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1504.JPG

 

 

어릴 땐 가지나물을 못(안)먹었는데 나이가 들었는지 해볼까 싶어서 해보니까 의외로 입맛에 맞아서 올해 여름에 잘 해먹었다.

 

 

가지를 찜통에 찌고 뜨거울 때 국간장과 피시소스를 무쳐서 간을 하고 가지에서 나오는 수분이 자박하게 그대로 두고 식힌다. 가지나물은 식혀서 냉장고에 넣었다가 차게해서 먹으면 더 맛있다. 참기름은 먹기 전에 나물을 접시에 담고 그 위에 살짝 뿌린다. 친수피시소스를 사용했다. 좋아하는 액젓을 사용해도 좋다.

 

무나물도 콩나물도 가지나물도 나물 국물 자작하게 늘 엄마께서 해주시는 대로 먹어왔고, 먹던 대로 만드는거니 만들 때도 똑같이 만드는데 엄마께서 하신대로 그대로 하려면 멸치나 황태육수 혹은 적어도 채소육수 등 육수를 써야했다. 좀 편하게 하려고 피시소스를 쓰고 그러고 있다. 

 

지난 제사 때에 엄마께 가지나물에 뭐 쓰셨냐고 여쭤보니까 가지찌고 국간장 참기름이 끝이었다. 근데도 좋아하지도 않던 가지나물이 넘 맛있어서 역시 엄마 손맛ㅋㅋ 했었다.

 

바로 이어서 무나물은 여기 https://homecuisine.co.kr/hc10/105621

 

 

재료

가지 3~4개

국간장 2티스푼

피시소스 2티스푼

참기름 약간

 

가지도 크기가 다 달라서 딱히 정해진 분량을 넣는 건 아니고.. 약간 심심하게 무친 다음에 한 번 먹어보고 그래도 싱거우면 간을 더하는데 그래도 살짝 심심하게 간을 맞춘다.

 

 

1. 가지 썰고 찜통에 찌기

2. 꺼내서 그릇에 담아 국간장과 피시소스로 살살 무친다.

3. 완전히 식혀서 냉장보관 이면 끝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가지는 길이로 3등분하고 2~8등분해서 5~6분간 찜통에 찐다.

좋아하는 식감 취향에 따라 껍질을 벗기는 것도 좋은데 가지의 보라색이 영양이 어쩌고... 그런데 일단 좋아해야 먹는거니까 취향에 맞추는 게 좋다. (=나는 껍질 없는 게 좋음)

 

가지를 껍질 째 찔 경우에는 가지 껍질면이 윗면을 향할 경우 껍질에 수증기가 맺혀서 떨어지면서 무늬가 생기는데 먹기는 똑같지만 보기는 살짝 안좋다.

 

가지를 쪄보면 그냥 볼 때는 익었는지 안익었는지 감이 안오는데 젓가락이나 집게로 집었다가 놨을 때 누른자국이 진하게 생기면 다 익은 것이다.

눈으로 보기에 아 잘익었다 싶으면 너무 익은 것이다. 너무 무르게 익히면 나물로 무친 다음에 너무 풀어지니까 단단해보이는데 잡아보니까 자국이 생기네 싶으면 불을 끈다.

 

 

2. 건져서 바로 찢은 다음 국간장과 피시소스를 넣고 뜨거울 때 넣고 무쳐야 생간장과 액젓의 향이 휘발되어서 먹기 좋다.

손말고 도구를 사용해서 너무 으깨지지 않게 살살 버무리고 살짝 누르면 국물 나와서 국물에 잠기게 된다.

 

 

3. 이대로 식혀서 먹는데 냉장고에 넣었다가 먹는 것이 더 낫다. 참기름과 깨는 먹기 직전에 살짝 넣고 버무리는 것이 좋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가지 쪄 진 느낌.

IMG_1423.JPG

 

 

찌기 전이랑 똑같이 생겼고 부피도 그대로인데

IMG_1425.JPG

 

 

 

이렇게 쪽쪽 찢어진다. 뜨거울 때 찢으려고 포크랑 집게 사용.

IMG_1428.JPG

 

 

 

국간장이랑

IMG_1430.JPG

 

 

 

친수피시소스를 넣고 살살 무친 다음에

IMG_1431.JPG

 

좀 눌러주면 나물이 잠긴다.

 

수분이 많아서 무치는 동안에도 간이 바뀐다. 무친 다음에 간을 보고 너무 싱거우면 살짝 싱겁게 되도록 간을 맞추면 적당하다.

