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7879.JPG



두부에 친수피시소스로 간을 한 다음 노릇노릇 구운 두부부침이다.

이게 아래 내용의 전부인데 찍된장도 그렇고 오늘 그렇고 또 말이 많다. 잡담부분은 건너뛰면 보기 편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우리 집은 제사가 많은 집이었고 어릴 때부터 전 부치는 건 내 몫이었다. 제수용 두부부침은 큰 손두부를 두툼하게 썰어서 손바닥 만 한 걸 장만해서 부서지지 않게 부쳤다. (평소에는 사이즈 신경쓰지 않고 그냥 대충 부쳤었다.) 재료 준비는 엄마께서 하시니까 제사음식을 시작하는 풍경에는 늘 먼저 두부는 물기를 빼고 있다. 중간에 보면 소금을 뿌려놨고, 여러 전을 다 부치고 나면 거의 마지막으로 두부부침 할 때가 된다.  두부부침을 하고 나면 마지막 오브 마지막으로 제수용이 아닌 식사용으로 정구지찌짐 부치고 남는 재료들 여럿 합해서 채소부침개를 하면 부치는 일은 끝난다. (실질적으로는 제수용 = 관상용이고, 식사용 = 제사 전 대접용이긴 하지만 제사 이야기가 주제는 아니니까 대충 여기까지.)


두부부침은 관성과도 같아서 딱히 사진 찍을 일도 글로 올릴 필요도 없는데 굳이 이야기하자면 약간 두툼하게 썰어서 1시간 이상 물기를 뺀 다음 소금을 뿌려서 소금이 녹으면 살살 문질러서 앞뒤로 골고루 펴바르고 소금을 바른 면에 물기가 배어나오면 한 번 더 물기를 톡톡 닦은 다음 큰 팬에 노릇노릇하게 부친다.


ㅡㅡㅡ


별 생각 없이 늘 똑같이 두부부침을 하다가 소금 대신 친수피시소스를 발라서 구워봤는데 넘 맛있었다. 가 작년..



액젓수육 올릴 때도 별로 내용도 없고 재료도 간단하고 넘 일상적으로 해먹는 거라 따로 올릴 것까지는 없나 싶었다가 그래도 편하고 맛난게 최고지 하고 올렸었는데

액젓수육 올리고 나니 액젓두부부침도 제목이 괜찮은 것 같아서ㅋㅋ 같은 맥락으로 이제야 올린다.


올리려고 마음 먹은 김에 피시소스 계량도 하고 염도 계산도 하고 다른 피시소스나 액젓도 사용해보고 뭐 그랬다.

결론적으로는 친수피시소스가 맛이 덜 짜고 덜 비려서 두부부침에 가장 잘 어울린다.


2013년부터 이야기 했듯이 시장 손두부를 가장 선호하지만 마트에서 사는 것 중에는 홈플러스 초당두부가 최고다.

홈플러스 초당두부는 국내산콩과 수입콩이 있는데 수입콩 초당두부가 작년부터 꽤 오랫동안 홈플러스체크카드로 결제시 1790원이라 싸고 좋다.



아래도 또 잡담인데

홈플러스 초당두부 1모 550그램 - 물기 빼면 수분감량 10프로

물 뺀 후 두부 500그램

염도 0.8%= 소금 4그램

친수소스로 곱하기 5 = 20그램

마지막에 겉면 물기 제거하면서 간이 약해져서 최종적으로 0.7%에 맞아진다.


두부를 다른 걸로 사용할 경우에는

두부의 물기를 뺀 상태에서 두부 100그램 당 친수피시소소를 4그램 사용한다.


친수피시소스를 강조하는 이유는 내가 테스트한 바로는 이걸로 하는 게 제일 맛있기 때문이다. 대체재료 없음.




두부에 피시소스가 스며들려면 먼저 두부 물기를 빼고 (1시간+)

그 다음에 피시소스를 골고루 발라서 스며들게 둔다. (5~10분정도) 꽤 금방 전부 스며든다.

남은 수분을 키친타올로 살짝 톡톡 눌러 없앤 다음

예열하고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가 끝이다.




물기를 많이 빼려고 반나절 이상 냉장보관해서 빼보기도 하고, 피시소스 뿌려서 간이 스며들도록 하는 시간도 6시간 이상 해보기도 했다. 


