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0524.JPG

 

 

요즘 저렴한 대파를 듬뿍 넣은 육개장. 파개장이라고 볼 수도 있고 육개장이라고 불 수도 있고 그렇다.

양지와 대파, 무를 기본으로 토란대나 고사리, 표고버섯, 숙주 등 좋아하는 걸로 추가한다. 육개장에 계란은 취향따라 갈리는데 우리집은 안넣는 편이라 패스..

 


고기 삶다가 양념하고 무, 대파 등 준비한 재료 전부 넣고 끓이다가 중간에 고기만 한 번 건져서 얇게 썰어서 다시 넣는다. 고기가 부드럽도록 익을 때까지 푹 끓이면 끝이다.

 

 

전에는 고기도 먼저 삶아서 건지고 파도 따로 데쳐서 넣고 육수도 미리 내고 고추기름도 넣어서 만들었는데 이렇게 만들면 물론 더 맛있지만 이번에는 최소한의 재료로 미리 준비할 것도 없이 완전 간단한 버전으로 만들었다. 생략한 요소 중에 고추기름은 있으면 넣는 게 더 낫다. 없으면 생략해도 괜찮다.


토란대는 사오면 전부 불리고 삶고 손질해서 냉동하는 편인데 그렇게 미리 손질한 토란대 냉동한 것이 있어서 두 줌 해동해서 넣었다. 뭇국이 아니니까 무는 국물에 시원한 맛이 들 정도로 넣고, 삶는 동안 녹듯이 으깨져서 먹을 때는 있는지 없는지도 알지 못하게 푹 끓였다.

 

 


사용한 재료는 약 6~8인분으로
(밥상에 넉넉한 국으로8인분, 국밥으로는 6인분)

 

소고기 양지 900그램 (국거리 사용)
무 3~4센치
대파 500그램 (1단) (최소 고기 무게의 반 이상)
손질한 토란대 2줌 (그 외 추가재료 취향껏)

황태육수나 물2리터 (필요하면 물추가)
국간장 5스푼
피시소스나 액젓 1스푼
고운고춧가루 4스푼
고춧가루 2스푼
다진 마늘 4스푼 80그램

고추기름 3스푼 (없으면 생략)

 

 

1. 덩어리 고기는 미리 50분~1시간 정도 거품을 걷어가며 삶는다. 국거리용으로 썬 것은 1번 생략하고 바로 2번으로ㄱㄱ

 

2. 토란대 미리 손질해서 준비한다. 무는 나박나박하게 썰고 대파는 반으로 갈라서 큼직하게 썬다.

토란대는 하룻동안 불리고 30분간 삶고 다시 하룻동안 우려내서 꼭 짜고 냉동해 둔 것을 사용했는데 취향에 따라 손질한다.


3. 고기를 삶는 냄비에 분량대로 양념을 하고 준비한 토란대, 무, 대파 전부 다 넣고 끓이기 시작한다.

(토란대가 덜 부드럽게 손질됐다면 1번에 토란대를 같이 넣고 삶아서 토란대를 부드럽게 한다. 토란대는 생략가능)

 

4. 무가 무르게 익을 때까지 더 끓인다. 필요하면 중간중간을 물을 추가 한다.


5. 고기를 건져서 살찍 식히고 얇게 썬 다음 다시 냄비에 넣는다. (국거리 사용했으면 생략)

 

6. 고기를 먹어보고 고기의 부드러운 상태에 따라 최소 30분에서 1시간 더 고기와 대파, 토란대가 전부 부들부들할 때까지 푹 끓인다.

고기가 부드럽게 익고 적당히 졸아들면 더이상 물을 추가하지 않고 그대로 완성한다. 이유는 소분하기 위해서이다.

 

7. 식혀서 소분하고 먹을만큼 해동한 다음 물을 붓고 간을 맞춰서 먹는다.

 


늘 하는 이야기지만
국을 넉넉하게 만들면 냉장이나 냉동보관해서 먹게 되는데 이 때 냉장고에 들어가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졸이듯이 완성하고 소분 냉동 하는 편이다. 해동해서 데워먹을 때 국물양이나 국간이 딱 맞게 물을 추가한다. 국물 양을 늘이느라 물을 좀 더 부을 때는 마지막에 간을 보고 국간장을 좀 더 넣기도 한다.

