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8541-.JPG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소고기미역국도 늘 이렇게 끓이고 있다.

 

 

양지는 얼마 전에 12키로 산 것을 냉동했다가 사용하고 있다.

대량으로 사서 손질한 양지의 자투리를 사용한거라 전에 올린 소고기뭇국 https://homecuisine.co.kr/hc10/100773 에 비해서 고기가 좀 자잘하다.

기본 미역국과 미역 손질한 내용은 여기에 있다.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6~8인분)
불리고 손질한 미역 600그램 (불리기 전 기준 60그램)
소고기 600그램 (최대 800)
다진마늘 3스푼
참기름 3~4스푼
물 2~3리터 (중간중간 체크)
국간장 6스푼 (간보고 가감)

 

 

1. 미역은 넉넉한 물에 1시간 이상 충분히 불리고 헹궈서 준비한다.

미역은 냄비에 같이 볶아도 좋고, 미리 참기름 약간을 두른 팬에 따로 볶아도 좋다.

 

2. 냄비를 예열한 다음 양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3. 양지에 미리 볶아 둔 미역을 넣고 같이 조금 더 볶다가 물이나 황태육수를 붓는다.

 

4. 팔팔 끓으면 거품을 살짝 걷어내고 불을 줄여서 국간장으로 간을 하고 푹 끓인다.

불을 줄이고 뚜껑을 비스듬하게 덮어서 뭉근하게 끓인다.

 

5. 중간에 필요하면 물을 더 부어가며 조절하며 1시간 정도 끓이다가 고기를 건지고 얇게 썬다.

 

6. 미역국에 얇게 썬 양지를 넣고 10~30분 정도 더 끓인다.
*고기나 미역의 상태에 따라 끓이는 시간을 조절한다.

 

7. 중간중간 봐서 물이 부족하면 물을 끓여서 부어서 보충하고, 미역이 잘 익고 국물도 적당하면 조금 더 수분을 날리고, 미역도 미역국의 양도 적당할 때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국간장이나 소금 약간으로 입맛에 맞춘다.

 

미역국에 밥을 넣고 푹 퍼지게 끓여 물의 양과 간을 맞추고 소고기미역죽을 만들어도 좋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잔소리..

미역국에 물조절, 간조절하기.

 

미역국을 만들 때는 6~8인분인데 우리집 밥상에는 2인분만 필요하다.

애초에 이걸 고려해서 마지막에는 국물양이 좀 졸아들도록 조절한다.

졸여서 끓인 미역국은 자리차지를 덜해서 냉장고나 냉동실에 넣어뒀다가 먹기 좋다.

 

6~8인분이고 2인분만 필요하니까 3~4등분으로 소분한다.

미역국 국물이 농축된 상태니까 소분할 때 국물의 양을 잘 배분해야 간이 맞다.

 

각자 편한 방식으로 소분한 미역국은 

냉장으로는 최대 1주일 냉동으로는 3~4개월정도 보관해서 먹을 수 있다.

먹을 만큼 꺼내고 해동한 다음 냄비에 옮겨서 물로 희석해서 국물 양을 조절해서 끓이고 마지막에 부족한 간을 추가한다.

원래부터 좀 슴슴한 간이라서 짜게 될 일은 거의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미역은 넉넉한 물에 1시간정도 충분히 불린 다음 비벼가며 씻는데 너무 세게 문지르면 짓이겨지니까 적당히 주물러서 이물질이 없을 정도로 씻고 2~3번 헹군다.

이물질이 없는 미역의 경우는 1회만 헹궈도 충분하다. 미역줄기는 취향에 따라 손질하고 긴 미역은 가위로 잘라서 준비한다.

 

주로 사용하는 미역은 코스트코 온라인몰에서 구매한 안옥남 기장미역이다. 엄마께 받아오는 큰 미역을 제외하면 이 미역이 질도 괜찮고 일상적으로 구매하고 사용하기 편하다.

