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전골 탕
2021.11.12 04:29

양지만두전골

조회 수 2197 추천 수 0 댓글 2

 

 

 

 

가끔씩 본 적도 먹어본 적도 없는 전골 아이디어가 갑자기 떠오를 때가 있는데 그 중에도 기억에 남는게

수육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73604

라면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99222

이다. 근데 아이디어랄 것도 없는게 사실 전골이 재료가 다 거기서 거기이긴 하다.

 

어쨌든 이번에는 양지만두전골이다.

 

 

 

양지로 끓인 얼큰한 전골 베이스에 사골육수, 전골다대기, 물을 넣어서 전골국물의 양과 간을 맞추고 알배추, 팽이버섯, 대파, 만두로 구성해봤다.

 

양지전골베이스나 파개장 끓이는 것이나 거기서 거기니까 그 중에서 가장 손이 덜가는

간단육개장, 파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104862 을 만들어서 사용한다.

IMG_0499.JPG

 

 

양지와 대파가 듬뿍인 얼큰하고 찐한 육개장에 사골육수와 전골다대기가 들어가서 감칠맛을 더한다. 알배추와 팽이버섯을 넣어서 건져먹을 것도 많다. 배추를 완전 많이 넣을수록 국물도 더 깔끔하고 맛있어진다. 만두를 넣고 만두가 속까지 잘 익도록 끓이면 뭐 하나 부족할 것 없이 맛있다.

 

 

 

재료

 

육개장이나 파개장 2인분

사골육수 500미리

물 0.5~1컵 (간보고 가감)

전골다대기 1스푼 (간보고 가감)

알배추 7~8장

팽이버섯 1봉투

대파 흰부분 2대

만두 6~10개

사리 1인분

(불린당면이나 삶아서 헹군국수 / 칼국수사리)

 

 

 

만두는 비비고 수제 어쩌고 진한고기만두를 사용했다(청양고추 든 것x). 구워먹기 좋은 만두나 짭짤한 교자만두보다는 제목에 평양이나 이북이 들어가는 슴슴한 만두가 잘 어울린다. 만두는 냉동만두를 넣으면 안되고 완전히 해동된 다음 실온에 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쪄서 넣으면 더 좋다.

냉동만두밖에 없는데 전골을 하고 싶다면 반드시 쪄서 넣어야 한다. 만두피를 보존하고 싶다면..

 

사태수육은 겨자간장에 찍먹했는데 얼큰하니까 따로 찍어먹을 장이 굳이 필요하지는 않다.

하지만 취향에 따라 사태수육이나 라면전골에 있는 겨자간장을 준비해서 채소와 만두를 찍어먹으면 더 좋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전골다대기가 없다면 고운고춧가루, 국간장, 다진마늘을 1티스푼씩 넣고 후추 약간 넣어서 육수에 양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냉동했던 육개장을 해동하고 냉동 만두는 완전히 해동하거나 쪄서 준비한다.

 

2. 사리당면은 30분이상 불린다. 알배추, 대파는 먹기 좋게 썰고 팽이버섯은 밑동을 자르고 한 번 씻어서 준비한다.

 

3. 육개장, 사골육수, 물, 전골다대기를 냄비에 넣고 한 번 끓인다. 끓인 상태에서 아주 약간 싱겁게 간을 맞춘다. (아주 약간 싱겁게 간을 맞추면 채소를 넣은 상태에서 약간 싱거워지는데 만두 넣고 건져먹으면서 조금 졸아들면서 국물 먹을 때 간이 딱맞게 된다.)

 

4. 준비한 채소를 넣고 끓인다.

 

5. 채소가 익으며 숨이 죽으면 만두를 넣을 공간이 생긴다. 만두를 넣고 적당히 익으면 속이 금방 뜨겁게 익도록 젓가락으로 찔러서 속까지 익힌다.

(냄비가 크면 채소와 만두를 같이 넣어도 좋다. 만두를 미리 쪘으면 채소가 적당히 익은 다음 만두를 넣는다.)

 

6. 적당히 먹고 난 다음에는 불린 당면을 넣고 잘 저어가면서 당면이 투명하도록 익힌다.

 

 

 

1.

IMG_1625.JPG

 

 

2.

IMG_5010.JPG

 

 

IMG_5011.JPG

 

 

IMG_5012.JPG

 

 

3. 육개장, 사골육수, 물, 전골다대기

IMG_1628.JPG

 

 

IMG_1630.JPG

 

 

 

4. 채소 듬뿍. 채소는 당장 집에 있는 걸로 사용했는데 좋아하는 걸로 골고루 넣으면 당연히 더 좋다.

