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검색




IMG_0726.JPG


고기에 밑간하고 계란물 입혀 구우면 끝인 육전. 그런데 그냥 말을 많이 해봤다.



맛있는 고기는 보통 소금간만 딱 해서 좋은 불에 구워먹는 것을 최고로 친다. 같은 이유로 육전을 할 때는 고기에 어떤 양념을 하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고기를 사용하는 지가 육전의 맛에 그대로 반영된다. 맛있는 고기를 사용한다면 소금만 뿌려서 구워먹어도, 계란옷을 입혀서 구워먹어도 맛있게 되어 있다.

여러 부위로 육전을 해보니 당연한 이야기지만 구워먹어도 질기지 않고 맛있는 고기로 육전을 해야 맛있다. (기름이 아주 많은 구이용 고기는 제외)

상대적으로 저렴한 부위인 꾸리살, 보섭살, 홍두깨 등으로 육전을 하려면 근막이나 힘줄 등의 손질을 꼼꼼하게 해야 하고, 아주 얇게 썰고 고기망치로 쳐서 근섬유를 쪼개는 방식으로 연육한다. 얇게 썰려면 생고기 상태로는 어렵고 냉동실에 3시간 이상 넣어서, 소위 말하는 냉을 주어서 얇게 썰여야 하는데 고기 덩어리의 크기에 따라 그 시간이 달라진다.


저렴한 부위라도 파인애플이나 연육제, 식소다 등으로 연육하면 좋을텐데 괜히 이렇게 고집부리고 있다. 다음번에는 저렴한 고기+화학적 연육 의 조합으로 해봐야겠다.


육전은 바짝 부치지 않고 겉의 계란이 잘 익을정도로만 부쳐서 식힘망에 얹은 다음 살짝 식으면 먼저 준비해 둔 무침을 곁들여 먹는다.




재료(2~4인분)
구이용 소고기 500그램
소금, 후추
부침가루 적당량
계란 3~4개
식용유 적당량



지난번에 올린 육전의 파무침이나 - https://homecuisine.co.kr/hc10/73888

파절임 - https://homecuisine.co.kr/hc10/87636 을 곁들여도 맛있다.


고기는 바로 구워먹어도 좋은 것을 준비하거나, 잘 손질하고 아주 얇게 썬 다음 쟁반이나 종이호일 등에 펼쳐서 소금간을 할 수 있게 준비한다.

얇게 잘 썰어지지 않았을 때 퍽퍽한 고기를 사용하게 된 경우에는 고기를 최대한 얇게 썬 다음 고기망치로 쳐서 얇게 편다.

IMG_0725.JPG

(사이사이의 근막을 꼼꼼하게 제거하고 살짝 냉동하고 최대한 얇게 썬 꾸리살)



IMG_9312.JPG

(겉면의 기름은 최대한 제거하고 냉동없이 최대한 얇게 썬 살치살)



소금, 후추를 솔솔 뿌려서 밑간한다.

IMG_9314.JPG




부침가루를 뿌려서 앞뒤로 묻혀서 탈탈 턴다. 준비한 고기 전부에 밀가루를 묻히고 쌓아두면 육전을 차례로 굽느라 쌓아둔 동안 고기에서 나오는 수분때문에에 밀가루 옷이 서로 달라붙어서 벗겨지거나 떡진다. 그래서 계란물에 넣을 때 다시 밀가루를 묻히면 밀가루옷이 두껍게 된다. 한꺼번에 밀가루를 묻히지 않고 한 팬에 한 번 구울 수 있는 정도만 밀가루를 묻혀서 가루를 탈탈 털고 바로 바로 계란물에 넣는 편이다. 아니면 전부 무쳐서 겹쳐지지 않게 하나씩 놓아 둔 다음 사용하기도 한다.

IMG_0727.JPG





계란물은 소금을 약간 넣어서 간을 하고 잘 저어서 계란물에 고기를 넣었다.
IMG_0728.JPG






팬을 달구고 기름을 두른 다음(팬에 따라 기름 먼저 두르고 달굼) 불을 줄이고 하나씩 앞뒤로 굽는다.

IMG_0726.JPG




IMG_0730.JPG




IMG_0024.JPG



IMG_9324.JPG



IMG_9325.JPG



IMG_9327.JPG



IMG_9328.JPG



IMG_9329.JPG




IMG_9330.JPG



IMG_9331.JPG



IMG_9405.JPG



IMG_9406.JPG


바로 먹을 육전은 너무 바짝 부치지 않도록 불조절을 하고 겉의 계란이 잘 익을 정도로만 부친다. 1회 부치고 팬을 닦아가며 부쳐야 육전이 깔끔하다.