이렇게 하면 조금 더 쫀쫀하기는 하지만 시간이 없을 경우에도 굳이 6시간이상 물기를 빼려고 신경써야하거나, 아 6시간 이상 물기 뺄 시간이 없으니 이건 이번엔 못해먹겠네 할 정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물기 빼지 못해서 못해먹는 것 보다는 시간이 없어서 바로 썰어서라도 해먹는 것이 더 이득이다.


아주 아예 시간이 없을 때는 두부에 물기 빼는 걸 먼저 하고 밥하고 하는 짧은 시간 정도로 10분정도만 물기를 빼기도 하기도 하는데 이 때는 물기를 뺄 때 키친타올을 앞뒤로 해서 빨리 물기를 빼는 것이 좋고, 굽고 난 다음에도 키친타올에 올려서 물기를 조금 더 빼면 적당하다.


피시소스 절이는 시간도 두부에 앞뒤로 묻혀서 톡톡 하면 꽤 금방 스며드니까 시간 신경쓰지 말고 만만하고 편하게 자주 만들어 먹는 것이 가장 좋다.




잡담끝.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재료


초당두부 1모 (550그램)

친수피시소스 20그램

식용유 적당량



1. 손두부는 6등분으로 썬다.

 (처음부터 먹기 좋게 작게 썰어서 해도 좋다.)


2. 키친타올에 올려서 최소 30분에서 1시간정도 물기를 뺀다.


3. 두부에 피시소스를 뿌려서 앞뒤로 골고루 발라 스며들도록 한다. 바르면 아주 금방 스며드는데 피시소스 향이 휘발되도록 5~10분정도 두면 좋다.


4. 충분히 스며든 다음에는 굽기 직전에 두부의 앞뒤를 키친타올로 한 번 더 톡톡 해서 물기가 없도록 한다.


5. 팬을 예열하고 기름을 두른 다음 앞뒤로 노릇노릇 지져낸다.

(취향에 따라 마지막에 들기름 살짝 넣어서 향을 내도 좋다.)


6. 식힘망에 올려서 겉면이 축축하기 않고 쫀쫀하도록 하면서 약간 식힌다.

 (두부 물기 빼는 시간이 짧았을 때는 키친타올에 올려 추가로 물기를 뺀다.)


7. 한 입 크기로 썰어서 접시에 담는다.





1.

IMG_7702.JPG



2.

IMG_8025-.jpg



3.

IMG_7836.JPG




IMG_7840.JPG



4.

IMG_7841.JPG



5.

IMG_7717.JPG




IMG_7720.JPG




IMG_7728.JPG




6. 두부를 구운 다음에는

미리 물기를 뺀 상태에 따라 식힘망에 올릴 경우도 있고IMG_7735.JPG




키친타올에 올려 물기를 더 뺄 수도 있다.

IMG_7866.JPG




7.

IMG_7868.JPG






IMG_7879.JPG




IMG_7887.JPG



두부를 구울 때는 약간 꼬릿꼬리한 액젓 냄새가 나는데 굽고 나면 언제 그랬나 싶다.



최종적으로 0.7%정도로 간을 맞췄으니 당연히 간이 딱이다.

두부 속까지 간이 배어서 맨입에 먹기도 좋고 반찬으로도 좋다.


친수피시소스의 향은 휘발되고 짭조름한 감칠맛이 남는다.

두부부침이 뭐라고 왜 이렇게 맛있지? 싶다.






  • 부루꾸링 2021.03.20 22:57

    어릴때 제가 살던 시골은
    겨울에는 솥걸어 두부 만들고..

    덥고 바쁜 봄 여름에는 두부아저씨가

    딸랑딸랑 소리내며 두부팔러 오셨어요

    온동네 딸랑딸랑 소리나면 엄마가

    쥐어준 천원으로 두부 두모 가량 손에

    들고 집에 가면서 귀퉁이 떼먹기 시작해

    집에 도착하면 두부 네 귀퉁이 성한곳

    없습니다 ㅎㅎㅎ

    그럼 더러는 뜨신물 끼얹어 데워서
    두부회로 먹고 또 더러는 두부전 지져

    졸이거나 간장에 찍어먹는데..