IMG_1632.JPG

 

 

배추 대파는 추가로 더 듬뿍듬뿍

IMG_1637.JPG

 

 

 

양지가 적당히 익고 배추도 살짝 숨이 죽으면 만두 넣을 자리가 좀 생긴다.

IMG_1641.JPG

 

 

 

5. 냉장해동하고 실온에서 냉기를 뺀 만두. 만두는 너무 많이 넣으면 국물이 탁해지니까 6개정도면 적당한 것 같다. 10개면 맥시멈. 쪄서 넣는 것이 가장 좋다.

IMG_1646.JPG

 

 

IMG_1659.JPG

 

 

만두를 젓가락으로 한 두 번 찌르면 속까지 좀 빨리 익는다. 단단한 느낌이 없도록 잘 익혔다.

IMG_1660.JPG

 

집시에 덜어서 식혀가며 맛있게 먹고

 

 

6. 마지막으로 불린 당면사리 추가. 당면은 처음부터 넣어도 되는데 먹는 동안 당면이 부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마지막에 넣었다.

IMG_1665.JPG

 

 

당면이 투명하도록 익힌다. 각종 재료로 인해 구수하고 진하고 달큰해진 국물에 투명한 당면이 호로록하니 또 맛있다.

IMG_1668.JPG

 

 

육개장을 미리 만들어 뒀으니 전골 만들 때는 아주 편하다.


고기도 채소도 국물도 만두도 당면도 빠지는 것 하나 없이 골고루 맛있어서 올해의 전골상에 벌써 노미네이트 되어 있다ㅎㅎ

 

 

  • 남편바라기 2021.12.05 16:52
    '뭐 하나 부족할 것 없이 맛있다' 라는 말씀이 왜이렇게 와닿고 좋을까요ㅋㅋㅋㅋㅋ들어가는 건더기 재료들도 하나같이 제가 좋아하는 재료들이라 그런가, 왠지 맛있게 만들고 후하후하 먹고있을 가까운 미래의 제모습이 그려져요*_*팽이버섯 정말 좋아하는데, 진한 육숙에 푹 익은 버섯 한덩어리 꺼내서 양지고기와 먹는 맛이 각별할것같아요. 남편은 만두귀신이니 만두까지 모두 만족할 메뉴가 되겠어요. 간단육개장 레시피 보러가야겠어요...감사해요 윤정님!!^-^♡
  • 이윤정 2021.12.06 03:36
    아이구 이리 하나하나 맛있게 마음에 담아주시는 마음이 막 와닿아서 넘넘 감사해요.
    메인 요리 하나 해가지고 고기며 채소며 국물이며 밥이며 면이며 다 해결되니 역시 겨울은 전골이고 역시 전골은 개이득입니다ㅎㅎㅎ
    바로 전에 댓글 다신 떡볶이 취향이 저희집과 세트로 똑같은 것도 그렇고 만두귀신까지.. 남편분 어디서 데리고 오셨는지(농담인데 실례라면 죄송해요!) 저랑 비슷한데서 데리고 오신걸까요ㅎㅎㅎㅎ

  1. 낙곱새X 문곱새O

    낙곱새의 낙지 대신 문어를 사용했다. 낙곱새가 언제나 그렇듯이 볶음이라기보다 짜작한 전골에 가깝다. 보통 낙곱새에는 수입낙지가 들어가는데 국산 생물 낙지를 사용하려면 아주 비싸다. 국산 생물 낙지로 낙곱새 만들자면 가격이 만만치 않은데 소문어를 사면 가격이 낙지보다 저렴하기도 하고 맛있기도 하다. 2인분으로 문어 300그램 (손질 후) 한우대창 100그램 새우 한 줌 대파 흰부분 2~3대 (넉넉히) 양파 1개 당면 100그램 (미리 불리기) 전골다대기 1회분 사골육수 500미리 추가사리로 삶은 라면이나 냉동우동, 냉동중화면 전골다대기 http...
    Date2020.08.2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 Views2236 file
    Read More
  2. 양지만두전골

    가끔씩 본 적도 먹어본 적도 없는 전골 아이디어가 갑자기 떠오를 때가 있는데 그 중에도 기억에 남는게 수육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73604 라면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99222 이다. 근데 아이디어랄 것도 없는게 사실 전골이 재료가 다 거기서 거기이긴 하다. 어쨌든 이번에는 양지만두전골이다. 양지로 끓인 얼큰한 전골 베이스에 사골육수, 전골다대기, 물을 넣어서 전골국물의 양과 간을 맞추고 알배추, 팽이버섯, 대파, 만두로 구성해봤다. 양지전골베이스나 파개장 끓이는 것이나 거기서 거기니까 그 중에서 가장 손...
    Date2021.11.12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2 Views2197 file
    Read More
  3. 찌개맛된장으로 곱창만두전골