줄기가 많은 것이 단점인데 나는 줄기손질을 늘 하니까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취향에 따라 아주 비효율적인 미역이기도 하다.

 

IMG_8986.JPG

 

 

IMG_9009.JPG

 

 

IMG_9008.JPG

미역 줄기가 없는 걸 좋아해서 1시간 넘게 미역줄기를 손질했다.

 

미역은 별 생각없이 봉투에서 잡히는 대로 꺼내서 불리고 손질하고 무게를 재고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넣은 다음, 그 다음에 고기를 사오든지 해동하든지 해서 미역국 양을 맞추는 편이다.

 

불리고 손질한 미역이 600그램이면 고기를 600그램 준비한다.

불린미역과 고기는 1:1이면 적당하다. (내취향)

 

 

 

2. 냄비를 예열한 다음 양지를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IMG_8446.JPG

 

 

 

3. 양지에 미리 볶아 둔 미역을 넣고 같이 조금 더 볶는다. 

 

IMG_8449.JPG

 

 

 

IMG_8451.JPG

 

 

 

IMG_8452.JPG

 

 

여기에 물이나 황태육수를 붓는다. 물을 사용하면 편하고, 연한 황태육수도 잘 어울리는 편이다.

 

IMG_8453.JPG

 

 

 

국간장 분량을 쓰긴 했는데 평소에 늘 계량하는 건 아니고 그냥 대충 붓고 어째저째 끓이다보면 대충 또 간이 맞고 그렇다.

 

IMG_8454.JPG

 

 

 

4. 팔팔 끓으면 거품을 살짝 걷어내고(는 안해도 됨) 불을 줄여서 국간장으로 간을 하고 푹 끓인다.

불을 줄이고 뚜껑을 비스듬하게 덮어서 뭉근하게 끓인다.

 

IMG_8455.JPG

 

 

 

5. 중간에 필요하면 물을 더 부어가며 조절하며 1시간 정도 끓이다가 고기를 건지고 얇게 썬다.

 

1시간 뒤의 미역국 상태.

IMG_8486.JPG

 

 

 

6. 덩어리 고기를 건진 다음 얇게 썬다. 고기를 다시 미역국에 넣고 상태에 따라 10~30분 정도 더 끓인다.

이번에는 고기가 얇아서 5분정도만 더 끓였다. 미역 상태나 고기의 부드러움 정도에 따라 불세기/시간/물 조절을 한다.

 

IMG_8487.JPG

 

 

 

7. 중간중간 봐서 물이 부족하면 물을 끓여서 부어서 보충하고, 미역 도 부들부들하고 미역국의 양도 적당할 때 마지막으로 간을 보고 국간장이나 소금 약간으로 입맛에 맞춘다.

 

아래는 냉장보관하기 위해서 졸인 상태.

IMG_8491.JPG

 

 

물을 넉넉하게 넣긴 했지만 끓이다보면 졸아드는데 얼마나 물보충을 할지는 때에 따라 다르다. 이번에는 냉장보관할 요량으로 물조절을 바특하게 했다.

한 번에 다 먹을 미역국이라면 당장 먹기 좋도록 미역국에 물조절 간조절을 하는데 이번에는 나눠서 먹을거라 먼저하고 소분한 다음 이번에 먹을 것만 냄비에 넣고 물조절, 간조절을 했다.

 

 

 

냉장고에 넣을 분량은 이렇게 소분해서 식힌 다음 냉장고로 ㄱㄱ

 

IMG_8493.JPG

 

 

 

아까 한 말 또 하고 또 하는 것 같은데..

 

당장 먹을 미역국에는 물을 더 넣고 희석하고 중간에 간을 본 다음 필요하면 국간장이나 피시소스로 간을 조절 하고 한 번 더 팔팔 끓인다.

짜게 될 일은 거의 없는 상태라 조금 싱거우면 굳이 간을 더하진 않고 싱거운대로 먹고 그런다.

