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잡담주의)

 

 

 

소고기 안심으로 육전을 부쳤다.

 

육전은 육즙논쟁에서 거리가 있는 음식이지만 육즙논쟁의 솔루션이기도 하다. 고기가 익으면서 고기 밖으로 빠져나간 육즙이 계란옷을 적셔가면서 고기와 함께 먹을 수 있도록 고기 옆에 딱 붙어 있으니 육전은 맛있을 수 밖에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여태 육전을 많이도 만들었는데 역시 육전 맛은 고기가 9할이라 주재료인 소고기가 맛있는 만큼 육전도 덩달아 딱 그만큼 맛있다.

 

안심이야 어떻게 해도 맛있으니까 육전도 당연히 맛있었다. 비싼 안심을 굳이 육전을 해서 먹어야할까 조금 고민도 했는데 결론적으로는 잘한 일이었다. 다음에는 등심을 올릴 예정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육전에 필요한 재료는 아주 심플하다.

좋은 소고기, 소금, 후추, 밀가루, 계란, 식용유가 끝이다.

나머지 재료는 전혀 필요가 없다.

 

육전용 고기를 밑간할 때 필요에 따라 간장, 설탕, 양파, 마늘 등 양념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고기가 맛있어야 앙념해서 구운 육전도 맛있고, 고기가 맛있으면 양념이 필요없고.. 그렇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육전에 시용하는 고기 부위에 대해서는 전에도 이야기했었는데 https://homecuisine.co.kr/hc10/93774

구워먹어도 질기지 않고 맛있는 고기로 육전을 해야 맛있다. (기름이 아주 많은 구이용 고기는 제외)

상대적으로 저렴한 부위인 꾸리살, 보섭살, 홍두깨 등으로 육전을 하려면 근막이나 힘줄 등의 손질을 꼼꼼하게 해야 하고, 아주 얇게 썰고 고기망치로 쳐서 근섬유를 쪼개는 방식으로 연육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사용한 재료는
소고기 안심 600그램
소금, 후추

부침가루 적당량
계란 2~3개
식용유

 

1. 소고기 안심은 덩어리로 사 온 다음 3미리 정도 두께로 썬다. 최대 5미리까지 괜찮았다.
보통 육전용 고기는 최대한 얇게 써는 것이 좋기 때문에 냉동실에 조금 뒀다가 써는 것이 가장 좋다. 안심은 그렇게 얇게 썰지 않으니까 냉장고기를 썰어도 되는데 냉동실에 1시간정도 뒀다가 썰면 두께가 일정해지는 장점이 있다.

 

2. 소고기에 소금, 후추로 간을 한다. 소고기를 소금에 찍어먹는다는 생각으로 간을 하는데 계란물에 소금을 넣지 않을 거라 찍어먹는 것 보다 아주 약간 많나? 싶은 정도로 소금을 뿌린다.

 

3. 계란을 푼다. 계란물에 소금을 넣으면 고기를 담가서 건져서 구우면서 계란이 점점 짜져서 마지막에 간이 너무 강해지는 경향이 있으니까 계란에는 간을 하지 않는다.

 

4. 소고기 안심에 부침가루를 골고루 묻힌 다음 탈탈 턴다. 중력분도 괜찮고 부침가루도 괜찮다.
그냥 두면 밀가루에 육즙이 결합되서 밀가루가 보송보송하지 않은데 자꾸 만지지 말고 그냥 냅둔다.

 

준비한 고기 전부에 밀가루를 묻히고 쌓아두면 육전을 차례로 굽느라 쌓아둔 동안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때문에에 밀가루 옷이 서로 달라붙어서 벗겨지거나 떡진다. 그래서 계란물에 넣을 때 다시 밀가루를 묻히면 밀가루옷이 두껍게 된다. 한꺼번에 밀가루를 묻히지 않고 한 팬에 한 번 구울 수 있는 정도만 밀가루를 묻혀서 가루를 탈탈 털고 바로 바로 계란물에 넣는 편이다. 아니면 전부 무쳐서 겹쳐지지 않게 하나씩 놓아 둔 다음 사용한다.

