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윤정님! 포스팅 유용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고기 요리를 할때 항상 고기가 질겨지는 경항이 있습니다. ㅠ
저번주 토요일날 찜닭(닭이 좀 크기가 컸습니다.) 을 할때도 그렇고, 생선요리를 할때도 그렇고
촉촉하고 부들부들하게 조리가 되었으면 하는데 항상 실패하네요
불 세기가 너무 세서 그런걸까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리 시간이 너무 짧은 것도 아니고 포스팅에 나온 시간으로 맞춰서 하는데..ㅠ
안녕하세요 윤정님! 포스팅 유용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고기 요리를 할때 항상 고기가 질겨지는 경항이 있습니다. ㅠ
저번주 토요일날 찜닭(닭이 좀 크기가 컸습니다.) 을 할때도 그렇고, 생선요리를 할때도 그렇고
촉촉하고 부들부들하게 조리가 되었으면 하는데 항상 실패하네요
불 세기가 너무 세서 그런걸까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리 시간이 너무 짧은 것도 아니고 포스팅에 나온 시간으로 맞춰서 하는데..ㅠ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6 | 질문 답변 | 치킨 가라아게 반죽에 계란 안 넣고의 차이? 1 | 킨킨들 | 2017.06.17 | 3879 |
85 | 질문 답변 | 치즈 질문이요! 5 | 새댁 | 2015.03.04 | 2571 |
84 | 질문 답변 | 철판요리 1 | 딴따라 | 2015.08.30 | 1761 |
83 | 질문 답변 | 질문있어요. ^^ 1 | 애플파이 | 2015.04.14 | 1747 |
» | 질문 답변 | 질문있습니다~^^ 2 | 명주 | 2015.03.30 | 1754 |
81 | 질문 답변 | 질문있습니다! 1 | 캐캐 | 2021.09.06 | 1438 |
80 | 질문 답변 | 질문입니다. 1 | 치킨앙마 | 2015.01.29 | 2512 |
79 | 질문 답변 | 질문드려요~!! 3 | 고깃집딸내미 | 2020.08.03 | 1356 |
78 | 질문 답변 | 질문드려요^^ 2 | 서가당 | 2015.02.06 | 1521 |
77 | 질문 답변 | 질문 몇 가지 드려요. 5 | 따님또기 | 2020.04.28 | 1702 |
76 | 질문 답변 | 질문 답변 게시판입니다. | 이윤정 | 2015.01.21 | 2651 |
75 | 질문 답변 | 중화요리 튀김시... 1 | 써리원 | 2018.03.13 | 1755 |
74 | 질문 답변 | 제육볶음 질문이요! 2 | 1G1 | 2015.04.29 | 1910 |
73 | 질문 답변 | 재료비 1 | 뽀빠이 | 2021.06.14 | 1421 |
72 | 질문 답변 | 일본식 카레 - 1 | 플하 | 2016.09.17 | 3456 |
71 | 질문 답변 | 인도현지에서 사온 커리. 쓴맛 해결방법이 궁금해요 1 | 미쓰오 | 2020.02.04 | 2073 |
70 | 질문 답변 | 인도커리할 때 가람마살라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2 | 제이크 | 2016.07.03 | 6340 |
69 | 질문 답변 | 이윤정 님께 질문드립니다. 1 | BurritoStation | 2016.02.25 | 1604 |
68 | 질문 답변 |
이 요리 좀 찾아주세요
1 ![]() |
ahiou | 2019.02.20 | 1804 |
67 | 질문 답변 | 윤정님~ 소고기를 오래 끓여서 만드는 요리들에 대한 질문입니다 1 | 소연 | 2015.08.27 | 3555 |
닭이 크기가 크면 근섬유가 발달되어있으니까 시간을 조금 늘여야 질긴 조직이 연해질거에요^^
고기가 촉촉하지 않다는 건 온도가 높은 상태로, 혹은 수분이 없는 환경에서 장시간 조리되었다는 이야기인데,
생선은 저도 자주 안먹어서 확실하지는 않지만 저온에서 천천히 익힌 다음 불을 올려 겉을 익히거나
닭고기는 중약불에서 더 오래 끓여보시는 건 어떨까요?