file
    Read More
  10. 새우빈대떡, 만들기, 재료

    불린 녹두를 갈은 반죽에 새우와 돼지고기를 넣어 새우빈대떡을 만들었다. 전에는 돼지고기를 볶아서 넣었는데 이번에는 새우와 돼지고기 둘 다 바로 넣어서 녹두에 잘 섞어서 부치니 고기가 씹히는 질감이 더 부드러웠다. 사용한 재료는 녹두 400그램 물 2스푼 찹쌀가루 2스푼 새우 200그램 다진 돼지고기 200그램 숙주 250그램 대파 2대 청양고추 6개 식용유 돼지고기는 지방이 적당히 섞인 부위로 사서 사용했다. 돼지고기 다짐육은 뒷다리만 다진 것보다 삼겹살, 앞다리, 뒷다리등을 섞어서 다진 코스트코다짐육을 사서 사용하는 편이다. 녹두는 ...
    Date2016.06.20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9 Views4661 file
    Read More
  11. 차돌박이 된장 순두부찌개

    냉동실의 차돌박이와 시장에서 산 순두부로 차돌박이 순두부 된장찌개. 얼큰한 차돌박이 순두부찌개는 여기 - http://homecuisine.co.kr/index.php?document_srl=38942&mid=hc10 사용한 재료는 멸치황태육수 약 300미리 된장 1.5스푼 고춧가루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국간장 1스푼(간보고 약간 더) 차돌박이 약 200그램 애호박 4분의1개 양파 반개 대파 반대 청양고추 2개 팽이버섯 1봉투 순두부 약 300그램 매번 올리는.. 미리 준비해둔 멸치황태육수. 육수는 멸치, 황태, 대파, 무, 다시마, 표고버섯에 정수한 물을 2.5리터이상 넉넉하게 붓고 찬물...
    Date2016.06.2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10 Views8260 file
    Read More
  12. 스팸 계란말이, 대파 계란말이, 순두부 계란찜

    밥에 김치 하나, 김 굽고, 반찬을 한 두가지 더 곁들이거나 간단하게 찌개 끓여 만드는 일상적인 밥상에 자주 오르는 계란말이. 계획없이 밥에 반찬으로 먹는 밥상에 만만한 계란말이, 계란찜이라 자주 만들어서 딱히 올릴 내용이 없기는 하다;; 사용한 재료는 계란 4개 스팸 작은 것 반캔 대파 식용유 스팸이 짭짤하니까 계란은 소금간을 하지 않고 미리 잘 풀어두고 스팸과 대파는 잘게 썰어서 스팸 먼저 볶다가 대파를 넣고 볶고 옆으로 밀어서 식용유 살짝 뿌려 키친타올로 슬쩍 닦아내고 계란물을 부었다. 부은 계란 위로 스팸과 대파를 얹어 약...
    Date2016.06.2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6 Views19796 file
    Read More
  13. 순살 양념치킨, 소스, 만드는법, 닭강정

    닭다리살로 만든 평범한 양념치킨. 고추장, 설탕, 케찹, 간장 등으로 만드는 양념치킨소스인데 여태 만들어 왔던 것을 기본으로 조금 덜 맵고 단순하게 만들었다. 소스는 타이트하게 좀 적다시피 만들었는데 소스가 넉넉한 게 좋으면 1.5배로 만들어도 괜찮다. 약 2~3인분으로 닭튀김으로 닭다리살 손질 후 600그램 소금, 후추 튀김옷으로 박력분 100미리 감자전분 50미리 타피오카 전분 50미리 소금, 후추, 카레가루, 갈릭파우더, 고운고춧가루 각각 0.5티스푼 생강파우더 약간 차가운 물 50미리 우유 80미리 양념으로 물 3스푼 + 감자전분 1/4 티스...
    Date2016.06.30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4 Views18478 file
    Read More
  14. 쌈무 만들기

    몇 년 전에 산 양배추용 슬라이스 채칼 ACB-657 이 무뎌져서 얼마전에 새로 하나 구입했다. 굵기가 조절되는 SFS-102으로 샀는데 날카로워서 위험하니까 조심하면서 사용하면 아주 유용하다. (채칼은 녹슬지 않게 사용 후 바로 흐르는 물에 씻어서 완전히 탈탈 털어서 다치지 않게 키친타올로 조심조심 닦아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집에 떨어지지 않게 만들어 두는데 새콤달콤한 간이 딱 맞게 식초, 설탕, 생수를 1:1:1로 늘 만들고 있다. 사용한 재료는 무 0.7개 소금 0.7스푼 식초 0.7컵 설탕 0.7컵 생수 0.7컵 무를 끝까지 썰면 채칼에 손이 베일...
    Date2016.07.0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6 Views11702 file
    Read More
  15. 돈까스 샐러드

    채소를 잔뜩 깔고 돈까스를 튀겨 올린 다음 고소하면서 달달하고 스파이시한 향이 약간 도는 드레싱을 뿌린 돈까스 샐러드. 사용한 재료는 돼지고기 등심 약 250그램 소금, 후추, 갈릭파우더 밀가루 계란 습식빵가루 튀김기름 양상추 약 3줌 양파 4분의1개 오이 반개 토마토 2개 몬테리잭치즈 한 줌 스파이시 허니머스타드 드레싱으로 마요네즈 약 150미리 (10스푼) 꿀 5스푼 다진마늘 2스푼 디종머스타드 2스푼 케이준시즈닝 1티스푼 터매릭파우더 약간 후추 약간 쪽파 약간 드레싱은 딱 맞게 만들려면 70%정도 만들면 적당하고, 남은 드레싱은 햄버...
    Date2016.07.06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8 Views6230 file
    Read More
  16. 고추 삭히기, 삭힌 청양고추