 

당면을 불리고 삶아서 넣어줘도 좋다. 당면 넣을 땐 같이 마지막으로 끓여서 당면의 부들부들한 익힘 정도를 맞춘다.

소면을 넣을 떼는 소면을 삶고 헹구고 국에 넣었다 건져서 토렴하고 국은 조금 더 데워서 육개장+소면으로 밥상에 올리기도 한다. (귀찮..)

 

 

 

1. 양지는 겉을 구워서 물을 붓고 1시간정도 삶는다. 국거리용으로 썬 것을 사용하면 미리 삶지 않아도 괜찮다.

IMG_0474.JPG

 

 

 

2. 고사리, 무, 대파 등 재료를 준비한다.

IMG_0484.JPG

 

 

 

 

3. 고기를 삶는 냄비에 준비한 양념과 재료 전부 다 넣는다.

IMG_0481.JPG

 

 

IMG_0486.JPG

 

 

 

4. 무가 무르게 익을 때까지 더 끓인다. 필요하면 중간중간을 물을 추가 한다.

 

IMG_0489.JPG

 

 


5. 고기를 건져서 살찍 식히고 얇게 썬 다음 다시 냄비에 넣는다. (국거리 사용했으면 생략)

IMG_0492.JPG

 

 

 

IMG_0494.JPG

 

 

 

6. 고기를 먹어보고 고기의 부드러운 상태에 따라 최소 30분에서 1시간 더 고기와 대파, 토란대가 전부 부들부들할 때까지 푹 끓인다.

냄비 안의 모든 재료가 흐들흐들한 느낌이 들도록 끓이는데 중간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물을 보충한다.

IMG_0499.JPG

 

 

 

IMG_0501.JPG

 

 

 

6. 마지막 졸아들었을 때는 냉동보관을 위해 더 물을 넣지 않고 이대로 끝냈다. 고기와 대파, 토란대는 완전 부드럽다.

IMG_0503.JPG

 

 

 

7. 식혀서 소분하고 먹을만큼 해동한 다음 물을 붓고 간을 맞춰서 먹는다. 아래는 레시피분량대로 끓인 다음 소분한 것의 2인분 분량.

IMG_0504.JPG

 

 

물을 붓고 데워서 간을 맞춘다.

IMG_0506.JPG

 

 

간 딱 맞춰서 완성.

IMG_0524.JPG

 

 

 

IMG_0531.JPG

 

 

 

IMG_0535.JPG

 

파개장 국물은 찐하고 얼큰 시원한데 잘 익은 양지와 부들부들한 대파, 토란대가 듬뿍이다.

 

냄비에 이것저것 재료를 준비하는 대로 차례대로 넣고 푹 끓이기만 하면 되니까 (덩어리 고기 사용하면 고기를 얇게 써는 건 해야 하기는 하지만..) 마음먹고 만들지 않고 일상적으로 선뜻 만들기 편해서 손이 자주 간다.

 

 

 

 

 

 

  • 땅못 2021.09.06 22:01
    고기 썰려진 결만 봐도 맛있겠어요!! 저는 육개장에 토란대랑 고사리 표고 숙주 다 흐늘흐늘해져서 국물맛이 쫙 배어있는 거 너무 좋아해요♡♡ 간단버전이라지만 사진은 너무 맛있어보여요 ㅎㅎ♡ 요새 파가 저렴해서 파를 듬뿍 이용하는데 파개장도 한번 해야겠네요. 잘 지내시나요? 가을 소나기가 빈번하고 감기도 잘 걸리는 철이에요. 늘 건강하시길 바라고...해먹는 밥이 힘들어질 때 늘 힘 받고 가요♡ 감사합니다!!^^♡
  • 이윤정 2021.09.08 02:27
    땅못님 잘 지내고 계시죠? 닉네임만 봐도 언제나 안부가 궁금해요ㅎㅎ
    저하고 육개장 취향이 똑같으신걸요ㅎㅎㅎ 여름에 힘에 부칠 때 끓인거라 재료도 대충 준비했지만 안하는 것보단 낫다고 생각해서 간단하게라도 끓여먹다보니 손에 더 많이 익고 또 어떨 때는 힘이 나서 이것저것 재료 준비해서 해먹게 되고 그런 것 같아요ㅎㅎ
    대파 요즘 저렴해서 냉동실에 저장도 하고 파개장도 해먹고 그러고 있어요. 대저에 파밭이 진짜 많은데 그래서 그런지 명지 이마트트레이더스 대파가 저는 좋더라고요ㅎㅎ 땅못님 가시기에는 부산항대교에 남항대교에 을숙도대교까지 타야해서 좀 멀려나요? 남천동 메가마트도 대파 사기 좋은 편인거 같아요. 혹시 명지 가실 일 있으심 대파 사세요ㅎㅎㅎ 저 혼자 수다떨고 있긴 한데 그래도 수다떠니까 땅못님이 가까이 계신 것 같아 재밌고 좋아요ㅎㅎ 언제나 감사해요^^
  • 율씨 2021.09.10 16:51