 

(팬 예열)

 

5. 계란물에 담가서 건진다.

 

6. 중불~중약불에 앞뒤로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너무 센 불에 굽지 않도록 불조절을 한다.


전에도 한 이야기지만
조리과정 자체는 아주 단순하지만 밀가루옷 입히랴, 털어서 계란물에 넣으랴, 팬에 놓은 다음에는 또 뒤집어야 하고 식용유도 중간중간 보충해야하고 또 중간중간 계란옷 부스러기가 있을 땐 팬도 한번씩 닦아줘야 하고, 중간중간 불조절도 해야하니까 나름대로 아주 바쁘다. 작은 팬에 하는 경우에는 여러번 굽는 것도 바쁘지만, 팬이 크면 또 나름대로 먼저 놓은 육전이 과하게 익을까봐 봐줘야해서 굽는 동안 신경이 쓰인다.

 

 

IMG_7604.JPG

 

 

 

IMG_7610.JPG

 

 

 

IMG_7611.JPG

 

 

 

IMG_7614.JPG

 

 

 

IMG_7620.JPG

 

 

 

IMG_7623.JPG

 

 

 

IMG_7626.JPG

 

 

 

IMG_7635.JPG

 

계란옷이 육즙에 젖으니까 구운 다음에는 식힘망에 올려서 덜 축축하게 하고, 먹기 좋게 약간 식으면 바로 먹어야 가장 맛있다. 육전을 다 굽고 뒀다가 먹을 거면 안심을 사용하는 건 좀 아깝다.

 

한 입 크기로 썬 것이 아니라서 육전 하나가 꽤 도톰하고 큼직한데도 안심이 부드러우니까 아주 쉽게 베어먹을 수 있다. 

사기캐릭터인 안심에 폭신한 계란옷을 입혔으니 당연히 맛있을 수 밖에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잡담.

 

고기를 구울 때 겉면을 바짝 구워서 육즙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육즙을 가둔다는 이야기는 잘못된 정보인 것을 다들 알겠지만 한편으로는 끝을 모르고 재생산되는 정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답답한 적이 많다.
겉을 굽는 크러스트로 인한 맛의 상승(=시어링으로 인한 마이야르)과 고기 익힘정도에 따라 유출되는 육즙을 덜 유출시키고자 굽기 정도를 조절하는 상태 + 속까지 익힘 상태를 잘 조절하기 위한 생고기 상태의 온도조절. 이 둘은 별개의 영역이다.

 

육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1. 냉동하지 않은 냉장고기
2. 굽는 정도
3. 레스팅 (논란있음)
으로 볼 수 있겠다.

 

 

육즙을 한 톨도 허투루 버리지 않고 먹는 방법으로는

과조리 하는 부분을 최소화 하기 위한 수비드나 익힘정도를 조절이답인데 

 

(추가적으로 + 긍정적으로 보자면)
1. 굽자마자 바로 먹어 (고기는 딱 한 번 만 뒤집고 뒤집자마자 바로 먹어 같은..)
2. 곁들이는 음식에 육즙 스며들게 먹어 (고기를 감싼 비프웰링턴이나 사이드인 매시드 포테이토, 쿠스쿠스 등)

가 있는데 오늘 하나가 추가됐다.

3. 계란옷을 입혀 고기를 구우면 고기에서 빠져나온 육즙이 계란옷에 스며들어 계란옷은 축축해지지만 그래도 계란옷 내부에 육즙이 보관되는 육전 먹어

이다.

 

 

쓰고 보니
육즙이 대체 뭐간데 이렇게 육즙육즙하는지.. 그냥 알아서 맛있게만 먹고 육즙타령은 좀 안했으면 좋겠다.