    막한 두부는 몰 해도 맛있어요

    나름 제게는 두부가 소울푸드라 집에
    떨어지지 않게 두는데 친수소스를 끼얹은
    두부지짐이라니 생각만 해도 맛있네요

    곧 이사에 혼자 있어야해서
    바로는 못 해먹겠지만 날 풀리고

    집에서 밥하게 되면 바로 해볼께요

    윤정님의 소소한 이야기가 음식을 넘어
    얼굴 맞대고 대화하는 느낌이라 더 좋아요^^

  • 이윤정 2021.03.23 02:23
    와 부루꾸링님 댓글을 읽으면서 부루꾸링님의 어린시절 시골이 앞에 그려지는데다가 넘 술술 잘 읽혀서 한 편의 아름다운 시를 읽은 것 같아요.
    본문에 비해 이렇게 과분한 댓글은 곱씹어 읽어야해서 또 보고 또 봤어요.
    사드셔도 만들어드셔도 언제나 금방 만들어 포근한 그 두부가 천원 쥐어주신 어머님 모습과 함께 눈에 아른합니다.
    역시 누구에게나 소울푸드는 이렇게 마음을 울리는 면이 있는 것 같아요.

    친수피쉬소스 바르는 건 소소한 팁으로 생각해주세요ㅎㅎ
    이사 무사히 마치시길 바라요.
    이사 마치시고 이렇게 해드실거죠? 부루꾸링님이 이렇게 부쳐서 순간이 제가 이걸 해먹는 순간과 같지는 않더라도 시간이 무슨 상관이겠어요.
    같은 음식 나눠 먹으면 괜히 이웃같고 그런 걸요^^
  • 레드지아 2021.03.22 12:01

    홈플러스카드가 없어서 전 항상 초당두부를 홈플러스에서 볼때마다 안타깝더라구요 ㅋㅋㅋ

    제가 사용하는 카드가 꽤 여러개라 그거 실적 채우느냐고 급급하거든요 ㅠ

     

    친수피쉬소스 대체할것이 없다니..꺄아!! 아주 좋아요!!!!

    보기에도 노릇노릇하니 한입 베어물면 고소~~~함이 느껴지는거 같아요 ^^

  • 이윤정 2021.03.23 02:27
    저는 카드관리는 하도 복잡해서 제가 안하지만ㅎㅎ 실적 채우는 거 관리하는 사람 말로는
    홈플러스에서 이 두부 살 때는 홈플제휴체크카드로 두부만 따로 결제한다고 해요ㅎㅎ
    참 부지런도 하죠ㅎㅎㅎㅎ 그치만 그렇게 부지런한 사람 덕분에 두부 양껏 사먹고 있어요ㅎㅎ
    여러번 테스트해서 간도 딱 맞춘 다음 딱 그대로 자주 부쳐 먹거든요. 저하고 입맛 비슷하신 레드지아님 입맛에도 맞으실 거에요ㅎㅎㅎ

  1. 껍데기집 대파절임, 친수 대파무침, 대패뒷고기, 계란볶음밥

    재작년에 처음 올렸던 대파절임 https://homecuisine.co.kr/hc10/87636 인데 이번에는 하인즈 올내츄럴 화이트 비네거를 사용해서 산도를 약간 낮추고 피시소스를 조금 더 사용했다. 좋아하는 고깃집인 내껍데기 돌리도 에서 이렇게 송송 썬 대파무침이 나오는데 그 대파무침과 비슷하게 만들었다. 전에...
    Date2021.05.2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4693
    Read More
  2. 오이무침, 간단 오이김치

    오이가 많이 생겨서 오이소박이를 할까 하다가 부추나 당근 등 부재료도 없고 찹쌀풀 만들기도 귀찮고 오이무침과 오이소박이의 중간정도 느낌으로 만들었다. 오이김치라고 하기에는 좀 간단하게 만들고, 오이무침 치고는 조금 더 두고 먹을 수 있는 버전이다. 당장 먹을 것이면 절이지 않거나 가볍게 ...
    Date2021.05.27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6766
    Read More
  3. 김밥 재료, 만들기