    와 간단버전이라고 하셨지만 든든해보이는걸요!

    대파가 저렴하다니 육개장 한번 먹어야겠어요 ㅎ

  • 이윤정 2021.09.13 02:38
    간단버전이면 한 번 더 만들게 되고 귀찮을 때 조금 덜 망설여는 점이 좋은 것 같아요^^
    대파는 저렴한데 요즘 소고기가 비싸더라고요. 마트 갔다가 양지가 1키로 8만원인거 보고 깜짝 놀랐어요.
    미리 도매로 사서 손질하고 소분 냉동한거라 푹푹 쓰고 있는데 소고기 그냥 사려면 엄두도 못내겠어요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4 반찬 콜라비생채, 무생채, 생채무침 작년에도 올렸던 콜라비생채. 요즘 콜라비가 큼직하고 단단하니 먹기 좋은 계절인데 마트에 흔하게 있어서 한박스 사왔다. 무보다는 콜라비로 생채 담는 걸 좋아... file 이윤정 2022.01.09 4856
1063 고기 세상에서 제일 재미없는 등갈비김치찜 세상에서 제일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해봤다.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제일 좋은, 제일 쉬운, 이런 좋은 거 다 놔두고 재미가 없기로 세상에서 제일인.. 재료 2... 6 file 이윤정 2022.01.04 6572
1062 한그릇, 면 김치우동 카테고리가 한식인데 김치가 들어가면 다 한식임... 그냥 김치우동.. 이라고 하고 본론으로 넘어갈까 하다가 수다를 좀 떨기 시작하고 있다. 우동에 무와 오뎅을 ... 4 file 이윤정 2022.01.01 6953
1061 반찬 단무지무침 레시피 요즘 코로나 때문에 남편이 도시락을 싸다니는데 같이 도시락 먹는 회사동료분의 어머니께서 내일 세상에서 제일 귀한 음식인 엄마김밥을 넉넉하게 싸주신다고 해... file 이윤정 2021.12.28 6085
1060 반찬 쫀득한 우엉조림, 윤기나는 우엉조림, 레시피 우엉조림은 조리상태에 따라 질감의 차이가 꽤 큰 반찬이라서 아삭하게 할 수 도 있고 쫀득하게 할 수도 있다. 투명한 느낌이 나면서 전혀 아삭하지 않고 쫀득하... 4 file 이윤정 2021.12.27 12807
1059 한그릇, 면 닭곰탕 닭을 삶아서 닭고기를 바르고 국물을 같이 먹는 닭곰탕. 삼계탕이 이름도 그럴싸하고 1인 1닭에 보기 좋게 나오는데 비해서 닭곰탕은 상징적인 의미가 적어서 그... file 이윤정 2021.12.26 4729
1058 반찬 김치참치조림, 김치 참치 볶음 보통 김치조림이나 김치찜, 김치찌개를 할 때는 김치의 익은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20분이상, 40분까지 오래 익혀서 투명하게 익도록 하는 편이다. 그 시간 ... 4 file 이윤정 2021.12.24 6127
1057 고기 등갈비수육 수육을 할 때 피시소스, 대파, 마늘, 통후추를 넣는 액젓수육을 여러번 올렸었는데 그 등갈비 버전이다. 액젓수육은 자주 해먹는 거라 이번에는 등갈비를 사와서 ... file 이윤정 2021.12.21 8488
1056 일상 고기순대볶음밥 볶음밥은 밥상태가 적당하고 사용하는 (무쇠)후라이팬이 말을 잘들으면 늘 맛있다. 자주 하기로는 김치볶음밥 계란볶음밥 등 간단한 볶음밥을 자주 하지만 글 올... file 이윤정 2021.12.18 6050