명절이나 제사 때 만드는 육전을 바짝 구워야 하는데 바로바로 먹으려고 구울 때는 너무 바짝 익히지 않고 식힘망에 얹었다가 접시에 담아서 먹는 것이 좋다. 겉이 노릇노릇하기는 하지만 속은 부드럽게 부친 육전을 바로 접시에 담으면 고기가 여열로 익으면서 고기에서 나오는 육즙으로 인해 계란옷이 젖는다. 식힘망에 얹어서 1~2분정도 열이 빠져나갈 공간과 시간을 준 다음 접시로 옮기면 계란옷이 젖지 않아서 육전이 축축하지 않고 더 맛있다.


육전은 질리지도 않고 맛있다 그러길래 어디까지 맛있나 싶어서 도매용 살치살과 꾸리살을 사다가 공급해봤는데 아직까지 지치지 않는 것 보니까 내가 진 듯..



  • 레드지아 2020.06.23 09:44

    저 육전한번도 해먹어본적이 없어요!!

    윤정님의 자세한 레시피를 보니 해먹을 이유가 충분하고도 넘치네요

     

    마블링이 아름다운 고기가 무엇인가..했더니 살치살이었네요!!

    꺄아~~ 살치살은 사랑사랑사랑 그 자체죠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살치살을 냉동없이 저렇게 얇게 썰수도 있는거였군요!!! +_+

  • 이윤정 2020.06.25 03:25
    아니 레드지아님! 육전을 안해보셨다니 1주일내로 안하시면 고진교 3일 압수할거에요ㅎㅎㅎㅎㅎ
    고기를 구우면 맛있고 부치면 또 맛있는거잖아요ㅎㅎ
    육전은 역시 고기가 좋아야 좋은거더라고요^^

  1. 맑은 샤브샤브, 피시소스 샤브샤브

    맑은 샤브샤브를 진짜 오랜만에 만들었다. 제목에도 있듯이 피시소스 샤브샤브이다. 육수에 여러 재료를 넣지 않고 물, 친수피시소스, 다시마, 냉동통마늘, 통후추만 2~3분 끓여서 아주 간단하게 만들어서 사용했다. 간단한데 맛있는 효율이 이주 좋다. 염도는 1%로 맞춰서 육수 상태에서는 약간 짭짤한...
    Date2022.02.28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5477
    Read More
  2. 참치마요 유부초밥

    시판 유부초밥용 유부 2인분 쌀 1컵으로 지은 밥 참기름, 깨 참치 1캔(150그램) 마요네즈 적당량 늘 하는 이야기인데 참치전이나 참치마요를 할 때 캔참치를 포슬푸슬하게 만들기 위해서 기름과 수분을 꾹 짜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캔참치를 볶아서 수분을 졸인 다음 달달 볶아서 사용하면 ...
    Date2022.02.27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5376
    Read More
  3. 등심덧살 구워먹기, 새송이버섯, 고기김치볶음밥

    코로나 때문에 도시락을 몇개월째 싸고 있는데 최근에는 아침 도시락도 쌀 일이 생겨서 아침 샐러드 도시락, 점심 일반 도시락 반찬을 싸서 보내고 있다. 아침 점심 / 저녁 사이에 음식만드는 텀이 길어서 사실 별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저녁시간이 되면 은근 아무것도 싫은 기운이 몰려온다. 고기를 ...
    Date2022.02.26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804
    Read More
  4. 고기에 곁들이는 양배추깻잎무침, 업진살

    고기를 구워먹을 때 필수적인 채소무침. 상추나 양배추, 알배추를 비롯해 각종 쌈채소를 무쳐서 먹을 땐 주로 이렇게 만드는 편이다. 무침양념을 소스화 시켜서 콩나물과 깻잎을 무치는 고깃집스타일도 좋아하는데 다음엔 그 버전을 올릴 예정.. 재료 양배추 3줌 깻잎 1~2묶음 고춧가루 1티스푼 설탕 1...
    Date2022.02.25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5344
    Read More
  5. 라볶이