 

IMG_8505.JPG

 

 

 

IMG_8541-.JPG

 

 

IMG_8541--.jpg

 

옆지기 생일이라 미역국 끓이고 그동안 잡채도 만들고 전도 여러가지 부쳐서 화려하지는 않아도 생일밥상같은 밥상을 차렸다.

밥상에 여러 음식이 있었지만 미역국이 제일 맛있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별 거 아닌 미역국으로 오늘도 말많음..

 

 

미역국은 좋은미역구매하기, 미역손질하기, 푹끓이기 이 세가지에서 미역국의 맛이 판가름난다.

다음으로 소고기나 생선 참치 등 주재료에 따라 맛의 방향이 달라지고 마지막으로 간조절로 입맛에 맞는 간을 찾는 것이라고 본다.

 

 

평소에 식구한테 늘 하는 이야기가 햄버거는 빵이 맛있어야 하고 짜장면은 면이 맛있어야 한다 이다.

마음에 드는 빵이 필요할 때나 면을 뽑아야 해먹을 수 있는 일은 아웃소싱 느낌으로

가성비 좋은 걸로 사먹는 게 만드는 것보다 효율이 좋은 경우가 많다.

 

미역국 역시 미역이 맛있어야 하는데 사먹는 미역국은 미역 자체도 편차가 크고 미역줄기를 세심하게 손질해서 맘에 들게 만든 미역국을 파는 곳은 없고.. 마음에 드는 미역국을 사먹을 길이 없다.

 

샌드위치도 햄버거도 짬뽕도 맛있는 곳에서 사먹는 게 효율이 좋아서 어지간하면 사먹으려고 하는데 미역국은 꼭 만들어먹어야만 가장 맛있다. 피곤하게시리..

 

미역을 이렇게 다듬으려니 미역국은 귀찮고 피곤한 음식이기도 하지만, 잘 차린 밥상이 있다면 거기에 미역국이 있고 없고에 따라 생일밥상이구나 하는 걸 알 수 있는 존재감 있는 메인요리라고 생각한다.

 

 

  • 땅못 2021.04.15 05:18

    저번에 양지를 잔뜩 넣은 빨간 소고기무국도 너무 맛있게 먹어서 이번에는 미역국을 양지로 도전해보려고요!!! 다진마늘은 넣는 집도 있고 안넣는 집도 있는 걸로 알아요. 저희 집은 원래 미역국 하면 미역하고 대충 소고기 국거리조금하고 물만 넣거나...아니면 성게미역국... 그냥 (사실 사먹는게 더 맛난) 그런 국이었거든요 ㅋㅋㅋ 그런데 저번에 참치도 가자미버전도 저는 맛있어서서 이 레시피로 도전해봅니다!!! 날은 풀렸는데 봄비가 자주 오네요 ㅠㅠ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구 남은 한주도 마무리 잘 합시다!! 벌써 목요일!!! 늘 좋은 레시피 감사해요>///<!

  • 이윤정 2021.04.16 02:58
    미역국에 마늘은 집집마다 다르다던데 저희집은 마늘 넣고 만들어서 또 이게 입맛에 익숙해요ㅎㅎ 대구미역국을 해주신 걸 참 좋아했는데 대구 사러 가보면 엄두가 안나서 아직 제가 해먹어보진 못했거든요. 성게미역국은 못먹어봤는데 말만 들어도 넘 맛있을 것 같아요^^
    지금은 식구가 소고기미역국이나 참치미역국을 좋아하니까 식구 입맛에 맞추게 되고 그래요ㅎㅎ
    봄 중에도 가장 좋은 시절이 이제 시작이라 화창한 햇빛만 봐도 기분이 좋아지는 것 같아요.
    가끔 멀리 갔다가 광안대교 타고 집에 오다보면 땅못님 생각이 나고 그래요. 즐거운 금요일 보내세요^^
  • 레드지아 2021.04.15 09:53

    크으~~ 미역국 시절이 돌아왔네요~

    봄인데 다시 쌀랑해져서 뜨끈한 국물이 그리워졌거든요 ^^

    윤정님이 넣으신 고기는 항상 언제나 맛있어보여요 ^^

    집에 가서 저도 미역부터 불려야겠어요!!!