뜨거울 때 무치면 식으면서 향이 휘발되어서 간장맛이나 피시소스맛이 나지 않고 감칠맛이 있으면서 심심하지 않게 맛이 적당해진다. 아까도 이야기했듯이 참기름이나 깨는 필요하면 먹기 직전에..

 

 

식히고 냉장고에 넣었다가 꺼내면 이렇게.

IMG_1504.JPG

 

보들보들하니 맨입에 먹기도 좋다. 어릴 땐 안먹던 맛인데 나이 먹으니 맛있고 그렇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래는 껍질있는 버전인데 껍질이 있으면 맘대로 찢어지지가 않아서 가지를 미리 썰어서 쪘다.

 

IMG_1268.JPG

 

 

 

수증기 때문에 이런 모습이 된다.

IMG_1277.JPG

 

어쨌든 똑같이 집었을 때 자국이 생기면 다 익은 것이다.

 

 

하나씩 집어서 그릇에 담고 국간장, 피시소스 넣고 젓가락으로 살살 무쳐서 살짝 누르면 이렇게 잠긴다.

 

IMG_1285.JPG

 

 

 

껍질이 있도록 나물을 만들면 냉장보관한 다음에는 가지나물 전체에 보라색물이 들어서 색이 짙어진다. 맛은 똑같으니까 몸에 좋겠거니 하고 먹으면 몸에 좋을 것 같다.

 

IMG_1318.JPG

 

가지나물 그 자체로도 괜찮지만 고기반찬에 사이드로 곁들이면 촉촉하고 슴슴하니 맛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최근에 가지나물, 무나물을 자주 만들어두니까 비빔밥을 할까 싶은데 장보러 나가긴 싫고 해서 뭘할까 하다가 김치볶음을 푹 익히고 바특하게 볶아서 비빔밥에 넣었다.

 

찌개맛된장을 사용해서 된장찌개를 끓이는데 https://homecuisine.co.kr/hc10/102975 물을 적게 잡고 비벼먹기 좋게 아주 짜글짜글하게 끓여서 곁들였다.

 

 

 

가지나물, 무나물, 김치볶음, 떡갈비, 계란반숙, 고추장, 참기름으로 비빔밥.

 

IMG_1397.JPG

 

 

IMG_1400-.jpg

 

 

IMG_1409.JPG

 

 

 

 

또 어떨 때는 무나물, 가지나물, 짜글된장에 고추장, 참기름, 계란반숙 해서 비빔밥을 했다.

IMG_1517.JPG

 

 

 

IMG_1519.JPG

 

 

 

무나물은 여태 자주도 올렸지만 요즘 무가 맛있는 계절이라 무나물 만들기 딱 좋아서 내일 또 업로드할 예정이다.