 

육즙에 대해 아예 신경쓰지 말고 각 음식에 적합한 식재료, 적당한 조리과정, 적당한 화력을 골고루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땅못 2021.02.21 20:38

    음식도 그렇지만 다른 분야에서도...꼭 뭐라고 엄격하게 잣대를 들이대며 얘기하고픈 게 있는 사람들은 그 기준마저 괜히 엄청 중요한 것처럼 만들어서 말할 때가 있는 것 같아요... 가끔은 정말 육즙에 대해 말하고 싶은 건지 아님 육즙에 관해서는 말이야~ 하며 이렇다저렇다 으스대고 싶은건지 모르겠어요... 넘 미운 시선으로만 얘기했나요^^;;; 저는 맛있게 꾸워먹으면 그만...ㅎㅎ...윤정님은 늘 공유하고 알려주시는 게 겉치레 없이 알짜배기로 도움이 되어서 너무 감사해요. 정말 여러번의 경험 끝에 만드신 데이터인데도 잘난체하지 않고 나누어 주시는 게 참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각설하고 전거리 다소곳하게 널려있는 사진에서 헉했어요. 좋은 고기를 쓰면...정말 맛있겠네요...저희는 엄마가 유튜브인지 어딘지 뭘 봤다고 코스트코 부채살을 썰어서 육전을 하더라고요. 다음에 안심으로 해볼래요! ㅋㅋㅋㅋ

    전, 튀김, 퍼지는 면요리 같은 건 정말 하고 바로 먹어야 맛있는데 내 손으로 해 먹으려면 전 꼭 요리한 흔적 대강은 치워둬야 음식에 손이 가더라고요 ㅋㅋ 그래서 맛있게 먹으려면 빨리 치울 수 있게 세팅하는편인데 사실 그래서 사진 보면 종이호일에 딱 치우기 쉽게 간하고 부침가루 뿌리신 거나 팬 작은게 눈에 들어와요 ㅋㅋㅋㅋ

    늘 고생많이 하는 친구들이 있으면 앉혀두고 뭐 부치고 튀기면 입에 쏙쏙 넣어만 주고 싶어요. 윤정님도 아 하세요. 제가 댓글로라도 그럴 수 있는 이웃이 되면 좋겠어요. 새로운 한주도 즐거운 일 가득하길 바라요<3333

     

  • 이윤정 2021.02.23 04:09

    땅못님 말씀대로 맛있게 구워 먹으면 최고라고 저도 생각해요ㅎㅎ
    그런데 자기가 알고 있는 정보만 정답인양 굳이 어디에 가서 가르치려 드는 마음과, 잘못된 정보를 맹신하고 재생산하는 상태가 육즙을 비롯해 여러 조리과정에 결합되면 좀 암담한 것 같아요ㅠㅠ

    저도 저야 나름대로 최대한 맞는 이야기만 하고 싶지만 잘못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어디 가서 하지 않고 조용히 제 홈페이지 만들어서 하니까 혹시나 좀 틀린 게 있더라도 봐주실거죠? ㅎㅎㅎㅎ

    육전이야 고기맛이 9할이라 좋아하는 고기를 사용하면 백전백승인 것 같아요. 코스트코부채살도 좋고, 안심도 좋고요. 그런데 코스트코 부채살도 그렇고 제가 이번에 사용한 안심도 그렇고 저도 늘 그렇듯이 육전용으로 썬 고기가 아니고.. 육전을 하려면 알맞게 썰어야 하는데.. (당연한 이야기지만) 어떤 칼질이든 얇게 썰려면 원물 상태의 재료가 최대한 한 덩어리여야 균일하게 썰기 편하잖아요ㅎㅎ 그래서 제가 요즘 더 자꾸 고기 사는 규모가 커지는 것 같아요.