  • 이윤정 2021.04.16 03:02
    저희집은 3월말 4월말이 생일이라 딱 요즘에 미역국을 가장 자주 먹어요.
    생일 당일에는 둘 다 고생스럽지 않으려고 외식하는 편이지만 전후로 미역국이나 잡채 만들어 기분 내면 또 좋고 그렇더라고요ㅎㅎ

    미역국에는 고기가 듬뿍이여야 역시 맛있어보이나봐요^^
    미역은 일단 불리면 물릴 수가 없으니까 귀찮아도 에라 하고 불리면 등떠밀려서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얼마나 밥하기 귀찮으면 이런 생각까지 드나 모르겠어요ㅎㅎㅎ

  1. No Image

    육식맨님께 드리는 사과글입니다.

    이윤정입니다. 먼저 저로 인해 육식맨님께 피해를 끼쳐드린 점 사과합니다. 제가 오해한 정황과 저의 미숙한 대처로 인해 피해를 끼져드린 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저는 3월 21일 오후 10시 20분경 육식맨님께 인스타그램으로 DM요청을 받았습니다. DM이 온 사실은 인지했으나 그 당시에서 열흘 전 모 유튜버의 도용 및 사후 대처로 피해를 입고 피로감이 심한 상태라 인스타로 받은 DM요청은 수락하지 않고 답변드리지 않았었습니다. 그리고 3월 22일 오후 1시 경 육식맨님께 카톡을 받았습니다. 당시 저는 육식맨님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습...
    Date2021.04.02 By이윤정 Reply3 Views32118
    Read More
  2. 물없이 만드는 양파장아찌

    ㅡㅡㅡㅡㅡㅡㅡ잡담 패스 재료로 ㄱㄱ ㅡㅡㅡㅡㅡㅡㅡ 햇양파가 제철이라 양파장아찌 만들기 아주 좋다. 수도 없이 만들어 먹는 양파장아찌라 이전에 올린 양파장아찌와 내용이 거의 같다. 참고자료는 없고 여러 장아찌 많이 만들다가 양파장아찌는 시간이 지나면 간장물이 너무 많아지는 걸 보고 이런 방식 어떨까 하다가 비율도 바꿔보다가 친수소스를 무쌈에 넣으니 맛있어서 여기도 넣다가 요즘은 계속 이렇게만 만든다. 1년 중에 가장 기다리는 채소가 햇양파일 정도로 햇양파에 대한 좋은 기억이 많은데 올해도 햇양파의 계절이 돌아왔다. 햇양...
    Date2021.04.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4 Views16969 file
    Read More
  3. 부드러운 계란찜

    푸딩같은 질감의 부드러운 계란찜. 이런 식감의 계란찜을 하려면 냄비나 그릇을 여럿 사용해야 하고 찜기도 꺼내야 하는데 계란찜 하나 만들자고 하기에는 함께 딸려오는 일이 조금 많은 편이다. 만들긴 별거 없이 계란에 간을 하고 물 넣고 희석한 다음 체에 거르고 찜통에 찌는 것이 과정의 전부이다. 간을 할 때는 각 재료의 염도를 숫자로 각각 놓고, 최종 염도는 좋아하는 걸로 골라서 사용하는 재료의 양을 계산기에 넣으면 계산기가 알아서 다 한다. 계산기에 나온 분량대로 계란에 물 붓고 소금 넣으면 끝이다. 지난 번에 올린 글에는 계란 1...
    Date2021.04.10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5504 file
    Read More
  4. 액젓 돼지불고기, 간단 돼지불고기, 액젓불고기