    떡볶이양념 - https://homecuisine.co.kr/hc10/105843 재료 라면 1개 오뎅 4장 떡 1줌 비엔나소세지 (선택) 대파 1대 물 적당량 (생각보다 조금 넉넉하게) 떡볶이소스 1국자 라면스프로 오뚜기 덕용 라면스프를 1스푼 사용했고 라면사리는 오뚜기 얇은 사리면을 사용했다. 물은 좀 넉넉하게 잡는데 분량...
    Date2022.02.15 Category일상 By이윤정 Views4483
    Read More
  6. 낙곱새

    늘 마음이 쓰이는 레시피인 낙곱새. 자주 올리지는 않았지만 언제라도 해먹을 수 있도록 양념과 주재료를 늘 냉동해두고 있고 양파 대파도 늘 집에 있으니까 하루 전에 냉장실에 옮겨 해동만 하면 되는 메뉴이다. 낙곱새라는게 일종의 짜글짜글한 전골이라 주재료+채소+전골다대가+육수+사리의 조합으로...
    Date2022.02.13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579
    Read More
  7. 등심덧살 액젓수육

    요즘 자꾸 자주 올리는 액젓수육이다. 돼지고기 사놓고 번거로운 일하기는 귀찮고 고기는 얼른 써야할 때 가장 만만한 게 액젓수육이라 자주 만들게 된다. 시판 보쌈김치를 곁들였는데 시판김치보다는 김치찜이 더 잘 어울리고 맛있었다. (그냥 잡담) 수육의 기본은 고기냄새 없이 촉촉하게 삶는 것인데...
    Date2022.02.10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613
    Read More
  8. 닭죽

    지난번에 올린 닭곰탕에 이어서 닭죽. https://homecuisine.co.kr/hc10/106434 재료 2~3인분 닭 1키로 1마리 대파 1~2대 마늘 10개 통후추 1티스푼 피시소스 2스푼 (간보고 필요하면 0.5스푼 더) 물 2리터 (끓이는 상태나 뚜껑 여는 상태에 따라 조절) 질게 지은 밥 2인분 대파 흰부분 0.5~1대 소금, 후...
    Date2022.02.08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4523
    Read More
  9. 라면전골

    오랜만에 라면전골 당장 집에 라면이 스낵면 뿐이라 고운 고춧가루와 다진마늘을 평소보다 조금 더 사용했다. 좀 더 칼칼하고 얼큰한 라면이 라면전골에 잘 어울린다. 재료 라면 2개 물 1~1.1리터 고운고춧가루 1~1.5스푼 다진마늘 1.5스푼 샤브샤브용 소고기 300~400그램 알배추 대파 듬뿍 어묵탕용 오...
    Date2022.02.06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7658
    Read More
  10. 충무김밥

    오징어와 오뎅을 데치고 물기를 빼서 썬 다음 같이 양념에 무치고 미리 만들어 둔 콜라비생채 꺼내고 맨밥을 김밥김에 싸서 편하게 충무김밥을 만들었다. 섞박지를 만드는 평소의 충무김밥은 여기 - https://homecuisine.co.kr/hc10/103920 1. 미리 넉넉하게 만들어 둔 콜라비생채 https://homecuisine....
    Date2022.02.03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4518
    Read More
  11. 피시소스로 육전, 두부부침

    육전과 두부부침은 소금만 뿌려서 부쳐도 맛있지만 피시소스로 간을 하면 감칠맛이 더해진다. 피시소스의 냄새는 가열하면 휘발되는 성분이라 가열하는 요리에 사용했을 떼 피시소스 냄새가 거의 남지 않는다. 경험적으로도 피시소스로 간을 한 육전과 두부부침을 해서 피시소스가 들었다는 걸 먼저 알...
    Date2022.01.31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4699
    Read More
  12. 햄김치볶음밥

    잘 익은 김치와 스팸, 대파 듬뿍, 고슬고슬한 밥과 조미료, 버터와 모짜렐라의 조합인 햄김치볶음밥. 요즘 스팸과 리챔이 제철이라 볶음밥 만들기 딱 좋다. 사용한 재료(2인분) 식용유 약간 스팸이나 리챔 200그램 1캔 대파 흰부분 2대 김치 200그램 쌀 1.5컵으로 지은 밥 (=2그릇) 산들애나 다시다 등 ...
    Date2022.01.29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330
    Read More
  13. 육개장라면. 파개장열라면

