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8986.JPG

 

 

 

처음 참치 생야채 비빔밥을 먹었던 것이 2000년도 학교식당이었는데 그 때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라 우리집에서는 아직도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다.

 

여러번 올렸었고 참치를 양념하고 볶아서 만들기도 했었는데 https://homecuisine.co.kr/hc10/39038 이번에는 그냥 학식 느낌 그대로 만들었다. (=성의없음)

마지막 올렸던 참치 생야채 비빔밥에는 명이가 있어서 명이를 넣었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7549

 

 

집에 쌈채소가 많아서 쌈채소를 아주아주 듬뿍 사용했다.

쌈장이랑 고추장을 반반 넣어서 만드는데 정해진 분량은 당연히 없고 그냥 비비다가 먹어보고 부족하면 좀 더 넣고 그랬다.

참치는 마일드참치는 맛없고 동원 살코키 참치로 1인분에 100~125그램정도 사용하고 있다.

캔참치를 준비할 때 캔에 들어있는 기름이나 육즙은 버리지 않고 전부 그릇에 담아서 숟가락으로 잘게 쪼개면 참치가 촉촉해지면서 육즙과 기름을 흡수한다.

그대로 한 번 볶아도 좋고 그냥 사용해도 좋다.

참치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참기름이다. 언제나 그렇지만 마트에는 없고 시장의 방앗간에서만 살 수 있는 질좋은 참기름이 비빔밥의 맛을 크게 좌우한다.

 

얼마전에 올린 기본 햄버거 (https://homecuisine.co.kr/hc25/102897 )처럼 참치비빔밥도 레시피라고 할 것도 없지만 굳이 쓰자면 다음과 같다.

 

 

 

재료 (2인분)

밥 2그릇

쌈채소나 양배추 등 채소 아주 넉넉하게

캔참치 200그램

계란 2~3개

쌈장 1~1.5스푼

고추장 1~1.5스푼

참기름, 깨

 

 

1. 쌈 채소는 넉넉하게 준비해서 깨끗하게 씻고 수분 바짝 털고 눌러서 물기를 최대한 없앤다.

2. 채소는 먹기 좋게 감아서 송송썰어서 흐트린다. 양배추를 사용하면 양배추는 채칼을 사용해서 최대한 얇게 슬라이스한다.

3. 캔참치는 접시에 담아 숟가락으로 으깨서 촉촉하게 준비한다.

4. 계란은 지단이나 후라이 등으로 준비한다.

5. 볼에 밥 담고 채소, 참치, 쌈장, 고추장, 계란후라이, 참기름, 깨를 넣는다.

쌈장1+고추장1+육수나 물1 해서 개어서 사용하면 초반에 골고루 비비기가 좀 더 편하다.

6. 다 비빈 다음 간을 보고 밥이나 채소의 양에 따라 쌈장이나 고추장의 양을 조절한다.

 

 

 

1.

IMG_8981.JPG

 

 

2.

크기변환_IMG_1547.JPG

 

 

 

3. 캔 참치는 수분이나 기름을 버리지 않고 전부 사용한다. 참치전이나 참치마요나 참치마요덮밥처럼 캔참치가 바특한 느낌이 나도록 필요하면 육즙과 기름을 전부 팬에 넣고 볶아서 포슬포하게 하는데 죽이나 비빔밥에 캔참치를 올려서 사용할 때는 볶을 때도 있고 촉촉하게도 준비하는 편이다. 캔 참치를 뜯어서 그릇에 탈탈 넣은 다음 기름과 육즙을 전혀 짜지 않고 캔 전부 그릇에 털어넣고 참치살의 결이 보이지 않도록 포크나 숟가락으로 잘게 으깨보면 처음에 접시에 담았을 때 참치덩어리와 수분+기름으로 나뉘어서 자박하던 것이 으깨는 동안 수분+기름이 참치에 스며들면서 촉촉해진다.

 
크기변환_IMG_9123.JPG     크기변환_IMG_5197.JPG
 
 
 
4. 계란후라이는 기름을 끼얹어가면서 구웠다.
IMG_5088.JPG 
 
 

5. 볼에 밥 담고 채소, 참치, 쌈장, 고추장, 계란후라이, 참기름, 깨를 넣는다.