    전에 간단소불고기를 올렸을 때 간을 간장으로만으로 한 것도 올리고 친수피시소스랑 반반으로 한 것도 올렸었고.. 가장 최근에 올린 간단 돼지갈비 https://homecuisine.co.kr/hc10/98832 는 간장으로만 한 것이었다. 이번에는 불고기 간을 간장과 친수피시소스를 반반으로 사용한 버전의 돼지불고기이다. 요즘 친수피시소스 사용한 레시피가 많은데 자주 사용하는 이유가 일종의 조미료라서 그렇다. 조미료가 들어가면 맛있는 게 당연지사.. 레시피에는 간장과 친수피시소스의 그램수가 다른데 왜 반반이냐면 염도로 따지면 반반이라서.. 친수피시...
    Date2021.04.13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8 Views4174 file
    Read More
  5. 소고기 미역국, 양지 미역국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소고기미역국도 늘 이렇게 끓이고 있다. 양지는 얼마 전에 12키로 산 것을 냉동했다가 사용하고 있다. 대량으로 사서 손질한 양지의 자투리를 사용한거라 전에 올린 소고기뭇국 https://homecuisine.co.kr/hc10/100773 에 비해서 고기가 좀 자잘하다. 기본 미역국과 미역 손질한 내용은 여기에 있다. https://homecuisine.co.kr/hc10/93162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6~8인분) 불리고 손질한 미역 60...
    Date2021.04.1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4 Views7015 file
    Read More
  6. 소고기 등심 구매한 이야기

    미트박스에서 돼지고기는 흔하게 사지만 소고기는 판매단위가 커서 꾸리살 정도만 샀었다. 다음으로 국거리인 양지를 12키로 사보고 이번에는 소고기 등심 차례. 등심은 판매단위가 커서 보통은 20키로가 넘는데 이번에는 10키로정도 되는 등심이 있어서 구매해봤다. 10키로면 아주 작은 도체의 등심인데 왜 10키로인지는 아래에 이유가 있다. 소고기는 등심의 일정한 부분을 측정해서 지방함량에 따라 등급을 매겨 1++ 1+ 1 2 3 로 등급을 나누고 도체의 육량에 따라 A B C로 나눈다. 한우암소 / 한우거세 / 육우암소 / 육우거세로 또 품종과 자란 ...
    Date2021.04.17 Category고기 By이윤정 Reply8 Views4687 file
    Read More
  7. 보쌈무김치 레시피

    오랜만에 올리는 보쌈무김치. 그동안 약간의 레시피 변화가 있었다. 수육이나 수육에 곁들이는 채소무침, 양념새우젓, 찍된장 등을 올리면서 다음에 보쌈무김치를 올리겠다 그랬는데 다음에는 이라고 한 이유가 만들 때마다 사진을 안찍어서였다. 각잡고 사진을 찍으려니까 오히려 또 만들기 싫은 역효과가.. 그러는 동안 겨울무 월동무 제철이 다 지나고 이제 월동무가 또 끝물이 될 때가 다가온다. 여름무보다는 월동무가 맛있으니까 지금이라도 만드는 게 나아서.. 과정사진은 예전사진들을 가져왔다. 재료 무 반개 (1000그램) 물엿 100그램 액젓 ...
    Date2021.04.1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4 Views4115 file
    Read More
  8. 납작당면 잡채