    불고기용 소고기와 대파를 양념하고 푹 끓이고 매운 라면을 넣어 만든 파개장라면. 파를 듬뿍 넣은 라면이라 파개장에 가까운데 지나가면서 대충 보면 육개장 같기도 하고 대충 그렇다. 준비할 재료는 소고기, 대파, 마늘, 고춧가루, 액젓, 계란, 후추, 밥 + 라면. 이럴거면 그냥 국끓일 걸 그랬나 싶지...
    Date2022.01.27 Category한그릇, 면 By이윤정 Views4996
    Read More
  14. 새송이버섯볶음

    1년 정도 도시락을 안싸다가 지난달 초부터 도시락을 싸고 있어서 소소하게 반찬을 좀 만들게 된 바람에 새송이버섯볶음도 오랜만에 만들었다. 이런 평범한 반찬은 내용도 너무 단순하고 별거 아니라 여기저기 합해서 올렸었는데 오랜만에 만들려고 찾아보니 역시 따로 올린 게 보기 편했다. 앞으로는 ...
    Date2022.01.24 Category반찬 By이윤정 Views6880
    Read More
  15. 3등급 업진살 구워먹은 이야기, 도매용 소고기 이야기, 고기 특성 고르기

    (3등급 업진살 600그램으로 약 3만원치) (말많음주의) (근거불충분 경험담주의) (구매한 고기 전부 암소 기준) 1. 소고기 시세 전에도 이야기했듯이 소고기는 가격이 확 오르거나 확 내리지는 않고 부위별로 등급벼로 가격편차가 심하다. 하지만 소고기 시세가 내리는 일은 없이 몇 년 간 계속 완만하게...
    Date2022.01.21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10386
    Read More
  16. 부대볶음

    매번 똑같은 부대볶음. 재료 양배추 4분의1통 대파 흰부분 2대 김치 2~3잎 스팸 작은 캔 1개 소세지 2~4개 베이컨 100그램 (햄 소세지 베이컨 다 합해서 약 600그램) 양념장 고운고춧가루 18그램 (2.2스푼) 고추장 25그램 (1스푼) 간장 15그램 (1스푼) 친수피시소스 5그램 (1티스푼) 다진마늘 50그램 (2...
    Date2022.01.20 Category전골 탕 By이윤정 Views6128
    Read More
  17. 김밥

    김밥 10줄 재료 김밥용 김 10장 쌀 4컵 (180미리계량컵) 소금, 식초, 설탕, 참기름 참기름, 깨 1. 우엉조림 2. 오뎅 5장 간장1 미림1 설탕0.5 물1 3. 당근 2~3개 채썰어서 볶기 4. 계란 8~10개 5. 김밥햄 (CJ나 노브랜드) 김밥햄 나눠진 것 보면 7~8갠데 잘 분배해서 10개 썰고 굽기 6. 김밥용 맛살 (대...
    Date2022.01.18 Category밥류 By이윤정 Views6526
    Read More
  18. 등심덧살로 액젓불고기, 돼지불고기

    아주 예전부터 고기나 볶음요리 간은 염도 1%를 유지하는 편이다. 염도 계산하기 전부터 올렸던 레시피도 지금 와서 계산해보면 거의 1%에 맞아 떨어지는 것이 사람 입맛이 참 안변한다 싶다. 레시피부터 보려면 ㅡㅡㅡㅡㅡ 나올 때까지 아래로 쭉쭉.. 고기 1키로에 염도가 1% = 소금이 10그램 간장은 ...
    Date2022.01.15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4757
    Read More
  19. 등심덧살 제육볶음, 고추장 두루치기 레시피

    오랜만에 올리는 제육볶음. 제육양념은 미리 만들어서 냉동해뒀던 것을 했다. 제육양념에 간장 200그램으로 늘 만들어왔는데 간장100+피시소스80 으로 사용하면 더 맛있다. 제육양념 재료는 간장 200그램 고운고춧가루 100그램 고추장 150그램 설탕 100그램 다진마늘 100그램 다진대파 150그램 미림 100...
    Date2022.01.13 Category고기 By이윤정 Views7346
    Read More
  20. 차돌된장찌개

    차돌된장찌개 6인분정도 분량. 찌개맛된장으로 된장찌개는 자주 올렸는데 주로 2인분 레시피만 올렸었다. 찌개맛된장과 바로 전에 올린 차돌된장 - https://homecuisine.co.kr/hc10/105908 그런데 매번 2인분정도 분량을 만드는 건 아니고 때에 따라 많이 만들 때도 많다. 채소나 두부의 양이 2배로 많...
    Date2022.01.11 Category국 찌개 By이윤정 Views578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58 Next
/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