제철 무로 음식을 하면 김치건 무침이건 조림이건 나물이건 두루두루 식감도 좋고 달큰하니 맛있어서 만드는 재미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4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생채무침 작년에도 올렸던 콜라비생채. 요즘 콜라비가 큼직하고 단단하니 먹기 좋은 계절인데 마트에 흔하게 있어서 한박스 사왔다. 무보다는 콜라비로 생채 담는 걸 좋아... file 이윤정 2022.01.09 3354
1063 고기 세상에서 제일 재미없는 등갈비김치찜 세상에서 제일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해봤다.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제일 좋은, 제일 쉬운, 이런 좋은 거 다 놔두고 재미가 없기로 세상에서 제일인.. 재료 2... 6 file 이윤정 2022.01.04 4413
1062 한그릇, 면 김치우동 카테고리가 한식인데 김치가 들어가면 다 한식임... 그냥 김치우동.. 이라고 하고 본론으로 넘어갈까 하다가 수다를 좀 떨기 시작하고 있다. 우동에 무와 오뎅을 ... 4 file 이윤정 2022.01.01 5457
1061 반찬 단무지무침 레시피 요즘 코로나 때문에 남편이 도시락을 싸다니는데 같이 도시락 먹는 회사동료분의 어머니께서 내일 세상에서 제일 귀한 음식인 엄마김밥을 넉넉하게 싸주신다고 해... file 이윤정 2021.12.28 4322
1060 반찬 쫀득한 우엉조림, 윤기나는 우엉조림, 레시피 우엉조림은 조리상태에 따라 질감의 차이가 꽤 큰 반찬이라서 아삭하게 할 수 도 있고 쫀득하게 할 수도 있다. 투명한 느낌이 나면서 전혀 아삭하지 않고 쫀득하... 4 file 이윤정 2021.12.27 10622
1059 한그릇, 면 닭곰탕 닭을 삶아서 닭고기를 바르고 국물을 같이 먹는 닭곰탕. 삼계탕이 이름도 그럴싸하고 1인 1닭에 보기 좋게 나오는데 비해서 닭곰탕은 상징적인 의미가 적어서 그... file 이윤정 2021.12.26 3855
1058 반찬 김치참치조림, 김치 참치 볶음 보통 김치조림이나 김치찜, 김치찌개를 할 때는 김치의 익은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20분이상, 40분까지 오래 익혀서 투명하게 익도록 하는 편이다. 그 시간 ... 4 file 이윤정 2021.12.24 4442
1057 고기 등갈비수육 수육을 할 때 피시소스, 대파, 마늘, 통후추를 넣는 액젓수육을 여러번 올렸었는데 그 등갈비 버전이다. 액젓수육은 자주 해먹는 거라 이번에는 등갈비를 사와서 ... file 이윤정 2021.12.21 6115
1056 일상 고기순대볶음밥 볶음밥은 밥상태가 적당하고 사용하는 (무쇠)후라이팬이 말을 잘들으면 늘 맛있다. 자주 하기로는 김치볶음밥 계란볶음밥 등 간단한 볶음밥을 자주 하지만 글 올... file 이윤정 2021.12.18 3966
1055 전골 탕 얼큰한 우거지 양지탕 김장철에 김장도 안하면서 푸른잎이 있는 알배추를 한박스를 샀다. 겉절이 좀 해먹고 샤브샤브도 좀 해먹고 남은 푸른 배춧잎을 데쳐서 일부는 냉동하고 일부는 ... 2 file 이윤정 2021.12.15 4438
1054 반찬 고구마튀김 시판 튀김가루, 차가운 물, 고구마, 식용유가 끝인 고구마튀김이라 별 내용은 없지만 고구마튀김에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거나 고구마튀김을 해 본 적이 없다면 ... 2 file 이윤정 2021.12.11 8452
1053 한그릇, 면 떡국 떡국이 제철이려면 아직 멀었는데 떡국을 좋아해서 제철 상관없이 연중 자주 해먹는다. 떡국보다는 떡만둣국을 라면처럼 넘 막해먹다보니 뽀얀 떡국만 끓여 그릇... 2 file 이윤정 2021.12.06 4937
1052 전골 탕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2 file 이윤정 2021.11.30 5197
1051 국 찌개 차돌된장찌개 늘 편하게 해먹는 된장찌개. 해산물 들어간 것도 아주 좋아하는데 재료를 늘 구비하기에는 해산물보다 냉동차돌박이가 만만해서 차돌박이 된장찌개를 자주 만든다... 2 file 이윤정 2021.11.27 5535
1050 한접시, 일품 지코바st양념으로 갈매기살 양념바베큐 1. 갈매기살로 양념구이를 하면 어떨까? 올ㅋㅋ 2. 하는 김에 지코바양념에 고운고춧가루가 안들어가는 것 같아서 양념레시피를 좀 바꿔서 테스트ㄱㄱ 1-1. 갈매... 2 file 이윤정 2021.11.23 6867
1049 소스 떡볶이양념, 떡볶이, 쫄볶이, 순대볶이 여태 수도 없이 해먹고 또 가끔 올린 떡볶이인데 이번에 올리는 버전은 디테일이 아주 약간 바뀌었다. 재료 간장 200그램 조청 800그램 물엿 200그램 고추장 400... 3 file 이윤정 2021.11.19 11914
1048 고기 사태편육, 사태수육 이렇게 간단하고 그저그런 걸 좋아하는 사람이 있긴 하나 싶은 사태편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편육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삶아 눌러서 물기를 빼고 얇... file 이윤정 2021.11.16 4566
1047 전골 탕 양지만두전골 가끔씩 본 적도 먹어본 적도 없는 전골 아이디어가 갑자기 떠오를 때가 있는데 그 중에도 기억에 남는게 수육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73604 라면전... 2 file 이윤정 2021.11.12 3354
1046 전골 탕 부대찌개 조금만 추워지면 바로 생각나는 부대찌개. 여태 올린 것과 대동소이하다. 양파, 대파에 햄, 소세지, 베이컨, 차돌박이 등 햄파티를 하고 그 위에 김치, 베이크드... 2 file 이윤정 2021.11.10 4772
1045 반찬 무나물, 비빔밥 어제 올린 가지나물에 이은 무나물이다. 가지나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105593 1. 먼저 채썰기 일단 채썰기의 기본은 오른손잡이 기준 얇게 ... 2 file 이윤정 2021.11.06 3845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