    잡채를 만들려고 재료준비를 하는데 집에 늘 있는 자른당면이 하필 없는 날이었다. 당면 사러 나가기도 귀찮고 해서 당장 있는 납작당면으로 잡채를 만들었다. 몇 년 전에 만든 납작당면 잡채는 노두유와 굴소스를 넣기도 했고 과정도 중국식 느낌이 나는 잡채였는데 - https://homecuisine.co.kr/hc10/69972 이번에는 그냥 평소 만드는 잡채와 똑같은 레시피로 당면만 납작당면 버전이다. https://homecuisine.co.kr/hc10/98361 잡채에 샤브샤브나 불고기용 소고기를 넣는 걸 좋아하는데 또 하필 집에 잡채용으로 쓸 돼지고기만 있어서 돼지고기를 ...
    Date2021.04.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Reply4 Views3696 file
    Read More
  9.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넣기 or 통오리 그대로 삶기 or 토막내서 삶기) 2. 들깨 사용 (물에 들깨넣고 믹서로 갈아서 만든 들깨즙을 체에 거르기 or 거피들깻가루 사용하기 + 들깨즙에 캐슈넛 갈아서 같이 넣어도 좋음) 3. 토란대나 머위대 사용 (우거지, 고구마줄기, 고사리, 죽순, 표고버섯도 좋음) 4. 된장간을 베이스로 얼큰구수하게 조절하기. 마늘 넉넉하게 들어감 5. 오리탕 완성 후 전골냄비에 담은 다...
    Date2021.04.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Reply14 Views5635 file
    Read More
  10. 가지볶음 만들기, 레시피

    가지는 가지에 소금을 약간만 뿌려서 절인 다음 물기를 닦고 밀가루옷을 입혀서 굽거나 튀기는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는 이탈리안음식이나 중국음식에 아주 잘 어울린다. 이번에는 밥반찬으로 가지볶음을 만들었다. 가지볶음을 할 때도 굽듯이 볶아서 양념하는 것이 잘 어울린다. 아무 생각없이 만들었는데 지금 찾아보니까 2016년에도 가지볶음을 지금이랑 완전 똑같이 했었다. 사람 습관이 잘 안변하나보다. 가지는 스펀지같은 조직감 때문에 기름을 아주 빠르게 흡수하는데 가지를 구울 때는기름을 약간 붓고 가지 위에 필요한 만큼 기름을 뿌리면 ...
    Date2021.04.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3368 file
    Read More
  11. 소고기뭇국, 맑은 소고기 무국

    매번 얼큰한 소고기뭇국만 만들다가 오랜만에 맑은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처음에는 이대로 슴슴하게 먹고, 다음에는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서 데워 먹었다. 습관 어디 안감ㅋㅋ 소고기와 무, 대파만 있으면 만드는 국이라 아무 생각 없이 끓였다.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좋은데 편하게 물을 사용하고 친수피시소스로 조미료맛을 더했다. 6~8인분이라고 쓰긴 했는데 국이 다 그렇듯이 먹기 나름이다. 재료 (6~8인분) 소고기 양지 800그램 물 2리터 +a 무 1키로 대파 흰부분 3~4대 (굵기에 따라 조절) 다진마늘 4스푼 (80그램) 국간장 2스푼 (간보고 조절)...
    Date2021.05.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3300 file
    Read More
  12. 소고기 된장찌개, 차돌된장찌개, 찌개맛된장

    여태 자주 올렸던 찌개맛된장은 여전히 집에 상주하고 있다. 찌개맛된장은 분량대로 만들어서 1~2주 정도 냉장실에서 숙성한 다음 그 이후로는 냉동보관해서 사용하고 있다. 된장찌개에 들어가는 채소는 집에 있는 걸로 해서 나박나박하게 썰고 냄비에 샤브샤브용 고기 넣고 두부 넣고 채소 넣고 물 붓고 맛된장 넣고 풀어서 끓이면 끝이다. 취향에 따라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도 좋다. 무는 조금 오래 익히는 걸 좋아하는데 두부를 오래 끓이면 부스러지니까 무는 다른 재료보다 더 얇게 썰거나, 아니면 미리 된장국물에 무를 먼저 넣고 끓여서 무를 ...
    Date2021.05.1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4089 file
    Read More
  13. 참치 야채 비빔밥