    유부와 부추가 들어가는 김밥을 좋아하는데 부추 사와서 씻고 데치기도 귀찮고 냉동유부 사와서 씻고 졸이기도 귀찮아서 안하고 버티다가 이번에 드디어 둘 다 사와서 만들었다. 유부조림 대신 오뎅조림, 데친 부추 대신 데친 시금치나 절인오이나 애호박볶음을 사용한 적이 더 많았다. 이번에는 밑준비...
    Date2021.05.20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112
    Read More
  4. 가지강된장, 조림맛된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양념 이야기. 조림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은 내용은 별 거 없고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마늘, 대파, 고추를 넉넉하게 준비해서 미리 분량대로 섞어둔 것이다. 된장양념이 주가 되는 조림이나 강된장에 주로 사용한다. 고추나 대파 많이 샀을 ...
    Date2021.05.17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617
    Read More
  5. 참치 야채 비빔밥

    처음 참치 생야채 비빔밥을 먹었던 것이 2000년도 학교식당이었는데 그 때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라 우리집에서는 아직도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다. 여러번 올렸었고 참치를 양념하고 볶아서 만들기도 했었는데 https://homecuisine.co.kr/hc10/39038 이번에는 그냥 학식 느낌 그대로 만들었다. (=...
    Date2021.05.16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7102
    Read More
  6. 소고기 된장찌개, 차돌된장찌개, 찌개맛된장

    여태 자주 올렸던 찌개맛된장은 여전히 집에 상주하고 있다. 찌개맛된장은 분량대로 만들어서 1~2주 정도 냉장실에서 숙성한 다음 그 이후로는 냉동보관해서 사용하고 있다. 된장찌개에 들어가는 채소는 집에 있는 걸로 해서 나박나박하게 썰고 냄비에 샤브샤브용 고기 넣고 두부 넣고 채소 넣고 물 붓...
    Date2021.05.10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5889
    Read More
  7. 소고기뭇국, 맑은 소고기 무국

    매번 얼큰한 소고기뭇국만 만들다가 오랜만에 맑은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처음에는 이대로 슴슴하게 먹고, 다음에는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서 데워 먹었다. 습관 어디 안감ㅋㅋ 소고기와 무, 대파만 있으면 만드는 국이라 아무 생각 없이 끓였다. 황태육수를 사용하면 좋은데 편하게 물을 사용하고 친수...
    Date2021.05.06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4673
    Read More
  8. 가지볶음 만들기, 레시피

    가지는 가지에 소금을 약간만 뿌려서 절인 다음 물기를 닦고 밀가루옷을 입혀서 굽거나 튀기는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는 이탈리안음식이나 중국음식에 아주 잘 어울린다. 이번에는 밥반찬으로 가지볶음을 만들었다. 가지볶음을 할 때도 굽듯이 볶아서 양념하는 것이 잘 어울린다. 아무 생각없이 만들었는...
    Date2021.04.3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5752
    Read More
  9.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넣기 or 통오리 그대로 삶기 or 토막내서 삶기) 2. 들깨 사용 (물에 들깨넣고 믹서로 갈아서 만든 들깨즙을 체에 거르기 or 거피들깻가루 ...
    Date2021.04.27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8742
    Read More
  10. 납작당면 잡채

    잡채를 만들려고 재료준비를 하는데 집에 늘 있는 자른당면이 하필 없는 날이었다. 당면 사러 나가기도 귀찮고 해서 당장 있는 납작당면으로 잡채를 만들었다. 몇 년 전에 만든 납작당면 잡채는 노두유와 굴소스를 넣기도 했고 과정도 중국식 느낌이 나는 잡채였는데 - https://homecuisine.co.kr/hc10/...
    Date2021.04.22 Category한접시, 일품 By이윤정 Views5734
    Read More
  11. 보쌈무김치 레시피

    오랜만에 올리는 보쌈무김치. 그동안 약간의 레시피 변화가 있었다. 수육이나 수육에 곁들이는 채소무침, 양념새우젓, 찍된장 등을 올리면서 다음에 보쌈무김치를 올리겠다 그랬는데 다음에는 이라고 한 이유가 만들 때마다 사진을 안찍어서였다. 각잡고 사진을 찍으려니까 오히려 또 만들기 싫은 역효...
    Date2021.04.1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6413
    Read More
  12. 소고기 등심 구매한 이야기