    저도 음식할 때 치워가면서 하는 스타일이라 음식 다 하고 등 뒤에 할 일이 많으면 마음이 무거워요ㅠㅠ
    그래도 그러는 와중에 먹는 사람은 잘 먹길 바라서 어딜 가든 밥상머리에서 제가 늘 많이 신경쓰고 바쁜 편이거든요. (외식할 때도 마찬가지에요ㅠ)

     

    그런데 땅못님이 한 번쯤은 쏙쏙 넣어주시는 모드로 육전 구워주신다면 저는 언제 어디서나 늘 신경 곤두선 걸 내려놓고 한 번은 아 해도 될까요ㅎㅎ

     

    제가 여태 제가 해주는 음식 먹고 싶다는 이야기는 숱하게 들었지만 제게 맛난 음식 해주고 싶단 이야기는 그 이야기를 늘 하는 사람인 남편, 친정엄마, 시엄마를 제외하고는 들어본 적이 없어요ㅎㅎ 물론 남편, 엄마, 시엄마를 저도 가장 신경쓰긴 하지만요ㅎㅎ

     

    그런데 땅못님께 이런 말씀 들으니 말씀만으로도 넘 감사해요ㅎ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4 김치, 장아찌, 무침 껍데기집 대파절임, 친수 대파무침, 대패뒷고기, 계란볶음밥 재작년에 처음 올렸던 대파절임 https://homecuisine.co.kr/hc10/87636 인데 이번에는 하인즈 올내츄럴 화이트 비네거를 사용해서 산도를 약간 낮추고 피시소스를... 4 file 이윤정 2021.05.29 4436
1003 반찬 오이무침, 간단 오이김치 오이가 많이 생겨서 오이소박이를 할까 하다가 부추나 당근 등 부재료도 없고 찹쌀풀 만들기도 귀찮고 오이무침과 오이소박이의 중간정도 느낌으로 만들었다. 오... 4 file 이윤정 2021.05.27 6470
1002 밥류 김밥 재료, 만들기 유부와 부추가 들어가는 김밥을 좋아하는데 부추 사와서 씻고 데치기도 귀찮고 냉동유부 사와서 씻고 졸이기도 귀찮아서 안하고 버티다가 이번에 드디어 둘 다 사... 2 file 이윤정 2021.05.20 4875
1001 국 찌개 가지강된장, 조림맛된장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먼저 양념 이야기. 조림맛된장 https://homecuisine.co.kr/hc10/82320 은 내용은 별 거 없고 된장, 고추장, 고춧가루, 마늘, 대파, ... file 이윤정 2021.05.17 4418
1000 일상 참치 야채 비빔밥 처음 참치 생야채 비빔밥을 먹었던 것이 2000년도 학교식당이었는데 그 때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라 우리집에서는 아직도 이름이 참치생채비빔밥이다. 여러번 ... file 이윤정 2021.05.16 6796
999 국 찌개 소고기 된장찌개, 차돌된장찌개, 찌개맛된장 여태 자주 올렸던 찌개맛된장은 여전히 집에 상주하고 있다. 찌개맛된장은 분량대로 만들어서 1~2주 정도 냉장실에서 숙성한 다음 그 이후로는 냉동보관해서 사용... file 이윤정 2021.05.10 5684
998 국 찌개 소고기뭇국, 맑은 소고기 무국 매번 얼큰한 소고기뭇국만 만들다가 오랜만에 맑은 소고기뭇국을 끓였다. 처음에는 이대로 슴슴하게 먹고, 다음에는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서 데워 먹었다. 습관 ... 2 file 이윤정 2021.05.06 4529
997 반찬 가지볶음 만들기, 레시피 가지는 가지에 소금을 약간만 뿌려서 절인 다음 물기를 닦고 밀가루옷을 입혀서 굽거나 튀기는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는 이탈리안음식이나 중국음식에 아주 잘 어... 4 file 이윤정 2021.04.30 5500