    처음 참치 생야채 비빔밥을 먹었던 것이 2000년도 학교식당이었는데 그 때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라 우리집에서는 아직도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다. 여러번 올렸었고 참치를 양념하고 볶아서 만들기도 했었는데 https://homecuisine.co.kr/hc10/39038 이번에는 그냥 학식 느낌 그대로 만들었다. (=성의없음) 마지막 올렸던 참치 생야채 비빔밥에는 명이가 있어서 명이를 넣었었다. https://homecuisine.co.kr/hc10/77549 집에 쌈채소가 많아서 쌈채소를 아주아주 듬뿍 사용했다. 쌈장이랑 고추장을 반반 넣어서 만드는데 정해진 분량은 당연히 없...
    Date2021.05.16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0 Views5258 file
    Read More
  14. 가지강된장, 조림맛된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양념 이야기. 조림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은 내용은 별 거 없고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마늘, 대파, 고추를 넉넉하게 준비해서 미리 분량대로 섞어둔 것이다. 된장양념이 주가 되는 조림이나 강된장에 주로 사용한다. 고추나 대파 많이 샀을 때 냉동하기 싫으면 찌개맛된장이나 조림맛된장을 2배합정도로 넉넉하게 만들어서 1주일정도 숙성한 다음 냉동해뒀다가 필요할 때 분량대로 사용하고 있다. 냉동하면 완전히 딱딱하게 굳지는 않는데 그래도 좀 단단해진다. 봉투 포장했을 때는 꺼내...
    Date2021.05.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0 Views3016 file
    Read More
  15. 김밥 재료, 만들기

    유부와 부추가 들어가는 김밥을 좋아하는데 부추 사와서 씻고 데치기도 귀찮고 냉동유부 사와서 씻고 졸이기도 귀찮아서 안하고 버티다가 이번에 드디어 둘 다 사와서 만들었다. 유부조림 대신 오뎅조림, 데친 부추 대신 데친 시금치나 절인오이나 애호박볶음을 사용한 적이 더 많았다. 이번에는 밑준비해서 냉동해 둔 우엉 https://homecuisine.co.kr/hc20/103019 이 있어서 유부나 부추 준비하기가 그나마 덜 귀찮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쌀 4컵으로 밥을 지으면 김밥이 8~10줄정도 나오는데 신경써서 얇게 펴면 10줄까지 나온다. 늘 사용...
    Date2021.05.20 Category밥류 By이윤정 Reply2 Views3048 file
    Read More
  16. 오이무침, 간단 오이김치

    오이가 많이 생겨서 오이소박이를 할까 하다가 부추나 당근 등 부재료도 없고 찹쌀풀 만들기도 귀찮고 오이무침과 오이소박이의 중간정도 느낌으로 만들었다. 오이김치라고 하기에는 좀 간단하게 만들고, 오이무침 치고는 조금 더 두고 먹을 수 있는 버전이다. 당장 먹을 것이면 절이지 않거나 가볍게 절이는데 오이를 8개정도 사용는 양이니까 오이속을 잘라내고 절인 다음 양념에 무치면 최대 1주일정도는 두고 먹을 수 있다. 쪽파나 부추, 당근 등 부재료를 넣으면 당연히 더 맛있지만 딱 오이만 있을 때, 부추나 쪽파 등 부재료가 오이보다 더 비...
    Date2021.05.27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4 Views3700 file
    Read More
  17. 껍데기집 대파절임, 친수 대파무침, 대패뒷고기, 계란볶음밥

    재작년에 처음 올렸던 대파절임 https://homecuisine.co.kr/hc10/87636 인데 이번에는 하인즈 올내츄럴 화이트 비네거를 사용해서 산도를 약간 낮추고 피시소스를 조금 더 사용했다. 좋아하는 고깃집인 내껍데기 돌리도 에서 이렇게 송송 썬 대파무침이 나오는데 그 대파무침과 비슷하게 만들었다. 전에 사용했던 사과식초 산도는 6~7% 이번에 사용한 식초 산도는 5% 이고 레몬 산도는 4.5%, 라임 산도는 6%정도 된다. 재료 물 4스푼 설탕 4스푼 화이트식초 4스푼 양조간장 1스푼 친수피시소스 1.5스푼 대파 흰부분 2~4대 (크기에 따라 조절) 고춧가...
    Date2021.05.2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Reply4 Views2982 file
    Read More
  18. 액젓두부부침, 새우전, 생선전, 달고기전, 육전, 맛살계란부침, 참치전