    미트박스에서 돼지고기는 흔하게 사지만 소고기는 판매단위가 커서 꾸리살 정도만 샀었다. 다음으로 국거리인 양지를 12키로 사보고 이번에는 소고기 등심 차례. 등심은 판매단위가 커서 보통은 20키로가 넘는데 이번에는 10키로정도 되는 등심이 있어서 구매해봤다. 10키로면 아주 작은 도체의 등심인...
    Date2021.04.17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6102
    Read More
  13. 소고기 미역국, 양지 미역국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소고기미역국도 늘 이렇게 끓이고 있다. 양지는 얼마 전에 12키로 산 것을 냉동했다가 사용하고 있다. 대량으로 사서 손질한 양지의 자투리를 사용한거라...
    Date2021.04.15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9897
    Read More
  14. 액젓 돼지불고기, 간단 돼지불고기, 액젓불고기

    전에 간단소불고기를 올렸을 때 간을 간장으로만으로 한 것도 올리고 친수피시소스랑 반반으로 한 것도 올렸었고.. 가장 최근에 올린 간단 돼지갈비 https://homecuisine.co.kr/hc10/98832 는 간장으로만 한 것이었다. 이번에는 불고기 간을 간장과 친수피시소스를 반반으로 사용한 버전의 돼지불고기이...
    Date2021.04.13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799
    Read More
  15. 부드러운 계란찜

    푸딩같은 질감의 부드러운 계란찜. 이런 식감의 계란찜을 하려면 냄비나 그릇을 여럿 사용해야 하고 찜기도 꺼내야 하는데 계란찜 하나 만들자고 하기에는 함께 딸려오는 일이 조금 많은 편이다. 만들긴 별거 없이 계란에 간을 하고 물 넣고 희석한 다음 체에 거르고 찜통에 찌는 것이 과정의 전부이다....
    Date2021.04.10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8392
    Read More
  16. 물없이 만드는 양파장아찌

    ㅡㅡㅡㅡㅡㅡㅡ잡담 패스 재료로 ㄱㄱ ㅡㅡㅡㅡㅡㅡㅡ 햇양파가 제철이라 양파장아찌 만들기 아주 좋다. 수도 없이 만들어 먹는 양파장아찌라 이전에 올린 양파장아찌와 내용이 거의 같다. 참고자료는 없고 여러 장아찌 많이 만들다가 양파장아찌는 시간이 지나면 간장물이 너무 많아지는 걸 보고 이런 ...
    Date2021.04.09 Category김치, 장아찌, 무침 By이윤정 Views19169
    Read More
  17. No Image

    육식맨님께 드리는 사과글입니다.

    이윤정입니다. 먼저 저로 인해 육식맨님께 피해를 끼쳐드린 점 사과합니다. 제가 오해한 정황과 저의 미숙한 대처로 인해 피해를 끼져드린 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저는 3월 21일 오후 10시 20분경 육식맨님께 인스타그램으로 DM요청을 받았습니다. DM이 온 사실은 인지했으나 그 당시에서 열흘...
    Date2021.04.02 By이윤정 Views34681
    Read More
  18. No Image

    그냥 하소연

    그냥 늦게까지 술먹으며 술주정.. 글의 흐름이 지맘대로일 수 있다. 횡설수설 주의. 추가 ㅡ 술먹었단 말은 괜히 했나보다. tmi 그 자체인데다가 술이야 맥주 한 잔 먹어도 먹은 거고 독주를 들이부어도 먹은 거고 술보다는 내 정신상태가 문젠건데.. ............ 자기꺼를 만들어 본 사람은 알 것이다...
    Date2021.03.30 By이윤정 Views26501
    Read More
  19. 김치찌개

    아무 생각 없이 눈감고 만드는 게 김치찌개와 된장찌개인데 김치찌개는 잘 익은 묵은지만 있으면 끝이고 된장찌개는 찌개맛된장을 물에 대충 풀면 끝이다. 그래서 오랜만에 김치찌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김치찌개 베이스. 잘 익은 김치는 적당히 가위로 썰어서 냄비에 넣고 (볶을 때도 있음) 물이나 ...
    Date2021.03.27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5767
    Read More
  20. 낙곱새 양념으로 닭곱새

    낙곱새의 낙지 대신 닭다리살을 넣어서 만들었다. 낙곱새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https://homecuisine.co.kr/hc10/100384 여태 낙곱새양념(=전골다대기)으로 만들 수 있는 종류는 다 만들어보고 있는데 (낙곱새로 검색하면 나온다) 해산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입맛에...
    Date2021.03.25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98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