쌈장1+고추장1+육수나 물1 해서 개어서 사용하면 초반에 골고루 비비기가 좀 더 편하다.

6. 다 비빈 다음 간을 보고 밥이나 채소의 양에 따라 쌈장이나 고추장의 양을 조절한다.

IMG_8986.JPG
 
밥은 아래에 깔려있고, 채소는 많고, 튀기듯 구운 계란은 속은 반숙이라도 가장자리가 빠삭빠삭해서 잘 비벼지지는 않는데
계란은 적당히 가위로 자르고, 쌈장 고추장은 더 넣지 않고 이대로 열심히 비비고 완전히 다 비벼졌을 때 간을 봐서 추가한다.
 
 
쌈채소 씻고 물기 바짝 없애는 것조차도 귀찮긴 한데 아무 생각 없이 막 만드는 간편한 일상밥상이다.
바로 전에 올린 된장찌개를 곁들이면 딱 제 짝이다. https://homecuisine.co.kr/hc10/102975
 
입맛에 맞춰서 비비면 간도 딱 좋고 상큼 아삭하니 맛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4 일상 햄야채볶음밥, 계란볶음밥 햄야채볶음밥. 그때 그때 있는 재료를 사용해서 만드는 흔한 볶음밥이라 따로 올린 적이 거의 없는데 오랜만에 사진을 찍었다. 다들 아는 내용이라 굳이 쓰지 않... 6 file 이윤정 2021.08.12 4106
1023 반찬 단무지무침 단무지 자체가 원래 새콤달콤 아작아작하니까 그대로 먹어도 맛있지만 간단하게 무칠 때도 있다. 좀 더 아직아작하게 물기를 짜고 식초, 설탕은 아주 약간 넣는다... 2 file 이윤정 2021.08.10 2682
1022 일상 순대구이, 고기순대볶음밥 시판 고기순대를 굽거나 볶아서 편하게 밥 한끼를 해결하기도 한다. 좋아하는 메뉴라 일 년 내내 자주 해먹지만 더울 때 공들이지 않고 해먹는 인스턴트 식사라 ... 2 file 이윤정 2021.08.05 4175
1021 국 찌개 조림맛된장으로 강된장, 소라강된장, 우렁강된장 조림맛된장은 별 건 아니고 강된장 할 때마다 일일이 재료 꺼내오기가 귀찮아서 미리 배합할 때도 있고, 청양고추 대파 많이 샀을 때 얼른 소비하려고 만들기도 ... file 이윤정 2021.08.02 4036
1020 고기 육전, 대파무침 우리집 단골 메인 메뉴인 육전. 3등급 등심 소고기 냉동해둔 것을 해동해서 육전을 부쳤다. 요즘 대파가 저렴해서 파무침도 듬뿍해서 곁들였다. 전에도 한 이야기... file 이윤정 2021.07.31 4787
1019 일상 일상 찜닭에는 주로 감자를 넣는데 식구가 고구마 넣은 찜닭이 먹고 싶다고 해서 만든 고구마찜닭. 레시피는 평소 올린 찜닭이랑 똑같다. - https://homecuisine.co.kr... 6 file 이윤정 2021.07.27 4832
1018 일상 갈치구이, 두부계란부침 그냥 일상밥상. 진짜 오랜만에 순살갈치를 사봤다. 갈치를 엄청 좋아해서 갈치구이나 갈치조림 있는 식당에는 찾아서 가는 편인데 집에서 갈치는 오랜만이다. 순... file 이윤정 2021.07.22 3139
1017 고기 간단 돼지갈비, 갈비양념 끓여서 거르고 염도를 맞춘 돼지갈비 레시피 https://homecuisine.co.kr/hc10/93452 를 전에 올렸었었다. 이 레시피를 진짜 좋아하긴 한데 여름에는 간단 돼지갈... file 이윤정 2021.07.21 4048
1016 일상 부대볶음 여름이라 전골류는 밥상에서는 끓이지 않고 미리 끓여와서 메인요리처럼 먹는 편인데도 자꾸 왔다갔다 하기 귀찮아서 사리나 볶음밥은 밥상에서 조리하는게 편하... 2 file 이윤정 2021.07.13 4469