    소금물에 고추를 넣어 그대로 1달정도 삭힌 청양고추. 고추는 20%의 소금물에 잠기도록 담가 그대로 실온에 보관하기만 하면 삭힌 고추가 된다. 급할 때에는 소금물을 1번 팔팔 끓여서 거기에 고추를 넣으면 빨리 익는데 급한대로 3일정도 후에는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뜨거운 물로 만든 삭힌 고추는 오래보관할 용도가 아니라서 딱 사용할만큼만 만들어 쓰면 적당하다. 고추는 깨끗하게 씻어서 꼭지를 짧게 깎은 다음 꼭지를 덮은 부분을 떼어내고 완전히 말려서 준비했다. 고추에 생수를 붓고 생수를 부은 무게의 4분의1만큼 소금을 넣으면 딱 20...
    Date2016.07.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0 Views52887 file
    Read More
  17. 탄산수 물김치

    무와 배추를 1:1로 절이고 삭힌고추와 쪽파를 넣고 채소육수와 탄산수를 넣어 김치국물을 잡아 물김치를 만들었다. 전에는 물김치에 생수와 채소육수를 1:1로 넣는데 이번에는 탄산수를 넣었다고 그렇게 다이내믹하게 다르지는 않고 잘 익었을 때 쨍한 느낌이 1%정도 더 되는것 같다. 김치는 소금, 찹쌀풀, 당분이 충분히 들고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익는다 그러니까 덜짜고, 찹쌀풀이나 당분이 덜 들면 천천히 익고 온도는 -5도일 때 산도가 거의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더 익지 않는다. 내가 담은 김치는 약간 싱거운 것이 입맛에 맞아서 늘 ...
    Date2016.07.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7 Views11253 file
    Read More
  18. 보쌈, 보쌈김치, 삼겹살수육

    바로 본론. 약 4~6인분으로 ----------------------- 배추절임으로 알배추 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무절임으로 무 큰 것 반개 (아랫부분) (크기에 따라 1개까지 가능) 설탕 6스푼, 소금 1.5스푼 고운고추가루 2스푼 --------------------- 보쌈김치 양념으로 황태육수 90그램 (6스푼) 고춧가루 45그램 (6스푼) 조청 70그램 (4스푼) 마늘 30그램 (2스푼) 새우젓 45그램 (3스푼) 쪽파 1줌 -------------- 선택재료로 겨자잎 15장 깻잎 15장 소금 2스푼 물 2컵 --------------------- 8월 추가내용 큰 무 1개로 만들 때에는 ...
    Date2016.07.12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8 Views13257 file
    Read More
  19. 백순대, 볶음, 레시피

    동네 탑마트에서 진주햄 포차순대를 1키로에 3980원에 팔고 있어서 사왔다. 백순대는 두 달 전 올린 거라 거의 중복이긴 한데 그래도 맛있으니까 업로드ㅎㅎ 백순대 양념장으로 닭갈비 양념장 4스푼 백순대 약 2인분으로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 약간 순대 500그램 쫄면사리 1개 알배추 약 8잎 양파 반개 대파 1대 청양고추 3개 다진마늘 1.5스푼 깻잎 1묶음 부추 반 줌(생략가능) 팽이버섯 1봉투 맛소금 약간 후추 약간 참기름 약간 들깨가루 2~3스푼 지난번에도 올린 내용인데 후추는 보통은 통후추를 갈아서 사용하는데 백순대나 오리소금구이에...
    Date2016.07.14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7 Views6911 file
    Read More
  20. No Image

    차돌박이 부대찌개

    차돌박이를 넣은 부대찌개. 약간 슴슴하게 시작해서 끓이고 먹으면서 사리와 함께 졸아들면 간이 딱 맞도록 만들었다. 보통 부대찌개에 소고기민찌가 들어가는데 민찌 대신 한우차돌박이를 한 줌 사용했다. 육수는 편하게 레토르트로 나온 사골곰탕과 늘 우려두는 멸치황태육수를 반반 섞어서 사용하고 사리는 납작당면, 라면사리를 넣었는데 취향에 따라 떡, 마카로니, 물만두, 팽이버섯 등을 취향에 맞게 추가하면 적당하다. 나는 납작감자당면을 엄청 좋아해서 납작당면 많이 넣는 것이 가장 좋았다. 베이크드빈스는 보통은 넣는 것이 맞는데 베이...
    Date2016.07.1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8 Views5992
    Read More
  21. 문어숙회

    저녁에 동네마트에서 싱싱한 돌문어를 사와서 문어숙회. 문어나 오징어등의 두족류는 치밀하고 섬세한 근섬유와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볍게 익혔을 때 아삭하고 촉촉하면서 쫄깃쫄깃하고 57도를 넘으면 질겨지기 시작한다. 전체 온도가 100도가 되면 문어의 촉촉한 맛이 줄어들면서 계속 질겨지기 시작한다. 문어를 장시간 조리하면 (소갈비의 질겨진 조직이 부드럽게 익듯이)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용해되어 부드러워진다. 그래서 남부유럽의 조리법에는 문어를 1시간이상 익혀서 부드럽게 하는 경우가 있다. 스페인식 문어요리 뽈뽀 - https...
    Date2016.07.16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37977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