    찌개맛된장 만들어 둔 것으로 만두전골을 만들면서 대창을 넣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구수한 된장에 대창기름이 살짝 자글자글하니 아주 잘 어울린다. 만두전골에 알배추 넣는 걸 좋아하는데 당장 있는 채소가 별로 없어서 간단하게 애호박, 양파, 대파만 사용했다. 사용한 재료는 대창 100그램 만두 8개 애호박 반개 양파 1개 대파 흰부분 1대 두부 1모 물 (재료가 살짝 잠길정도) 찌개맛된장 작은국자로 1국자 고춧가루 반숟가락 냉동우동사리나 냉동중화면사리 1개 (삶은라면사리나 불린당면사리 넣을 시에는 물 더 추가하기) 당장 집에 있는 재...
    Date2020.09.0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4 Views2097 file
    Read More
  4. 낙곱새 양념으로 소고기두부조림

    소고기두부조림이라고 해야할지 두부두루치기라고 해야할지 두부짜글이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는데 어쨌든 사골육수 + 낙곱새양념 + 샤브샤브용 소고기 + 두부 + 양파 대파 의 짜글짜글한 조합이다. 이전에 올린 걸로는 낙곱새양념+곱창+두부 = https://homecuisine.co.kr/hc10/97628 낙곱새양념+대패+두부 = https://homecuisine.co.kr/hc10/96856 낙곱새양념+차돌+두부 = https://homecuisine.co.kr/hc10/90307 낙곱새양념은 냉동실에 상주해있으니까 편하게 이것저것 만들어 먹는다. 전골다대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재료 두부 5...
    Date2021.08.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2011 file
    Read More
  5. 낙곱새양념으로 곱창두부두루치기

    대창을 볶아 대창기름에 양념을 넣고 큼직한 손두부와 함께 자작하도록 끓여서 얼큰하고 고소한 곱창두부두루치기. 고추장없이 하는 양념은 이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이고 https://homecuisine.co.kr/hc10/89372 고추장이 1티스푼 들어가는 양념은 전골다대기이다. https://homecuisine.co.kr/hc10/95421 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에는 고추장 없이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전골다대기(=낙곱새양념)을 사용했다. 맛은 대동소이하다. 내용은 전에 올린 곱창두부두루치기의 내용과 거의 같다 (=복사해옴) 재료 두부 700그램 1모 곱창 100그램 (볶기)...
    Date2020.10.21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3 Views1951 file
    Read More
  6. 부대볶음

    매번 똑같은 부대볶음. 재료 양배추 4분의1통 대파 흰부분 2대 김치 2~3잎 스팸 작은 캔 1개 소세지 2~4개 베이컨 100그램 (햄 소세지 베이컨 다 합해서 약 600그램) 양념장 고운고춧가루 18그램 (2.2스푼) 고추장 25그램 (1스푼) 간장 15그램 (1스푼) 친수피시소스 5그램 (1티스푼) 다진마늘 50그램 (2.5스푼) 생강약간 (생략가능) 후추톡톡 미림이나 청주 14그램 (1스푼) 사골육수 300미리 냉동사리 1인분 (중화면이나 우동) 1. 양배추는 큼직하게 썰고 대파는 어슷썰어둔다. 김치도 2센치 크기로 썬다. 햄과 소세지는 얇게 썰고 베이컨은 적당히 ...
    Date2022.09.3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 Views1868 file
    Read More
  7. 낙곱새 대신 낙곱쏘

    낙곱새라는게 일종의 짜글짜글한 전골이라 주재료+채소+전골다대기+육수+사리의 조합으로 어떻게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 재료 고운고춧가루 150그램 고추장 60그램 간장 100그램 친수피시소스 100그램 다진마늘 250그램 다진대파 흰부분 250그램 미림 75그램 설탕 50그램 후추 1티스푼 생강가루 1티스푼 (생강즙 30) (생략가능) = 약 1065그램 = 5회분 = 1회분에 200그램 낙곱새로 검색한 링크 https://homecuisine.co.kr/index.php?mid=board_secret2&act=IS&is_keyword=%EB%82%99%EA%B3%B1%EC%83%88&where=document&search_...
    Date2022.09.14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0 Views1796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