1055 전골 탕 얼큰한 우거지 양지탕 김장철에 김장도 안하면서 푸른잎이 있는 알배추를 한박스를 샀다. 겉절이 좀 해먹고 샤브샤브도 좀 해먹고 남은 푸른 배춧잎을 데쳐서 일부는 냉동하고 일부는 ... 2 file 이윤정 2021.12.15 5851
1054 반찬 고구마튀김 시판 튀김가루, 차가운 물, 고구마, 식용유가 끝인 고구마튀김이라 별 내용은 없지만 고구마튀김에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거나 고구마튀김을 해 본 적이 없다면 ... 2 file 이윤정 2021.12.11 9704
1053 한그릇, 면 떡국 떡국이 제철이려면 아직 멀었는데 떡국을 좋아해서 제철 상관없이 연중 자주 해먹는다. 떡국보다는 떡만둣국을 라면처럼 넘 막해먹다보니 뽀얀 떡국만 끓여 그릇... 2 file 이윤정 2021.12.06 6845
1052 전골 탕 돼지고기 사골우거지탕 시판사골육수, 돼지고기 갈매기살, 배추우거지, 된장양념으로 우거지탕을 푹 끓였다. 재료만 준비하면 우르르 넣고 푹 끓이면 끝이라 오리탕이나 감자탕과 비슷한... 2 file 이윤정 2021.11.30 7143
1051 국 찌개 차돌된장찌개 늘 편하게 해먹는 된장찌개. 해산물 들어간 것도 아주 좋아하는데 재료를 늘 구비하기에는 해산물보다 냉동차돌박이가 만만해서 차돌박이 된장찌개를 자주 만든다... 2 file 이윤정 2021.11.27 7303
1050 한접시, 일품 지코바st양념으로 갈매기살 양념바베큐 1. 갈매기살로 양념구이를 하면 어떨까? 올ㅋㅋ 2. 하는 김에 지코바양념에 고운고춧가루가 안들어가는 것 같아서 양념레시피를 좀 바꿔서 테스트ㄱㄱ 1-1. 갈매... 2 file 이윤정 2021.11.23 9400
1049 소스 떡볶이양념, 떡볶이, 쫄볶이, 순대볶이 여태 수도 없이 해먹고 또 가끔 올린 떡볶이인데 이번에 올리는 버전은 디테일이 아주 약간 바뀌었다. 재료 간장 200그램 조청 800그램 물엿 200그램 고추장 400... 3 file 이윤정 2021.11.19 13364
1048 고기 사태편육, 사태수육 이렇게 간단하고 그저그런 걸 좋아하는 사람이 있긴 하나 싶은 사태편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편육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삶아 눌러서 물기를 빼고 얇... file 이윤정 2021.11.16 6193
1047 전골 탕 양지만두전골 가끔씩 본 적도 먹어본 적도 없는 전골 아이디어가 갑자기 떠오를 때가 있는데 그 중에도 기억에 남는게 수육전골 https://homecuisine.co.kr/hc10/73604 라면전... 2 file 이윤정 2021.11.12 4592
1046 전골 탕 부대찌개 조금만 추워지면 바로 생각나는 부대찌개. 여태 올린 것과 대동소이하다. 양파, 대파에 햄, 소세지, 베이컨, 차돌박이 등 햄파티를 하고 그 위에 김치, 베이크드... 2 file 이윤정 2021.11.10 5643
1045 반찬 무나물, 비빔밥 어제 올린 가지나물에 이은 무나물이다. 가지나물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105593 1. 먼저 채썰기 일단 채썰기의 기본은 오른손잡이 기준 얇게 ... 2 file 이윤정 2021.11.06 6643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