    얼마 전에 올렸던 액젓두부부침. 요즘은 별 생각 없이 자주 한다. 자주 하다보니 좀 더 편하게 더 대충 하게 된다. 재료는 초당두부(550그램)1모, 친수피시소스 20그램, 키친타올, 식용유 가 끝이다. 1. 초당두부를 도톰하게 썬다. 2. 키친타올에 두부를 올린다. 3. 그 위에 친수피시소스를 계량스푼으로 1스푼+1티스푼 그릇에 담고 두부 윗면에 골고루 바른다. 4. 30분 정도 물기가 빠지도록 둔다. *미리 물기를 빼지 않고 바로 구울 경우는 굽고 난 다음에도 물기가 꽤 빠지니까 구운 다음 키친타올 위에 올려둔다. 5. 팬에 기름을 두르고 예열한 ...
    Date2021.06.05 Category일상 By이윤정 Reply4 Views2801 file
    Read More
  19. 소고기 피망볶음, 차돌피망볶음

    얼마 전 올린 고추잡채 https://homecuisine.co.kr/hc20/103357 와 비슷한 재료로 만들었다. 비슷한 느낌으로 대패삼겹살에 꽈리고추를 사용하면 https://homecuisine.co.kr/hc10/91466 이렇고 대동소이하다. 고추잡채는 돼지고기를 감자전분으로 코팅한 다음 튀기듯이 조리해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차돌박이를 미리 굽고 나머지 재료와 마지막으로 함께 구워서 볶음을 만들었다. 차돌에 기름이 많으니까 구운 다음에 차돌박이도 키친타올로 기름을 살짝 닦는 것이 먹기 좋다. 차돌박이 400그램 소금, 후추 약간 (식용유없이 소고기 볶을 때 나온 기름...
    Date2021.06.12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0 Views3124 file
    Read More
  20. 오이미역냉국

    작년에 올린 레시피 https://homecuisine.co.kr/hc10/95719 와 거의 똑같은데 과정을 좀 더 편하게 조절했다. 천천히 만들어도 10분이면 완성. 재료 (2~3인분) 오이 1개 (미니오이 3~4개) 자른미역 3그램 통마늘 2~3개 냉동베트남고추 1개(없으면 홍고추나 청양고추로 대체) 생수 250미리 친수피시소스 1.5스푼 설탕 2스푼 오뚜기 사과식초 3스푼 얼음 250그램 (간보고 300까지) * 마늘은 취향에 따라 생략한다. 통마늘이 없으면 냉동마늘 새끼손톱만큼 사용한다. 냉동마늘을 사용할 때는 즙이 많으니까 통마늘보다 양이 적어야 적당하다. * 오이는 ...
    Date2021.06.1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Reply2 Views2459 file
    Read More
  21. 가지된장조림, 가지된장볶음

    가지를 구워서 된장양념을 넣고 볶음 느낌으로 바특하게 졸여서 만든 반찬이다. 그래서 이름을 둘 다 제목에 넣었다. 얼마전에 가지강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103134 에서도 이야기 한 조림맛된장을 사용했다. 재료 올리브오일 가지 2~3개 소금약간 양파 반개 조림맛된장 70 (가지 크기에 따라 +a) 물 90 참기름 깨 1. 맛된장은 분량대로 준비한다. (전에 올린 가지강된장은 소금에 절이지 않았는데 소금을 살짝 넣어서 절였고 두부도 넣지 않을것이고 강된장보다 더 바특하게 볶음으로 할거니까 가지강된장보다 된장의 양을 줄였다.)...
    Date2021.06.18 Category반찬 By이윤정 Reply2 Views328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