1015 일상 대패삼겹살, 김치치즈볶음밥 한창 비싸던 대파도 요즘 아주 저렴하고 양파 마늘도 천지에 널려있다. 햇양파는 3월말부터 시작해서 요즘은 한창 단단한 저장용 양파가 제철이고 햇마늘은 5월말... file 이윤정 2021.07.11 3183
1014 국 찌개 꽁치김치찜 꽁치김치찜. 국물을 좀 넉넉하게 하고 간을 더해서 국물이 자작하면 꽁치김치찌개이고, 바특하게 졸이면 꽁치김치찜이고 그렇다. 늘 하는 이야기인데 꽁치통조림... 2 file 이윤정 2021.07.10 5421
1013 고기 제육볶음 오랜만에 제육볶음. 한창 액젓불고기를 열심히 해먹다보니 제육볶음은 꽤 오랜만에 만들었다. 제육양념은 미리 만들어서 냉동해뒀던 것을 사용했다. 재료는 간장 ... 2 file 이윤정 2021.07.08 5528
1012 일상 소세지야채볶음, 쏘야 소세지야채볶음. (별 내용 없음) 소세지에 칼집을 내고 채소는 양파, 대파를 기본으로 집에 있는대로 양배추, 피망, 아스파라거스 등 볶아먹기 좋은 채소를 더 준... 2 file 이윤정 2021.07.07 3496
1011 한접시, 일품 충무김밥 매년 똑같은 레시피로 만들어서 올리는 충무김밥. 작년에 깜빡하고 넘어갔는데 올해 다시 돌아왔다. 아래 레시피는 섞박지 기준으로는 6~8인분이고 오징어무침, ... 2 file 이윤정 2021.07.05 4916
1010 한그릇, 면 경상도식 물국수 만들기, 멸치국수, 잔치국수, 레시피 서론이 기니까 레시피부터 바로 보면 적당하다. 사실 나는 국수를 잔치국수라는 이름으로 불러본 적은 거의 없다. 국수에 고명으로 애호박이나 당근이 들어가는 ... 2 file 이윤정 2021.07.01 12937
1009 밥류 비교적 간단한 닭야채죽 집에 늘 있는 채소가 조금은 있지만 준비한 재료도 없고 아프고 아무 생각 없을 때 만든 닭야채죽. 제목을 간단한이라고 쓰고 싶은데 닭 야채 이런 재료 준비하는... file 이윤정 2021.06.24 3478
1008 반찬 가지된장조림, 가지된장볶음 가지를 구워서 된장양념을 넣고 볶음 느낌으로 바특하게 졸여서 만든 반찬이다. 그래서 이름을 둘 다 제목에 넣었다. 얼마전에 가지강된장 - https://homecuisine... 2 file 이윤정 2021.06.18 5728
1007 국 찌개 오이미역냉국 작년에 올린 레시피 https://homecuisine.co.kr/hc10/95719 와 거의 똑같은데 과정을 좀 더 편하게 조절했다. 천천히 만들어도 10분이면 완성. 재료 (2~3인분) 오... 2 file 이윤정 2021.06.16 3681
1006 반찬 소고기 피망볶음, 차돌피망볶음 얼마 전 올린 고추잡채 https://homecuisine.co.kr/hc20/103357 와 비슷한 재료로 만들었다. 비슷한 느낌으로 대패삼겹살에 꽈리고추를 사용하면 https://homecui... file 이윤정 2021.06.12 4662
1005 일상 액젓두부부침, 새우전, 생선전, 달고기전, 육전, 맛살계란부침, 참치전 얼마 전에 올렸던 액젓두부부침. 요즘은 별 생각 없이 자주 한다. 자주 하다보니 좀 더 편하게 더 대충 하게 된다. 재료는 초당두부(550그램)1모, 친수피시소스 2... 4 file 이윤정 2021.06.05 4041
Board Pagination Prev 1 5 6 7 8 9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