996 전골 탕 오리탕 레시피 광주의 유명한 오리요리인 오리탕. 가서 먹어보지는 못했고 주문해서 먹어봤다. 오리탕의 특징을 꼽자면 1. 오리 푹 고기 (뼈 바르고 뼈만 먼저 곤 다음 오리살을... 14 file 이윤정 2021.04.27 8481
995 한접시, 일품 납작당면 잡채 잡채를 만들려고 재료준비를 하는데 집에 늘 있는 자른당면이 하필 없는 날이었다. 당면 사러 나가기도 귀찮고 해서 당장 있는 납작당면으로 잡채를 만들었다. 몇... 4 file 이윤정 2021.04.22 5524
994 김치, 장아찌, 무침 보쌈무김치 레시피 오랜만에 올리는 보쌈무김치. 그동안 약간의 레시피 변화가 있었다. 수육이나 수육에 곁들이는 채소무침, 양념새우젓, 찍된장 등을 올리면서 다음에 보쌈무김치를... 4 file 이윤정 2021.04.19 6153
993 고기 소고기 등심 구매한 이야기 미트박스에서 돼지고기는 흔하게 사지만 소고기는 판매단위가 커서 꾸리살 정도만 샀었다. 다음으로 국거리인 양지를 12키로 사보고 이번에는 소고기 등심 차례. ... 8 file 이윤정 2021.04.17 5931
992 국 찌개 소고기 미역국, 양지 미역국 소고기미역국을 비롯해 소고기가 들어가는 국은 국거리용으로 썬 고기보다는 양지나 아롱사태 등을 덩어리로 장만해서 끓이는 걸 좋아한다. 그래서 소고기미역국... 4 file 이윤정 2021.04.15 9669
991 고기 액젓 돼지불고기, 간단 돼지불고기, 액젓불고기 전에 간단소불고기를 올렸을 때 간을 간장으로만으로 한 것도 올리고 친수피시소스랑 반반으로 한 것도 올렸었고.. 가장 최근에 올린 간단 돼지갈비 https://home... 8 file 이윤정 2021.04.13 5652
990 반찬 부드러운 계란찜 푸딩같은 질감의 부드러운 계란찜. 이런 식감의 계란찜을 하려면 냄비나 그릇을 여럿 사용해야 하고 찜기도 꺼내야 하는데 계란찜 하나 만들자고 하기에는 함께 ... 4 file 이윤정 2021.04.10 8183
989 김치, 장아찌, 무침 물없이 만드는 양파장아찌 ㅡㅡㅡㅡㅡㅡㅡ잡담 패스 재료로 ㄱㄱ ㅡㅡㅡㅡㅡㅡㅡ 햇양파가 제철이라 양파장아찌 만들기 아주 좋다. 수도 없이 만들어 먹는 양파장아찌라 이전에 올린 양파장... 4 file 이윤정 2021.04.09 18830
988 육식맨님께 드리는 사과글입니다. 이윤정입니다. 먼저 저로 인해 육식맨님께 피해를 끼쳐드린 점 사과합니다. 제가 오해한 정황과 저의 미숙한 대처로 인해 피해를 끼져드린 점에 대해 말씀드리겠... 3 이윤정 2021.04.02 34556
987 그냥 하소연 그냥 늦게까지 술먹으며 술주정.. 글의 흐름이 지맘대로일 수 있다. 횡설수설 주의. 추가 ㅡ 술먹었단 말은 괜히 했나보다. tmi 그 자체인데다가 술이야 맥주 한 ... 60 이윤정 2021.03.30 26374
986 일상 김치찌개 아무 생각 없이 눈감고 만드는 게 김치찌개와 된장찌개인데 김치찌개는 잘 익은 묵은지만 있으면 끝이고 된장찌개는 찌개맛된장을 물에 대충 풀면 끝이다. 그래서... 1 file 이윤정 2021.03.27 5622
985 전골 탕 낙곱새 양념으로 닭곱새 낙곱새의 낙지 대신 닭다리살을 넣어서 만들었다. 낙곱새는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95445 https://homecuisine.co.kr/hc10/100384 여태 낙곱새양... 1 file 이윤정 2021.03.25 9629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